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옻나무는 옻나무과의 낙엽교목으로 원산지는 중국이며 원래 사람의 손길로 재배하던 나무였으나 야생목으로 변화했습니다. 학명은 'Rhus vemiciflua'. 옻나무 껍질에 상처를 내면 나오는 진(일명 '옻')이나 잎에 스치기만 해도 심한 가려움증을 느끼는 옻 알레르기도 있습니다.
옻 나무과의 식물은 세계적으로 약 70속, 600여종 정도가 있으나 이 중 옻을 채취하는 수종은 겨우 몇 종에 불과하며 이런 약이 되는 종들은 동양에 거의 생육하고 있으므로 동양의 특산수종이라고도 한다. 옻나무는 우리나라의 기후풍토에 적합하여 함경북도를 제외한 전국에 걸쳐 분포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옻나무, 개옻나무, 덩굴옻나무, 붉나무, 검양옻나무 및 산검양옻나무 등의 6종이 생육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국으로부터 도입된 낙엽 활엽소교목으로 수고 12m, 직경 40cm까지 크며 우리나라에서는 강원도 원주지역에 재배흔적이 가장 많고 현재 옻나무 재배량에서도 원주지역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옻나무는 일반적으로 휴경지, 밭두둑 같은 하천제방 또는 산기슭부위에 잘 자라는 나무로서 현재는 밭에 군집재배를 하는 경우도 많다.
옻나무의 줄기는 곧게 올라가며 잎은 기이하게 생겼으며 가시가 나있고 여러 잎이 하나의 잎으로 공생하고 잎의 끝과 끝을 포함하여 25∼40cm정도이다. 작은 잎은 7∼20cm, 너비 3∼6cm의 알 모양 또는 둥근 알 모양으로 9∼13개이다.꽃은 암,수로서 연한 녹황색으로 피며 뾰족하며 둥근 모양으로 꽃이 피며 밑으로 쳐지고 길이 15∼25cm이다. 열매는 지름 6∼8mm의 편구형 열매로 10월에 연한 황색으로 익는다.
옻나무의 수액을 옻이라 하는데, 옻은 칠공예 및 산업용의 천연도료로 이용되고 있으며 한방에서는 구충, 복통, 통경, 변비, 어혈, 여인 경맥불통에 건칠을 이용해 왔다.
옻나무 재배의 역사는 확실하지 않으나 중국 고서의 칠공서(명:황대성 저, 1625년)인 휴식록 서문에 의하면 처음에는 옻을 이용하여 죽간에 글을 썼으며, 舜시대에는 식기에 옻을 칠했고, 禹시대에 이르러서는 제기에 흑칠과 주칠을 사용하였다는 사실로 볼 때 매우 오랜 시대부터라고 할 수 있다. 또한 16세기에 이시진이 저술한 『본초강목』에 의하면 옻나무는 6∼9m정도로 자라며, 수피가 백색이고, 잎은 참죽나무와 비슷하며, 꽃은 느티나무와 유사하고, 목심은 황색이며 종자로 재배한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이것이 옻나무에 대하여 기록된 가장 오랜 고서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인간이 옻을 이용한 역사에 비추어 볼 때 옻나무 재배는 4,000년이상의 역사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루시올의 화학구조는 벤젠환에 2개의 수산기를 갖는 카테콜(catechol)화합물에 탄소수 15개인 긴 지방산을 곁가지(R)가 결합된 것이다. 곁가지에 있는 이중결합의 수와 결합형태에 따라 다양한 우루시올 유도체가 존재한다. 한국. 중국. 일본에 자생하는 옻나무 수액에는 우루시올이 주성분이자만, 타이완과 베트남의 옻나무에는 카테콜에 탄소수 17개의 곁가지가 결합한 라콜(laccol)이 주성분이며, 태국과 미얀마의 옻나무 수액에는 탄소수 17개의 곁가지가 우루시올과 라콜과는 달리 다른 위치에 결합하는 팃시올(thitsiol)이 보고 되어 있다.
