
줄(string):
굵기가 가장 얇고 음정은 높은(G) 제일 밑줄이 1번 줄, 그 위로 2, 3, 4번 줄이라 부른다.
튜닝(Tuning):
온음계를 연주하기 편하도록
‘4번줄은 E, 3번줄은 A, 2번줄은 D, 1번줄은 G’
이같이 완전4도(5프렛차이)만큼 높아지도록 튜닝한다.
줄감개는 machine head 또는 peg라고도 한다.
Drop Tuning: 4번줄만 낮춘다. ex) D drop: D A D G
Down Tuning: 모두 낮춰 완전4도 차이를 유지한다. ex) D Down: D G C F
상현주(nut), 브릿지(bridge)의 하현주(saddle):
개방현을 쳤을 때 현의 양끝을 지지하고 진동을 베이스에 전달한다.
프렛(fret):
지판을 구획하는 금속 돌기.
트러스로드(truss rod):
네크안에 박혀있는 철심.
줄이 지판에서 많이 떠있을 때는 시계방향으로 돌려 조여주고,
줄이 너무 붙어있을 때는 반시계방향으로 돌려 풀어준다.
조심스럽게 다뤄야한다.
무리하게 힘을 주거나 한번에 1/4바퀴 이상 돌리지 않아야하고
완전한 효과는 하루이상 두어야 나타난다.
포지션 마크(position mark):
프렛 위치파악에 도움을 주기위해 1, 3, 5, 7, 9, 11...에 점이 찍혀있고
개방현(open string, 0프렛)보다 한 옥타브 위 음정을 내는 12프렛에는 점이 두 개 찍혀있다.
(1, 11에는 없어도 파악하기 쉬우므로 보통 생략^^)
스트랩핀(strap pin):
스트랩(멜빵)을 매는 곳.
지판(finger board):
로즈우드(rosewood) -> 메이플(maple) -> 에보니(ebony) -> 점점 무겁고 소리는 밝다.
픽업(pickup):
현의 진동을 전기신호로 바꿔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