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 조생종
① 백미조생(白美早生)
원예시험장에서 1963년 기도백도에 포목조생을 교배하여 선발, 육성한 품종으로 1983년 명명되었다. 수세는 중간 정도이며, 반개장성이다. 꽃눈 착생 및 겹눈 형성은 좋은 편이며, 화분은 많은 편이다. 숙기는 6월 하순으로 우리 나라 재배품종 중 가장 빠르다. 과중은 180g 정도, 당도는 11 oBx 정도이며 산미는 적다. 과형은 단타원형이다. 과피는 유백색의 바탕색 위에 과정부가 붉게 착색되며, 과육은 유백색이다. 핵은 반점핵성이며 핵 주위는 붉게 착색되지 않는다. 보구력이 극히 약하므로 과정부에 붉은 색이 나타날 때 수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미조생의 수체 및 과실특성
수세 |
나무 자세 |
만개일
(월.일) |
꽃눈
잎눈 착생습성 |
결과지 |
화분량 |
수확전 낙과 |
중 |
반개장 |
4. 23 |
겹눈 |
중장과지 |
중∼다 |
소 |
숙 기
(월, 순) |
과형 |
과중
(g) |
당도
(。Bx) |
과피색 |
육색 |
육질 |
보구력 |
6 하 |
단타원 |
180 |
11.0 |
백 |
유백 |
용질 |
극약 |
② 찌요마루(Chiyomaru)
일본 과수시험장에서 중진백도와 포목조생의 교잡실생에 포목조생의 자연교잡실생을 교배하여 육성, 선발한 품종으로 1987년 명명되었다. 원예시험장에는 1988년 도입되어 1995년 선발되었다. 수세는 강한 편이며, 수자는 개장성으로 신초발생이 많고, 신초굵기는 다른 품종에 비하여 가는 편이다. 유목기에는 꽃눈 착생량이 다소 적으나 성목이 되면서 꽃눈량은 급증한다. 화분량은 많으며, 자가결실성이다. 숙기는 7월 상중순이며, 과중은 160∼180g 정도로서 다소 작으나 당도가 높은 품종이다. 과피는 선황색의 바탕색에 과정부 주위 또는 햇빛을 받는 면이 적색으로 약하게 착색된다. 과육은 황색이며, 핵주위의 착색은 거의 없고, 점핵성이다. 과형은 원형에 가까운 단타원형이며, 핵할 발생률이 낮고 과실 균일도가 높다. 이 품종은 수세가 강하므로 재식거리 확보에 유의하여야 하며, 신초발생량 및 착과수가 많으므로 전정시 결과지 제한 및 철저한 적과를 실시하여 대과생산을 도모하여야 한다. 또한 성숙전의 지나친 가뭄후에 비를 만나게 되면 열과가 발생될 수도 있음으로 이런 경우에는 적당량의 관수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찌요마루의 수체 및 과실특성
수세 |
나무 자세 |
만개일
(월.일) |
꽃눈, 잎눈 착생습성 |
결과지 |
화분량 |
수확전 낙과 |
중∼강 |
개장 |
4. 22 |
겹눈 |
중과지 |
다 |
소 |
숙 기
(월, 순) |
과형 |
과중
(g) |
당도
(。Bx) |
과피색 |
육색 |
육질 |
보구력 |
7 상중 |
단타원∼원 |
170 |
12.0 |
적황 |
황 |
용질 |
약 |
③ 포목조생(布目早生, Nunomewase)
일본 愛知縣의 布目씨가 백도, 이핵수밀, 대구보, 강산조생 등의 혼식원에서 자연교잡실생으로부터 발견한 품종으로 1951년 품종등록되었으며, 원예시험장에는 1958년에 도입되었다. 수세는 보통이며, 수자는 다소 개장성이다. 꽃눈 착생은 양호하며, 화분은 많다. 숙기는 7월 상순이다. 병충해 발생 및 열과가 비교적 적기 대문에 무대재배가 가능하다. 과형은 단타원형이며, 과중은 200g 정도이다. 과실의 착색성은 낮은 편임으로 수확 10일전에 봉지를 벗겨 착색을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목조생의 수체 및 과실특성
수세 |
나무 자세 |
만개일
(월.일) |
꽃눈
잎눈 착생습성 |
결과지 |
화분량 |
수확전 낙과 |
중 |
반개장 |
4. 22 |
겹 눈 |
중과지 |
중 |
소 |
숙 기
(월, 순) |
과형 |
과중
(g) |
당도
(。Bx) |
과피색 |
육색 |
육질 |
보구력 |
7 상 |
장타원 |
200 |
10.5 |
백 |
백 |
용질 |
약 |
④ 무정조생백봉(武井早生白鳳, Takei Hakuho)
일본 야마나시현 武井義正씨의 백봉 복숭아원에서 발견된 우연실생을 육성한 품종으로 원예시험장에는 1982년에 도입되었다. 수세는 중정도이고, 수자는 개장성이며, 화아 착생은 많다. 다른 백봉계 품종들과 마찬가지로 화분은 많다. 숙기는 사자조생보다 약간 빠른 7월 상중순이다. 과형은 원형이고, 과피색은 유백색의 바탕색 위에 선홍색으로 착색되며, 용질성인 과육은 유백색이며, 핵주위 착색은 거의 없다. 과중은 230g 정도이며, 당도는 11 oBx 정도이나 수확전 강우시에는 당도 저하가 심한 편이다.
