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척추압박골절에 경피적추체성형술 “별효과없어” |
척추압박골절에 실시하는 경피적 추체성형술(경피적 골시멘트주입요법)이 별 효과를 주지 못한다고 호주와 미국 공동연구팀이 BMJ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호주와 미국에서 실시된 척추압박골절에 대한 경피적 추체성형술과 위약 처치의 무작위 비교시험(RCT) 총 2건의 데이터를 합쳐 경피적 추체성형술의 효과를 검토했다.
분석대상은 RCT 피험자 209명 가운데 6주 이내 발병해 통증을 호소하는 57명과 심한 통증(0~10점의 통증 범위에서 8점 이상)을 호소하는 99명, 총 156명이었.
주요 엔드포인트는 1개월 후 통증과 23개 항목의 수정 Roland-Morris장애질문표에 근거한 기능변화로 정했다.
메타분석 결과, 1개월 후 양쪽 군의 통증과 기능의 평균 점수 변화의 차이는 최근 발병한 군에서 각각 0.1과 0.2, 심한 통증을 가진 군에서 0.3과 1.4로 모두 유의차는 없었다. 1개월 후 오피오이드(마약성진통제) 사용은 추체성형술군이 더 많았다.
추체성형술 효과에 의문 | |||||||||||
골다공증성 척추압박골절동통·기능개선에 차이없어 | |||||||||||
| |||||||||||
미국·미네소타주 로체스터-메이요 클리닉 방사선의학과 신경외과학 데이빗 칼메스(David F. Kallmes) 박사는 척추압박골절로 인한 동통완화와 동통 관련 기능부전의 개선은 추체성형술을 받은 환자나 시멘트를 주입하지 않은 모의 추체성형술을 받은 환자나 모두 같다고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에 발표했다. 추체성형술은 널리 이용되는 수기로서 의료용 시멘트를 척추에 넣어 골다공증성 골절환자의 통증완화와 기능개선에 목적을 두고 있다. 미국립보건원(NIH)이 지원한 이 시험은 이중맹검시험 디자인을 이용해 추체성형술의 효과를 조사한 것으로 관련 시험으로는 처음이다. 대표연구자인 칼메스 박사는 “의학계는 오랫동안 추체성형술을 실시해 왔지만 치료 효과가 시멘트 주입에 있는지 환자의 기대와 기타 요인 때문인지를 증명한 연구결과는 없었다”고 지적했다. 박사는 또 “시멘트는 영구적인 의료용 임플란트로서 향후 척추골절이 재발할 위험이 있다”고도 설명했다. 미국, 영국, 호주의 8개 의료센터 연구자가 총 131명의 환자를 시험에 등록하고 추체성형술군(68명)과 대조군(63명)으로 나누었다. 치료시작 전의 동통과 기능의 특성에 대해서는 양쪽군에 차이가 없었다. 치료기간 중 양쪽군에서 비슷하게 기능 및 동통이 개선됐다. 추적조사는 지금도 계속되고 있으며 조만간 결과가 보고될 예정이다. 박사는 “추체성형술에 전혀 효과가 없다는 것은 아니다. 효과는 분명히 있다. 그러나 시멘트 주입의 유무에 관계없이 양쪽군 모두 시술 후 1개월에 통증과 기능이 크게 개선됐다. 이는 국소마취와 진정제, 환자의 기대, 기타 요인 덕분일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하고 “환자는 치료 선택지를 결정하기 전에 의학적인 어드바이스를 의료관계자와 상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사에 따르면 메이요클리닉에서는 관련 연구 프로젝트가 일부 진행 중이며 그 중에는 풍선을 이용해 시멘트 주입 공간을 메우는 풍선 추체성형술(kyphoplasty)의 연구와 동통에 대한 국소마취 효과를 측정하는 비맹검시험 등이 있다. | |||||||||||
골다공증성 척추압박골절,
비수술 보존적치료
스피노메드는 독일의학박사 미내애 교수님이 개발, 유럽DVO 의사협회 추천 제품입니다
▶ 골다공증으로 인한 흉·요추 부위 골절
▶ 연소자의 척추 후만 변형
▶ 과척추후만증으로 인한 지속적인 척추 고통
▶ 흉·요추 부위의 척추압박골절
▶ 골다공증 척추압박골절 통증시술(Kyphoplasty(KP), vertebroplasty(VP) 이 후
▶ 보존적 치료
스피노메드는 치료와 재활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그 역할을 치료재료에 삽입된 부목과 스트랩 시스템을 통해 적용시킬 수 있습니다.
