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지(GROUND)
▶ 접지의 목적
인체를 전기적 충격으로부터 보호하여주는 역할과 전기장비의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하게
기준전압제공
▶ 접지의 종류
전원 접지(MAIN GROUND)
전원 접지는 전원의 입력측에서 접지하여 기준접지를 ZERO로 한다. 모든 접지는 기준점에서 분기하고 변압기의 중성점을 접속하여 등 전위의 형성을 유도, 안전을 주 목적으로 한다.
보안 접지(FRAME GROUND)
장비의 외함, 분전반의 외함 등 금속제에 접지하는 것으로 전기적인 이상이 발생시 누설전류를 접지로 방류하여 접촉시 전기적 충력을 받지 않도록하는 역할을 한다.
통신 및 신호 접지
통신,신호 등 제어신호의 기준전위 제공 및 기기의 원활한 동작을 주 목적으로 한 접지로 통신 및 신호는 광대역의 주파수에 낮고 안정된 임피던스를 갖도록 설계 시공되어야 하고 전원접지와 공통접지 또는 별도접지를 할 수 있다.
▶ 접지의 접속
직렬 접지
주접지의 접지점으로부터 각 장비의 접지를 직렬접속하는 것으로 시공이 간단하고 설치경비가 저렴한 반면 각 접지간에 접지 전위차가 발생할 수 있다.
병렬 접지
주접지점으로부터 각각의 장비에 병렬로 접속하는 방법으로 장비간에 등 전위를 형성할 수 있어 장비 상호간에 영향을 받지 안항 가장 양호한 접지로 구성할 수 있으나 시공이 복잡하고 경비가 많이 지출된다.
직.병렬 접지
분기 분전반 단위로는 병렬접지, 분전반과 분전반 사이는 직렬접지 방식으로 시공에 따른 경비등이 적정하여 추천할 수 있는 접지 방식이다.
▶ 접지의 기준
전원접지 및 신호 통신접지는 mash 접지에 저항값은 10Ω 이하로 접지한다.
원거리 장비의 접지로 접지봉을 약 3m 간격으로 삼각형이 되도록 매설하고 접속하여 10Ω이하의 저항값을 유지토록 접지
피뢰침의 접지 : 피뢰침의 접지는 접지 저항계로 측정하여 10Ω이하로 접속하여야 하고 대지전위 상승이 500V를 초과하여서는 안된다.
피뢰침의 접지와 전원접지, 통신, 신호접지 사이는 최소한 7.6m 이상을 이격 하여야만 유도뢰로부터의 피해를 면할 수 있다.
접지용 전선을 될 수 있는 한 굵게 하여야 하며 최소한 전원선의 굵기 보다는 굵은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가능한한 건물의 철구조물등은 전기적으로 접속하여야 하고 정기적으로 접지저항을 측정할 수 있는 시험단자를 설치하여야 한다.
접지의 저항값 기준치(최소한) 및 필요조건
- 전원 접지 : 10Ω이하(mash 접지)
- 통신 접지 : 10Ω이하(mash 접지)
- 피뢰침 접지 : 10Ω이하 또는 대지 전위상승 500V 이하
- LOCAL 접지 : 10Ω이하(접지봉 접지)
- 접지선의 굵기 : 사용하는 전원선의 굵기보다 굵어야 한다.
- 시험단자함의 설치
- 건축물의 철구조물은 전기적으로 접지와 접속
▶ 접지 방법
주변압기의 중성점을 mash 접지에 접속하여 전원 접지의 MAIN 으로 사용한다.
MAIN 접지를 분전반등 분기회로의 접지점에 접속하고 전원을 사용하는 장비의 접지들을 이곳에 접속한다.
각각의 접지 목적이 다른 장비의 접지 : 전원접지의 중성점과 접지선을 접속한 보안용 접지로 신호, 통신은 제어신호의 기준점 제공용 접지로 외함 접지 또는 별도의 접지를 매설한다.
써지 보호기는 전원선 등의 상용전원 LINE과 접속하고 써지 보호기의 접지는 전원접지(MASH)에 짧고 견고히 접속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