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극단 놀자 원문보기 글쓴이: 놀자
연극용어해설 1 : (A - L)
Afterpiece : 에프터피스 18. 19세기에 연극에서 본극이 끝난 후 공연된 여흥.
Agon : 아곤 고대 그리스 희극의 한 장면으로, 사회. 정치 논쟁의 양극을 대표하는 대립적인 두 세력이 극 중에서 벌이는 토론
Agonthetes : 아곤데테스 그리스 헬레니즘 시대에 축제에 상연될 극을 관장하던 정부의 관료.
Alienation : 이화 브레히트 서사극의 주요이론으로, 관객들이 극에 감정적으로 빠져드는 것을 최소화하는 대신 정치적 메시지에 대해 지적인 관심을 유도하려는 개념 효과.
Allegory : 알레고리 추상적 주제를 표현하거나 극에 등장하는 인물이나 그 인물의 행동을 포함하는 구체적 요소를 상징적으로 이용하여 주체를 표현하는 것. 중세의 도덕극처럼 이 같은 요소가 가장 직접적으로 표현된 극에서는 선이나 악같은 인간의 추상적인 성질을 대표하는 인물을 표현하기 위해 의인화를 이용. 그들의 행동을 통해서 도덕적 교훈이나 지적 교훈을 설명함.
Alojero : 알로헤로 스페인 황금기의 극장 내에서 간단한 음식과 음료등을 판매하던 장소.
Amphitheater : 원형극장 1) 타원. 원. 혹은 반원형의 거대한 야외 극장으로, 연기 공간을 중심으로 사방이 트여 있는데 그 주위로 계단식 좌석이 위쪽으로 갈수록 높게 둥근 원을 그리며 배치되어 있음. 2) 프랑스 신고전주의 시대 극장의 좌석. 각각이 분리되어 있지 않고 모두 연결되어 있어 입장료가 저렴한 노천 좌석.
Angle perspective : 원근각 그림의 구도상, 경우에 따라서는 양쪽에서 적용할 수 있는, 두개 혹은 그 이상의 소실점. 18세기초, 페르디난도 비비에나(Ferdinando Bibiena)에 의해 소개된 것으로 추측.
Angry young men : 성난 젊은 세대 1950년대 영국 반체제 작가 군단을 칭하는 용어로, 몰락하는 대영 제국과 계급투쟁, 정치적 각성 등을 다룸.
Antagonist : 대적자 극 중에서 주인공에 대립하는 역할을 하는 주요 인물로 경우에 따라 여러명이 등장 가능.
Aposentos : 아포센토스 스페인 황금기의 극장 마당에 마련된 특별석.
Apprentice : 견습생 엘리자베드 여왕 통치기 영국 극단에서 실제 경험을 통해 연기를 배우던 젊은 연기자로 극단의 주체들은 이들에게 숙식을 제공함.
Apron : 에이프런 무대의 전면막이나 프로시니엄 앞쪽에 있는 관객석 방향으로 약간 돌출된 무대공간으로 앞무대(forestage)라고도 부름.
Archon : 아르콘 디오니소스 축제에서 공연될 작품을 심사하여 선별하는 아테네의 연극 담당 시정관.
Arena : 아레나 사방이 트여 관객석으로 둘러싸인 형태의 무대로 일명 원형극장(theater-in-the-round)이라고도 불림.
Aside : 방백 극이 진행되는 도중에 등장 인물이 관객을 향해 자신의 생각을 큰소리로 말하는 것으로 무대 위의 다른 배우들은 이를 듣지 못하는 것으로 간주됨.
Atellan farce : 아텔란 소극 로마의 극형식으로 가족 구성원을 과장되게 표현하거나 역사. 신화적 인물들을 풍자적으로 그린 즉흥 희극.
Auleum : 아울레움 로마 극장에서 사용되었던 것으로, 자유자재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기둥 위에 드리워진 전면막.
Autos sacramentales : 성찬 신비극 스페인 황금기에 공연된 종교극으로 성사극(mystery plays)과 도덕극(morality plays)의 특징이 결합된 형태의 극.
