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 연; 정동극장 전속예술단 풍무악(단장/예인동)
일 자; ∼ 12. 20(수)
시 간; 8시 ※단,11월은 4시 (월 쉼)
공연장; 정동극장
관람료; S석 30,000원 / A석 20,000원
문의처; 773-8960
<한국에는 정동극장이 있습니다〉라는 캐치프레이즈 아래, 우리 전통예술의 진수를 선보이는 수도 서울의 대표적 '문화공간'이 되고자 기획된 프로그램. 풍물을 중심으로 무용과 연주 등 다양한 장르로 구성, 전통예술의 신명과 재미를 제대로 만날 수 있는 무대.
"한국을 방문하여 처음 정동극장을 찾은 것은 올 7월입니다. 전통예술이라고 해 딱딱하고 지루한 느낌이 먼저 들었지만 모처럼 기회라 경험 삼아 한번 보았습니다. 그러나 11월에 다시 한국에 왔을 때 나의 목적은 한 가지였습니다. 나를 감동시킨 그곳에 다시 한번 가보는 것이었습니다."-1998년 12월, 일본인 관객 나추코 요시히씨가 보내 온 서신 중에서
<청소년을 위한 해설음악회-협주곡의 세계>
(사)한국공연예술매니지먼트협회
지 휘; 장윤성 해 설; 장일범
연 주; 프라임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출 연; 김우진(첼로), 이주희(플루트), 박라나(하프), 남수지(바이올린), 유소영(피아노)
일 자; 8. 21(월)
시 간; 7시 30분
공연장; 세종문화회관 대강당
관람료; S석 20,000원 / A석 15,000원 / B석 12,000원 / C석 8,000원
문의처; 391-2822∼5
미래 문화 향수의 주체인 청소년들에게 비판적인 사고와 창의적인 문제해결의 경험을 쌓게 해주기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일환으로 친근하면서도 수준높은 음악회를 제공한다.
프 로 그 램
드보르작 서곡「카니발」
하이든 첼로협주곡 제2번 라장조
모차르트 플루트와 하프를 위한 협주곡 다장조
바이올린 협주곡 제3번 사장조
라흐마니노프 파가니니의 주제에 의한 랩소디
<한충완과 재즈친구들> 미추홀예술진흥회
연 주; 한충완, 장효석, 노덕래, 이정훈
게스트; 이은미, 노영심
일 자; 8. 24(목)
시 간; 7시 30분
공연장;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관람료; R석 50,000원 / S석 40,000원 / A석 30,000원 / B석 20,000원
문의처; 391-2822∼5
재즈피아니스트 한충완은 지난 6월에 발매된 3집 솔로앨범의 컴퓨터에 의존하지 않는 '사람냄새가 많이 나는 음악'들과 일반대중에 널리 알려진 파퓰러한 재즈곡들을 레퍼토리로하여 시원한 재즈콘서트 한충완과 재즈친구들을 개최한다. 감성에 찬 그의 연주에 노덕래(베이스), 이정훈(드럼), 장효석(색스폰)이 호흡을 같이 한다. 특별히 이은미, 노영심등이 우정출연하여 더욱더 생생한 무대로 청중을 매료시킬 것이다.
<뮤지컬-렌트> 신시뮤지컬컴퍼니
작 ; 조나단 라슨
연 출; 윤우영
출 연; 남경주, 최정원, 주원성, 전수경, 이희정, 이건명, 성기윤, 이동근 외
일 자; ∼8. 6(일)
시 간; 화·토·일 4시, 7시30분/ 월·수·목·금 7시30분
공연장;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
관람료; VIP석 60,000원 / R석 40,000원 / S석 30,000원 / A석 25,000원 / B석 20,000원
문의처; 577-1987
대중음악의 모든 장르가 총망라되어있는 파격적이고 자유로움이 넘치는 작품을 통해 구태의연한 뮤지컬에 젖어있는 우리의 관객들에게 인식 전환과 욕구 충족의 기회가 될 뮤지컬〈RENT〉는 푸치니의 오페라 라보엠을 현대화한 작품으로 가난한 예술가들이 모여 사는 뉴욕 이스트 빌리지를 배경으로 요즘 젊은이들의 꿈과 열정, 고민과 사랑의 갈등, 우정 그리고 삶에 대한 희망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록 뮤지컬의 새로운 역사라 호평받고 있는 작품이다.