⑤ 사자조생(砂子早生, Sunagowase)
1933년경 일본 岡山縣의 上村씨가 구입한 대구보 묘목 중에서 발견하고, 砂子씨가 접목 흔적이 없는 우연실생으로 판정하여 1958년에 명명한 품종으로 원예시험장에는 1959년 도입되었다. 수세는 강한 편으로 개장성이며, 꽃눈 착생이 좋고, 홑눈 착색이 많다. 결과지는 굵고 발생밀도는 중간이다. 숙기는 7월 중순이며, 과중은 220∼250g이다. 과형은 원형 또는 타원형이고, 과피는 유백색이나 과정부가 붉게 착색된다. 과육은 백색으로 치밀하고 섬유질이 적다. 당도는 조생종으로서는 높은 편이며, 산미는 적다. 핵은 점핵 내지 반점핵성이며, 핵 주위착색은 없고, 핵할은 적은 편이다. 화분이 없기 때문에 수분수 혼식이 필요하다.
사자조생의 수체 및 과실특성
수세 |
나무 자세 |
만개일
(월.일) |
꽃눈, 잎눈
착생 습성 |
결과지 |
화분량 |
수확전 낙과 |
강 |
개장 |
4. 22 |
홑눈, 겹눈 |
중과지 |
무 |
중 |
숙 기
(월, 순) |
과형 |
과중
(g) |
당도
(。Bx) |
과피색 |
육색 |
육질 |
보구력 |
7 중 |
타원형 |
230 |
10.5 |
유백 |
백 |
용질 |
약 |
⑥ 일천백봉(日川白鳳, Hikawa Hakuho)
일본 야마나시현의 田草川利幸씨가 백봉의 조숙변이를 발견하여 1981년에 종묘등록한 품종으로 원예연구소에는 1992년 도입되었다. 수세는 중정도이고, 수자는 개장성이며, 꽃눈 착생은 좋으며, 겹눈 형성이 많은 편이다. 화분량은 많다. 숙기는 7월 중순으로 무정조생백봉, 사자조생, 월봉조생과 비슷하거나 늦으며 창방조생보다는 약간 빠르다. 과형은 편원형 내지 원형이고, 과중은 230g 정도이다. 과실은 연녹색의 지색 위에 선홍색으로 착색되며, 용질성인 과육은 유백색이고, 핵주위 착색으며, 점핵성이다. 당도는 11oBx 이상으로 조생종으로서는 높은 편이며, 산미는 적다 재배상 유의점으로는 과실이 다소 작은 편임으로 전정시 불필요한 결과지를 정리하거나 조기 꽃봉오리 및 적과 실시로 대과 생산을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조기 착색성이 강한 편임으로 미성숙과가 수확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일천백봉의 수체 및 과실특성
수세 |
나무 자세 |
만개일
(월.일) |
꽃눈,
잎눈 착생습성 |
결과지 |
화분량 |
수확전 낙과 |
중 |
반개장 |
4. 24 |
홑눈, 겹눈 |
중단과지 |
다 |
소 |
숙 기
(월, 순) |
과형 |
과중
(g) |
당도
(。Bx) |
과피색 |
육색 |
육질 |
보구력 |
7 중 |
편원∼원 |
230 |
11.0 |
선홍 |
유백 |
용질 |
약 |
⑦ 월봉조생(月峰早生)
충남 아산군의 황웅서씨 과원에서 발견된 창방조생의 조숙성 아조변이지로부터 육성된 것으로 1987년 월봉조생으로 명명되었다. 수체의 특성은 창방조생과 거의 비슷하여 수세가 강하고, 반직립성이며, 꽃눈 착생과 겹눈 형성이 잘된다. 그러나 화분이 거의 없으므로 수분수 혼식이 필요하다. 숙기는 창방조생보다 7일정도 빠른 7월 중순이다. 과형은 원형이며, 과중은 250g 정도로 조생종으로는 대과성이다. 과실의 착색은 좋은 편이며, 과피에는 적색의 줄무늬가 형성되기도 한다. 과육은 백색으로 치밀하고 연화가 늦어 수송력이 좋은 편이다. 핵할 발생정도는 창방조생보다 적은 편이다.