Avant-garde : 아방가르드 형식이나 내용에 있어 기존의 규범적인 관례들의 극복을 시도한 실험적이고 이단적인 특징의 연극 및 예술에 적용되는 용어.
Backdrop : 배경막 무대의 후면 또는 위쪽을 가리기 위해 사용하는 주름진 천이나 배경 그림이 그려진 천.
Backstage : 무대 뒤 전면막 뒤의 무대 공간이나 윙과 분장실을 포함하는 무대 밖의 공간.
Ballad opera : 발라드 오페라 (이탈리아의) 오페라를 희화화한 18세기 영국의 극 형식으로, 사창 부분이 없고 유행가 가락에 맞춘 노래를 부르고 하층 계급의 인물들을 등장시킴. 존 게이(John Gay)의 <거지 오페라>(The Beggar's Opera)가 가장 유명한 작품.
Benefit : 모금 공연 18세기에 시작된 연극 전통으로 하루 저녁 공연에서 거둔 수익금을 연기자나 연기단체, 극작가들에게 수여함.
Biomechanics : 생체역학 러시아의 브세벨로드 메이에르홀드가 고안한 현대 연기 이론의 한 형태. 연기자의 신체를 기계처럼 잘 훈련하여 감정이 외적으로 표현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함.
Bloking : 블로킹 무대 위에서 함께 공연하는 배우들의 위치와 무대에서의 공간 사용에 대해 연기자의 움직임을 배치하여 연습하는 것.
Bookholder : 북홀더 엘리자베드 시대 극장에서 연기 중인 배우들에게 대사를 불러 주던 사람.
Border : 보더 무대의 상부를 가리기 위해 바톤에서 무대 위를 가로질러 내려뜨린 길고 가느다란 천이나 배경 그림이 그려진 천. 또는 바튼에서 한 줄로 늘어뜨린 조명을 가리킬 때도 있음.
Boulevard theaters : 볼르바르 극장 18세기 프랑스 파리의 볼르바르 거리에 위치해 있던 극장들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곳에서는 주로 대중의 기호에 영합하는 상업연극 공연을 상연.
Box : 박스석, 칸막이 좌석 전통적인 프로시니엄 극장의 벽면에 설치된 관객석. 사적 공간에서 관람을 즐길 수 있도록 칸막이를 친 작은 방. 입장료가 비싼 관계로 주로 귀족들이나 부유층이 즐겨 사용함.
Box set : 상자형 무대 단상을 이용하여 삼면의 벽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천장도 만들어 사용한 무대장치로 상자형을 닮았다.
Breeches role : 남자역 영국의 왕정복고기와 18세기 희극에서 인기를 끈 관행으로 여성들이 맡아서 연기한 남성역할.
Bunraku : 분라쿠 일본의 인형극. 사람 크기의 2/3정도 되는 인형을 검은 복장의 사람들이 조정하는데, 관례적으로 관객들은 인형을 움직이는 사람은 보이지 않는 것으로 간주함.
Burlesque : 벌레스크 극의 형식이나 특정한 작품을 우스꽝스럽게 모방하는 행태. 풍자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나 대개의 경우 전형적인 풍자극으로 전환할 경우 지향하게 되는 도덕적이며 지적인 목적성이 결핍되어 있음. 익살 연극 또는 저속한 소극이라고 함.
Burletta : 희가극 18세기 영국의 극 형태로 희가극(comic opera)과 유사함. 법령에는 적어도 5곡 이상의 노래가 들어가야 하며 3막을 넘지 않는 형식이어야 한다고 규정됨.
Business : 몸동작 연기자들의 분명하면서도 세부적인 신체의 움직임으로, 등장 인물의 성격이나 보조 동작을 드러냄과 동시에 극의 분위기를 조성함. 예를들면 바에서 술을 따르는 행동을 하여 바텐더임을 드러내거나 권총을 권총 지갑에서 꺼내어 경찰임을 알림.