<임팔라의 밤은 길다> 극단 완자무늬
작 ; 김태수
연 출; 김태수
출 연; 이봉규, 김경수, 김병순, 승의열, 박영미, 황영희, 정 일, 차순배
일 자; ∼ 8. 13(일)
시 간; 화·수·목 7시 30분 / 금·토 4시30분,7시30분 / 일 4시30분(월 쉼)
공연장; 대학로 마로니에 극장
관람료; 일반 12,000원 / 학생 10,000원
문의처; 762-4485
자정이 가까워오자 종업원은 심야불법영업 단속 때문에 있는 손님을 몰아내기 급급하다. 조용해진 영업이 끝난 카페엔 슬며시 고정단골들로 새로이 자리가 차고 다시금 일종의 그들만의 파티가 벌어지는데...'락카페'라는 한정된 공간에서 영업시간과 불법영업시간을 전후한 때에 벌어지는 웃지못할 작은 전쟁같은 상황에서 왜곡된 우리의 구조된 모습을 들여내려한다.
<대한민국 김철식> 극단 아리랑
작 ; 최일남
연 출; 방은미
출 연; 박철민, 윤혜영, 김비오, 오연실, 이영주, 김태민, 이경주, 송태성 외
일 자; ∼ 8. 16(수)
시 간; 화·수·목 7시 30분 / 금 4시 / 토·일·공휴일 3시, 6시 (월 쉼)
공연장; 소극장 아리랑
관람료; 일반 12,000원 / 학생 10,000원
문의처; 741-5332
최일남의 소설 「숙부는 늑대」를 원작으로 한 작품 '국가와 민족'을 위하여 일신을 홍모처럼 바치는 20세기 인물 '김철식'과 명분보다는 자신의 주장을 굽히지 않고 힙합을 추는 21세기형 인물 '해리'가 주인공이다. 김철식은 어려서 동네 코흘리개를 모아 항일결사조직을 만들기도 하고 몽양선생의 암살범을 잡겠다고 서울바닥을 뒤집기도 하는 인물이다. 민의원 선거에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아깝지 않은 표차로 낙선한 그는 선거 공탁금을 마련하기 위해 옴약 장사를 하기도 한다.
<웹뮤지컬 갓스> 문화기획 나들목
작 ; 김수경
연 출; 김장섭
출 연; 노현희, 조재국, 박계환, 유보영, 유한홍, 안성진, 김명희, 고상미, 이지은
일 자; ∼ 8. 27(일)
시 간; 평일 4시 30분, 7시 30분 / 토·일·공휴일 4시, 7시 (수 쉼)
공연장; 대학로소극장
관람료; 일반 20,000원 / 대학생 15,000원 / 중고생 12,000원
문의처; 2214-5535
지난해 공연된〈oh, my gods〉의 업 그레이드판인 웹 뮤지컬〈gods〉는 현대인들의 우상에 대한 풍자와 반성에 초점을 맞춘다. 더불어 번안 뮤지컬이 범람하는 우리 공연현실에서 몇 년이 가도 재미와 감동이 퇴색되지 않을 만큼의 작품이다.
<사랑은 아침햇살> 극단 연우무대
작 ; 이응률
연 출; 정한룡
출 연; 서정연, 권태건, 임학순, 염혜란, 구자승, 김경화, 권성운
일 자; ∼ 8. 27(일)
시 간; 3시, 5시 (월 쉼)
공연장; 연우소극장
관람료; 일반 12,000원 / 초중고생 8,000원
문의처; 744-7090
극단 연우무대가 준비하여 2000년 서울어린이연극제 우수작품상 및 연기상을 수상한 <사랑은 아침햇살>은 초등학교 고학년부터 중학생까지 대상으로 하되 학부모까지 동참하여 즐길 수 있는 가족극이다. 고슴이와 다람이의 사랑을 통해 '진정한 사랑'의 의미를 생각해보는 기회로 삼고 사회의 출발점인 가족이 사랑을 바탕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를 바라는 따뜻한 연극이다.