월봉조생의 수체 및 과실특성
수세 |
나무 자세 |
만개일
(월.일) |
꽃눈, 잎눈 착생습성 |
결과지 |
화분량 |
수확전 낙과 |
강∼중 |
반개장 |
4. 22 |
홑눈, 겹눈 |
중과지 |
극소 |
소 |
숙 기
(월, 순) |
과형 |
과중
(g) |
당도
(。Bx) |
과피색 |
육색 |
육질 |
보구력 |
7 중 |
원 |
250 |
10.0 |
선홍줄무늬 |
백 |
용질 |
약∼중 |
⑧ 창방조생(倉方早生, Kurakatawase)
1945년 倉方씨가 長生種(투스칸 × 백도)에 고무질의 조생종인 실생을 교배하여 선발, 육성한 품종으로 1951년 명명되었으며, 원예시험장에는 1963년에 도입되었다. 수세는 강하고, 약간 직립성이다. 꽃눈 착생과 겹눈 형성은 잘되며, 단과지에는 거의 홑눈이 형성된다. 숙기는 7월 하순으로 장마 뒤에 수확이 가능하다. 과형은 원형이며, 과중은 230g 정도이다. 과피색은 적색으로 착색성이 매우 우수하며, 과피에는 때로 줄무늬가 나타나기도 한다. 과육의 연화가 늦어 보구력 및 수송성이 좋은 편이며, 수확기간이 비교적 길어 분산 수확이 가능하다. 핵은 점핵성이며, 핵 주위는 붉게 착색되며, 핵할은 다소 많이 발생되는 편임으로 지나친 적과는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과실의 착색성이 우수하여 미성숙과가 수확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창방조생의 수체 및 과실 특성
수세 |
나무 자세 |
만개일
(월.일) |
꽃눈, 잎눈
착생 습성 |
결과지 |
화분량 |
수확전 낙과 |
강 |
반개장 |
4. 22 |
홑눈, 겹눈 |
단,중과지 |
극소 |
소 |
숙 기
(월, 순) |
과형 |
과중
(g) |
당도
(。Bx) |
과피색 |
육색 |
육질 |
보구력 |
7 하 |
원 |
230 |
10.8 |
선홍줄무늬 |
백 |
용질 |
약∼중 |
⑨ 월미복숭아(月美복숭아)
1985년 충남 연기군 서면의 임중경씨 복숭아 과원에서 발견된 유명의 조숙변이지로부터 육성된 품종으로 1987년 명명되었다. 수세는 중간 내지 약간 강한 편이며, 개장성이다. 결과지는 다소 가늘고 길며, 꽃눈 착생이 양호하고, 화분량은 많다. 과형은 편원형 내지 원형이며, 과중은 270g 정도이다. 과피색은 선홍색이며, 과육은 유백색으로 붉은 반점이 다소 발생되며, 불용질로서 보구력 및 수송성이 강하다. 핵은 점핵성이며, 핵 주위 착색은 없다. 이 품종은 모본인 유명과는 달리 수확전 낙과가 거의 없다.
월미복숭아의 수체 및 과실특성
수세 |
나무 자세 |
만개일
(월.일) |
꽃눈, 잎눈
착생 습성 |
결과지 |
화분량 |
수확전 낙과 |
중 |
개장 |
4. 23 |
홑눈, 겹눈 |
장과지 |
다 |
소 |
숙 기
(월, 순) |
과형 |
과중
(g) |
당도
(。Bx) |
과피색 |
육색 |
육질 |
보구력 |
7 하∼ 8 상 |
편원∼원 |
270 |
10.5 |
선홍 |
유백 |
불용질 |
극강 |
나) 중생종
① 백약도(白藥桃)
충남 연기군 서면 월하리의 임중경씨가 유명의 자연교잡실생을 선발, 육성한 품종이다. 숙기는 8월 초이며, 과중은 300g 정도, 당도 12oBx 정도이며, 산미는 적은 편이다. 과형은 원형이며, 과피는 착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 유백색이며, 과육은 백색이고, 핵은 점핵성이다. 수세는 약한 편이며, 꽃가루가 없기 때문에 수분수의 혼식이 반드시 필요하고, 모본인 유명과 같이 보구력은 매우 우수한 편이다. 재배상의 유의점으로는 초기 수세가 약함으로 토심이 깊고 비옥한 곳에서 재배하는 것이 좋으며, 세균성구멍병과 회성병에 약하므로 봉지재배 및 예방차원의 방제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무대재배시 전착제에 의해 과피에 녹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② 감조백도(勘助白桃, Kansuke Hakuto)
