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iffener(스티프너)
기둥과 보의 접합부위에 국부 좌굴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보강재로서 수직스티프너와 수평 스티프너가 있음.
- 수평스티프너 : 기둥과 보 등이 접합되는 부위의 기둥내부에
보 Flange의 연직선상으로 상․하로 보강
- 수직스티프너 : 기둥과 보의 접합을 위해 연결용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경우, 플레이트 반대편에 수직으로 보강
※ 스티프너 시공 개념도
*. Scallop (모따기)
부재 용접시 이음 및 접합부위의 용접선이 교차되어, 재용접된 부위가 열영향을 받아 취약해지므로 모재에 부채꼴 모양의 모따기를 한것.(Scallop의 반지름은 30㎜를 표준으로 한다)
※ 부재와 부재의 접합(기둥과 보, 보끼리의 이음)은 대부분 고력볼트로
체결되므로 H-형강내의 스티프너 시공부위에 주로 사용됨.
(공장에서 용접후 반입)
□ 접합부 예시 1.
<단 면> <입 면>

그림설명
․기둥(C2)과 Girder(G1)의 접합은 핀접합(6개의 고력볼트로 웨브접합)
․기둥(C2)과 Girder(G1)의 연결을 위하여 기둥에 수직으로 플레이트설치(가능한 공장용접 유도)
․국부 좌굴방지를 위해 기둥내부에 스티프너 보강
□ 접합부 예시 2.
<단 면> <입 면>
그림설명
․기둥(C2)과 Beam(B1)의 접합은 핀접합(4개의 고력볼트로 웨브접합)
․기둥(C2)과 Beam(B1)의 연결을 위하여 기둥에 수직으로 플레이트설치(가능한 공장용접 유도)
․기둥 플랜지의 국부좌굴 방지를 위하여 수평스티프너 보강
□ 시공방법 예시
<평 면>
<입 면>
"상세 A" "상세 B"
․벽측에 고정하는 SET ANCHOR는 @300으로 시공 [그림②]
․벽측의 시공오차 흡수, 신축/팽창 대응을 위하여 THK5 고무판 시공
․측벽 및 코아벽과 접하는 보 또는 중도리는 벽측에 20㎜공간을 두고 설치함.
*.Bracing 시공
<개념도>
□ 시공방법
․중도리(purlin)의 설치간격은 @600으로 균등하게 설치
․Bracing의 위치는 Girder에 설치하며, Bracing이 설치되는 부위의 플레이트판(125×100×3.2)은 연속 모살용접으로 가능한 공장에서 용접 후 반입
․Bracing rod의 규격은 ψ16으로 하며, 기타 접합부 세부사항은 공통도를 참조.
*.부재규격 표시 및 용접기호 설명
(1) 부재의 규격 표시방법(예시)

(2) 용접기호 설명

※.지붕 철골공사의 기호설명 예시



<

<목두께 및 용접치수> <단속용접 피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