<용띠 위에 개띠> 이랑 씨어터
작 ; 이만희
연 출; 이도경
출 연; 이도경, 박은주
일 자; ∼ 9. 3(일)
시 간; 평일 7시30분 / 토4시30분, 7시30분 / 일·공휴일 3시30분, 6시30분 (월 쉼)
공연장; 이랑 씨어터 (구 은행나무극장)
관람료; 일반 12,000원 / 중고생 8,000원
문의처; 766-1717
나용두(52년생 용띠. 꼼꼼하고 매사에 빈틈이 없는 만화가)를 취재하기 위해 그의 작업실을 찾아간 지견숙(58년생 개띠. 덜렁대고 당찬 잡지사 기자)은 TV 야구중계를 보다가 어떤 선수의 출신교를 놓고 「자기가 맞다」고 서로 다투다가 극에 달하여 결국 내기를 걸게 되는데...
첫 만남부터 결혼, 신혼여행, 출산, 결별, 재결합을 거치면서 결국엔 사랑과 화합을 나눈다는 내용이다.
<굿모닝 꽁트!> 극단 예성동인
작 ; 김현묵
연 출; 김현묵
출 연; 이윤신, 유아라, 이현수, 이상희, 박정권
일 자; ∼ 9. 3(일)
시 간; 수·목·일 3시 / 금·토·공휴일 3시, 6시 (월·화쉼)
공연장; 소극장 리듬공간
관람료; 일반 15,000원 / 대학생 12,000원 / 초중고생 8,000원
문의처; 3672-4293
연극과 마술의 만남. 무한한 상상력을 제공하면서 끊임없이 폭소가 터지는 코미디 가족극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관람할 수 있는 연극이다. 제목에서 말하는 꽁트란, 선조들이 남긴 민담과 우화 등 촌철살인의 풍자와 해학이 담긴 짧은 이야기들을 뜻한다. 10여 편의 이야기들이 가슴 따뜻한 교훈을 주면서도 건강한 웃음을 선사해 준다. 또한 간간히 마술을 보여줌으로써 인간의 상상력을 새롭게 열어주는 작품이다.
<고딩만의 세상> 극단 신화
작 ; 김영수
연 출; 김영수
출 연; 이화진, 정찬훈, 최효정, 이종민, 손소림, 김선주, 김성낭, 홍정석, 박지호
일 자; ∼ 9. 3(일)
시 간; 평일 4시 30분 / 토·일·공휴일 2시 (월 쉼)
공연장; 인간소극장
관람료; 일반 12,000원 / 중고생 8,000원
문의처; 923-2131
〈고딩만의 세상〉은 극단 신화가 오늘을 사는 청소년들의 모습을 깊이 있게 그리고 솔직하게 표현한 청소년을 위한 연극이다. 총4장으로 구성. 1장은 대학진학에 관한 청소년의 고민을, 2장은 학원 폭력에 골병드는 청소년의 아픔을, 3장은 성폭행 때문에 가출하고 유흥업소를 전전하게 되는 청소년의 성의식을, 4장은 폭언과 욕설은 물론 폭행까지도 서슴치 않는 선생님들의 고정관념과 획일화된 교육방식을 적나라하게 이야기 한다.
<엄마집에 도둑 들었네> 극단 신화
작 ; 이근삼
연 출; 김영수
출 연; 윤주상, 김종구, 김재건, 이정훈, 최준용, 양창완, 우현주, 정재은
일 자; ∼ 9. 3(일)
시 간; 평일 7시 30분 / 토·일·공휴일 4시 30분,7시 30분 (월 쉼)
공연장; 인간소극장
관람료; 일반 15,000원 / 중고생 8,000원
문의처; 923-2131
극단 신화에서 1996년에 시작하여 10부작으로 공연하는 서민극 시리즈 4번째 작품인 〈엄마집에 도둑 들었네〉는 〈옥수동에 서면 압구정동이 보인다〉〈땅 끝에 서면 바다가 보인다〉〈해가 지면 달이 뜨고〉와 같이 어려운 환경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고 열심히 살아가는 서민들의 삶을 통하여 건강한 웃음과 따뜻한 사람들의 정을 일깨워 주는 연극이다.