일본 愛知縣 山本씨가 愛知白桃의 조숙변이를 발견하여 육성한 것으로 원예시험장에는 1989년에 도입되어, 1996년에 선발되었다. 숙기는 7월 하순에서 8월 상순이며, 과실은 편원형 내지 원형이고, 과중은 230g 정도이다. 과피는 붉은 색이 중정도로 전면 착색되며, 육질은 백봉과 유사하고, 당도는 비교적 높다. 열과가 작아 무대재배가 가능하다. 화분은 많은 편이다. 재배상 유의점으로는 풍산성임으로 과다결실되지 않도록 하고, 착색성 향상을 위하여 수확 5일전에 봉지벗기기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조백도의 수체 및 과실특성
수세 |
나무 자세 |
만개일
(월.일) |
꽃눈, 잎눈
착생 습성 |
결과지 |
화분량 |
수확전 낙과 |
중 |
반개장 |
4. 23 |
홑눈, 겹눈 |
중장과지 |
다 |
소 |
숙 기
(월, 순) |
과형 |
과중
(g) |
당도
(。Bx) |
과피색 |
육색 |
육질 |
보구력 |
8 상 |
편원∼원 |
220 |
13.5 |
선홍 |
백 |
용질 |
중 |
③ 기도백도(箕島白桃, Mishima Hakuto)
1935년 일본에서 발견되었으나 1949년부터 널리 재배된 품종으로, 수세는 왕성하고 다소 개장성이다. 원예시험장에는 1958년에 도입되었다. 숙기는 8월 상중순이며, 화분은 없다. 과형은 편원형 또는 원형이며 과피색은 백색으로 과정부는 약간 붉은 빛을 띠며, 과중은 250g 정도이다. 과육은 유백색이고 육질은 치밀하며, 산미가 다소 있으나 당도는 11 oBx 정도이다. 결실량이 적어 과실이 너무 커지거나 시비량이 지나쳤을 때 또는 성숙기에 햇빛이 부족하고 저온인 해에는 과실의 단맛이 적고 떫은 맛이 나기도 한다.
기도백도의 수체 및 과실특성
수세 |
나무 자세 |
만개일
(월.일) |
꽃눈, 잎눈
착생 습성 |
결과지 |
화분량 |
수확전 낙과 |
중 |
반개장 |
4. 23 |
겹눈 |
중장과지 |
무 |
소 |
숙 기
(월, 순) |
과형 |
과중
(g) |
당도
(。Bx) |
과피색 |
육색 |
육질 |
보구력 |
8 상중 |
원 |
250 |
11.0 |
유백 |
유백 |
용질 |
약 |
④ 도백봉(都白鳳, Miyako Hakuho)
일본 나가노현의 小平忠雄의 과원에서 발견된 백봉의 아조변이 품종으로 1976년에 명명되었으며, 원예시험장에는 1983년에 도입되었다. 수세는 중정도이고, 수자는 개장성이며, 중단과지의 발생이 많은 편이다. 화분은 많다. 숙기는 백봉보다 2∼3일 정도 빠른 8월 상중순이며, 과형은 원형이다. 과중은 230∼250g 정도로 백봉보다는 큰 편이며, 당도는 11 oBx 정도이다. 과피는 유백색의 바탕색 위에 선홍색이 중정도로 착색되며, 과육은 유백색이고, 핵주위 착색은 거의 없다.
도백봉의 수체 및 과실특성
수세 |
나무 자세 |
만개일
(월.일) |
꽃눈, 잎눈
착생 습성 |
결과지 |
화분량 |
수확전 낙과 |
중 |
개장 |
4. 23 |
홑눈, 겹눈 |
중단과지 |
다 |
소 |
숙 기
(월, 순) |
과형 |
과중
(g) |
당도
(。Bx) |
과피색 |
육색 |
육질 |
보구력 |
8 상중 |
편원∼원 |
240 |
11.5 |
선홍 |
유백 |
용질 |
약 |
⑤ 백봉(白鳳, Hakuho)
일본 농사시험장에서 白桃에 橘早生을 교배하여 선발, 육성한 품종으로 1925년 명명되었으며, 원예시험장에는 1961년 도입되었다. 수세는 약한 편이며, 다소 개장성이다. 가지는 밀생하고, 길고 가늘며, 꽃눈 착생이나 겹눈 형성이 대단히 많으며, 화분량이 많다. 숙기는 8월 상중순이다. 과형은 원형이고, 과중은 200∼230g 정도로 약간 소과이나 외관이 아름답다. 과육은 백색으로 치밀하며, 섬유질이 적고 산미도 적으며 당도가 높아 식미가 우수하다. 핵은 점핵성이고, 핵 주위는 붉게 착색된다. 재배상 유의점으로는 과실이 다소 적은 편임으로 전정시 불필요한 결과지를 철저히 정리하고, 꽃솎기와 과실솎기를 조기에 실시하여 대과 생산을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확전 강우에 의한 과실 당도 저하가 심한 편임으로 수확전 강우차단을 위한 적절한 대책이 필요하다.