Canon : 정전 역사적 의미가 있는 중요한 작품으로 널리 인정되는 문학작품. 오늘날 일부 비평가들은 특정 집단이 정전에서 하위를 점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모든 정전이 인간의 업적을 정확하게 반영한 것은 아니라고 주장하기도 함.
Capa y espada : 까파 이 에스빠다 문자 그대로 '망토와 검'이라는 뜻. 음모에 말려들어 명예를 건 결투를 벌이는 내용의 스페인 극.
Carros : 까로스 스페인 황금기에 성찬 신비극이 상연되었던 수레무대.
Cavea : 까베아 로마 극장의 관객석.
Cazuela : 까주엘라 스페인 황금기에 극장 뒤쪽 별에 위치한 알로헤로 위쪽에 마련된 값싼 좌석 또는 함께 온 동반자가 없는 여성들이 따로 모여 있던 구역.
Chiaroscuro : 치아로스쿠로 지안바티스타 피라네시파가 주창한 빛과 그림자의 대조를 강조한 화법.
Choral odes : 합창부 그리스 고전극에서 에피소드 중간에 코러스가 부르던 노래.
Choregus : 코레구스 고대 그리스의 연극제에 공연될 개별 작가들의 작품을 제작하는데 드는 대부분의 비용을 책임지던 부유한 시민.
Chorodidaskalos : 코로디다스칼로스 고대 그리스 극에 등장하는 코러스들을 훈련시키고 리허설까지 맡아 진행시킨 인물.
Chorus : 코러스 1) 고대 그리스 극에서 노래와 춤을 맡아 하던 연기자 그룹으로 때로는 연기에 참여하기도 하지만 대개는 연기에 대한 해설에 주력함. 2) 개인보다는 그룹을 이뤄서 노래와 춤을 선보인 뮤지컬 연기자들.
City Dionysia : 디오니소스제 디오니소스 신의 명예를 기리기 위해 거행된 그리스의 가장 중요한 축제. 연극적 행위가 최초로 도입된 축제로 봄철에 아테네에서 공연됨.
Claque : 박수부대 공연에 박수갈채를 보내기 위해 고용된 관객집단으로 로마극에서 유래된 전통.
Combination company : 순회전문극단 19세기에 등장한 것으로 연기자와 무대 장치. 의상 등이 완전하게 구비되어 있는 순회공연단.
Comedia : 코메디아 스페인 황금기에 공연된 3막의 완결적인 비종교극.
Comedy : 희극 대개 가벼운 어조로 표현되는 범주의 극. 심각하지 않은 주제를 다루어 해피 앤딩의 결말을 이끌어내고 사람들을 즐거버게 하여 웃음을 유발시키는 극.
Comedie larmoyante : 최루희극 '눈물을 자아내는 희극': 18세기 프랑스에서 감상적 눈물을 유발할 의도로 만들어진 극형식.
Comedy of humors : 기질희극 17세기초 벤 존슨(Ben Jonson)이 발달시킨 희극의 형식으로 로마 희극에 그 기초를 두고 있음. 하나의 기질(humor)에 의해 지배되는 인물에 대한 조롱을 강조함.
Comedy of manners : 풍속 희극 17세기 후반에 프랑스와 왕정복고기의 영국 극작가들 사이에서 유행한 희극 형식. 교양있고 세련된 분위기, 위트 있는 대화, 매력적이거나 우스꽝스러운 인물 혹은 그 두 경우 모두 해당하여 사회적 품위에 관심을 두는 인물들을 강조.
Comic opera, opera comique : 희가극 18세기 프랑스에서 상연된 오락 공연으로 연기자들은 마임으로 연기를 하고 때로는 관객들이 부르는 노래가 대화 역할을 함. 프랑스 희가극은 후에 발라드 오페라에 더 가까운 형태로 변모.
Commedia dellarte : 코메디아 델라르테 17세기 이탈리아에서 발생한 즉흥 희극. 느슨한 시나리오 사이사이에 즉흥적인 대화가 첨가되고 극을 구성하는 일련의 고정화된 인물들은 특정한 의상을 입고 전통적인 이름으로 불림.
