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3월 22일 일요일)는 봄날씨도 화창하고
산공기가 그리워 함안 방어산에 있는 마애사를 찾았다
방어산은 경남 진주시와 함안군의 경계를 이루는 산이다.
방어산 정상에는 이 산의 유래에 대한 안내문이 있다.
고려 우왕 5년 (1379년) 왜구가 이 산에 올라 진을 치고 있는 것을
상원수 우인열이 박경수, 오언등과 왜구를 공격하여 산을 되찾았다고 한다.
왜구로 부터 나라를 방어하였다는 뜻으로 이 산 이름이 방어산이 되었다고한다.
방어산 중턱에는 마애사란 절이 있고, 절 뒷편으로 한 500m 가파른 길을 올라 가면
1200 년된 마애불(보물159호)이 있는 데, 이 곳은 고통받는 가정을 구제하고
병고에 시달리는 사람들을 고쳐주며 또 자식이 귀한 집에는 자식을
낳게 해 준다하여 예로부터 많은 사람들이 찾는다고 한다.
마애사와 마애불을 갈려면, 남해 고속도로 의령,군북 나들목을 나와서
군북 방향으로 달리면가는 길 몫마다 방어산 마애불의 안내 표지판이 보인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blog.yahoo.co.kr%2Fybi%2F1%2Fd5%2Fc9%2Fys3651%2Ffolder%2F36%2Fimg_36_380_25%3F1261894016.jpg)
입구에는 방어산 일주문이 방문객을 맞이한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blog.yahoo.co.kr%2Fybi%2F1%2Fd5%2Fc9%2Fys3651%2Ffolder%2F36%2Fimg_36_380_37%3F1261894016.jpg)
일주문을 지나 약 500m 올라가면 넓은 주차장이 있다
정면에 보이는 건물은 기념품을 파는 곳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blog.yahoo.co.kr%2Fybi%2F1%2Fd5%2Fc9%2Fys3651%2Ffolder%2F36%2Fimg_36_380_7%3F1261894016.jpg)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blog.yahoo.co.kr%2Fybi%2F1%2Fd5%2Fc9%2Fys3651%2Ffolder%2F36%2Fimg_36_380_50%3F1261894016.jpg)
입구에 세워져 있는 방어산 등산 안내 및 마애불 안내 입간판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blog.yahoo.co.kr%2Fybi%2F1%2Fd5%2Fc9%2Fys3651%2Ffolder%2F36%2Fimg_36_380_49%3F1261894016.jpg)
마애사 경내 안내 표지판
절의 내력을 알아 볼려고 사방을 둘러 봐도 간판이 없다
절의 모습이나 입구 벽에 그려져 있는 불화 등을 볼 때 꽤 오래 된 절은 아닌 것 같다
그저 산 중턱에 아담하게 자리를 하고 있어 편안한 마음을 갖게 했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blog.yahoo.co.kr%2Fybi%2F1%2Fd5%2Fc9%2Fys3651%2Ffolder%2F36%2Fimg_36_380_2%3F1261894016.jpg)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blog.yahoo.co.kr%2Fybi%2F1%2Fd5%2Fc9%2Fys3651%2Ffolder%2F36%2Fimg_36_380_30%3F1261894016.jpg)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blog.yahoo.co.kr%2Fybi%2F1%2Fd5%2Fc9%2Fys3651%2Ffolder%2F36%2Fimg_36_380_0%3F1261894016.jpg)
올라가는 좌측 벽면에는 약 100m쯤 되는 탱화 (불화)가 그려져 있었는 데
내용은 부처님의 일생 및 인간이 태어나 죽을 때 까지의 과정이라 하는 데, 색이 선명했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blog.yahoo.co.kr%2Fybi%2F1%2Fd5%2Fc9%2Fys3651%2Ffolder%2F36%2Fimg_36_380_48%3F1261894016.jpg)
대웅전에 올라 가기 전에 홍보 플래카드
이 절에서는 매년 산사음악회를 개최하는 데, 금년에는 4월 25일에 한단다
유명 가수들이 많이 오는 모양인데 상당히 비중있는 음악회인 것 같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blog.yahoo.co.kr%2Fybi%2F1%2Fd5%2Fc9%2Fys3651%2Ffolder%2F36%2Fimg_36_380_41%3F1261894016.jpg)
대웅전으로 올라 가는 돌계단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blog.yahoo.co.kr%2Fybi%2F1%2Fd5%2Fc9%2Fys3651%2Ffolder%2F36%2Fimg_36_380_5%3F1261894016.jpg)
가파른 계단을 올라 가면 '극락보전'이란 대웅전이 있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blog.yahoo.co.kr%2Fybi%2F1%2Fd5%2Fc9%2Fys3651%2Ffolder%2F36%2Fimg_36_380_42%3F1261894016.jpg)
대웅전에서 내려다 본 사찰 경내
멀리 보이는 이 곳에서 '산사음악회'가 열린다
