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어 교육 참고문헌_2009.
간노 히로오미(1988). 일본에서의 한국어 교육 및 연구현황. 제3회 국제한국어교육학회언어학자 대회. 한글학회.
간노 히로오미(1991). 일본에서의 한국어 교육. 새국어생활 1-2. 국립국어연구원.
간노 히로오미(1991). 일본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과 교수 방법. 교육한글.
강명순(1999). 독해력 향상을 위한 한국어 읽기 교육 방안. 말 23·24. 연세대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강보유(2002). 중국 대학교에서의 한국어 교육과 교수법. 한국어 교육 13-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강보유(2005). 중국의 한국어 문화 교육. 한국어교육록 2. 한국문화사.
강승혜(1999). 외국어교수법이론의비판적검토. 연세 교육연구12(1).
강승혜(2002). 재미교포 성인 학습자 문화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조사 분석연구. 한국어교육 13-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강승혜(2003). 한국문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한국어 학습자 요구분석. 한국어교육 14-3.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강승혜(2003).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학습자 요구 분석
강승혜(2003). 한국어교육의 학문적 정체성 정립을 위한 연구-하위 학문영역 구축을 위한 귀납적 접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8. 연세대학교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강승혜(2003). 한국어교육의 학문적 정체성 정립을 위한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분석. 한국어교육 14-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강승혜(2003). 한국어교육의 학문적 정체성 정립을 위한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분석. 한국어교육 14-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강승혜(2005). 교육과정의 연구사와 변천사. 한국어교육론 1. 한국문화사.
강영덕(1992). 중국 조선족 학교에서의 이중언어교육의 실태와 과제. 이중언어학 9. 이중언어학회.
강영덕(1992). 중국 조선족 학교에서의 이중언어교육의 실태와 과제. 이중언어학회 9. 이중언어학회
강은국(2003).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과정에 대한 고찰.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제13차 국제학술대회.
강정희(1996). 해외 동포 자녀들에 대한 모국어 교육 실태 조사 연구. 한국말교육 7.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강정희(1996). 해외 동포 자녀들에 대한 모국어 교육 실태 조사 연구. 한국말교육 7.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강정희(1996). 해외 동포 자녀들에 대한 모국어 교육 실태 조사 연구. 한국말교육 7.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강현화 조민정(2003). 스페인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어미. 조사 및 시상. 사동범주의 오류분석. 경희대학교.
강현화(1999). SATⅡ의 한국어시험에 대한 분석 ’98년도 샘플테스트를 중심으로. 한국어교육 10-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강현화(1999). SATⅡ한국어 시험에 대한 분석. 한국어교육 10-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강현화(2000).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사전과 말뭉치. 응용언어학회지 16. 응용언어학회.
강현화(2000).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사전의 표제어에 대한 고찰. 어문학 70.
강현화(2000). 코퍼스를 이용한 부사의 어휘 교육 방안 연구. 이중언어학 17. 이중언어학회.
강현화(2001). 한국어교육용 기초 한자어에 대한 기초 연구. 한국어교육12-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강현화(2002). 외국인을 위한 교육용 한국어사전의 표제어에 대한 고찰.
강현화(2002). 해외 한국어 교사 재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분석 논의. 한국어교육 13-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강현화(2002). 해외 한국어 교사 재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분석 논의러시아 지역의 현지연수와 국내연수를 중심으로. 한국어교육 13-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강현화(2004). 한국어 회화 교재에 나타난 어휘 분석.
강현화(2007). 한국어 교재의 문제유형 분석. 한국어교육 18-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강현화․김창구(2001). 어휘력 신장을 위한 기본 한자의 조어력 분석-한국어 회화 교재에 나타난 한자어를 대상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5‧26. 연세대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고금숙(1992). 중국의 조선어문교육에 대한 역사적인 고찰. 교포정책자료 43.
고려대 북한 언어연구회 (1989). 북한의 어학혁명. 백의.
고범수(2006).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연구 : 일본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경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고송무(1991). 핀란드와 카작스탄에서의 한국말 및 고려말 교육. 교육한글 4. 한글학회.
고신숙(1987). 조선어 이론 문법. 사회과학 출판사.
공일주(1996). 한국어 교재에서 반영해야할 문화 목표. 한글새소식 283. 한글학회.
공일주(1996). 한국어 교재에서 반영해야할 문화 목표. 한글새소식 283. 한글학회.
곽부모(2004). 남·여 한국어교사의 교실 언어 차이 연구. 한국어교육 15-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곽부모(2004). 남·여 한국어교사의 교실 언어 차이 연구. 한국어교육 15-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곽부모(2004). 남녀 한국어 교사의 교실 언어 차이 연구. 한국어교육 15-2.국제한국어교육학회.
곽수진(2007). 비즈니스 목적을 위한 한국어 교재개발에 관한 연구 :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선문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괵셀 튀르쾨쥐(2001). 터키에서의 한국어 교육 현황. 이중언어학 18. 이중언어학회.
구민숙(2001). 외국인 노동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교재 구성을 중심으로. 경희대 교육대학원 한국어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구민숙(2001). 외국인 노동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교재 구성을 중심으로. 경희대 교육대학원 한국어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구장희(1991).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선에 대하여. 교육한글 4. 한글학회.
구지은(2006). 국제결혼 이주여성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 부산·경남지역 중심으로. 부산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국제한국어교육학회(2005). 한국어 교육의 역사와 전망. 한국어교육론1. 한국문화사
권기영(1990). 연변의 2중 언어 조기교육에 대하여. 이중언어학 7. 이중언어학회.
권미정(199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 연구기존교재의 검토와 새 모델의 모색. 고려대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석사학위논문.
권미정(1999).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읽기 교육-독해 전략을 통한 효율적인 읽기 방안. 국제 한국어 교육 학회. 한국어교육. 10-1.
권순희(1996). 언어 문화적 특성을 고려한 한국어 교육의 교재 편성 방안. 국어교육연구.
권승모(1984). 조선말회화. 김일성 종합대학 출판사.
권오연(2000).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읽기 지도 방법 연구. 한국외대 석사학위논문.
권종분(1998). 외국어 습득에 있어서 신체언어능력의 중요성 및 문화와 제스처의 관계. 외국어교육연구 창간호. 서울대 외국어교육연구소.
권종분(2006). 비언어적 요소를 고려한 한국어 교재 개발 연구. 상명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권혜경(2007). 한국어 중급 학습자를 위한 독학용 교재 개발 연구. 부산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金英蘭 (2003). 중국에서의 한국어회화교재의 현황과 개선방안. 국제학술대회.
김경숙(198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읽기 교육에 대한 견해. 말 8. 연세대 한국어학당.
김경식(1986).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에 대한 연구. 연세대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전공 석사학위논문.
김경주(2001). 한국어 교사의 전문성 신장 방안 연구. 국어교육연구 8.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김공언(1985). 한국어 교재 개발의 기술적 문제. 이중언어학.
김광해(2002). 한국에서의 한국어 평가 - 한국어능력시험(KPT : Korean Proficiency Test). 국어교육연구 10.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김광해(2003). 국어교육용 어휘와 한국어 교육용 어휘. 국어교육.
김광해(2003). 등급별 국어교육용 어휘. 박이정.
김광해(2003). 메타 계량 방법에 의한 교육용 어휘 선정과 평정. 계량언어학 2
김금현. 류승완(2001). Korean Language and Korean Studies Programs in Malaysia. 이중언어 19. 이중언어학회.
김기중(1991). 한국어문화연수부 소개고려대학교 부설. 새국어생활 1-2. 국립국어연구원.
김남길(1994). 미국 로스엔젤레스에서의 한국어 교육현황과 제 문제지역사회 학교를 중심으로. 한국말교육 5.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남순.이은진(2001). 초인지 훈련이 초인지와 수학적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중등교육연구 제13집.
김남헌(2001). 의사소통향상을 위한 한국어문화 교육 방안 연구. 경희대 교육대학원 한국어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김명순(1988). 한국어 어휘와 품사빈도에 관한 연구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명회(2006).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자습용 문법 학습 교재 모형 개발 연구. 선문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미경(2006).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읽기 텍스트 구성 연구 : 다중 텍스트(multiple texts) 활용을 중심으로. 경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미옥(1992). 읽기 교육에 관한 연구. 말 17.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김미옥(1994). 한국어 학습에 나타난 오류 분석. 한국말교육 5.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미옥(2003). 한국어 학습자의 단계별 언어권별 어휘 오류의 통계적 분석. 한국어교육 14-3.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민수(1989). 북한의 국어연구. 일조각.
김민수(1990). 미국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과제. 이중언어학 6. 이중언어학회.
김민애(2006). 한국어 학습자의 오류의 분석 방법 고찰. 한국어교육 17-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민자(1997). 호주에서의 한국어 교육 현황과 앞으로의 과제. 교육한글 10. 한글학회.
김민주(2004). 중국에서의 한국어교육과 교재 및 이중언어교육 - 외국에서의 모국어 교육. 이중언어학 24. 이중언어학회.
김병무 · 양옥주(1992). 조선문화어강독1(유학생용). 김일성 종합대학 출판사.
김병운(1999). 중국에서의 한국어교육 방법 및 지도. 국어교육연구 6.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김병운(2007). 중국조선족의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발전방향: 초·중·고등학교 교육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33. 이중언어학회.
김병원(1988).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원리. 이중언어학 4. 이중언어학회.
김병원(1988).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원리. 이중언어학 4. 이중언어학회.