작은 충격에도 뼈가 쉽게 부러질 수 있는 골다공증 환자의 경우 무리한 힘을 주어 자세를 강제로 펴게 할 경우 오히려 더 위험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보조기는 장기적 착용이 어렵습니다.
스피노메드는 압박·고정 보조기가 아닙니다.
스피노메드는 환자의 움직임 개선에 도움을 주는 치료재료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움직임이란 환자 스스로가 자세를 개선하는 바이오피드백의 반복운동을 말합니다. 치료재료의 스트랩 시스템은 골다공증의 특성상 중력이 전방으로 쏠리면서 올 수 있는 후만증을 사전에 방지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내부에 삽입된 부목은 스스로가 자세를 개선하는 반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도와 골절부위를 짓누르는 하중을 덜어줍니다. 그렇기 때문에 땅에 발을 디딜 수 있는 정도만 되어도, 화장실을 갈 수 있는 상태만 되어도 보행과 활동을 하도록 권유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강화된 Back Muscle을 통해 환자의 움직임은 점차 개선되고, 통증은 점차 감소하게 됩니다.
스피노메드는 독일의 두 의학 박사(Dr. Michael Pfeifer, Prof. Helmut W. Minne)가 직접 연구·개발하여 독일 메디라는 의료기기 회사에 의뢰를 통해 만든 치료재료입니다.
두 박사님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하자면, 골다공증분야의 전문가로 내분비내과 교수,골대사학과 의학박사 이십니다. EFFO(European Foundation for Osteoporosis), IOF(International Osteoporosis Foundation)의 창립멤버로 현재까지 각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 하고 계십니다. 두 분은 골다공증 척추골절에 있어 스피노메드의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해 연구논문을 진행하였습니다. 그 논문에 관한 내용은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tion에 상세히 기록되어 있습니다. 독일을 비롯한 전 세계 100여 개국에는 이미 공급이 되고 있는 치료재료이며 우리나라의 경우 2014년도부터 공급 중에 있습니다.
기존 TLSO 제품의 문제점
플라스틱재질의 맞춤형 TLSO MEDI 4C Flex(독일산)
기존제품(TLSO)의 문제점 1. FITTING(몸에 맞지 않음)
기존 시장에 나와 있는 TLSO는 맞춤제작이라고 해도 몸에 잘 맞지 않는 경우가 많고 설령 처음에는 잘 맞았던 TLSO도 환자의 체중이 감소하면 유격이 너무 커져 겉돌게 됩니다. 반대로 체중이 증가했을 때는 호흡이 더 곤란해지고 소화장애를 가져오는 등 착용에 대한 거부감을 줍니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환자는 TLSO를 빨리 벗어버리고 싶은 충동이 생깁니다.
하지만 스파인(척추)의 안정이 필요한 시기라면 착용할 것을 권하게 되고 이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욕구대로행동한 환자들은 재골절이나 Back pain으로 인해 결국 TLSO를 신뢰하지 않게 됩니다.
기존제품(TLSO)의 문제점- 2. COMPRESSION(압박)
뼈는 쓰지 않으면 약해집니다. 꼼짝하지 않고 침대에만 누워있으면 매월 5%만큼 골 손실이 유발됩니다.
골의 형성에는 물리적인 필요하기 때문에 근육을 움직여서 골의 무게를 주는 운동이 바람직합니다.