옻나무 자생지에 따라 주성분의 구조가 약간씩 다르다. 우리 나라와는 달리 태국과 버어마의 카테콜은, 포이죤 아이비(poison ivy), 포이죤 오크(poison oak),포이죤 수맥(poison sumac) 등 여러 가지 나무에 공통적으로 들어 있는 카테콜(catechols)이 원인 물질로서 병변은 일직선으로 잘 나타나는데 접촉 부위에 물집이 생겨 가렵고 벌게지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병변이 번지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시간이 어느 정도 경과하여 피부 중심에 자극이 직접 전달돼야 발진이 나타난다. 옻나무에 직접 접촉했던 부위가 접촉이 적었던 부위보다 증상이 심하게 나타난다.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의 옻나무의 수액또는 생칠에는 우루시올(59.5%), 고무질(7.1%), 질소를 함유한 화합물(2.6%), 물(30.8%)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로부터 수분을 적당히 재거한 정재 칠에는 우루시올(84.4%), 고무질(8.9%), 질소를 함유한 화합물(3.5%), 물(3.2%)로 구성되어 있다.
동양에서는 옛부터 옻이 식용과 약용으로 되어 왔고 어혈제거, 구충, 위장질환, 여의 생리불순 등 민간요법에 이를 이용하는 처방이 전래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여름철 보신용으로 옻나무의 수피와 가지를 옻닭, 옻오리 등에 식용하고 있다. 최근에 이루어진 연구결과를 보면 옻칠액의 주성분이며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옻산성분이 강한 항암, 항산화 및 항균활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옻나무의 수피 및 목부에서 추출된 flavonoids성분이 혈관형성 억제작용을 나타내어 암세포의 증식 및 전이를 억제하고 암세포를 정상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는 항암효과가 확인되었고 또한 항산화, 숙취해소 및 위염억제효과도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칠액이 固化된 것을 분쇄하여 분말로 만든 것을 乾漆이라 하는데 한방 및 민간에서는 혈액촉진, 위산과다, 생리통, 어혈제거, 펀도선염, 구충제로 쓰인다.
| ||
- |
산가증(산후통)을 낫게한다. 소장(小腸 )을 잘 통하게하고 회충을 없애며 뜬뜬한 적(積 )을 헤치고 혈훈을 낫게하며 3충을 죽인다. 전신노채(전염성 결핵)에도 쓴다.
| |
- |
9가지 가슴앓이와 어혈로 가슴이 아픈것을 치료한다.
|
옻의 효능에 대한 연구와 실험은 끊임 없이 진행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밝혀진 옻의 뛰어난 효능은 아래와 같다. | |
1. | 위암을 포함한 복강내의 종양성 질환, 즉, 위암, 난소나 자궁의 종양등 |
2. | 냉증이 심하거나 월경불순일때 |
3. | 술로부터 간을 보호하고 간의 해독작용 |
4. | 남성들의 강장제 (스테미나 강화) |
5. | 옻의 주성분인 우루시울의 항암작용 (기존 암 치료약 효능의 10배) |
6. | 뼈에 영양분을 주어 골수염, 관절염에 효능 |
7. | 심장병, 결핵, 신경통, 간병, 늑막염, 간경화 |
8. | 소화불량, 위염, 위궤양, 위암 |
9. | 담당결석이나 신장, 방광결석 |
식용법 | |
옻의 독을 가열하여 탄화 시킨후 약용을 해야만 독성도 줄고 위장에 손상이 없는데 이것을 닭에다 같이 넣어서 복용하는 방법이 옻닭이다. 달걀 흰자만 같이 써도 옻을 탈 위험이 적기 때문에 옻닭은 옻을 먹는 가장 이상적인 방법이다. 옻닭 외에도 오리, 개, 염소와 함께 요리 해 먹으면 탁월한 효과가 있다. |
1.위장질환
마른 옻나무껍질 5근+맥아초(麥芽炒)3근+신곡초(神曲炒)3근+ 공사인초(貢砂仁炒)2근+백출(白朮)2근+금은화(金銀花)2근+ 산사육(山査肉)2근+인삼(人蔘)2근+계내금초(鷄內金炒)1근+ 원감초포(元甘草暑)1/2근+건강포(乾薑暑)1/2근+경포부자(京暑附子) 5냥+개나 염소를 넣고 달임 →달인 약재에 엿기름을 첨가하여 장복함(脾·胃암은 초기증세에 한하여 복용함)
2. 신장및 방광
오리 1마리를 털과 창자속의 물질만 제거하고 오래 달여 식힌 다음 기름을 걷어내어 더운물을 더 붓는다. 여기에 마른 옻껍질 1.5근+ 다슬기1되+이근피(李根皮)1.5근을 넣고 오래 달여서 건더기를 짜서 버리고 국물만 복용함
3. 각종 늑막염
털과 창자속의 이물질만을 제거한 집오리 1마리를 삶아서 식힌 뒤기름을 걷어내고 금은화(金銀花)1.5근+마른옻껍질 1근+법제된 지네 300마리를 넣고 오래 달여서 자주 복용 (관절염, 골수염, 골수암에도 복용)
*지네의 법제(독제거):생강 2근을 씻어서 가늘게 썰어 프라이팬 위에 펴고 그 위에 지제 300마리를 올려 놓은 다음 뚜껑을 덮어 생강이 타서 연기가 나도록 푹 찐다.