큰 건물이 공연무대가 되고 앞면 잔디밭이 관람석이 된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blog.yahoo.co.kr%2Fybi%2F1%2Fd5%2Fc9%2Fys3651%2Ffolder%2F36%2Fimg_36_380_39%3F1261894016.jpg)
함안군 공설묘원도 사찰경내에 있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blog.yahoo.co.kr%2Fybi%2F1%2Fd5%2Fc9%2Fys3651%2Ffolder%2F36%2Fimg_36_380_15%3F1261894016.jpg)
사찰 입구에 있는 인어 돌조각상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blog.yahoo.co.kr%2Fybi%2F1%2Fd5%2Fc9%2Fys3651%2Ffolder%2F36%2Fimg_36_380_24%3F1261894016.jpg)
어느 스님의 돌조각상인지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blog.yahoo.co.kr%2Fybi%2F1%2Fd5%2Fc9%2Fys3651%2Ffolder%2F36%2Fimg_36_380_51%3F1261894016.jpg)
어머니 돌조각상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blog.yahoo.co.kr%2Fybi%2F1%2Fd5%2Fc9%2Fys3651%2Ffolder%2F36%2Fimg_36_380_38%3F1261894016.jpg)
시인 박노정과 서예가 윤효석은 진주에서 활동중인 예술인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blog.yahoo.co.kr%2Fybi%2F1%2Fd5%2Fc9%2Fys3651%2Ffolder%2F36%2Fimg_36_380_11%3F1261894016.jpg)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blog.yahoo.co.kr%2Fybi%2F1%2Fd5%2Fc9%2Fys3651%2Ffolder%2F36%2Fimg_36_380_21%3F1261894016.jpg)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blog.yahoo.co.kr%2Fybi%2F1%2Fd5%2Fc9%2Fys3651%2Ffolder%2F36%2Fimg_36_380_18%3F1261894016.jpg)
소와 뱀의 돌조각상
소와 뱀의 돌조각이 있었는 데, 불교와는 어떤 관련이 있는 지는 잘 모르나
우리의 十二支의 토속문화가 불교와 접목되어 마음의 평안을 얻고자 함이 아닐런지....
(어쩐지 뱀의 모습이 사랑스러워 보엿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blog.yahoo.co.kr%2Fybi%2F1%2Fd5%2Fc9%2Fys3651%2Ffolder%2F36%2Fimg_36_380_44%3F1261894016.jpg)
잘 정돈된 장독들
저 속에 어떤 것들이 들었는지 궁금.....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blog.yahoo.co.kr%2Fybi%2F1%2Fd5%2Fc9%2Fys3651%2Ffolder%2F36%2Fimg_36_380_4%3F1261894016.jpg)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blog.yahoo.co.kr%2Fybi%2F1%2Fd5%2Fc9%2Fys3651%2Ffolder%2F36%2Fimg_36_380_3%3F1261894016.jpg)
모든이의 약속장소
철망에 많은 자물쇠가 걸려 있었는 데,
부부간에, 가족간에. 친구간에 모든 인과 관계에서
좋은 인연이 계속되고자 하는 열망을 담아 걸어 놓았단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blog.yahoo.co.kr%2Fybi%2F1%2Fd5%2Fc9%2Fys3651%2Ffolder%2F36%2Fimg_36_380_32%3F1261894016.jpg)
경내에 있는 사찰 건물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blog.yahoo.co.kr%2Fybi%2F1%2Fd5%2Fc9%2Fys3651%2Ffolder%2F36%2Fimg_36_380_45%3F1261894016.jpg)
사찰 뒤 방어산 모습 (해발 530.4m)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blog.yahoo.co.kr%2Fybi%2F1%2Fd5%2Fc9%2Fys3651%2Ffolder%2F36%2Fimg_36_380_52%3F1261894016.jpg)
- 방어산 마애불
우리 문화유적을 찾아가는 길 가운데 그 바로 앞까지 길이 나 있어
쉽게 닿을 수 있는 곳이 있는가 하면, 어떤 곳은 산비탈을 한참이나 올라가야만 하는
곳도 있습니다. 방어산 마애불을 찾아가는 길 또한 그다지 녹록지가 않습니다.
방어산 마애불은 해발 530m의 방어산 8부 능선에 있으니,
이곳에 닿으려면 한참을 제법 가파른 산비탈을 올라가야 합니다.
이곳을 찾아간 날, 날씨는 무더워 온몸에 연방 땀이 흐르고,
오르고 올라도 여전히 오르막이 계속되었습니다.
아뿔싸, 이 마애불이 있는 곳으로 오르기 전에
산 아래에 있는 절에서 들은 '조금만 올라가면 된다.'라는
말을 너무 곧이곧대로 이해한 것을 후회하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어쩌겠습니까? 이때껏 힘들게 올라왔는데,
중도에 포기하긴 너무 억울한 일이죠.
