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세(世) |
항렬자(行列字) |
세(世) |
항렬자(行列字) |
|
21 世 (金) |
ㅇ 鎭 |
29 世 (火) |
ㅇ 容, ㅇ 熙, ㅇ 烈 |
|
22 世 (水) |
永 ㅇ , 洙 ㅇ |
30 世 (土) |
重 ㅇ, 喜 ㅇ, 埈 ㅇ |
|
23 世 (木) |
ㅇ 和, ㅇ 來 |
31 世 (金) |
ㅇ 鎔, ㅇ九, |
|
24 世 (火) |
性 ㅇ, 魯 ㅇ, 炳 ㅇ |
32 世 (水) |
漢 ㅇ, 潤 ㅇ, 海 ㅇ |
|
25 世 (土) |
ㅇ 圭, ㅇ 信, ㅇ 在 |
33 世 (木) |
ㅇ 植, ㅇ 根, ㅇ 權 |
|
26 世 (金) |
鐘 ㅇ, 商 ㅇ, 鏞 ㅇ |
34 世 (火) |
憲 ㅇ, 應 ㅇ, 然 ㅇ |
|
27 世 (水) |
ㅇ 淳, ㅇ 浩, ㅇ 洙 |
35 世 (土) |
ㅇ 培, ㅇ 均, ㅇ 堯 |
|
28 世 (木) |
相 ㅇ, 柱 ㅇ, 仁 ㅇ |
36 世 (金) |
善 ㅇ, 鈺 ㅇ, 鍊 ㅇ |
1.중앙종회에서 정함
2.규정공후 31개 소파가 있어 여기서 일부 조정함
3.우리는 규정공파의 31개 소파 중 절도사공파임.
4.입남시조 박환의 후손은 절도사공파중의 소파인 현감공파임
※종회에서 정할 때에 작명 이론에 입각 음양오행에 맞게 항렬자를 정했으나, 실제 작명을 하다보면 사주의 부족분을 보하는 글
자를 써야 되기 때문에 항렬자를 쓰게 되면 100% 좋은 이름자를 고르기가 어려움.
※항렬자를 쓰면 종족 항렬이 명백해지는 장점이 있으나 성명이론에 상충하여 좋은 이름을 짓기가 어려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