백봉의 수체 및 과실특성
수세 |
나무 자세 |
만개일
(월.일) |
꽃눈, 잎눈
착생 습성 |
결과지 |
화분량 |
수확전 낙과 |
약 |
반개장 |
4. 23 |
홑눈, 겹눈 |
중단과지 |
다 |
소 |
숙 기
(월, 순) |
과형 |
과중
(g) |
당도
(。Bx) |
과피색 |
육색 |
육질 |
보구력 |
8 상중 |
원 |
220 |
11.5 |
선홍 |
유백 |
용질 |
약 |
⑥ 대구보(大久保, Okubo)
1920년경 일본 岡山縣 大久保씨의 백도 과원에서 발견된 우연실생으로 1927년 명명되었으며, 원예시험장에는 1953년에 도입되었다. 수세는 다소 약한 편이며, 수자는 개장성이고, 결과지는 약간 작은 편이다. 화아 착생과 겹눈 형성이 많고, 화분량이 많기 때문에 타품종의 수분수로도 적당하다. 숙기는 8월 중순이다. 과형은 원형이고, 과중은 250∼300g 정도이며, 과피는 선홍색으로 착색된다. 과육은 백색이고, 섬유질은 약간 많은 편이다. 핵은 이핵성이며, 핵 주위는 붉게 착색된다
대구보의 수체 및 과실 특성
수세 |
나무 자세 |
만개일
(월.일) |
꽃눈, 잎눈
착생 습성 |
결과지 |
화분량 |
수확전 낙과 |
약 |
개장 |
4. 25 |
홑눈, 겹눈 |
중과지 |
다 |
소 |
숙 기
(월, 순) |
과형 |
과중
(g) |
당도
(。Bx) |
과피색 |
육색 |
육질 |
보구력 |
8 중 |
원 |
280 |
10.5 |
선홍 |
백 |
용질 |
중 |
⑦ 왕도(王桃)
충남 연기군 서면 월하리의 임중경씨가 유명의 자연교잡실생을 선발, 육성한 품종이다. 숙기는 8월 중순이며, 과중은 300g 정도로 대과성이며, 당도는 13 oBx이고, 산미는 낮은 편이다. 과형은 원형이며, 과피는 선홍색으로 착색성이 우수하며, 과육은 백이나 적색소의 발현이 있으며, 핵은 점핵성이다. 수세는 강하고, 꽃가루는 많으며, 보구력은 15일 이상으로 매우 우수한 편이다. 재배상 유의점으로는 착색과 동시에 과실 비대가 시작되고, 비대속도가 늦기 때문에 미숙과가 수확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⑧ 고양백도(高陽白桃, Kouyou Hakuto)
1937년 일본에서 발견된 백도의 아조변이 품종으로, 원예시험장에는 1953년에 도입되었다. 수세는 강하고, 약간 개장성이며, 화분은 극히 적다. 숙기는 8월 중하순이다. 과형은 원형이며, 과피색은 백색의 바탕색 위에 선홍색으로 착색되며, 과중은 260g 정도이다. 과육은 유백색이며, 과육 및 핵 주위 착색은 많은 편이다. 육질은 치밀하며, 과즙이 많고, 당도는 12oBx 정도로 품질은 양호하다. 핵은 점핵성이다.
고양백도의 수체 및 과실특성
수세 |
나무 자세 |
만개일
(월.일) |
꽃눈, 잎눈
착생 습성 |
결과지 |
화분량 |
수확전 낙과 |
강 |
반개장 |
4. 23 |
홑눈,겹눈 |
중 과지 |
무 |
중 |
숙 기
(월, 순) |
과형 |
과중
(g) |
당도
(。Bx) |
과피색 |
육색 |
육질 |
보구력 |
8 중∼하 |
원 |
260 |
12.0 |
선홍 |
유백 |
용질 |
중 |
⑨ 애지백도(愛知白桃, Aichi Hakuto)
일본 小牧市의 山田씨가 발견한 우연실생으로 산근백도(山根白桃), 소화백도(紹和白桃)로도 불리워지는 품종으로 원예시험장에는 1972년에 도입되었다. 수세는 중간 정도이며, 수자는 약간 개장성이다. 꽃눈 착생은 양호하고 화분이 많으며 풍산성이다. 숙기는 8월 중순경이며, 과형은 편원형이고, 과중은 250g 정도이다. 과피 착색은 잘되며 과육도 쉽게 착색된다. 보구력은 중정도이며, 당도가 높아 식미가 우수하다. 열과는 수관 상부에 결실된 과실에서 약간 발생되며, 열과방지를 위해서는 유대재배가 바람직하다. 또한 나무가 노령화되어 수세가 떨어지면 유대재배를 하여도 과면에 작은 금이 발생하기 쉽고, 핵할과도 생겨 품질이 떨어지기 쉽다. 따라서, 이 품종은 토양내 수분의 변화가 적은 중점질토에 재배하는 것이 우량 품질과 생산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애지백도의 수체 및 과실특성
수세 |
나무 자세 |
만개일
(월.일) |
꽃눈, 잎눈
착생 습성 |
결과지 |
화분량 |
수확전 낙과 |
중 |
반개장 |
4. 23 |
겹눈 |
중과지 |
다 |
소 |
숙 기
(월, 순) |
과형 |
과중
(g) |
당도
(。Bx) |
과피색 |
육색 |
육질 |
보구력 |
8 중 |
편원 |
250 |
11.5 |
선홍 |
백 |
용질 |
중 |
⑩ 장택백봉(長澤白鳳, Nagasawa Hakuho)
일본 山梨縣 長澤씨가 백봉으로부터 만숙 대과성 아조변이지를 발견하여 1985년에 등록한 품종으로 원예시험장에는 1988년에 도입되어, 1996년 선발되었다. 숙기는 8월 중순이다. 과실은 원형 내지 편원형이며, 과실 크기는 250g 이상으로 백봉계 품종으로서는 큰 편이다. 과피색은 적백색으로 착색성이 매우 좋다. 과육은 유백색이며, 과육 및 핵주위의 착색은 적은 편이며, 과육은 치밀하며, 육질은 용질성이다. 당도는 13 oBx 정도이며, 산미는 적고, 핵할은 적다. 재배상 유의점으로는 착색성이 빨라 조기수확될 우려가 있으므로 적숙기 수확에 유의하여야 한다.