<뮤지컬 밥퍼?랩퍼!> 여성문화예술기획
작 ; 이숙인
연 출; 명인서
출 연; 정희영, 김혜림, 윤명진, 김지영, 성형진, 박대현, 여성구, 안혜경 외
일 자; ∼ 9. 3(일)
시 간; 화·수·목 7시 30분 / 금 3시, 7시 30분 /토·일 4시, 7시 (월 쉼)
공연장; 소극장 오늘·한강·마녀
관람료; 일반 15,000원 / 학생 10,000원
문의처; 3476-0662∼3, 765-4891
네명의 여자는 경제적 어려움에 빠진 혜자와 함께 돈을 벌기 위해 지방에 보기 드문 여성전용클럽을 만든다. 이름하여 '레이디 클럽'.
<뮤지컬 밥퍼? 랩퍼!>는 요즘 여성들의 가장 절실하고도 민감한 주제인 경제적 자립과 인간끼리의 소통을 노래와 춤으로 표현하여 한다. 4명의 주부가 잃어버린 자아와 삶의 주체성을 회복해 가는 과정을 여성주의적 감성과 언어와 어우러지는 라틴댄스와 랩, 힙합을 중심으로 만든 작품이다.
록 뮤지컬<모스키토 2000> 극단 학전
작 ; Volker Ludwing
연 출; 김민기
출 연; 구원영, 김영옥, 왕유선, 유연수, 윤서현, 이지희, 이현철, 임혜숙, 조순창
일 자; ∼ 9. 17(일)
시 간; 화·수·목 6시 / 금 7시 30분 / 토·일·공휴일 4시, 7시 (월 쉼)
공연장; 학전그린 소극장
관람료; 일반 20,000원 / 대학생 15,000원 / 중고생 12,000원
문의처; 763-8233
공연 1,000회 돌파한 〈지하철1호선〉에 이어 극단 학전이 선보이는 두 번째 레퍼토리 작품. '청소년에게 참정권이 주어진다면...'이라는 가상의 상황을 통해 답답한 교육현실과 기성 정치권에 대한 유쾌하고 신랄한 풍자를 만날 수 있다. 인터넷, 그라피티, 힙합등으로 대변되는 청소년들의 문화를 신나는 라이브밴드의 연주와 랩, 힙합춤으로 신나게 그려냈다.
<라이어> 극단 파파
작 ; 레이쿠니
연 출; 이문식
출 연; 이문식, 최광일, 이정은, 최해원, 김광식, 김경식, 이종혁
일 자; ∼ 10. 31(화)
시 간; 화·수·목 7시 30분 / 금·토·일·공휴일 4시 30분, 7시 30분 (월 쉼)
공연장; 샘터파랑새극장
관람료; 일반 15,000원 / 대학생 12,000원 / 중고생 10,000원
문의처; 747-2090
99년도 10개월간의 연장공연 행진을 벌이면서 각종 메스컴과 통신들 그리고 관객들의 엄청난 찬사를 받았던 화제의 작품이다. 마음약한 한 남자의 엉뚱한 거짓말로 인한 하룻동안의 기막힌 헤프닝을 소재로 한 작품. 기발한 발상과 폭소의 100분, 팽팽한 긴장속의 박장대소..터지는 박수소리들.. 관객들의 엄청난 함성들...
<뮤지컬 난타> (주)PMC프로덕션
원안·PD; 송승환 제 작; 이광호
연 출; 최철기
출 연; BLUE, WHITE, RED, BLACK팀
일 자; ∼ 12. 31(일)
시 간; 평일 8시 / 토 4시, 8시 / 일·공휴일 3시, 6시 (월 쉼)
공연장; 난타극장
관람료; VIP석 40,000원 / S석 30,000원 / A석 20,000원
문의처; 736-8288
사물놀이와 우리 전통 문화를 현대적 감각으로 재구성한 한국 최초의 Non-verbal(비언어) Performance "NANTA"가 공연문화의 중심인 New York Broadway를 비롯한 전세계 공연에 앞서 덕수궁 돌담길 끝 편에 있는 한국 최초의 뮤지컬 상설공연장 난타극장(경향신문사 1층)에서 내·외국인을 대상으로 상설 공연을 시작한다.