Companias de partes : 콤빠냐스 데 빠르테스 스페인 황금기에 배당제에 따라 조직된 연기 극단.
Complication : 분규 극의 도입부로, 세력간의 균형을 창출하고 절정에 이르는 것이 반드시 점진적으로 지연되도록 유도하는 새로운 힘을 뜻함. 이는 또한 갈등을 창출하고 위기를 촉발시키는 역할을 함.
Confidant, confidante : 콘피댄트/ 꽁삐당 주인공이 믿고 비밀을 털어놓는 친구나 유모등의 조연급 배역.
Conflict : 갈등 두 사람 사이에서 발생하는 긴장으로 극의 위기나 절정을 이끌어 냄. 기본적인 갈등을 이루는 것은 극의 저변에 깔려있는 근본적인 투쟁과 불균형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이데올로기나 행동에 대해서도 갈등이 존재할 수 있음.
Constructivism : 구성주의 2차 대전 이후 무대 디자인 분야에서 일어난 운동으로 무대 장치가 신체 연기를 위해 보다 많은 기회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창조되어야 한다는 주장. 종종 이동 램프(ramps)무대(platforms), 레벨(levels)등으로 구성되는 무대는 비현실적인 것이 특징. 러시아의 연출가인 메이에르홀드가 수많은 구성주의 무대 장치를 사용했음.
Continental seating : 대륙식/ 유럽식 좌석 배치 중앙통로가 없어 관객들이 열 끝으로 출입하는 좌석 배치 방식.
Contract system : 계약제 배우들을 정해진 월급을 주고 일정 기간 동안 고용하는 제도.
Corral : 마당극장 스페인 황금기의 극장으로 일련의 인접해 있는 가옥들의 안마당에 차린 무대를 의미함.
Crisis drama : 위기극 그리스 고전극에서 발전되어 현대 사실주의자들에 의해 인기를 얻은 극적구조로 갈등을 겪고 있는 인물들의 행위가 절정부근에서 시작되는 것이 특징. 위기극에서는 보통 등장 인물들의 수가 적고 해설 부분이 많으며 오직 한번의 주요 행위가 보여지고 장소의 변화가 거의 없으며 시간의 경과 또한 짧음.
Curtain-raiser : 맛보기 극 19세기 극장에서 본극이 상연되기 전에 무대에 올려진 짧은 극.
Cycle plays : 순환극 신비극 참조.
Cyclorama : 싸이클로라마 무대의 양옆과 뒤쪽을 가리기 위해 사용한 곡선을 이루는 커다란 막으로 무색(회색)이나 푸른색을 칠해 하늘이나 빈 공간을 표현함. 때로는 석고나 비슷한 내구력의 소재로 만들어진 영구 무대의 고정 구조물을 의미함.
Dada : 다다 세계 대전 중에 일어난 예술운동. 불합리성을 의도적으로 공개하고 전통적인 예술 가치를 공격하는데에 바탕을 둠.
Deconstructionism : 해체 역사란 권력을 가진 사람들에 의해 쓰여지고 교육되므로 권한을 부여받은 이와 부여받지 못한 이가 누구인가 하는 관점으로 분석되어야 한다는 개념에 바탕을 둔 연극사적 접근방법.
Decorum : 데코럼 이탈리아 르네상스시대에 발달한 신고전주의 원리 중 하나. 극의 등장 인물들은 사회적 계급과 배경에 기초하여 정해진 방식으로 행동이나 말을 해야한다는 개념.
Denouement : 대단원 서스펜스가 해소되고 '극의 얽힘이 풀리는'순간. 프랑스어에서 빌어 온 용어로, 잘 만들어진 극 (a well-made play)에서 문제의 해결이 이루어짐을 의미.
Desvanes : 데스바네스 '다락방': 스페인 황금기에 마당극장의 4층에 만들어진 좁고 천장이 낮은 상자형 공간.
Deux ex machina : 데우스 엑스 마키나 단어가 의미하는 바와같이 '기계에서 내려온 신'이라는 뜻. 고대 그리스 극에서 기계에 신을 태워 등장시킨 관행을 가리킴. 지금은 대개 플롯의 해결을 위해 마지막 순간에 사용하는 억지로 꾸민 강제적 극적 장치를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됨.