장택백봉의 수체 및 과실특성
수세 |
나무 자세 |
만개일
(월.일) |
꽃눈, 잎눈
착생 습성 |
결과지 |
화분량 |
수확전 낙과 |
중 |
개장 |
4. 23 |
홑눈, 겹눈 |
중단과지 |
다 |
소 |
숙 기
(월, 순) |
과형 |
과중
(g) |
당도
(。Bx) |
과피색 |
육색 |
육질 |
보구력 |
8 중 |
편원∼원 |
250 |
13.5 |
적백 |
유백 |
용질 |
중 |
⑪ 미백도(美白桃)
1950년대 초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 이황리의 이차천씨가 미국인 선교사 소유의 복숭아원에서 가지고 온 품종불명 복숭아의 접목변이로 발견된 품종으로 1970년대 후반에 급속히 보급되었다. 이 품종은 청수백도(淸水白桃)와 유사하나 화분이 없고, 과실 모양이 보다 편원형이라는 점에서 구분된다. 수세는 강하고, 수자는 반개장성이며, 꽃눈의 착생과 겹눈 형성은 좋은 편이다. 화분이 없음으로 수분수 혼식이 필요하다. 숙기는 8월 중순이고, 과형은 편원형이며, 과중은 280g 이상이다. 과실의 당도는 11 oBx 정도이고, 산미는 적다. 과피는 유백색의 바탕색 위에 선홍색으로 약하게 착색되며, 착색성은 약한 편이다. 과육은 유백색이고, 육질은 치밀하고 유연다즙하다. 보구력은 극히 약하기 때문에 수확, 선과 및 수송시에 특히 주의를 요한다.
⑫ 진미(珍美)
1982년 원예시험장에서 백봉에 포목조생을 교배하여 선발, 육성한 품종으로 1998년에 명명되었다. 수세는 중간 정도이고, 개장성이며, 중과지 발생 비율이 높다. 꽃눈 착생과 겹눈 형성은 좋다. 숙기는 8월 중하순으로 미백도와 유명 사이에 출하될 수 있는 중만생종으로 풍산성이다. 과형은 원형이며, 과중은 270g 정도로 미백도보다 약간 적은 편이고, 당도는 13 oBx 이상이다. 과피는 유백색 바탕위에 선홍색으로 착색되나 착색성은 다소 낮은 편이다. 과육은 유백색이며, 용질성이고, 핵 주위는 암적색으로 짙게 착색되며, 점핵성이다. 재배상 유의점으로는 대과 생산을 도모하고, 착색성이 약한 편임으로 전면착색을 위해서는 수확 5일전에 봉지벗기기를 실시하여야 하며, 수확전의 지나친 건조에 의해 과실발육 저하 및 떫은 맛 발생이 일어날 수 있음으로 적절한 관수대책을 세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미의 수체 및 과실특성
수세 |
나무 자세 |
만개일
(월.일) |
꽃눈, 잎눈
착생 습성 |
결과지 |
화분량 |
수확전 낙과 |
중 |
개장 |
4. 23 |
홑눈,겹눈 |
중단과지 |
다 |
소 |
숙 기
(월, 순) |
과형 |
과중
(g) |
당도
(。Bx) |
과피색 |
육색 |
육질 |
보구력 |
8 중하 |
원 |
270 |
13.0 |
선홍 |
유백 |
용질 |
중 |
다) 만생종
① 백도(白桃, Hakuto)
1899년 일본 岡山縣의 大久保씨 과수원에서 발견된 우연실생으로 원예시험장에는 1953년에 도입되었다. 수세는 강하며, 개장성이고, 결과지는 약간 굵고 짧으며, 꽃눈의 착생이나 겹눈 발생은 좋다. 숙기는 8월 하순이다. 과형은 원형이고, 과중은 250∼300g 정도이다. 과피는 유백색 바탕에 과정부가 선홍색으로 곱게 착색되나 과실 전면 착색은 양호하지 않다. 과육은 백색으로 당도가 많고, 유연 치밀하며, 과즙은 많다. 핵은 점핵이며, 핵 주위는 붉게 착색된다. 화분이 없으므로 수분수 혼식이 필요하며, 수확전 낙과는 다소 있는 편이다. 재배상 유의점으로는 착색성이 약하기 때문에 수확 10일 이전에 봉지를 벗겨 전면착색을 유도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과피에 엽록소가 형성되지 않도록 수확시까지 봉지를 씌워두어 유백색의 과실을 생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도의 수체 및 과실특성