그러니 그곳에 닿을 때까지 계속 올라가는 수밖에 없는 일입니다.
이렇게 몇십 분 동안 산비탈을 오른 후에야
간신히 방어산 마애불에 닿을 수 있었습니다.
어쩌다 한번 오르는 데도 이렇게 힘든 데,
이처럼 높은 산 위에 이런 마애불을 새긴 사람은
무슨 마음으로 이런 공을 들였을까 하고 생각하니
절로 고개가 숙여집니다.
자료출처 : 마애불의 나침반, 방어산 마애불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blog.yahoo.co.kr%2Fybi%2F1%2Fd5%2Fc9%2Fys3651%2Ffolder%2F36%2Fimg_36_380_57%3F1261894016.jpg)
- 방어산 마애불의 명문-
방어산 마애불은 그 예술성을 떠나
마애불의 편년을 연구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합니다.
월광보살의 팔꿈치 부분에 이 마애불을 조성한 사람의 이름과 시기, 발원 등을
적은 명문이 새겨져 있는데, 이 명문으로 마애불의 조성연대를 정확히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새겨져 있는 명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成人?刀秦/貞元十七/年辛巳/三月十六日/鴻巖?/
成記願旨/▨父▨不▨/▨▨日?/二▨母?叉/一切衆生▨
정원 17년 신사 3월 16일 홍암에 부처를 조성하고 기록한다.
바라건대 … 아버지 … 어머니 … 또 일체중생을 ….
즉, 미도태라는 사람이 정원(貞元) 17년 신사년(辛巳年) 3월 16일,
곧 신라 애장왕 2년(801년)에 큰바위 부처님을 조성하고
이 사실을 기록하고, 부모님과 일체중생을 위해 발원한다는 내용입니다.
자료출처 : 마애불의 나침반, 방어산 마애불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blog.yahoo.co.kr%2Fybi%2F1%2Fd5%2Fc9%2Fys3651%2Ffolder%2F36%2Fimg_36_380_53%3F1261894016.jpg)
- 방어산 마애불 본존불. 옆에 조금 보이는 협시보살은 월광보살입니다.
방어산 마애불은 함안군의 서쪽인 군북면에서도
가장 서편에 우뚝 솟은 '방어산'에 있습니다.
이 산은 본래는 '개방산', '웅립산'으로 불렀는데,
고려 말 또는 임진왜란 때 정상부에 산성을 쌓고부터는
방어산이라 불리게 되었습니다.
산성의 둘레는 500m 정도이며,
지금은 남쪽 일부 성벽만 남아 있을 뿐 곳곳이 허물어져 있다고 합니다.
이 방어산의 8부 능선쯤에
둘레가 커다란 밥공기를 엎어놓은 것 같은 모양의
평평한 절벽에 음각된 마애불이 방어산 마애불입니다.
마애불은 널찍한 바위에 선으로 음각을 한 데다가
오랜 세월이 지난 탓에 자세히 보지 않으면 그 모습을 제대로 알아보기가 쉽지 않습니다.
약 5m 높이 절벽의 가장 넓은 아래쪽 폭은 7m 정도가 되고,
마애불이 새겨진 면은 일부러 다듬지는 않아
면이 고르지 못할 뿐만 아니라 곳곳에 금이 가고 깨어진 부분도 적지 않습니다.
다행히 마애불 앞에는 상당히 넓은 평지가 있어 보는 데는 불편함이 없습니다.
여기에 세 분의 마애불이 새겨져 있습니다.
가운데 새겨진 본존불은 왼손 위에 뚜껑까지 그려진 약합을 들고 서 있는
약사여래불로 높이는 2.85m입니다.
본존불의 좌우에 살짝 마주 보고 서 있는 협시보살은 월광보살과 일광보살입니다.
오른쪽 협시보살은 여성적인 모습의 월광보살이고,
왼쪽의 협시보살은 남성적인 모습의 일광보살입니다.
자료출처 : 마애불의 나침반, 방어산 마애불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blog.yahoo.co.kr%2Fybi%2F1%2Fd5%2Fc9%2Fys3651%2Ffolder%2F36%2Fimg_36_380_6%3F1261894016.jpg)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blog.yahoo.co.kr%2Fybi%2F1%2Fd5%2Fc9%2Fys3651%2Ffolder%2F36%2Fimg_36_380_28%3F1261894016.jpg)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img.blog.yahoo.co.kr%2Fybi%2F1%2Fd5%2Fc9%2Fys3651%2Ffolder%2F36%2Fimg_36_380_46%3F1261894016.jpg)
별천지 산장
오는 길에 이 곳에서 점심을 먹었다
경남 함안군 여항면 주동링 별천마을에 위치하고 있는데
이 식당에서는 향어회가 유명하다
양식하는 향어를 사다가 여항산에서 내려오는
계곡물에 며칠 키우다가 회거리로 쓰기 때문에 흙냄새가 없어,
그야말로 민물고기 맛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