Director : 연출가 미국적 관행으로, 작품의 전반적인 통일성에 대한 책임을 지고 극에 기여하는 예술가들의 노력이 균형을 이루도록 조정하는 인물. 연출가는 리허설을 관장하고 배우들이 자신의 맡은 역할을 준비하도록 감독함. 미국에서 연출가가 처한 위치는 영국에서의 제작자(producer), 프랑스에서의 연출가(Metteuren scene)와 동일함.
Dithyramb : 디튀람보스 고대 그리스극에서 신이나 영웅적 인물들이 겪는 모험을 내용을 설명해주는 합창곡.
Documentary drama : 다큐멘터리극 저널리즘이나 보도의 형식을 이용하여 주제를 표현하는 20세기의 다양한 극 형태를 포함하는 용어. 1930년대에 등장한 산 신문연극(Living newspaper drama)은 광범위한 사회 문제를 다루기위해 기호들과 슬라이드 화면들을 사용함. 다른 다큐멘터리극은 보다 더 사실주의적인 접근 방법을 사용하기도 함.
Domestic drama : 가정극 부르주아극이라고도 함. 중. 하류 계급의 문제들 중에서도 특히 가족과 가정에 관련된 내용을 다룸.
Dominus : 도미누스 로마시대 연기집단의 지도자를 뜻하는 용어.
Double-entendre : 이중의미 희극에서 이중의 의미로 사용되는 단어나 문맥을 가리키는 말로 주로 두번째 의미는 성적 의미임.
Doubling : 이중역할 극속에서 한 연기자가 한가지 이상의 배역을 맡는 것. 그리스나 엘리자베드 시대의 극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연극적 관행.
Downstage : 전무대 관객석에 가까운 무대의 앞부분.
Doyen : 최고참자 프랑스의 꼬메디 프랑세즈 극장의 책임자와 최고참 배우를 의미.
Drame : 드람 보통 18섹 프랑스 중산계급의 인물을 다룬 진지한 극을 의미. 몇몇 비평가들의 주장에 따르면 가정비극, 중산층 비극, 최루 비극같은 18세기의 극 형태를 포함하는 극형식.
Drolls : 드롤 17세기 영국에서 발달했던 단막극으로 장막극의 일부를 발췌하거나 요약한 형태. 공화정 시대나 왕정복고기 초기에 상연되었던 공연.
Drop : 드롭 커다란 천 조각. 일반적으로 바튼에서 무대 바닥까지 내려뜨려진 그림이 그려진 막으로 대개의 경우 뒷배경으로 사용됨.
Eclectic : 절충주의자 하나의 특정한 예술적 경향에 국한되지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작업을 하는 극 예술가. 연극배우.
Ekkyklema : 에퀴클레마 고대 그리스극에서 인물을 무대위로 등장시키기 위해 사용한 수레로 이따금 무대 밖에서 일어난 폭력 장면의 결과물을 보여주는 수단으로 사용됨.
Elevator stage : 승강무대 무대바닥의 전체나 일부가 자동적으로 올라가거나 내려가도록 설계된 무대.
Emotional recall : 감정적 환기 배우가 실제감정을 표현할수 있도록 도와주는 스타니슬라브스키의 훈련법. 연기자는 극중 인물과 유사한 감정을 이끌어내기위해 자신의 삶속에서 겪은 구체적인 사건을 떠올려 심리적으로 유사한 분위기를 환기시킴으로써 그 감정을 느끼게 됨.
Ensemble playing : 앙상블 연기 특정배우 몇명의 개인 연기보다는 전체 연기의 예술적 조화를 강조하는 연기.
Entremeses : 엔트레메세 스페인 황금기에 희극공연의 중간 휴식 시간을 이용하여 공연된 막간극으로 희극적 묘사나 노래, 춤 등으로 구성됨.