김병제(1984). 조선 어학사. 과학백과사전 출판사.
김빅토리아(2004). 러시아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 경희대 교육대학원 한국어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김상수. 송향근(2006). 한국어 교육의 오류분석 연구 동향 분석. 이중언어학 31. 이중언어학회.
김석기(2005). 중국의 한국어 능력 평가. 한국어교육론 1. 한국문화사.
김선일(2007). 외교관 대상의 직업 목적 한국어 읽기 교육 방안 연구 : 영어권 외교관을 중심으로.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선정․강현자(2006). 한국어 관용어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및 단원 제시. 이중언어학 32. 이중언어학회
김수미(2004).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연결어미 교육 연구. 충남대 석사논문.
김수정(1999).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청자 대우 표현. 先淸語文. 서울대 사범대학 국어교육학과.
김수정(2003). 한국어 문법 교육을 위한 연결 어미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김수정(2005). 일본의 한국어 교재의 실태와 개발 방향. 한국어교육 16-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수진(2007). 학습자 사전에서의 시각자료 제시에 대하여. 한국어교육.
김수현(2005). 외국인을 위한 문화 교육으로서의 한국어 교재 분석과 교재 구성의 방향. 한국어교육 16-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수현(2005). 외국인을 위한 문화 교육으로서의 한국어 교재 분석과 교재 구성의 방향. 한국어교육 16-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수희(2005). 중국인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 확장 방안 연구. 경희대 교육대학원 한국어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김숙자(1996). 한일어의 바람직한 교재를 위하여. 日本學報.
김순녀(2000). 중국 조선어와 한국어의 어휘 비교 연구. 서울대 대학원 국어교육과 석사학위논문.
김순우(2006). 의사소통 접근법을 중심으로 한 한국어 교재의 분석 : 단원의 구성 중심으로. 선문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아영(2000). 관찰연구법. 교육과학사.
김양원(1994). 한국어 말하기 능력 평가 방안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논문.
김영곤(2001). 캐나다의 TESL 교사 양성 과정.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주최 ‘한국어 교사론’(외국의 국제 자국어 교사 양성 실태와 한국어 교사 양성 제도 개선 방향) 학회 자료집.
김영규(2005). 외국어 텍스트 수정 연구가 한국어 읽기 및 듣기 교재개발에 시사하는 점. 이중언어학 29. 이중언어학회.
김영규(2006). 한국어교육학 연구방법론의 과제와 전망. 한국어교육 17-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영기(1988). 미국에서의 한국어 교육 현황 및 그의 적용. 제3회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언어학자 대회 발표문. 한글학회.
김영기(1991). 외국사람에 대한 한국어 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한글학회 주최 <제2회 국제 한국어 교육자 대회 발표문>. 한국학술진흥재단.
김영기(199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이론적 배경. 효과적 교수법과 교재 개발. 교육한글 4. 한글학회.
김영기(199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이론적 배경. 효과적 교수법과 교재 개발. 교육한글 4. 한글학회.
김영만(1994). 오류분석을 통한 효율적인 한국어 작문 지도 방안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영만(1999).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 개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영만(1999).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 개선 방향. 한국어문학연구.
김영만(2001). 고급 수준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단원 구성 방안. 한국어교육 12-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영만(2005). 한국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 도서출판 역락.
김영선(2005). 한국어 교재의 기술 방식과 문제점. 동남어문논집.
김영선(2006). 한국어 교육 교재의 평가 기준 연구. 한국어교육 17-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영선(2006). 한국어 교육 발음 교재의 구성 방식과 내용. 우리말연구.
김영순․보덴명래(1998). 독일어권 한국인 2세를 위한 교재개발의 이론과 실제. 한국어교육 9-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영아(1995)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능력평가 방안연구. 고려대학교 박사논문
김영아(1996).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평가. 이중언어학 13. 이중언어학회.
김영아(2000). 호주에서의 한국어 교재 개발의 문제점 및 해결 방안. 국어교육연구.
김영자(2002).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속담 교육 연구. 경희대 교육대학원 한국어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김왕규 외 6명(2002). 한국어능력시험의 평가기준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연구원.
김원경(1995). 언어 교육 이론의 통합적 적용. ’95 추계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워크숍 발표문.
김유미(2000). 학습자 말뭉치를 이용한 한국어 학습자 오류 분석 연구. 연세대 석사학위논문.
김유정(1999). 한국어 능력 평가 연구숙달도 평가를 중심으로. 고려대 박사학위논문.
김유정(2005). 한국의 한국어 능력 평가. 한국어교육론 1. 한국문화사.
김유정(2006). 한국어능력시험의 난이도 분석 연구. 한국어교육 17-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유정․방성원․이미혜․조현선․최은규(1998). 한국어 능력 평가 방안 연구 성취도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어교육 9-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은주(2001). 한국어교육의 학문적 위상 정립과 학문으로서의 미래 조망.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5‧26. 연세대 한국어학당.
김은주(2001). 한국어교육의 학문적 위상 정립과 학문으로서의 미래 조망.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5·26. 연세대 한국어학당.
김인규(2003). 학문 목적을 위한 한국어 요구 분석 및 교수요목 개발. 한국어교육 14-3.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인선(1992). 시간의 연결어미와 시제어미.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김인화(1995). 현대 한국어의 음성상징어 연구. 이화여대 박사논문
김일성(1964). 조선어를 발전시키기 위한 몇가지 문제. 문화어학습 68. 2호.
김일성(1966). 조선어의 민족적 특성을 옳게 살려 나갈데 대하여. 문화어학습 69. 3호.
김재욱(2002). 재외동포 아동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회화 교재의 구성원리 및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어교육 13-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재욱(2007). 한국어 수업에서의 교사발화 연구. 이중언어학 34. 이중언어학회.
김정남(2005). 한국어교육에서 한자교육의 위상과 방향. 어문연구 제33권 제3호.
김정남(2006). 한국어 학습자의 오류 유형에 대한 연구. 이중언어학 32. 이중언어학회.
김정남(2007). 동일 어미 반복 구문의 통사와 의미 -한국어 문법. 어휘 연계 교육에 대한 제안-
김정민(2007). 일본 대학 한국어 초급 교재의 문법 항목 분석과 교재 개발 방안 : 조사와 어미 분석을 중심으로. 한양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정숙‧정구향‧최은규‧김유정‧곽순영. 한국어능력시험의 등급 부여 방식 및 평가문항 유형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김정숙‧최은규‧김유정(2005). 한국어능력시험의 개선 방안 연구 (Ⅰ). 한국어교육 16-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정숙‧최은규‧김유정(2005). 한국어능력시험의 개선 방안 연구 (Ⅱ). 한국어교육 16-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정숙(1988). 일본인의 한국어 학습시에 나타나는 음운론적 오류 분석. 한국어학 신연구. 한신문화사.
김정숙(1989). 일본인의 한국어 학습시 나타나는 오류 분석. 어문론집 28. 고려대 국어국문학연구회.
김정숙(199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의 반성과 새로운 방법론 모색. 어문논집 31. 고려대 국어국문학 연구회.
김정숙(1996). 담화 능력 배양을 위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읽기 교육 방안. 한국말 교육 7.
김정숙(1997).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원리 및 방법. 한국어학 6. 한국어학회.
김정숙(1997). 한국어 숙달도 배양을 위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 교육한글 10. 한글학회.
김정숙(2003). 통합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수요목 설계 방안 연구. 한국어교육 14-3.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정숙(2004). 한국어 읽기․쓰기 교재 개발 방안 연구. 한국어교육 15-3.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정숙(2004). 한국어 읽기․쓰기 교재 개발 방안 연구. 한국어교육 15-3.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정숙(2005). 교육과정의 과제와 발전방향. 한국어교육론 1. 한국문화사.
김정숙(2006). 고급 단계 한국어 읽기 자료 개발 방안. 이중언어학 32. 이중언어학회.
김정숙․남기춘(2002).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사용 오류 분석과 교육 방법. 한국어교육 13-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정숙․원진숙(199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의 반성과 새로운 연구방법의 모색. 어문논집 31. 고대국어국문학 연구회.
김정숙․원진숙(1993). 한국어 말하기 능력 평가기준 설정을 위한 연구. 이중언어학 10. 이중언어학회.
김정은(2000).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초급 교재 분석과 교재 개발. 한말연구학회.
김정은(2001). 일본의 외국어로서의 일본어 교사 인증 제도. 이중언어학 18. 이중언어학회.
김정은(2001). 일본의 외국어로서의 일본어 교사 인증 제도. 이중언어학 18. 이중언어학회.
김정은(2001). 일본의 외국어로서의 일본어 교사 인증 제도. 이중언어학 18. 이중언어학회.
김정은(2003). 한국어교육에서의 중간언어와 오류 분석. 한국어교육 14-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정은(2004). 일본어권 학습자의 조사 오용 양상. 한국어교육 15-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정은(2004). 한국어 교육에서의 언어 문화 교육. 이중언어학 26. 이중언어학회.
김정은(2005). 문화 교육의 연구와 변천사. 한국어교육론 2. 한국문화사.
김정은(2006). 이주노동자의 한국어교육 현황과 교육자료 분석. 이중언어학 30. 이중언어학회.
김정은⋅이소영(2004). 중간언어 관점에서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오류 연구. 이중언어학 24. 이중언어학회.
김제열(2001). 한국어 교재의 문법 기술 방법 연구. 말.