하지만, 기존의 TLSO의 몸통 전체를 압박하는 방식 자체가 척추부터 복부까지 강한 압박과 불필요한 부분까지 모두 묶어 고정압박을 하다 보니 척추기립근 뿐만 아니라 기타 복부근육까지 근육량 소실로 이어지게 됩니다. 묶어놓는 방식자체가 환자가 운동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주지 못하기 때문에 Back pain이 오게 되고 행동이 자유롭지 못하다보니 환자 스스로가 자꾸 침대에만 누워서 의존하게 되고 이러한 악순환의 고리를 끊지 못하게 됩니다. 그러나 계속 TLSO를 병원에서 처방하게 되는 이유는 사실 TLSO가 주(主)였고 여태까지 TLSO를 대체할만한 그리고 TLSO의 형태보다 더 발전된 치료재료가 없었습니다.
스피노메드가 TLSO인가?
그럼 이 스피노메드가 TLSO인가?라는 질문을 하시는데 정확히 말씀드리면 TLSO는 아닙니다. TLSO와 비교할 수 있는 치료재료는 저희 회사에서도 공급하고 있는데 굳이 비교한다면 Medi 4C Flex (독일산 TLSO)라고 하는 제품이 있습니다. 스피노메드는 기존에 없던 신의료 기술입니다. 골다공증 척추압박골절이나 카이포시스 환자에게 적용되는 치료재료입니다. 스피노메드는 앞서 말씀드린 현존하는 TLSO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전혀 다른 원리로 새롭게 만든 것이지 엄밀하게 말씀드리면 TLSO는 아닙니다.
스피노메드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 통증감소입니다.
골다공증에 의해 압박골절된 척추뼈는 찌그러지고 가라앉기 때문에 흉추의 후만 변형이 진행됨에 따라 등이 굽어지게 됩니다. 신체의 하중이 골절부위를 짓누르고 있어 극심한 통증을 유발하기도 하며 보행활동에 제한을 주기도 합니다. 스피노메드 스트랩과 내부에 삽입된 알루미늄 척추부목이 자세를 일으킬 수 있도록 도움을 줍니다. 이로 인해 골절부위에 하중이 쏠리는 현상을 잡아주게 됩니다.
스피노메드 작용원리 및 특징
(압박 해결 -> 바이오피드백 원리)
스피노메드 바이오피드백 트레이닝은 환자 스스로가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척추기립근을 운동시켜 주고 척추를 견고하게 잡아주어 더 이상의 카이포시스(척추후만증)가 진전되지 않도록 예방해 줍니다. 이러한 원리는 기존의 불필요한 압박으로 인하여 발생되었던 호흡·소화 장애, 또 척추 주변 근육량의 감소 등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합니다.
(백패드에 삽입된 척추부목)
이 알루미늄 특수 부목은 환자 개개인의 척추모양에 맞게 성형 및 재성형이 가능하도록
제작되었습니다. 구부리고 펼 수 있다고 해서 쉽게 형태가 변하지는 않습니다.
(이 부목은 국내 생산이 현재로서는 불가능합니다)
(스트랩시스템)
스피노메드에는 스트랩시스템이 적용되었습니다. 이는 골다공증 척추압박골절 후 올 수 있는 후만증을 사전에 차단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줍니다. 후만증으로 인해 앞으로 중력이 쏠리는 현상을 어깨스트랩을 통해 잡아주게 되고 이는 골절부위를 짓눌리는 하중을 덜어주게 되어 통증감소효과를 가져 오게 됩니다.
스피노메드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 통증감소입니다. 이는 하중을 분산시켜주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어깨스트랩은 환자가 무의식중에 허리를 숙이는 동작을 취하게 될 때, 올바른 자세를 취하도록 어깨와 골반에 부드럽게 자극을 줍니다. 이를 통한 반사작용으로 환자는 올바른 자세를 취하게 됩니다.
(Fitting의 유연함)
스피노메드의 가장 큰 메리트는 언제든지 재성형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환자가 치료 기간 동안에 체중이 감소하거나 증가할지라도 스트랩을 재단하거나 조정함으로써 유연하게 대처할 수가 있습니다. 척추부목 역시 자세가 개선될 때마다 별도의 열을 가하지 않더라도 그때그때 즉시 구부리거나 펴는 방식으로 조정이 가능합니다.