Environmental theater : 환경연극 무대공간과 관객 배치 등의 전반적인 연극적 환경을 강조하는 극형태로 1960년대 리차드 세크너가 주창하여 실험극의 최전방을 차지함. 이극이 목적하는 바는 관객들의 공간과 무대공간 사이의 상호교감에 유연하게 접근하며, 전통적으로 하나의 중심을 유지하던 것을 여러개의 중심으로 대치시키려는데 있음.
Epic theater : 서사극 독일의 극작가인 베르톨트 브레히트(Bertolt Brecht)가 주창하고 이론화한 연극. 그 목표를 감성보다는 지성에 두고 있으므로 지적 결론에 도달할 수 있는 객관적인 방법으로 사회문제에 관련된 증거를 제시하고자 노력함.
Epilogue : 에필로그 극이 끝난 후 공연자 중에서 한명이 나와 관객에게 전달하는 긴 대사.
Episkenion : 에피스케니온 그리스 헬레니즘 극장에 구조된 스케네의 2층.
Episodic drama : 삽화극 중세에 발달하여 영국 르네상스 시기와 스페인 황금기에 특히 인기를 얻은 극 구성방식. 극의 행위가 줄거리의 초반에 시작되므로 도입부가 거의 없고 많은 수의 등장 인물이 나오며 시간과 장소, 부 줄거리가 자주 바뀌는 것이 특징임.
Existentialism : 실존주의 장-폴 사르트르가 주창한 현대철학 사상. 실존주의자라는 용어는 실존주의의 철학적 시각을 표현한 사르트르 외 다수 인물들에게 적용됨. 이 사상의 중심 주제는 인간의 삶에 있어 더이상 고정된 규범이나 가치체계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사회가 부여하는 관습에 상관없이 자신만의 행동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것.
Exodos : 엑소더스 그리스 고전극의 마지막 장면에 이르러 등장인물 모두가 무대에서 퇴장하는것.
Exposition : 도입부 극의 줄거리를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내용임에도 불구하고 무대 위에서의 연기로 포괄할 수 없는 과거의 사건이나 정보, 무대 밖의 행위 등에 대한 내용을 제시하는 부분. 해당하는 정보들은 관객들이 인물과 플롯의 이해를 위해 반드시 알려져야 하는 내용으로 그것을 말하고 전달하는 행동은 정적이기 때문에 도입부는 항상 문젯거리에 해당함. 그러므로 이 장면을 역동적으로 연출하는 방법을 찾아야 함.
Expressionism : 표현주의 1차 세계 대전 직후에 독일에서 창궐하여 꽃을 피운 연극사조. 연극에서의 표현주의는 왜곡과 종종 그로테스크하게 두드러지는 이미지들, 그리고 서정적이면서도 사실주의적인 대사들을 통해 개인의 주관적인 상태를 표현하려는 시도가 특징을 이룸.
Farce : 소극 연극의 주요 장르중 하나로 희극의 하위 장르로 분류되기도 함. 사람들을 즐겁게 하여 웃음을 유발시킬 목적으로 상연되며 주로 신체 행동이나 시각적인 효과들을 이용하여 유머를 자아냄.
Feminism : 페미니즘 연극 속에서 여성의 지위에 대한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생각에 바탕을 둔 여성 중심 연극사적 접근 방식.
Flat : 플랫 배경을 이루는 하나의 조각. 보통 일정한 크기로 제작되어 여러 개의 조각들을 결합하면 하나의 무대가 완성됨. 원래는 나무틀에 천을 팽팽하게 붙여 만들었으나 지금은 루안(Luan)과 같은 단단한 물질로 만들어 헐리우드 또는 무비 플랫(movie flat)이라고도 부름.
Fly loft/ Flies : 플라이 로프트/ 플라이즈 무대장면이 필요치 않을 때는 로프나 도르래로 올려 보이지 않도록 보관할 수 있는 무대 위쪽의 공간.
Footlights : 각광 무대나 에이프런의 가장자리를 따라 줄지어 단 조명. 예전에는 무대 조명의 주요 부분을 차지했으나 지금은 드물게 사용됨.