김제열(2004). 한국어 교사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수 요목.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9. 연세대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김종대(1988). 도이칠란트에서의 한국어 교육과 연구 현황. 제3회 국제한국어교육학회언어학자 대회 발표문. 한글학회.
김종운(1995). 컴퓨터보조 한국어 보충교재의 개발. 이중언어학회 7차 국제대회 발표논문.
김종철(2005). 문화 교육의 과제와 발전 방향. 한국어교육론 2. 한국문화사.
김중섭 외(2000). 한국어 교사 교육. 연수 프로그램 교과과정 및 교수요목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사업 보고서. 한국어 세계화 2000년도 사업 최종보고서. 문화관광부 한국어 세계화재단.
김중섭 외(2001). 러시아 및 중국지역 한국어교육 실태조사 및 지원방안. 교육인적자원부. 교육정책과제.
김중섭 외(2001). 한국어 교사 교육. 연수 프로그램 교과과정 및 교수요목 개발. 한국어 세계화 2001년도 사업 최종 보고서. 문화관광부 한국어세계화재단.
김중섭(1995). 한국어 의태어 어원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중섭(1996). 천체자연어계 의태어 어원연구방법. 어문논총 9. 경희대 대학원 국문학과.
김중섭(1996). 한국어 의태어 어원연구 방법론. 경희대 대학원 고황논문집 17.
김중섭(1997). “외국인을 위한 한자교육연구”. 어문연구 94호.
김중섭(1997).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한자교육연구. 어문연구 25-3. 한국어문교육연구회.
김중섭(1997). 유음중복 의태어의 의미구조 연구. 미원 조영식박사 희수기념논문집.
김중섭(1997). 한국어 신체관련 의태어 형성연구. 경희 어문학 17.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김중섭(1998). 북한의 한국어교육연구. 한국어교육 9-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중섭(1998). 한국어능력 평가검사의 개발 실태 및 분석. 이중언어학 15. 이중언어학회.
김중섭(1999). 북한의 한국어 교재 연구. 先淸語文. 서울대 사범대학 국어교육학과.
김중섭(1999). 북한의 한국어교재 연구. 남천 박갑수선생 정년퇴임 기념 논문집. 도서출판 인경.
김중섭(1999). 한국어 교육의 새로운 방법.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방법. 제1회 한국어교육 국제학술회의.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김중섭(1999). 한국어 능력평가 검사의 개발실태 및 분석. 이중언어학 15. 이중언어학회.
김중섭(1999). 한국어교육의 새로운 방법. 제1회 한국어교육 국제학술회의.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방법.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김중섭(2000). 남북한 한국어 교육 비교 연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김중섭(2000).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의성어․의태어 교육방법 연구. 제10차 국제학술대회.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중섭(2001). 기록과 관찰을 통한 한국어 교수법 개선 방안 연구. 한국어 교육 12-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중섭(2001). 일본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의성어. 의태어 교육방법. 2001년 한국어 교육 심포지엄. 일본한국어교육연구회.
김중섭(2001). 한국어 읽기 교육의 이론과 실제. 중국청도대학․문화관광부 국어정책과.
김중섭(2001).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의성어․의태어 교육 방법 연구. 한국문화연구 4. 경희대학교 민속학 연구소.
김중섭(2002).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읽기 교육 방법 연구. 한국어 교육 13-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중섭(2004). 한국어 교육학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한국어교육 15-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중섭(2004). 한국어 읽기 교육의 이해. 한국 문화사.
김중섭(2005). 외국인을 위한 한국 문화 교육 연구의 현황 및 과제. 이중언어학 27. 이중언어학회.
김중섭⋅이정희(2005).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오류 분류에 관한 연구. 이중언어학 29. 이중언어학회.
김중섭·이관식(1999).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에 관한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한국어교육. 10-1.
김중섭·조현용(1996). “북한의 언어 정책과 한국어 교육 연구”. 이중언어학회 13호.
김중섭․이관식(1999).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어교육 10-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중섭․조현용․이정희․엄넬리․이정자(2002). 러시아 및 중국 지역 한국어교육 실태 조사 및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김지숙(2007). 베트남어권학습자의 오류연구. 한국어교육 18-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지형(2003).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교육용 기본한자 선정. 어문연구 118. 한국어문교육연구회.
김지형(2003).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자 교수법. 국제어문 27. 국제어문학회.
김진우(1991). 한국말과 조선말분화의 배경. 실제 및 요인. 말 15.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김진호(2007). 한국어 세계화와 한국어 교육
김창구(2003). 한일 한자 어휘의 대조 분석과 교육적 접근. 경희대 교육대학원 한국어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김청자(1997). 한국어 교육 현황과 과제. 교육한글 10. 한글학회.
김청자(1997). 한국어 교육 현황과 과제. 교육한글 10. 한글학회.
김춘화(2007). 한국어 교재의 어휘빈도에 관한 연구. 부산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태연(2007). 담화 능력 배양을 위한 한국어 듣기 텍스트 구성 방안 연구 : 한국어 교재 듣기 지문 재구성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하수 외(1996). ‘한국어 능력 검정제도 실시를 위한 기본 연구’에 관한 최종 보고서. 교육부 보고서.
김하수 외(1997). 한국어 능력 평가 제도의 기본 모형 개발에 관한 최종 연구 보고서. 교육부 보고서.
김하수(2000). 한국어 능력 시험의 등급체계. 평가영역. 평가유형 및 실시현황.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제14회 발표집.
김향미(2003). 한국어교육 읽기 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중급단계를 중심으로. 경희대 교육대학원 한국어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김현경(2003). 한자문화권 학습자를 위한 한자 어휘 지도 방안 - 한․중․일 한자어 대조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외대 석사논문.
김현권․허용(1999). 원격교육을 통한 한국어와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에 대한 연구. 한국어교육 10-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현권․허용(2000). 전자사전 개념을 이용한 한국어 사전 편찬. 언어학 26. 한국언어학회.
김현정(2002). 속담을 통한 한국어 문화 교육 연구. 서울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형근(200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읽기와 쓰기 교수 학습에 관한 통합적 연구. 국민대 교육대학원.
김혜진(2005). 일본의 한국어 능력 평가. 한국어교육론 1. 한국문화사.
김호정(2006). 한국어 교사에게 필요한 교육 문법 지식 내용 연구. 이중언어학 32. 이중언어학회.
김희숙(2004). Which Strategy is Preferable for the Export of Korean Culture. 이중언어학 26. 이중언어학회.
나정선(2002). 영화를 활용한 한국어문화교육방안. 단국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남경희(2002). 문화교육을 통한 효율적인 한국어교육 방안. 배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남기심(2001).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의 회고와 전망.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5·26. 연세대 한국어학당.
남명호 외 10명(2000). 한국어능력시험 등급기준 조정 및 문제은행 구축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0년도 정책연구과제. 연구보고 CRO 2000-2
남명호 외 11명(1999). 한국어능력시험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정책연구과제. 고유번호 99-7-13-2
남빅토르(2001). 번역 과제 수행 중심 교수법 연구 : 러시아어권 한국어 학습자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남성우 · 정재영(1990) 북한의 언어생활. 고려원.
남수경․채숙희(2004). 한국어 학습자의 연결어미 사용 연구. 한국어교육 15-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노대규(1990).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방법에 대한 연구. 이중언어학 7. 이중언어학회.
노마 히데키(2001). 일본어권 한국어 교사의 기본조건. 서울대 국어 교육 연구소 주최 ‘한국어 교사론’(외국의 국제 자국어 교사 양성 실태와 한국어 교사 양성 제도 개선 방향) 학회 자료집.
노명완(1994). 읽기 관련 요인과 효율적인 읽기 지도. 이중언어학 11. 이중언어학회.
노명완(1998). 한국어 교육자료의 체재 분석. 이중언어학 15. 이중언어학회.
도원숙(2007). 초기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 교재 개발 연구. 경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라혜민·우인혜(2001). 중급 교재 내의 문화교육 방안
라혜민․우인혜(1999). 한국어 교재의 효율적 개발 방향. 한국어교육 10-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레브 콘체비치(1994). 러시아에서의 정통적인 한국학의 발전사. 현황과 문제점한국어학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11. 이중언어학회.
류재택(2002). 재외동포용 한국어 교재 개선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연구
리득춘(1991). 중국인에 대한 한국어교육. 말 15.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리득춘(1997). 외국인을 위한 조선어/한국어 교재의 토사용 비교. 한국어교육.
리득춘(1997).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급속한 부상과 한국어의 위치. 교육한글 10. 한글학회
리득춘(1999).《한청문감(漢淸文鑑)》 범례 고찰 .한글Vol.- No.245
리득춘(2004). 중국 한국학의 흥기와 전망. 한국어교육 15-3. 국제한국어교육학회
리병무(1992) 조선문화어강독2(유학생용). 김일성 종합대학 출판사.
명월봉(1991). 이중언어와 재소한인의 모국어 교육 문제. 이중언어학8. 이중언어학회
명월봉(1991). 재쏘 고려인 교육의 력사적 과정. 교육한글4. 한글학회
묘춘매(1997). 중국에서의 조선어 교육. 이중언어학14-1. 이중언어학회
문금현(2001). 구어 중심의 한국어 교재 편찬 방안에 대하여. 국어교육.
문금현(2003). 한국어 어휘 교육을 위한 한자어 학습 방안. 이중언어학 23. 이중언어학회.
문금현(2003). 한국어 어휘 교육을 위한 한자어 학습 방안. 이중언어학 제23호
문은주(2004).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화 체험 수업 방안 연구. 한양대 석사논문.