<달빛속으로 가다> 극단 비파
작 ; 장성희
연 출; 김철리
출 연; 이현순, 이영광, 남우성, 신현실, 이선주, 정인겸, 조희봉, 동이향
일 자; 8. 2(수) ∼ 8. 8(화)
시 간; 평일 8시 / 토 4시, 7시 / 일 3시, 6시
공연장; 동숭아트센터 동숭홀
관람료; 일반 12,000원 / 중고생 8,000원
문의처; 017-549-4895
음력7월14일 백중 전야, 엄보살과 고시생 관식이 살고 있는 암자 영불사에 상서롭지 않은 사람들이 모여든다. 여인은 자살한 육촌 오라비 영령을 기리기 위해, 이 여인의 시어머니인 노파는 달구경을 위해, 외과의사인 한영수는 등산 중 발목을 삐어서 민기철이라는 다른 등산객의 부축을 받고, 김연홍이라는 젊은 처자는 돌아가신 어머니의 영혼을 기리기 위해…. 그리고 산불 감시인 이용수의 등짐에 정체불명의 시신 한 구가 실려오는데…
<뮤지컬-2000아가씨와 건달들> 극단 민중
작 ; 에이브 버러우스
연 출; 문석봉
출 연; 윤다훈, 박상면, 안문숙, 오정해, 김선아, 최낙희, 이우일, 최종원 외
일 자; 8. 2(수) ∼ 8. 6(일)
시 간; 수∼토 7시 30분 / 일 3시, 6시 30분
공연장; 세종문화회관 대공연장
관람료; R석 55,000원 / S석 45,000원 / A석 35,000원 / B석 25,000원
문의처; 2236-4322
나싼은 나이트클럽의 가수 아들레이드와 약혼한 사이지만 장장 14년이 지나도록 도박에 빠져 그녀와의 결혼은 안중에도 없다. 급기야 파산하기에 이른 나싼은 도박 장소를 빌리기 위한 천달러를 구하려 동분서주 한다. 한편, 뉴욕의 둘째가라면 서러울 도박사 스카이 매스터슨은 궁지에 몰린 나싼과 '내기'를 하게 된다. 바로 그것은 스카이가 나싼이 지목하는 여자와 하바나에서 밤을 보낼 수 있는 지에 관한 것. 나싼은 깐깐한 선교사 아가씨 사라를 가리킨다
<카덴자> 극단 산울림/극단 쎄실
작 ; 이현화
연 출; 채윤일
출 연; 이미정, 이인희, 장우진, 이찬영, 김희종, 서방원, 김상일, 정현기
일 자; 8. 8(화) ∼ 10. 8(일)
시 간; 평일 4시 30분, 7시 30분 / 토·일·공휴일 3시, 6시 (월 쉼)
공연장; 소극장 산울림
관람료; 일반 20,000원 / 학생 12,000원
문의처; 334-5915/5925
연주자나 독창자가 악장의 마지막에서 즉흥적으로 자신의 테크닉을 현란하게 펼쳐보인다는 의미의 음악용어인 <카덴자>는 '1978년도 제1회 서울평론가그룹희곡상'을 수상한 작품으로 창작극으로는 드물게 500회 이상의 장기공연으로 5만여명의 관객을 동원해 연극계는 물론 관객들에게 충격을 던졌던 그 유명한 '공포연극, 잔혹극'이라고 불리우는 상황극이다. 기존의 연극관행을 뒤집는 문제작들을 발표해 온 중견 극작가 이현화와 연출가 채윤일 콤비의 대표작으로 默示의 行間을 뚫고 선언적이고 무서운 메시지가 펄펄 살아뛰는 가학성 충격의 무대가 될 것이다.