Found space : 발견된 공간 원래 상연을 목적으로 개작된 극을 위해 의도된 공간은 아니지만 1960년대 전위 예술가들은 종종 '발견된 공간'에서 작품을 공연함.
Fourth-wall convention : 제 4의 벽 프로시니엄 극장에서 관객은 보이지 않는 제 4의 벽을 통해 무대 공간을 들여다 보고 있다는 가정으로 18세기에 프랑스의 철학자 드니 드디로(Denis Diderot)에 의해 시작된 개념.
Futurism : 미래파 1905년 경에 이탈리아에서 시작된 예술 운동으로 기계화와 기계장치를 이상화하는 경향.
Gallery : 갤러리 전통적인 프로시니엄 극장의 벽 사이에 설치되어 있던 개별적으로 분리되어 있지 않은 값싼 좌석. 대개 박스석의 상위층임.
Gesamtkunstwerk : 총체적 예술 작품 리하르트 바그너(Richard Wagner)가 오페라같이 총체적인 예술작품을 지칭하여 사용한 용어로, 음악, 언어, 줄거리, 배경장면, 의상, 오케스트라 등의 모든 요소가 이루어내는 완벽한 하나의 예술작품을 가리킴.
Glories : 글로리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기에 사용된 기계장치로 하늘을 나는 것같은 효과를 내는 데 사용함.
Gradas : 그라다스 스페인 황금기에 마당 극장의 파티오라는 양쪽 벽면을 따라 설치되어 있던 노천식 좌석.
Groove system : 그루브 시스템 무대바닥과 무대의 위쪽에 걸쳐 홈장치를 하여 그 홈을 통해 양쪽이 윙이 부드럽게 무대의 안팎으로 이동될 수 있음. 대개 각각의 무대장소에는 연속적인 홈이 나 있음. 이 장치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에 발달하여 19세기 영구, 미국, 네덜란드 등에서 이요됨.
Groundlings : 하등석 관객 엘리자베드 시대에 극장 마당에 서서 공연을 관람하던 관객들을 지칭.
Harartia : 하마르티아 보통 '비극적 결함'으로 번역되는 고대 그리스 용어. 그러나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어긋난 예상/ 빗나간 과녁'이라는 뜻으로 몇몇 학자들은 인물이 지닌 성격적 결함에서 비롯되는 것이라기보다는 주인공의 판단의 실수에서 비롯되는 것이라고 주장함.
Hanamichi : 하나미치 가부키에서 배우들이 무대 위로 등장할 때 이용하는 다리. 무대에서 볼때 왼쪽 자리에 앉은 관객들의 뒤쪽에 놓여 있는데 중요한 장면일 경우 이 다리위에서 연출되기도 함.
Happenings : 해프닝 1960년대 미국의 일부 추상 예술가들이 행한 실험에서 발달한 극적 이벤트. 해프닝은 비문학적인 행위로 대본이 우연한 사건들을 포함시킨 시나리오로 바뀜. 해프닝은 공원이나 거리의 모퉁이 같은 장소에서 공연됨.
Hashigakari : 하시가카리 노극에 등장하는 다리로, 배우들은 분장실에서 나와 그 다리를 통해 무대위로 등장함.
Heavens : 헤븐 섀도우(shadows)라고도 부름. 영국 르네상스 시대 공공 극장의 무대를 보호하기 위해 설치한 지붕. 단어가 의미하는대로 하늘을 표현하기 위해 그 안쪽에 색을 칠하기도 함.
Hireling : 하이어링 엘리자베드 시대에 고정급을 받았던 극단의 단원.
History play : 역사극 넓게는 역사적 환경에 처한 역사적 인물을 다룬 극을 의미. 그러나 이 용어는 대개 공공의 복리나 주요 문제를 다루는 민족극에 적용됨.
Householders : 하우스홀더 영국의 엘리자베드 시대에 극장의 공동 소유권을 가지고 있던 스타급 연기자 또는 극장의 소유주로 그 극장을 배우들에게 임대해 주는 사람을 지칭.