문진형(2004). 협동학습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방안 연구. 경희대 교육대학원 한국어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문희영(2000). 스키마 활성화를 통한 한국어 일기 교육 방안. 이화여대 석사논문.
민현식 외(2002). 한국어교육 전공 발전 방안에 대한 연구. 先淸語文 30. 서울대 사범대학 국어교육학과.
민현식(1998). 사할린 지역의 한국어 환경에 대하여. 한국어교육 9-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민현식(1999). 사할린 동포 한국어 의식 조사 연구사할린 한국어 교원 연수 보고서(2). 한국어교육 10-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민현식(2000). 제2 언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의 현황과 과제. 새국어생활 10-2. 국립국어연구원.
민현식(2000). 제2 언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의 현황과 과제. 새국어생활 10-2. 국립국어연구원.
민현식(2000). 한국어 교재의 실태 및 대안. 국어교육연구.
민현식(2003).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화교육(2003)년 겨울학술대회발표논문집. 한국외국어교육학회.
민현식(2005). 교사 교육의 과제와 발전 방향. 한국어교육론1. 한국문화사
민현식(2005). 한국어 교사론. 한국어교육 16-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민현식(2005). 한국어 교사론. 한국어교육 16-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민현식(2005). 한국어교육학 개관. 한국어교육론 1. 한국문화사.
민현식(2005). 한국어교육학 개관. 한국어교육론 1. 한국문화사.
박갑수(1990).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기관에 대한 연구. 이중언어학 7. 이중언어학회.
박갑수(1997). 한국어 교육 개론. 서울대 사범대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 지도자 과정
박갑수(1998).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 연구 1. 서울대학교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 지도자 과정.
박갑수(1998).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평가. 이중언어학 15. 이중언어학회.
박갑수(1998).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과 문화적 배경. 선청어문 26. 서울사대 국어교육과.
박갑수(2001).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과제. 어문연구 29-2. 한국어문교육연구회.
박갑수(2007). 재외동포 한국어교육의 오늘과 내일. 이중언어학 33. 이중언어학회.
박갑수(2007). 재외동포한국어 교육 현황
박건숙(2006). 한국어 교재의 문법 교육 연구. 한국어교육 17-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박균철(2005). 한일 한자에 대하여-국자를 중심으로. 한일일본어문학회. 일본어문학 제24집.
박기영(2007). 일본인 학습자용 교재에 대한 고찰 - 1890년~1945년에 간행된 교재를 중심으로 -. 이중언어학 34. 이중언어학회.
박나리 조선경(2003). 학문적 목적의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 개발
박노자(2000). 한국 문화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한국어교육 11-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박미경(2000). 한국어 교육에서의 외국어 교수법 활용 방안. 지역학논집 4권. 35-70.
박병수․이석만(1998).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원 양성 프로그램 개발 연구. 이중언어학 15. 이중언어학회.
박선희(2004). 한국어와 한국문화의 통합 교육 연구. 경희대 교육대학원 한국어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박성민(199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을 위한 접속어미 “-아서”와 “-니까”의 실험적 연구. 이화여대 대학원 한국학과 석사학위논문.
박영순(1985). 해외 교포 자녀를 위한 모국어 교육 방안. 이중언어학 5. 이중언어학회
박영순(1987). 재중공 한인들의 문학활동과 한국어 이질화 양상. 이중언어학 3. 이중언어학회
박영순(1989). 제 2언어 교육으로서의 문화교육. 이중언어학 5. 이중언어학회.
박영순(1990). 이중언어 이론과 중국에서의 한국어 문제. 이중언어학 6. 이중언어학회
박영순(1991). 소련에서의 한국어학. 한국어 교육. 그리고 언어이질성에 대하여. 이중언어학 8. 이중언어학회
박영순(1997).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 한국어학 6. 한국어학회.
박영순(1997). 이중/다중언어교육론세계의 언어교육과 한국의 언어정책과제. 한신문화사.
박영순(1997). 이중/다중언어교육론세계의 언어교육과 한국의 언어정책과제. 한신문화사.
박영순(2002).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문화론. 한국문화사.
박영순(2003). 한국어 교재의 개발 현황과 발전 방향. 한국어교육 14-3. 국제한국어교육학회.
박영순(2003). 한국어교육으로서의 문화 교육에 대하여. 이중언어학 23. 이중언어학회.
박영순(2005). 이중언어교육의 본질과 한국어교육의 과제. 이중언어학 29. 이중언어학회.
박영순(2005). 이중언어교육의 최근 동향과 재외동포의 한국어교육 문제. 이중언어학 28. 이중언어학회.
박은미(2004). 구소련 지역 재외동포를 위한 고급 국어 교재 개발 방안. 부산외국어대 교육대학원
박은미(2007). 구소련 지역 재외동포를 위한 고급 한국어교재 개발 방안. 부산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은미(2007). 구소련 지역 재외동포를 위한 고급 한국어교재 개발 방안. 부산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진경(2004). 속담을 이용한 한국어 문화 교육에 대한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박태형(1995). 중국 조선족 학교에서의 이중언어 교육. 이중언어학 12. 이중언어학회.
박혜경(2004). 한국어 기초단계 교재 모형 개발 연구. 高凰論集.
방성원(2000). 통합 교수를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연구. 한국어교육 11-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방성원(2003). 고급 교재의 문법 내용 구성 방안. 한국어교육 14-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방혜숙(2007). 영어권 학습자들의 한자 학습에 대한 요구와 전략 분석
방혜숙(2007).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인사표현 양상과 그 효과적 교수 방안 연구. 한국어교육 18-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배현숙(2002). 한국어교육에서 문화교육 현황 및 문제점. 이중언어학 21. 이중언어학회.
배현숙(2006).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의성어 의태어 교수법 연구. 이중언어학 제31호
배현숙(2006).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의성어·의태어 교수법 연구. 이중언어학회
배회임(1990). 중국에서의 한국어 학습을 위한 교재 연구. 이중언어학 7. 이중언어학회.
배희임․강영(2001). 외국인의 학습 과정을 고려한 한국어 문법 학습사전 집필에 대한 연구. 이중언어학 18. 이중언어학회.
백봉자(1990).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사 훈련과 방법. 이중언어학 7. 이중언어학회.
백봉자(199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사 훈련과 방법. 이중언어학 8. 이중언어학회.
백봉자(1991).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작업. 교육한글 4. 한글학회.
백봉자(1995). 연세대학교 한국어교사 연수소의 과정을 통해 본 이상적인 한국어 교사 연수.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제6차 학술대회 발표문.
백봉자(1999). 서양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연구. 한국어교육 10-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백봉자(200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수법의 현재
백소영(2001). 러시아 학습자의 한국어 격조사 사용의 오류분석과 지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백승주(2003). 언어학습 교재의 시각디자인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한국어교육 14-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백응진(1988). 캐나다에서의 한국어 교육 현황. 제3회 국제한국어교육학회언어학자 대회 발표문. 한글학회.
백응진(1991). 캐나다 대학에서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 교육한글 4. 한글학회.
백응진(1991).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작업. 교육한글.
변신원(2001). 문학 속에 드러난 민족 문화의 자취와 외국인에 대한 문화 교육.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5·26.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변영희(2007).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화 교육 내용 연구 : 초급 단계 학습자를 중심으로. 상명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사까와 야스히로(2002). 제2외국어 과목으로서의 한국어 교재 구성 방안 연구: 일본 대학 과정을 중심으로. 경희대 교육대학원 한국어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사노 데루아키(2004). 일본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한자 교육 방안 연구. 선문대 석사논문.
서 단(2004).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의성․의태어 교육 방안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상규 외(1998). 한국어 세계화 추진을 위한 기반구축사업 1차년도 결과보고서.
서상규․김하수(1997). ‘한국어 능력 평가 시험’의 기본 모형 수립을 위한 기초적 연구. 교육한글 10. 한글학회
서영섭(1990). 중국에서의 조선어 사용현황과 거기에서 제기되는 문제. 이중언어학 7. 이중언어학회.
서윤남(2003). 한국어능력시험 쓰기 평가 개선방안 연구4회. 5회. 6회 문제 분석을 중심으로. 경희대 교육대학원 한국어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서종학(2001).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의 평가 기준에 대한 試考. 울산어문논집.
서종학. 이미향(2007). 한국어 교재론. 태학사.
서혁(1992). 한국어 학습자의 오류와 교재구성의 방향. 선청어문 20. 서울사대 국어교육과.
서혁(1992). 한국어 학습자의 오류와 교재구성의 방향. 선청어문 20. 서울사대 국어교육과.
서혁(2004). 호주의 한국어 교육정책의 현황과 문제점뉴사우스웨일스 주를 중심으로. 한국어교육 15-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서희정(2001). 한국어 거절 화행 교육 연구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경희대 교육대학원 한국어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서희정(2004). 학습자 중심 워크북 개발 방안 연구. 한국어교육 15-3.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서희정(2005). 한국어능력시험 쓰기 영역 문항 개발에 관한 연구. -주관식 문항 유형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고황논집 제 37호
석주연(2001). 영국의 국제 영어 교사 양성 제도의 실태 및 시사점.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주최 ‘한국어 교사론’(외국의 국제 자국어 교사 양성 실태와 한국어 교사 양성 제도 개선 방향) 학회 자료집.