수세 |
나무 자세 |
만개일
(월.일) |
꽃눈, 잎눈
착생 습성 |
결과지 |
화분량 |
수확전 낙과 |
강 |
개장 |
4. 23 |
홑눈,겹눈 |
중단과지 |
무 |
중∼다 |
숙 기
(월, 순) |
과형 |
과중
(g) |
당도
(。Bx) |
과피색 |
육색 |
육질 |
보구력 |
8 하 |
원 |
250 |
13.0 |
녹적 |
백 |
용질 |
약 |
② 유명(有明)
1966년 원예시험장에서 대화조생에 포목조생을 교배하여 선발, 육성한 품종으로 1977년에 명명되었다. 수세는 중간 정도이고, 개장성으로 결과지는 가늘고 길다. 꽃눈 착생과 겹눈 형성이 좋다. 숙기는 8월 하순에서 9월 상순으로 수확기간이 길며, 풍산성이다. 과형은 원형이며, 과중은 250∼300g 정도로 대과에 속한다. 과피는 유백색 바탕위에 선홍색의 줄무늬가 약하게 형성된다. 과육은 백색이나 적색소가 다소 착색된다. 육질은 불용질로서 보구력 및 수송성이 극히 강하다. 핵은 점핵성이며, 핵 주위는 다소 착색된다. 화분은 많다.
유명의 수체 및 과실특성
수세 |
나무 자세 |
만개일
(월.일) |
꽃눈, 잎눈
착생 습성 |
결과지 |
화분량 |
수확전 낙과 |
중 |
개장 |
4. 22 |
겹눈 |
장과지 |
다 |
다 |
숙 기
(월, 순) |
과형 |
과중
(g) |
당도
(。Bx) |
과피색 |
육색 |
육질 |
보구력 |
8하∼9상 |
원 |
300 |
12.0 |
선홍 |
백 |
불용질 |
극강 |
③ 백향(白香)
1978년 원예연구소에서 가든스테이트(Garden State Nectarine)의 방임수분 실생으로부터 선발, 육성한 품종으로 1994년 명명되었다. 수세는 다소 강한 편으로 특히 유목기 세력이 강하다. 수자는 반직립성으로서 신초 발생이 용이하고 중간굵기의 장과지 발생이 많다. 화아 착생은 우수하여 단아와 복아가 혼재하며, 꽃은 화판이 작고 화려하지 않은 유형(non-showy)이며, 화분은 많다. 숙기는 9월 상순으로 유명, 백도 이후에 출하된다. 과형은 단타원형이며, 고향기성의 이핵성 품종이다. 핵 주위는 붉은 색으로 착색되며 과피색은 녹적색이나 봉지를 벗긴 2∼3일후 연적색으로 과면 전체가 착색되는 착색성이 중정도인 품종이다. 과중은 300g 정도이며, 당도가 높고 산미가 다소 있는 감산조화형 품종으로 육질은 유연다즙하다. 재배상 유의점으로는 과다 적과시에는 과육과 핵 사이에 공동이 발생될 수 있음으로 지나친 적과는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착색도 향상을 위해서는 봉지재배를 실시하는 것이 좋다.
백향의 수체 및 과실특성
수세 |
나무 자세 |
만개일
(월.일) |
꽃눈, 잎눈 착생습성 |
결과지 |
화분량 |
수확전 낙과 |
강 |
반개장 |
4. 20 |
홑눈, 겹눈 |
중장과지 |
다 |
중 |
숙 기
(월, 순) |
과형 |
과중
(g) |
당도
(。Bx) |
과피색 |
육색 |
육질 |
보구력 |
9 상 |
단타원 |
300 |
12.0 |
녹적 |
백 |
용질 |
중 |
④ 천중도백도(川中桃白桃, Kawanakajima Hakuto)
일본 長野縣의 池田씨가 백도에 상해수밀을 교배하여 육성한 것으로 1977년 명명되었으며, 원예연구소에는 1983년 도입되어 1990년에 선발되었다. 수세는 강하며, 수자는 반개장성으로 결과지는 중과지이며, 꽃눈은 단아와 복아가 혼재한다. 화분이 극히 적으므로 수분수가 필요하다. 생리적 낙과는 적다. 숙기는 8월 하순으로 백도와 동시기인 만생, 대과종이다. 과형은 원형이며, 과피는 유백색 바탕에 선홍색으로 곱게 착색된다. 과중은 300g 정도이며, 풍산성이다. 과육은 백색이고, 핵 주위는 연한 홍색으로 착색되며, 육질은 다소 치밀한 편이며 보구력은 좋다. 당도가 높고 산미가 적다.