Hubris : 휴브리스 '극단적 오만'이란 뜻의 고대 그리스 용어로 '비극적 결함'과 유사한 의미.
Hypokrite : 히포크리테 그리스 용어로 '배우'라는 의미.
Innamorata : 이나모라타 코메디아 델라르테에 등장하는 고정인물로 연인 중 여성에 해당하는 역할.
Innamorato : 이나모라토 코메디아 델라르테에 등장하는 고정인물로 연인 중 남성에 해당하는 역할.
Inner stage : 안무대 커튼이나 출입문, 배경 등으로 가려져 있는 무대 뒤의 안쪽 공간.
Interludes : 인터루드/ 막간극 중세 영국에서 보통 연회 중간에 공연되던 짧은 극 형식의 작품.
Intermezzi : 인테르메찌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오페라와 더불어 원작 그대로 상연되던 극의 막간에 연출된 여흥을 의미하는 용어.
Irony : 아이러니 기대하던 것과 반대되는 상황 또는 그 안에 의도적으로 함축된 의미가 문자 그대로의 뜻과 반대되는 표현을 가리킴. 아이러니는 특히 연극에 적합한 장치로 사실상 모든 극에서 찾아볼 수 있음.
Joruri : 조루리 일본 인형극에서 노래로 전달되는 내용 부분.
Kabuki : 가부키 가장 절충적이면서도 극적인 일본의 주요 극 형식. 고도의 극적이며 비사실적인 양식을 빌어 모든 역할이 남성에 의해 연기됨. 가부키는 음악과 무용 그리고 색과 동작에 강조가 주어진 극 장면으로 조합됨. 길이가 길고 에피소드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종종 독립적으로 연기되는 극적 장면들이 느슨하게 연결되어 구성됨.
Kathakali : 카타칼리 인도 남서부의 춤극 형식. 횃불을 사용하여 공연하며 내용은 선과 악의 결돌을 다룸.
Katharsis : 카타르시스 아리스토텔레스가 비극을 정의하면서 사용한 용어로 '정화'라는 의미. 즉 무대 위에서 전개되는 주인공의 비극적인 운명을 통해 관객의 감정이 대리로 정화됨을 말함.
Kothornus : 코토르누스 그리스 헬레니즘 시대의 극에서 배우들이 신었던 무대용 긴 장화.
Kyogen : 교겐 노극 중 막간에 공연되는 소극적인 여흥.
Lazzi : 라찌 코메디아 델라르테에서 등장인물들이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희극적인 몸짓들.
Lehrstucke : 교육극 '교육극(교훈극)': 1930년대 초에 베르토트 브레히트에 의해 쓰여진 짧은 극.
Liturgical drama : 전례극 보통 노래나 영창으로 표현되는 모든 종교극을 의미하는 것으로 성경의 내용과 연관성이 있으며 교회 안의 성소에서 라틴어로 공연되는 것이 특징. 중세 시대에 매우 발달한 형식.
Living newspapers : 산 신문 1930년대의 연방 연극 계획으로, 뉴스가 될 만한 사건들을 극화한 것.
Local color : 지방색 관객들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그들이 속한 사회 구성체의 지역적인 장면을 극 속에 삽입하는 것. 무대 장치에 지방색을 가미하는 것은 18세기에 이르러 더욱 일반화된 경향.
Loges : 로제스 프랑스 신고전주의 극장에 마련된 칸막이 좌석.
Long run : 롱런 영리의 추구가 목적인 극장에서 한 작품을 인기를 끄는 만큼 장기간에 걸쳐 상연하는 것을 일컬음. 19세기 미국과 영국의 극장에서는 레퍼토리로 대치됨.
Lords' rooms : 귀빈좌석 영국 르네상스 극에서 부유한 후원자들이 자주 앉았던 박스형 고급 좌석.
Ludi Romani : 루디 로마니 축제 주피터를 기리기위한 로마의 축제로 이를 계기로 연극이 최초로 소개됨.
Lunetas : 루네따스 스페인 황금기의 후기에 파티오 앞에 반원형으로 배치되어 있던 벤치 좌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