석주연․안경화(2003). 한국어 학습자 표현 오류분석의 몇 가지 문제. 한국어교육 14-3.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성광수․김영순(1999). 다중문화교육을 위한 동작분석방안. 이중언어학 16. 이중언어학회.
성기철(2001). 한국어 교육과 문화 교육. 한국어교육 12-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성진선(2002).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연구: 연결어미를 중심으로. 창원대 대학원.
소서민부(1996). 日本の大學における韓國語の敎育と敎材. 日本學報.
손경숙(2000).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전략 훈련과 학습결과 분석 연구. 연세대 석사학위논문.
손성옥(2005). 미국의 한국어 문화 교육. 한국어교육론 2. 한국문화사.
손연자(1984). 비한문 문화권의 외국인에 대한 한자교육 방법론 소고. 말 9호. 연세대 한국어학당.
손춘섭 외 4명(2002).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과 현실적인 문제. 언어학.
손호민(1990). 미국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과제. 이중언어학 6. 이중언어학회.
손호민(1997). 미국에서의 한국어 연구와 한국어 교육. 교육한글 10. 한글학회.
손호민(2005). 세계 한국어교육의 과제와 발전 방향. 한국어교육론 1. 한국문화사.
손호민(2005). 세계 한국어교육의 과제와 발전 방향. 한국어교육론 1. 한국문화사.
송금숙(2003). 한국어 읽기 교육의 텍스트 유형 연구. 고려대 석사논물.
송기중(1995). 미국에서의 한국어 교육. 말글생활 3.
송춘애(2006).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오류 분석 및 교육 방법 연구. 부산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송향근(1999). 한국어와 중국내 알타이계 언어의 모음 체계 비교 연구. 이중언어학회 16-1. 이중언어학회
스가이 요시노리(2006). “한국어능력시험”과 일본 “<한글>능력검정시험” 초급 문제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어교육 17-3.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스킬런드(1988). 런던 대학에서의 한국어 교육. 영문. 제3회 국제한국어교육학회언어학자 대회 발표문. 한글학회.
시마 아츠코(1993). 재일한국인 교육의 현황과 조사분석. 이화여대 대학원 한국학과 석사 논문.
신용진(1996). 영어교육공학 4. 한국문화사.
신용진(1997). 영어교육공학 2. 한국문화사.
신용진(1998). 영어교육공학 5. 한국문화사.
신은경․송향근(2005). 유형별 어휘를 중심으로 한 어휘 교재 개발 방안 연구. 이중언어학 29. 이중언어학회.
신현숙(1998). 한국어 어휘교육과 의미 사전. 한국어교육 제9권 2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신현숙(2005). 정책의 과제와 발전 방향. 한국어교육론1. 한국문화사
신현숙(2005). 정책의 과제와 발전 방향. 한국어교육론1. 한국문화사
신현숙(2006).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학습 활동의 현황과 변천 과정 연구. 한국어교육 17-3.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신효원(2007). 한국어 교실 관찰 도구 K-COLT의 개발 및 활용 방안. 한국어교육 18-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심민아(1998).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문화 교육 방안.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심민희(2007).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 구성 방안.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심상민(2001).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과정에 관한 연구(2001)년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심재기․문금현(2000).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 연구. 이중언어학 17. 이중언어학회.
안경화(2001). 속담을 통한 한국 문화의 교육 방안. 한국어교육 12-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안경화․김정화․최은규(2000). 학습자 중심의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방향에 대하여. 한국어교육 11-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안미영(2006). 문학 텍스트를 활용한 한국 문화와 한국어 교수 : 이청준의 단편 소설 <눈길>을 중심으로. 선문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안유미(2003). 초등학교에서의 한국어교육외국인어린이들을 위한 한국어·문화 통합 교육을 중심으로. 연세대 석사논문.
안윤정(2002). 총체적 한국어 교육을 위한 현장학습 방안.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안은희(2006). 다언어 학습시스템을 통한 웹기반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한국어교육 17-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안정균(1992). 조선말회화 2. 김일성 종합대학 출판사.
안주호(2002). 한국어 교육에서의 [원인] 연결어미에 대하여. 한국어교육 13-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안주호(2006). 한국어 교육에서 어미 제시 순어에 대한 연구. 위덕대학교.
안주호(2006). 현대 국어 연결어미 [-니까]의 문법적 특성과 형성과정. 위덕대학교.
野間秀樹(2002). 일본어권 한국어 교사의 기본조건. 국어교육연구 9.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양수향(2005). 연어 오류 분석을 통한 어휘 교육 연구 : 러시아어권 학습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엄녀(2007). 평가 기준을 통한 중국 대학교의 한국어 교재 분석. 한국어교육 18-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여경선(2001).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화 교육 연구체험을 통한 문화 교육을 중심으로. 경희대 교육대학원 한국어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연변과학기술대학 한국학연구소 엮음(2000).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 태학사.
연재훈(1997). 영국에서의 한국어 교육과 연구 현황. 교육한글 10. 한글학회.
연재훈(2000). 영어권 한국어 초급 교재 개발과 관련한 문제들. 국어교육연구.
연재훈(2001). 유럽지역 대학에서의 한국어 교육 현황. 이중언어학 18. 이중언어학회.
염광호(1990). 연변의 이중언어에 대한 분석. 이중언어학 7. 이중언어학회.
오고시 나오키(1994). 일본에 있어서의 KOREAN LANGUAGE 교육의 실태 조사. 한국말교육 5.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오미정(2004). 한국어 교육용 어휘 교재 개발 연구. 한국어교육 15-3.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오세인(2004). 시를 활용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 한국어교육 15-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오수진(2005). 비한자권 한국어 학습자의 한자어 교육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한국어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
오현미(2002). 한일양국의 동형한자어 의미차에 대한 고찰. 인하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왕혜숙(1995). 영어화자의 한국어 작문에 나타난 어휘상 오류분석. 이중언어학 12. 이중언어학회.
우인혜(1996). 교재 분석을 통한 쓰기 교육법 연구. 한국어문교육 6. 고려대 사범대학 국어교육학회.
우인혜(2000). 한국어 인터넷 초급 교재 비교 분석. 새국어교육.
우인혜(2004). 외국인을 위한 한국 문화 항목 선정. 이중언어학 24. 이중언어학회.
우인혜(2007). 국외 입양인을 위한 한국어. 한국문화교육 연구. 이중언어학 35. 이중언어학회.
우형식(2003). 한국어 교재의 단원 구성요소. 우리말연구.
우혜령(2000). 한국어능력시험 문항에 대한 연구제2회 한국어능력시험 1급 읽기 영역 문항 분석을 중심으로. 이화여대 대학원 한국학과 석사학위논문.
원진숙(1992). 한국어 말하기 능력 평가 기준 설정을 위한 연구. 한국어문교육 6. 고려대 사범대학 국어교육학회.
원진숙(1999).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을 위한 교재 개발 방향. 국어교육 99.
원진숙(2000). 숙달도 배양을 위한 한국어 교재의 단원 구성 체제 개선 방안. 이중언어학 17. 이중언어학회.
위태연(1982). 한국어 교육과 교재 개발의 방향. 연구논총 8. 서울대 재외국민 교육원.
유기환(1986).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론: 듣기 교재를 중심으로. 연세대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전공 석사학위논문.
유석훈(2005). 국내 한국어교육의 과제와 발전 방향. 한국어교육론1. 한국문화사
유엔마주르(1991). 러시아와 소련에서의 한국어학과 한국어교육. 이중언어학 8-1. 이중언어학회
유패림(1997). 중국에서의 한국어학 연구의 이모저모. 교육한글 10. 한글학회
윤경숙(2007).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쓰기 교재 개발 연구. 배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경희(2003). 읽기 초인지 전략에 관한 연구한국어EFL 화자를 중심으로. 고려대 석사논문.
윤상철(2004). 현장학습을 통한 한국어 문화 교육 방법 연구. 경희대 교육대학원 한국어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윤여탁(2000). 한국어교육에서 문화의 위상과 역할. 국어교육연구 7.
윤여탁(2002). 한국어 문화 교수 학습론. 21세기 한국어교육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윤여탁(2003). 문학교육과 한국어교육. 한국어교육 14-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윤희원(1996). 제1언어로서의 한국어와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교육. 한국어교육 7.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이 왈렌찐(1991). 재소한인들의 문학활동과 한국어 교육. 이중언어학 8. 이중언어학회.
이경연(2007). 문화 교육 겸용 초급 한국어 교재 개발 연구 : 여성 결혼 이민자를 대상으로.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경연(2007). 문화 교육 겸용 초급 한국어 교재 개발 연구 : 여성 결혼 이민자를 대상으로.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관규(1995). 한국어 교재의 구성 원리와 내용. 이중언어학 12. 이중언어학회.
이관식(2000). 제 3회. 제 4회 한국어 능력시험 어휘 평가 연구. 人文學硏究 Vol.4
이관식(2005). 북한의 한국어교육 회화교재 분석 연구. 한국어교육 16-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이관식(2005). 북한의 한국어교육 회화교재 분석 연구. 한국어교육 16-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이광숙(2001). 독일에서의 국제 독어 교사 양성 실태.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주최 ‘한국어 교사론’(외국의 국제 자국어 교사 양성 실태와 한국어 교사 양성 제도 개선 방향) 학회 자료집.
이규희(1992). 가정적 연결 어미 분류.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이규희(1997). 한국어 교육의 개선방향. 교육한글 10. 한글학회.
이근용(2006).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난 오류 분석 (국민대 개교 60주년 기념). 국민대어문학연구소.