4. 심장
토종닭 1마리+옻껍질 1근을 달여서 조금씩 자주 복용
5. 절골
골수염이나 골수암 수술시 팔,다리절단하거나 갈비뼈를 절단했을 경우
집오리 1마리+옻나무껍질 1근+금은화 1근+지네 300마리를 넣고 달여
장기간 복용
6. 신장염
집오리 1마리+옻나무껍질 1근+상백피(桑白皮) 1근+금은화 1근+ 이팥(小赤豆) 1되를 넣고 푹
삶아서 복용
7. 정력
옻이 정력에는 참 좋다고 한다.
보신 음식의 대표 격인 닭과 같이 이용하면 정력을 높이는데 훨씬 효과가 있다.
닭의 내장을 제거하고 뱃속에 새끼손가락 크기의 옻 나무 껍질을 100g정도 넣어 삼계탕 끓이듯이 끓여 먹게 되면 강장, 강정 효과가 크다. 또 손발이 차고 월경이 불규칙한 여성들에게도 좋다. 단, 독한 성분이 있으므로 알레르기성 체질인 사람은 먹지 않는 것이 좋다.
8. 담석증
◎ 칠계 : 담석증으로 견디기 어려울 정도의 복통과 통증이 심했는데 닭 내장을 제거하고 그 속에 옻껍질 한 묶음을 넣고 삶아서 복용하고 통증이 멎고 완치됨(체험자 다수)
◎ 칠란 : 생칠에 계란 10개를 깨어 물을 넣고 삶아 먹는 것이다.
한국의 참옻나무는 보물중의 하나이다. 뛰어난 암약제이며 제병에 두루 쓰인다. 암을 고친다면 벌써 다른 염증이나 암에 못미치는 질병등을 쉽게 고친다고 봐도 된다. 한편 옻껍질은 뛰어난 약성뿐만 아니라 무서운 독성을 함께 지닌 약재이므로 확실히 알고 쓰야 한다.
중요한 사항을 간단히 요약하면 옻껍질은 혈액형 B형(소음인)의 약이다.(AB형 중에 B형에 가까운 사람포함) O형은 효과도 적고 위험성이 높다. A형은 별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장기간 복용해도 미미한 정도의 효과밖에 없다. 그리고 옻껍질에 내재된 독이 무섭지만 개나 오리나 닭이나 염소 등 동물성 기름과는 중화되므로 이런 동물들과 함께 달여먹어야 한다.
이것은 일종의 참옻의 법제이다. 하동, 여수, 광양 지역 사람들 중에 계란에 옻진을 먹는 경우를 여러차례 들어봤지만 위험천만한 짓이다. B형도 옻이 오르는 경우가 왕왕 있는데 옻이 오르면 온 몸에 이상이 나타날 수 있다. 얼굴이 흉직스럽게 변해보이고 사타구니 같은 곳이 무척 건지럽게 된다.
그리고 옻을 복용하는 동안 피주사(수혈)를 절대 맞지 말아야 하며 상처부위에 옻국물이 닿아도 위험하다. 5시간 이내 절명할 수 있다고 한다.