<2인극 페스티벌> 동숭무대 공연장 공연시간 공연기간 공연작 작/연출 출연
동숭아트센터
소극장 평일7시30분 금·토4시30분 7시30분 일·공휴일3시 6시 8. 8(화)
∼8.22(화) 토템 작/김상수 연출/유수미 김승희, 이명아
그린 줄리아 작/뜰 아베만 번역/이상구 연출/하일호 정승길, 정지환
8.24(목) ∼9. 6(수) 남도 원작/박상룡 각색/연출 박정석 최석규, 문경희
질문과대답사이 작/나상천 연출/최진아 이성경,권지숙
9. 8(금) ∼9.24(일) 우중산책 작/연출 김진만 서상원,김종현
남자는 여자에게로 갔다 작/시몬 줄로뜨니꼬프 번역/이상구 연출/김철형 오해창, 윤미향
동숭아트센터옥상무대 8시 8.15(화) ∼9.3(일) 장자의점 작/연출 김학선 임은희,우미화
9.5(화) ∼9.24(일) 화가들 작/조정화 연출/김낙형 백진철,신안진
동숭아트센터놀이마당 6시 8. 5(토) ∼9.24(일) 1일 1∼5작품 공연예정 무료공연
관람료; 12,000원
문의처; 762-0810
<맥베드 21> 축제극단 무천
작 ; 셰익스피어
연 출; 김아라
출 연; 김현옥, 박상종, 오성환, 전진기, 최경원, 채민석, 김묘진, 정승재 외
일 자; 8. 10(목) ∼ 8. 13(일)
시 간; 프리콘서트 6시 30분, 본공연 8시
공연장; 무천 캠프 야외극장(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소재)
관람료; 일반 30,000원 / 대학생 20,000원 / 중고생 10,000원
문의처; 031-675-9472
<맥베드 21> 한국의 타악과 구음, 판소리, 정가 등 우리의 소리를 바탕으로 인간의 원형질적 비극-욕망의 세계, 선과 악의 갈등 등-을 주술적 환타지화 하는 김아라 특유의 복합장르 음악극이다. 우주의 생명의 근원인 흙, 물, 불을 소재로 인간의 본질적 비극을 탐구하는 이 공연은 김아라 연극의 진일보적 미학의 세계로 관객을 인도한다.
<버리는 여자, 버려진 여자> 극단 로뎀
작 ; 하상길
연 출; 김순이
출 연; 문지영, 임미숙, 신영애, 유정기, 배상돈, 허 재, 송희정
일 자; 8. 11(금) ∼ 9. 10(일)
시 간; 화·수·일 3시 / 목·금·토 3시, 7시 30분 (월 쉼)
공연장; 제일화재 세실극장
관람료; 일반 15,000원 / 대학생 12,000원
문의처; 736-7600
금년 초, 최고의 흥행을 이룬 <나, 여자예요>에 이은 극단 로뎀의 여성연극 시리즈 2탄. 딸만 셋인 집안에서 구박을 받으며 자란 세자매가 펼치는 슬프고 강렬한 사랑이야기. 아이를 낳을 수 없기 때문에 결혼을 포기한 큰 딸 지선과 어두운 과거에 갇혀 방황하는 둘째달 지영, 사랑보다는 부를 택한 막내 지문의 각기 다른 사랑을 대비 시켜 사랑의 실체를 보여준다.
<블루 사이공> 극단 모시는사람들
작·연출; 김정숙 작 곡; 권호성
음악감독; 박칼린 안 무; 서은하
출 연; 손병호, 강효성, 진복자, 이재훤 외 31명
일 자; 8. 12(토) ∼8. 31(목)
시 간; 월∼목 7시 30분 / 금·토·일·공휴일 4시, 7시
공연장; 동숭홀
관람료; R석 30,000원 / S석 20,000원 / A석 15,000원
문의처; 7665-210
<들풀><꿈꾸는 기차><우리로 서는 소리>등의 작품을 통해 한국 창작 뮤지컬 활성화를 위해 노력해온 극단 모시는 사람들에서는 한국전쟁 발발 50년, 베트남 전쟁 종전 25년이 되는 뜻 깊은 해를 맞이하여, 아직도 끝나지 않은 베트남 전쟁과 그 안에서 피어나는 아름다운 사랑을 소재로 전쟁이 얼마나 인간을 처참하게 만드는지를, 그리고 우리가 살아가고, 겪어왔던 우리 역사의 가장 아픈 상처인 한국전쟁과 베트남 전쟁을 무대위의 뮤지컬 작품을 통해 춤과 노래와 드라마로써 승화시키고자 한다.