이동배(2007). 호주 대학의 한국어 교재 개선 방향: 초급단계의 문화내용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 18-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이동배(2007). 호주 대학의 한국어 교재 개선 방향: 초급단계의 문화내용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 18-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이동연(2007). 대학 수학 목적의 한국어 읽기 교재 개발 연구 : 상경계열 외국인 유학생을 중심으로. 부산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동연(2007). 대학 수학 목적의 한국어 읽기 교재 개발 연구 : 상경계열 외국인 유학생을 중심으로. 부산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동재(1996). Korean Language EducationPast and Future. 파리국제학술회의 논문집.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이동재(1996). Korean Language EducationPast and Future. 한국말교육 7.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이동재(2001). 미국에서의 국제 영어 교사 양성 실태와 바람직한 교사 자질.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주최 ‘한국어 교사론’(외국의 국제 자국어 교사 양성 실태와 한국어 교사 양성 제도 개선 방향) 학회 자료집.
이미혜(2003). 한국어와 한국문화의 통합교육.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3차 해외 한국언어문화 워크숍 발표문.
이민경(2007). 이주 여성을 위한 한국어 일일학습 교재 개발 방안 연구. 부산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병규(2005). 한국어 교재 분석 연구. 국립국어원.
이병혁 편(1986). 언어사회학서설 -이데올로기와 언어. 까치.
이상억(1983). 해외 교포 자녀를 위한 국어교육의 효율적 방안. 미국편. 이중언어학 1. 이중언어학회.
이상억(1987). 서울대UCLA 한국어. 문화 연계 교육 프로그램의 소개. 이중언어학 3. 이중언어학회.
이상억(1998). 외국인용 한국어 교재에 포함된 문법사항의 비교 평가. 한국어교육 9-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이석란(2006). 교사의 오류 수정 유형에 따른 한국어 학습자 반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석사학위논문.
이석주(2002). 한국어 문화의 내용별. 단계별 목록 작성 시고. 이중언어학 21. 이중언어학회.
이선이(2003). 문학을 활용한 한국문화 교육 방법. 한국어교육 14-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이선희(2007). 자연어 처리 기술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과 학습자 사전. 한국어교육.
이성희(1999). 설화를 통한 한국어 문화 교육 방안. 한국어교육 10-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이소영(2001). 한국어교재의 문화요소분석 및 한국어문화 통합교수방안: 웹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이소영(2003). 한국어 학습자의 표기 오류 실태 연구. 이중언어학 23. 이중언어학회.
이수경(1996). 일본어를 모어로 하는 한국어 학습자의 오용의 경향에 관하여. 한국말교육 7.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이수경(1997). 일본어를 모어로 하는 한국어 학습자의 ‘하고 있다’와 ‘해 있다’의 오류 분석. 한국말교육 8.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이수민(2002).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교사 피드백이 학생 수정에 미치는 영향 연구. 연세대 교육대학원.
이수현(2007). 총체적 언어 교육에 기초한 재외동포 아동의 한국어 문화 교육 자료 개발 연구. 상명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순애(2007).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문화 교육 내용 구성 연구. 상명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순자(1987). 문법의 분석영어화자의 한국어 습득과정에서 일어난 오류를 중심으로.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승연(2007). 한국어 학습자 오류의 판정 및 수정기준 연구 -교사. 비교사 집단간 오류판별 비교실험을 바탕으로-. 이중언어학 33. 이중언어학회.
이영근(2005). 미국의 한국어 능력 평가. 한국어교육론 1. 한국문화사.
이영식(2004). 한국어 말하기 시험의 유형 및 채점 기준 설정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어교육 15-3.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이영옥(2007). 이주 여성을 위한 생활한국어 교재 개발 연구. 배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영주(2001). 한자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연구-한자어가 국어 어휘에 미친 영향 연구. 동국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영희(2007).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한자 교육의 현황과 방향
이예까쩨리나(2004).러시아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속담 교육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이유경(2003).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화 교육에 관한 연구교재 분석과 학습자 요구 분석을 중심으로. 한양대 석사논문.
이윤실(2006). 한국어 고급 교재의 말하기 과제 분석.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윤진(2002). 한국어 학습자의 연결어미 사용 연구. 이화여대 석사논문.
이윤진(2007). 재미교포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 문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안 : 재미교포 한국어 학습자의 요구 분석을 중심으로.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윤진(2007). 한국어 교육 자료에서의 문법 항목 표시 방법 연구. 한국어교육.
이은경(2002). 한국어 교재의 경어법 사용 분석. 冠嶽語文硏究.
이은숙(2002). 외국인을 위한 고급 한국어 교재로써의 『혼불』 고찰. 한국언어문학.
이은숙(2005). 중국에서의 한국어교육 성과 제고 방안 고찰. 이중언어학 27. 이중언어학회.
이은주(2006). 결혼 이주여성을 위한 초급 한국어교재 단원 내용 구성 방안 : 의사소통 상황을 중심으로. 선문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은희(1994). 국어교육과 한국어 교육.
이은희(2004). 한국어 교재의 문법 기술 방식. 이중언어학25. 이중언어학회.
이응백(1991). 한국어 교재의 표기와 그 지도. 이중언어학.
이재경(2003). 한국어 학습자의 연결어미 오류 분석과 지도 방안. 고려대 석사논문.
이재영(2002). 일본어와 한국어의 접속 형태 비교: 제1중지형 및 제2중지형 접속과 “~고” 및 “~어서” 접속의 대조를 중심으로. 충남대 교육대학원.
이정노(1991).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 편찬에 있어서 고려할 몇 가지 문제. 교육한글 4. 한글학회.
이정노(2000). 미국에서의 한국어 교재 개발의 문제점 및 해결 방안. 국어교육연구.
이정아(1995). An analysis of Korean textbooks for foreign learners. 연세대 국제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정은(1997). A model of Video Activities in Korean Language Teaching for Elementary to Intermediate Level Learners. 한국어교육 8.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이정자(2001). 그룹활동을 통한 의사소통능력 신장 연구. 한국어교육 12-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이정화(2001). 한국어 학습자 사전 개발을 위한 몇 가지 검토. 이화어문논집.
이정희(2001). 한국어 오류 연구의 현황 및 문제점에 관한 일고찰. 어원연구 4. 韓國語源學會.
이정희(2002). 초급 단계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및 연결어미 오류.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추계 학술대회.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이정희(2002). 초급 단계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및 연결어미 오류. 어원연구 5. 한국어원학회.
이정희(2002). 한국어 오류 판정과 분류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어교육 13-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이정희(2002). 한국어 학습자의 표현 오류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이정희(2003). 초급 단계 학습자의 어휘 오류 연구. 이중언어학 21. 이중언어학회.
이정희(2003). 한국어 학습자의 오류 연구. 박이정.
이정희․김지영(2003). 최고급 단계 내용중심 한국어 읽기 수업의 실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이종석(1983). 재외 국민 교육 현지 사용 국어교재 검토 및 개발에 관한 연구. 연구논총 9. 서울대 재외국민 교육원.
이지연(1992). 초급 과정의 학습 교재연구. 말 17.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이지영(2003). 근현대 한국어 교재의 단원 구성 변천. 국어교육연구.
이지영(2005). 교재의 연구사와 변천사. 한국문화사
이지현(2002).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화 교육 내용 연구초급 단계를 중심으로. 한양대 석사논문.
이진명(1991). 프랑스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역사적 배경과 현황. 새국어생활 1-2. 국립국어연구원.
이진숙(200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서 문화를 통합시키기 위한 교육적 방안. 국어교육연구 12. 국어교육연구소.
이충우(1990). 어휘교육의 기본 과제. 국어교육 71·72. 한국국어교육연구회.
이충우(1992). 국어 교육용어휘 연구. 서울대 박사논문.
이해영 외(2005). 한국어 학습자의 중간언어 연구. 한국어교육연구 총서1. 커뮤니케이션북스.
이해영(1999). 통합성에 기초한 교재 개작의 원리와 실제듣기 능력 향상을 위한 모색. 한국어교육 10-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이해영(2000). 프로젝트 활동을 활용한 한국 문화 학습. Foreign Language Education. 7-2. 한국외국어교육학회.
이해영(2001). 학습자 중심 수업을 위한 교재 분석. 한국어교육 12-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이해영(2001). 한국어 교재의 언어 활동 영역 분석. 한국어교육 12-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이해영(2002). 한국어교육에서의 교사용 지침서 개발 연구. 한국어교육 13-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이해영․최수진․임명걸․왕청청․필신연․정란(2006). 한국학 전공자를 위한 한국 사회․문화 교재 개발 방향. 한국어교육 17-3.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이현국(2007).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학문 목적 쓰기 교재 개발 방안 : 한국어 고급 교재와 교양 국어 교재 분석을 통하여. 한양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현주(2005).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연결어미 교육 연구. 강원대 석사논문.
이효정(2001). 한국어 학습자 담화에 나타난 연결어미 연구. 한국어교육 12-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이효정(2007). 속담을 활용한 한국어 문화 교육 방안.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희경(2005). 일본의 한국어 문화 교육. 한국어교육론 2. 한국문화사.
인알렉산드르(2000). 러시아에서의 한국어 교재 현황과 개발 방향. 국어교육연구.
임정빈(1989). U. C Berkeley 한국어 프로그램의 소개와 전망. 이중언어학 5. 이중언어학회.
임지아(2005).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교육용 어휘 분석
임칠성(2002). 초급 한국어 교육용 어휘 선정 연구. 국어교육학연구14.