(활동성과 보행능력)
스피노메드는 가장 필요한 부분만을 잡아줍니다. 이는 척추주변근육을 사용하게끔 하여 활동성과 보행능력을 증가시키고 이를 통해 다시 신체의 하체근육과 백머슬 등을 향상 시키는 원리입니다.
내구성만큼이나 신경 쓴 부분이 바로 외관입니다. 세련된 디자인은 주변시선으로부터 올 수 있는 부담을 덜어주고 장기착용을 유도하여 줍니다.
장기착용을 하게 되면 오히려 근육량이 감소되어 안 좋다고 하는 것은 기존의 TLSO입니다.
이 스피노메드는 환자들 스스로가 장기착용을 원하며 이로써 삶의 질이 향상되는 좋은 결과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2015. 3. 28 대한 척추골다공증 연구회 (대한 척추신경외과학회 주관)
스피노메드의 발명가이며 국제골다공증학회 (IOF) 전 회장이신 독일 미니애 박사님, 스피노메드의 임상논문을 발표하신 파이퍼 박사님 초청 강연이 있었습니다
Minne, Helmut W.
Prof. Dr. med. 06.12.1942
73세
미니애 박사님 프로필
Founder member of Sektion Calcium regulierender Hormone und
Knochenstoffwechsel (section of hormons regulated by calcium andbone embolism) in
the German Society for Endocrinology (DGE);
Founder member of European Foundation for Osteoporosis, boardmember of successor organisation "International Osteoporosis Foundation(IOF)"
Founder member and academical secretary of Kuratorium Knochengesundheit (= curatorship health of bones)
Member of Deutsche Gesellschaft für InnereMedizin (= German Society forInternal Medicine)
Member of American Society for Bone and Mineral Research(ASBMR)
Founder member and academical secretary of theInstitute for Clinical Osteology Gustav Pommer e.V. in Bad Pyrmont
Founder member of Bad Pyrmonter Forschungsinstituts für Balneologie, Prävention und Rehabilitation e.V. (= research institute for Balneology, prevention andrehabilitation e.V. in Bad Pyrmont)
Founder member of Deutsche Menopausegesellschaft (= German society for Menopause)
Founder member of Deutsche Akademieder osteologischen und rheumatologischen Wissenschaften e.V. (DAdorW)(= German academy of osteologic and rheumatologic sciences e.V.)
Foundation of Working Group on „Musculosceletal Rehabilitation“ of American
Society for Bone and MineralResearch (ASBMR)
Academicstudies of medicine at the Universities Frankfurt and Göttingen, approbation 1970
Educationas Doctor for Internal Medicine at the Center for Internal Medicine oft heUniversity Hospital in Ulm
Qualificationin Endocrinology
Changeoverinto the department Internal Medicine I,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at theUniversity Heidelberg
Since 1st April 1991:
MedicalDirector of the clinic DER FÜRSTENHOF in Bad Pyrmont
Academical focuses:
The topic of the dissertation and habilitationwas a complex of problems due to calcium homeostasis and metabolism of bones.
Focuses of academical work:
Development of experimental models for theunderstanding of metabolism diseases of skeletal muscles (Walker-Karzinosarkom 256 with Hypercalciämy-developmentEntwicklung; Inflammation Mediated Osteopenia;Systemic Acceleratory Phenomenon)
Development of diagnostical methods for patients with Osteoporosis (Spine
Deformity Index)
Development of methods for the objective investigation of Symptomatologyat patients with Osteoporosis (Clinical sum score)
Participation at clinical studies for therapying patients withOsteoporosis
Realization of a interdisciplinary study aboutquality of life at patients with Osteoporosis (PIOS), aided by Rut-und Klaus-Bahlsen-Stiftung, Hannover
Description of extrasceletal vitamin-D-effects
Development of the new back orthosis „Spinom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