1. 명태요법(추천)
옻이 심하게 오르지 않으면 녹반이나 백반을 풀어서 바르면 되지만 좀 심하게 탄다고 판단되면
동해산 마른 명태 5마리를 머리와 몸통 전체를 함께 푹 고아 국물과 건데기를 모두 먹으면 5일 전후해서 완전히 풀린다.
예) 일부인이 남편따라 옻닭 먹어러 갔다가 부인도 얻어 먹었는데,항문 주위와 질이 가려워서 긁었으니 형편무인지경이 되었을 것이다. 가렵고 따갑고 쓰라려서 죽을 지경이었는데 명태 10마리를
달여서 먹고는 나앗다. 처음 한 마리를 먹었더니 훨씬 덜하였다고 한다. 옻이 위험하게 오를 경우에만 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북어는 약효마저 해독 시켜버리기 때문이다.
그래서 탕약을 복용할 때 돼지고기와 더불어 명태도 금기음식이 된다.
2. 개고기나 닭고기를 오래도록 고아 진하게 달여 국물을 환부에 바른다.
하루에 몇차례 발라준다.
3. 참나무 껍질을 오래 달여 그 물을 환부에 바른다.
4. 간장(조선간장)을 달여 환부에 발라준다.
5. 쌀을 입으로 십어 환부에 바른다.
6. 백반을 물에타서 환부에 바른다.
7. 뜨거운(80∼90도) 물에 밤잎을 담가 두었다가 물이 40도가 되었을 때 목욕을 한다,
온몸을 밤나무 잎으로 문지른다.
8. 메밀대를 잘게 썰어 물을 충분히 부은 가마솥에 넣고 끓여서 식힌 후 건더기째 온몸을 문지르듯 골고루 닦아낸다. 몇번 반복한다.
9. 옻을 많이타는 사람은 밤나무잎을 말려 차로 6개월정도 장복한다. 이듬해 부터는 옻이 오르지
않는 다. 머리 염색시 옻을 타는 사람도 좋다.
10.옻타는 사람은 밤나무 껍질을 벗겨 달여서 바르면 낫고, 또는 바다게를 삶아서 물을 마시고 옻
오른데 바르면 낫는다. 또는 논밭두렁에서 자생하는 뱀딸기 풀뿌리를 캐서 진하게 달여 바르면 낫는다.
첫댓글 좋은 정보 감사. 지난번 인도 갔다가 토사곽란만나서 귀국후에도 고생했다. 부산팀 모임에서 락천이 권한 옻삼계탕 먹은후 거짖말처럼 뱃속이 편안해 지더라. 인도 대리고 갔던 학생들 모두 보내 옻삼계탕 먹였더니 모두 좋더라 한다. 서면 영광도서 맞은 편 그집.
우리 아파트 바로 앞집이 옻칠한 칠기가구상이었다. 수년 전부터 외제 가구로 바꾸었다. 이제 옻칠은 역사 속으로 자취를 감추는 모양.
조선때 모 부자가 부인 장례에 옻칠한 관을 썼다. 단지 부인에 대한 사랑이었는데, 그것이 문제가 되었다. 옻칠한 관은 왕족만 사용할 수 있다는 법이 어딘가에 있다며 부자를 압박해 갔다. 부자는 그 압박을 벗어나기 위해 많은 돈을 각 요로에 지불했다. 관료들은 신나게 뜯어먹었다. 그 후 부자는 가진 돈을 자손에게 남기지 않고 전부 없엔다음 자손들에게도 빈손으로 깊은 시골로 가서 숨어 살라고 명했다. 남은 게 있을거라면서 따라와서 뺏어려는 자가 있겠기 때문. 그 부자의 얘기는 박지원의 열하일기와 옥갑야화에 잠시 나온다.실존인물.
어쩜 이렇게 아는 것도 많은지 ^0^ !!
지금 가능한한 많은 댓글 달자는 작전을 구사중입니다. 그리하면 좀 많은 친구들이 나올지도 모른다는 생각, 더위에 위안받으러 왔다가 그래도 몇자 보고 가도록 하겠다는 생각, 구경만 하고 한번도 글쓰지 않는 친구들에 대한 미움을 지우자는 생각 등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