임흥수(1992). 재소한인의 한국어 교육문제. 슬라브연구 8. 한국외대.
임흥수(1999). 러시아와 중앙아시아 대학에서 사용되는 한국어 교재의 실태와 문제점
장경은(2001). 문화를 통한 한국어교육의 실현 방안.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5·26. 연세대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장관군(1999). 한국어 연결 어미의 표현론. 월인.
장광군(2000).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재 개발의 문제점 및 해결 방안. 국어교육연구.
장석진(1974). 외국어로서의 언어교육교재편찬에 대한 기초 연구. 언어교육 6-2. 서울대학교.
장성희(2007).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외래어 교육 방안 .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장연희(1988). 외국어교육에 있어서의 문화교육.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석사논문.
장윤정(2002). 한국어 교재에서의 문화 교육 분석. 연세대 교육대학원.
장윤정(2002). 한국어 교재에서의 문화 교육 분석. 연세대 교육대학원.
장은아․양길석(2006). 한국어능력시험의 성별에 따른 차별기능문항분석. 이중언어학 32. 이중언어학회.
장의원(1990). 중국에서의 조한 이중언어의 제약적 관계. 이중언어학 7. 이중언어학회.
장준영(2005). 단기 과정 학습자를 위한 초급 한국어 교재 단원 구성 방안 연구. 경희대 교육대학원 한국어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장호종(2007). 러시아 한국어 교육의 실태와 과제. 한중인문학연구 21
전병선(1990). 중국 연변 조선족의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역사적 고찰. 이중언어학 7. 이중언어학회
전병선(1993). 일부 나라들에서의 조선어 교육과 연구에 대한 고찰. 이중언어학 10. 이중언어학회
전수태 · 최호철(1989). 남·북한 언어비교. 녹진.
전은주(1997). 한국어 능력 평가말하기 능력 평가범주 설정을 위하여. 한국어학 6. 한국어학회.
전혜경(2006). 한국어 문화수업 교수요목 구성 방안 연구 : 단기과정을 위한 현장학습을 중심으로. 한양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 광(2001). 해외 한국학 연구의 현황과 그 지원의 효율성 연구.이중언어학19
정광(1990). 중국에 있어서의 한국어교육의 역사적 고찰. 이중언어학 6. 이중언어학회.
정광(2001). 해외 한국학 연구의 현황과 그 지원의 효율성 연구. 이중언어학 19. 이중언어학회
정광․고창수․김정숙․원진숙(1994). 한국어능력평가 방안 연구. 한국어학 1. 한국어학연구회.
정성범(1990). 중국 조선민족 조중 이중언어 교육의 문제점. 이중언어학 7. 이중언어학회.
정순매(2004). 한국어 교육을 위한 의성어·의태어 한·중 대조 연구 .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승혜(1998). 외국인을 위한 국어 한자 교육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승혜(2002). 한국에서의 외국어 교육에 대한 역사적 고찰. 이중언어학 21. 이중언어학회.
정연희․김세랑(2006). 일본대학의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조사. 한국어교육 17-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정은경(2003). 학습자 중심의 문화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외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정은홍(2007). 초등 귀국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연구.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재훈(2001). 호주에서의 국제 영어교사 양성 실태.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주최 ‘한국어 교사론’(외국의 국제 자국어 교사 양성 실태와 한국어 교사 양성 제도 개선 방향) 학회 자료집.
정호선(2003).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문화 교육내용 분석. 상명대 석사논문.
정희정·한송화(2007). 한국어 교육용 학습사전의 편찬과 활용. 한국어교육.
조명숙(2001). 베트남에서의 한국어 교육 현황. 이중언어학 19. 이중언어학회.
조선경(2006). 이주노동자 대상 한국어 교재 개발 방향. 한국어교육 17-3.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조성문(1997). 한국어 초급 교재의 기초 어휘 선정에 관하여. 한양어문.
조수진(1998). 한국어 교육을 위한 컴퓨터 보조 학습 교재 개발 연구.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조수진(2005). 한국어 교육 포털 사이트 구현 방안 연구. 이중언어학 27. 이중언어학회.
조승복(1988). 스웨덴에서의 한국어 교수와 연구 현황. 제3회 국제한국어교육학회언어학자 대회 발표문. 한글학회.
조영미(2000).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들의 문화 학습 연구한국어 화자와의 문화간 의사소통 양상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조욱경(1987). 외국어 교육에 있어서 문화교육의 중요성.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인옥(2000). 한국어능력시험의 언어권별 수험자 반응분포에 대한 연구. 제3회 시험 수험자의 답안 결과를 중심으로.
조창규(2005). 의성어 의태어. 무엇을 어떻게 교육할 것인가. 언어학 (대한언어학회)
조창환(1996). 한국어교육과 연계된 한국문화 소개 방안. 한국말교육 7.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조항덕(2001). 외국어로서의 프랑스어 교사 양성에 대하여.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주최 ‘한국어 교사론’(외국의 국제 자국어 교사 양성 실태와 한국어 교사 양성 제도 개선 방향) 학회 자료집.
조항록(1997). 한국에서의 한국어 교사 연수현황과 발전 방안. 한국말교육 8.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조항록(1998). 한국어 고급 과정 학습자를 위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 한국어교육 9-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조항록(2000). 초급 단계에서의 한국어 교육과 문화 교육. 한국어교육 11-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조항록(2002). 한국어 문화 교육론의 주요 쟁점과 과제. 21세기 한국어교육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조항록(2003).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적 논의. 한국어교육 14-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조항록(2003). 한국어 교재 개발의 기본 원리와 실제. 말.
조항록(2004). 재외동포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정책의 실제와 과제. 한국어교육 15-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조항록(2005). 국내 한국어 교육 발달 과정과 특징. 우리말 학회 전국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조항록(2005).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발달의 역사적 고찰1. 한국어교육 16-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조항록(2005).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사. 한국어교육론 1. 한국문화사.
조항록(2005).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사. 한국어교육론 1. 한국문화사.
조항록(2005). 정책의 연구사와 변천사. 한국문화사
조항록(2005). 정책의 연구사와 변천사. 한국어교육론 1. 한국문화사.
조항록(2005).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문화교육의 새로운 방향. 한국어교육 16-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조항록(2006). 한국어 능력 평가 체계의 현황과 과제. 한국어교육 17-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조항록․강승혜(2001). 초급 단계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화 교수 요목의 개발(1). 한국어교육 12-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조현용(1999). 어휘중심 한국어 교육방법 연구. 경희대 국어국문학 박사논문
조현용(1999). 한국어 교육용 기본어휘 선정에 관한 연구. 고황논집 제25집. 경희대 대학원.
조현용(2000). 어휘 중심 한국어 교육방법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논문
조현용(2000). 한국어 교육에서 한국어 오류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제 1차 한국어교육 국제학술대회.
조현용(2000). 한국어 능력 시험 어휘 평가에 관한 연구. 국어교육 101. 국어교육연구회.
조현용(2003). 한국어 교재 개발에서 고려할 점에 대하여. 제13차 국제학술대회.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조현용(2003). 한국어 교재 개발의 유의점에 대하여.
조현용(2003). 한국어문화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 이중언어학 22. 이중언어학회.
조현용(2004). 한국어 교재 개발의 유의점에 대하여. 경희어문학 25.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조현용(2005). 한국어 비언어적 행위 표현과 한국어문화 교육 연구. 한국어교육 16-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주삼환(1998). 수업관찰과 분석. 원미사.
주옥파(2004).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읽기 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어교육 제15-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중앙정보부 편(1973). 북한언어정책 자료집. 중앙정보부.
증천부(2000). 대만에서의 한국어 교재 개발의 문제점 및 해결 방안. 국어교육연구.
지현숙(2001). 웹 기반 한국어 교재 개발의 쟁점. 한국어교육 12-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지현숙(2004). 한국어능력 평가에서의 의사소통 문화기술학의 적용. 이중언어학 26. 이중언어학회.
지현숙(2006). 한국어 인터뷰 시험 담화에서 나타난 구어 문법적 오류 분석. 한국어교육 17-3.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진기호. 현윤호. 조현용(2004). 한국어 수업의 실제와 교사의 역할.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4학년도 추계 학술대회.
진기호. 현윤호. 조현용(2004). 한국어 수업의 실제와 교사의 역할.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4학년도 추계 학술대회.
진대연(1999). 한국어 교재 분석의 기준. 국어교육학연구.
진제희(2002). 교실 상호 작용에서 나타난 교사의 역할 : 스캐폴딩의 관점에서. 한국어교육 13-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진제희(2002). 교실 상호작용에서 나타난 교사의 역할. 한국어교육 13-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진제희(2004). 한국어 교실 교사학습자 간 대화에 나타난 의사소통 문제 유형. 한국어교육 15-3.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진제희(2004). 한국어 교실 구두 상호 작용에 나타난 문제 해결을 위한 의미 협상 : 교사-학습자 대화를 중심으로. 연세대박사학위논문.
진제희(2005). 한국어 수업에 나타난 교사의 수정적 피드백과 학습자 반응 연구. 이중언어학 28. 이중언어학회.
진제희(2006).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수업 대화 분석. 커뮤니케이션북스.
차도현(2000). 인터넷을 활용한 한국어 읽기 교육 연구. 경희대 교육대학원 한국어교육 전공 석사학위논문.
차바실리(2001). 카자흐스탄 고려말 교육 정책 연구. 서울대 석사논문.