천중도백도의 수체 및 과실특성
수세 |
나무 자세 |
만개일
(월.일) |
꽃눈, 잎눈 착생습성 |
결과지 |
화분량 |
수확전 낙과 |
강 |
반개장 |
4. 20 |
홑눈, 겹눈 |
중과지 |
무 |
소 |
숙 기
(월, 순) |
과형 |
과중
(g) |
당도
(。Bx) |
과피색 |
육색 |
육질 |
보구력 |
8 하 |
편원∼원 |
300 |
12.0 |
선홍색 |
유백 |
용질 |
약 |
⑤ 서미골드(西尾 Gold, Nishio Gold)
일본 岡山縣 山陽農園의 西尾씨가 골든피치(Golden Peach)의 아조변이를 발견하여 육성한 것으로 과수연구소에는 1991년 도입되어 1993년 선발되었다. 수세는 강하고 수자는 개장성이다. 꽃눈 및 겹눈의 착생은 양호하다. 화분이 없기 때문에 수분수 혼식이 필요하다. 숙기는 9월 중하순에서 10월 상순이다. 과중은 300g 이상이며, 결실관리를 철저히 하면 훨씬 대과를 생산할 수 있다. 과형은 편원형이며, 과피는 황색의 바탕색에 선홍색으로 착색되나 수확시까지 봉지를 벗기지 않는 봉지재배시에는 착색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다(원색화보 참조). 과육은 황색이며, 과육내 적색소 발현은 없으며, 핵주위는 연하게 착색된다. 육질은 불용질로 치밀하여 섬유소는 다소 적다. 과즙은 적은 편이며, 당도는 13 oBx 정도이며 산미가 적고 향기가 많아 품질이 우수하다. 핵은 점핵성이며, 생리적 낙과가 다소 있고, 핵할은 많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 품종은 육질이 불용질로 보구력이 강하고 과실이 나무에 매달려 있는 기간이 길기 때문에 수확이 지나치게 늦어질 경우 과실 분질화(바람들이)가 초래될 수 있으므로 적기 수확에 유의하여야 한다.
서미골드의 수체 및 과실특성
수세 |
나무 자세 |
만개일
(월.일) |
꽃눈, 잎눈 착생습성 |
결과지 |
화분량 |
수확전 낙과 |
강 |
개장 |
4. 25 |
홑눈, 겹눈 |
중과지 |
무 |
중 |
숙 기
(월, 순) |
과형 |
과중
(g) |
당도
(。Bx) |
과피색 |
육색 |
육질 |
보구력 |
9중∼10상 |
편원 |
300 |
13.0 |
적황 |
황 |
불용질 |
강 |
⑥ 장호원황도(長湖院黃桃)
경기도 이천군 장호원읍 최상용씨의 과수원에서 일본으로부터 도입된 황육계 복숭아의 접목변이로 발견된 것을 1993년 과수연구소에서 선발, 명명한 품종이다. 수세는 유목시에는 강하나 성목이 되면 중간정도이며, 수자는 유목시기에는 직립성이나 성목이 되면 약간 개장성이 된다. 꽃눈 및 겹눈착생이 많고 화분이 많은 자가결실성 품종으로 풍산성이다. 숙기는 9월 중순부터 10월 상순인 극만생 황육계 품종이다. 과중은 300g 이상으로 대과성이며, 과형은 원형이다. 과피는 봉지재배시 황색의 바탕색 위에 햇볕을 받는 부위가 적색으로 착색된다. 과육은 황색이며, 핵 주위가 다소 붉게 착색되며, 핵은 점핵성이다. 용질성인 과육은 향기가 많고, 당도가 12.5 oBx로 높고, 산미가 적어 식미가 매우 우수하다. 보구력 및 저장력은 좋은 편이다.
장호원황도의 수체 및 과실특성
수세 |
나무 자세 |
만개일
(월.일) |
꽃눈, 잎눈
착생습성 |
결과지 |
화분량 |
수확전 낙과 |
중 |
반개장∼개장 |
4. 26 |
홑눈,겹눈 |
중,장 과지 |
다 |
소 |
숙 기
(월, 순) |
과형 |
과중
(g) |
당도
(。Bx) |
과피색 |
육색 |
육질 |
보구력 |
9중∼ 10상 |
원 |
300 |
12.5 |
적황 |
황 |
용질 |
강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