<가루지기> 극단 은행나무
작 ; 홍창수
연 출; 김순영
출 연; 조영선, 최루시아, 조경숙, 송바울, 오병남, 손진환, 장연익, 이영진 외
일 자; 8. 12(토) ∼ 8. 27(일)
시 간; 평일 4시 30분, 7시 30분 / 토·일·공휴일 4시, 7시 (월 쉼)
공연장; 문예회관 소극장
관람료; 일반 12,000원 / 중고생 8,000원
문의처; 762-0184
기존의 알려진 변강쇠타령과는 달리 옹녀를 중심으로 장승나라에서 펼쳐지는 재미난 창작 마당극이다. 색녀의 대명사로 불려지는 옹녀를 인간을 기리는 神으로 추대하라는 절대자의 명령이 장승나라에 전달되면서 벌어지는 일들이 기상천외하다. 또한 현대인들을 옹녀의 후손으로 규정짓고......(생략)
<가족뮤지컬 그림자극-가구야 공주> 극단 즐거운사람들
각 색; 코마츠 미키오
연 출; 우야마 히토시, 김창래
출 연; (일본)극단 가게보우시 (한국)전현아, 김진만 외 KBS성우(7명)
일 자; 8. 16(수) ∼ 8. 20(일)
시 간; 2시, 6시(※단 첫날(16일)은 6시 1회공연)
공연장; 국립극장 해오름극장(대극장)
관람료; VIP석 35,000원 / R석 25,000원 / S석 20,000원 / A석 15,000원
문의처; 745-5127
빛과 그림자가 펼쳐지는 무대의 환타지!
중국의 전통 그림자 기법을 이용, 천연색 색깔과 뮤지컬이 만드는 새로운 무대 메카니즘으로, 국내 초연(한국어공연)되는 세계 최대 수퍼그림자극이다.
<황순원의 소나기 그리고 그 이후> 극단 독립극장
작 ; 류근혜
연 출; 류근혜
출 연; 조원희, Sony Choi, 박승희, 서승준, 이정아, 임춘규, 남상아, 김누리, 황유선
일 자; 8. 15(화) ∼ 8. 16(수)
시 간; 화 6시 / 수 3시, 6시
공연장; 국립극장 달오름극장(소극장)
관람료; 일반 12,000원 / 중고생 8,000원
문의처; 764-8760
황순원의 '소나기'를 모티브로 소녀와의 가슴 떨리는 첫사랑의 기억과 그 소녀의 죽음을 가슴깊이 묻었던 소년이 성인이 되면서 통과의례처럼 소녀와의 헤어짐을 받아들이면서 그 과정에서 현대에 적응해나가는 소년의 모습들이 분신처럼 보여진다. 물질 문명에 타락해 가는 소년의 모습을 통해 우리들의 순수했던 시절의 소중함과 돌이킬 수 없는 삶에 대한 애착과 소중함을 일깨운다.
<바다의여인> 서울연극제축제사무국
작 ; 헨릭 입센 각 색; 수잔 손탁
연 출; 로버트 윌슨
출 연; 윤석화, 권성덕, 예수정, 김철리, 장두이, 김호정
일 자; 8. 27(일) ∼ 9. 3(일)
시 간; 8. 27(일)∼9. 1(금) 7시 30분 / 9.2(토) 4시 30분, 7시 30분 / 9.3(일) 3시
공연장; 문예회관대극장
관람료; R석 30,000원 / S석 20,000원 / A석 15,000원
문의처; 3673-2561∼3
2000년 서울연극제 개막 작품으로 무대에 올려 질 「바다의 여인(Lady from the Sea)」은 미국 연출가를 초빙하여 한국 배우들과 함께 <2000 서울연극제>에서 제작하는 작품이다.
지난해 4월 20일 한국을 방문한 Robert Wilson은 오디션을 통해 총 6명의 배우를 선발하여 1차적인 연습준비를 마쳤다. 6인의 한국배우들은 7월 한국에서 연습을 진행 8월 27일 막을 올릴 예정이다. 이 공연은 2000년 제 24회 서울연극제 개막공연으로 진행된다.
<행복>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작 ; 스나가 가쯔오
연 출; 스나가 가쯔오
출 연; 스나가 가쯔오, 馬場晶子
일 자; 8. 29(화) ∼ 8. 30(수)
시 간; 29(화) 7시 30분 / 30(수) 4시 30분, 7시 30분
공연장; 문예회관 소극장
관람료; 일반 12,000원 / 학생 8,000원
문의처; 760-4639
문예진흥원 해외 특별초청공연으로 일본 문화청 선정 우수작품인 <행복>은 일본극단 도화좌 창단 50주년 기념공연이다. 일본 현대 사회의 일면을 보여주는 해학적이고 감동적인 작품이다.
All Rights reserved under The Korean Theatre Review | The National Theater Association of Korea Inc.
The Korean Theatre Review, 2000.07, last updated-20000707 (sjYoon), supported by Centerworld Corporation
For more information ; contact ktheatre@chollian.net, sfest@unitel.co.kr 02-744-805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