차윤정(2004). 근대 조선어 학습서에 나타난 오류 표현과 원인 분석. 한국어교육 15-3.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채 완(2003). 한국어의 의성어와 의태어. 서울대 출판부
채국희(2004). 한국어 학습자의 연결어미의 사용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채련강(2001). 대만의 대외중국어 교사 양성 실태.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주최 ‘한국어 교사론’(외국의 국제 자국어 교사 양성 실태와 한국어 교사 양성 제도 개선 방향) 학회 자료집.
채련강(2007). 재대만 동포의 한국어 교육: 대만 한국어 교육 전반적 현황. 이중언어학 33. 이중언어학회.
최권진(2007). 속담을 활용한 한국어 교재 개발. 한국어교육.
최기호(1987). 중공 한국교포의 한국어 연구 동향. 이중언어학 3. 이중언어학회
최기홍(1988). 재일교포의 모국어 교육의 실황과 문제점. 이중언어학 4. 이중언어학회.
최길시(1991) 한국어능력검정 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논문
최문석(2004). 의미 중심의 연결어미 교육 방안 연구. 한국어교육 15-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최보라(2007). 한국어 교재의 높임법 오류 분석을 통한 교재 개발 방안 연구. 한양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영철(2003). 의성어·의태어. J&C
최예브끼니(1991). 재소고려인들의 모국어재생문제. 이중언어학 8-1. 이중언어학회
최용기(2007).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세종학당 운영 방향. 국어발전기본계획 및 세종학당에 관한 국회 토론회
최용재(1974).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론. 조선대 박사논문.
최용재(1976). 한국어 교육의 몇 가지 문제점. 조선대학교 종합논문집.
최용재(1976). 한국어 교육의 몇 가지 문제점. 종합논문집
최유하(2007). 대학기관의 한국어 교사 재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사발달단계 측정과 동료장학방법 연구.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윤갑(1991). 중국 조선민족 산재지구에서의 아동들에 대한 조선어 교육. 교육한글 4. 한글학회
최은규(2002). 한국어 교사 양성 제도의 실태 및 제안. 국어교육연구 9.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최은규(2005). 평가의 연구사와 변천사. 한국어교육론 1. 한국문화사.
최은규(2006). 유형별로 본 한국어 능력 평가의 실제와 과제. 한국어교육 17-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최은규․안경화(2003). 한국어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사례 연구. 한국어교육 14-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최은규․장은아․남수경․채숙희(2006). 초급 학습자를 위한 웹 기반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연구. 한국어교육17-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최은지(2007). 한국어 듣기 교재 내 음성 자료 속도의 실제성. 한국어교육 18-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최정순(1997). “개발자(Developer)”로서의 교사교재 개발 및 교과 과정 개발에서의 교사의 역할. 한국말교육 8.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최정순(1998). 웹기반의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실제. 한국어교육 9-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최정순(1999). 새로운 수업도구로서의 컴퓨터 (웹). 한국어교육 10-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최정순(2006). 한국어 교원양성 현황
최정순(2007).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과 바람직한 표준문법의 개발 방향
최주열(1994). 한자교육 방법에 대한 고찰 - 외국인에 대한 한자교육을 중심으로. 한국말교육 5.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최한우(1991). 터키에서의 한국어 교육. 새국어생활 1-2. 국립국어연구원.
최혜영(2002). 한국어 독학용 교재 개발 연구: 기초 단계를 중심으로. 경희대 교육대학원 한국어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최호철(1996). 북한어학에 대한 남한의 연구. 한국어학 3. 한국어학회.
추이진단(2001). 현대 중국어와 한국 한자어의 대비 연구 : 한국 기본 한자어 동사 900개. 한신대학교 출판부
추준수(2007). 중국인의 한국어 학습에 나타난 오류 분석 : 조사와 어미를 중심으로. 신라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추희정(2003). 한국어 교사 양성 교육의 발전 뱡향 연구. 숙명여대 석사논문.
카이모리 토키코(2005). 일본어 모어 화자를 위한 한국 한자어 교육 방안 연구-초급어휘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한국어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카츠타 사토시(2001). 한국어 의성어․의태어 교육 연구일본어를 모어로 하는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경희대 교육대학원 한국어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크리스티나 보야코프스카(1991). 폴란드에서의 한국어 교육. 새국어생활 1-2. 국립국어연구원.
태백편집부 편(1988). 북한의 사상. 태백.
프로스트 마르틴(1988). 프랑스에서의 한국어학 과정. 제3회 국제한국어교육학회언어학자 대회 발표문. 한글학회.
하세가와 유키코․이수경(2002). 한일 한국어 교재의 문법 실러버스 비교 분석. 한국어교육 13-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하연주(2007). 재미교포 청소년 학습자의 요구조사를 바탕으로 한 문화 중심의 한국어 교재 개발 방향 연구. 선문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하재선(2006). 비즈니스를 위한 한국어 교재의 모형 개발 연구 : 일본인 학습자를 대상으로선 상명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하지선(2006). 한국어교육을 위한 종결기능 연결어미 연구. 한양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하치근 외(1995).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 관한 연구. 언어와 언어교육 10. 동아대 어학연구소.
하치근(1993). 남북한문법 비교 연구. 한국문화사.
하치근(1995).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연구. 언어와 언어교육(동아대) 10.
한득봉(1991). 소련에서의 한국어 교육. 이중언어학8. 이중언어학회
한상미(1999). 한국어 교육에서 언어와 문화의 통합적인 교육 방안의사소통 민족지학 연구 방법론의 적용. 한국어교육 10-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한상미(200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의 교사말 연구. 한국어교육 12-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한상미(2005). 문화 교육 방법론. 한국어교육론 2. 한국문화사.
한송화(2003).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교재 분석.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한영목(2007). 한국어 교육의 오늘과 내일. 이중언어학회 제20차 춘계대회
한재영 외(2005). 한국어 교수법. 태학사.
한재영(200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한자교육을 위한 기초적 연구-비한자문화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어문연구 제31권 제4호.
한재영(200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한자어교육을 위한 기초적 연구-한자문화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중언어학 제23호(2003.11.30). 이중언어학회.
할리나 오가레크 최(1991). 폴란드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 편찬과 교수 방법. 교육한글.
허덕행․박태수(1990). 연변의 이중언어제에 대한 몇가지 고찰흑룡강성 조선족들의 이중언어 사용실태 및 그에 대한 약간한 생각. 이중언어학 7. 이중언어학회.
허성도(1992). 한국어와 중국어의 대조분석. 이중언어학 9. 이중언어학회.
허용(2000). 원격교육을 통한 한국어 교육. 이중언어학 17. 이중언어학회..
허용․연재훈․정진원(2000). 원격 교육을 통한 한국어 교육한국어 교재 개발과 교사 교육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17. 이중언어학회.
허팔복(1973).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본의 체재 및 내용비교연구.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헤르만(1991).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동독)에서의 한국말 교육과 교재에 대하여. 교육한글 4. 한글학회.
현원숙(1998). 카자흐스탄에서의 한국어교육 방법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석사논문.
홀머 브로흘로스(1991). 독일에서의 한국어 교육. 새국어생활 1-2. 국립국어연구원.
홍애란(2006). 재미동포 청소년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읽기 교육 연구. 서울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홍은진(2004).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오류 분석과 교육 방안. 이중언어학 24. 이중언어학회.
홍종명(1996).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 비교 분석 연구초급 교재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홍혜준(2003). 고전 작품을 통한 한국 문화 교육.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제19차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황미향(1999). 한국어 텍스트의 계층구조와 결속표지의 기능 연구: 읽기 능력 측정과 읽기 교재 구성 방안 모색. 경북대 박사학위논문.
황미향(1999). 한국어 텍스트의 계층구조와 결속표지의 기능 연구: 읽기 능력 측정과 읽기 교재 구성 방안 모색. 경북대 박사학위논문.
황인교(1997).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연구: 읽기. 쓰기 지도법을 중심으로. 이화어문논집 15. 한국어문학연구소.
황인교(1997).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연구. 이화어문논집 15. 이화여대 이화어문학회.
황인교(1998).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한국어교육 9-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황인교(1998).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한국어교육 제9권 2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황인교(1998).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한국어교육.
황인교(1999).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 이론의 지평. 교과교육학연구 3-1.
황인교(2001). 외국어로서의 한국 문화 교육의 기능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25·26. 연세대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황인교(2003). 국내외 한국어 교재 분석. 말.
황인교(2006). 한국어 교육과정의 현황과 과제. 한국어교육 17-3.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황인교(2007).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와 문화. 이중언어학 35. 이중언어학회.
황인교(2007).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와 문화. 이중언어학 35. 이중언어학회.
황재웅(2004). 외국인 노동자를 위한 한국어 문화 교육 방안 연구. 고려대 석사논문.
황적윤 외(1984). 영어교수법. 신아사.
황지하(1995). 한국어 교사의 재교육.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제6차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 발표문.
황지하(1995). 한국어 교사의 재교육.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제6차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 발표문.
후스차/오가렉-최(1988). 폴란드에서의 한국어 교육 현황. 제3회 국제한국어교육학회언어학자 대회 발표문. 한글학회.
후지모토(1993). 일본에서의 한국어 연구 현황. 교육한글 10. 한글학회.
후지이시다카요(2000). 일본에서의 한국어 교재 개발의 문제점 및 해결 방안. 국어교육연구.
첫댓글 고맙소. 도움이 많이 되겠네, 그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