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12월 18일 대선을 하루 앞두고서 정읍인문학 기획안을 다시한번 가다듬기위해 회원 5명이 정읍시내 한 음식점에 모였습니다. 참가자 (이진우, 주요섭, 박래철, 박상주, 곽형주 )
머리를 맞대고 기획안을 수정하여 주제와 강사진, 진행방식 등에 대해 고민하였습니다. 앞으로도 기획안은 수정의 여지가 많겠지만 일단 수정된 기획안을 여기에 올려봅니다. 회원 여러분의 좋은 의견 주시기 바랍니다.
................................................................................................................................................................................
전북과학대 평생교육원 강좌
〈정읍인문학(가칭)〉 기획안(草)
○ 개요 : 카페 정읍통문 주최로, 전북과학대학 평생교육원 2013년 봄학기에〈정읍 인문학〉강좌를 개설하여 진행함.
○ 취지와 목표
- 정읍통문의 성과와 뜻을 되살리면서 첫 번째 사업으로서
- 정읍의 땅과 문화, 그리고 사람들에 대한 종합적이고 통합적인 공부의 기회를 마련하며
- 장차 民(정읍의 보통사람들)에 의한 ‘정읍학’ 정립의 기초를 마련한다.
- 가능한 강의 내용을 기초로 단행본을 출판하도록 한다.
- 더불어 정읍통문 시즌2의 계기로 삼는다.
(장차 지역문화 활성화에 기여하는 ‘사회적 협동조합’ 설립 모색)
○ 기간 : 2013년 3월 ~ 6월 (매주 2시간씩 총 15주 / 평일 월 또는 화요일 19시~21시)
○ 장소 : 전북과학대학 평생교육원(옛 정읍군청 또는 상동 신축 강의실)
○ 주관 : 카페 정읍통문(가칭)
○ 교무 : 이진우 (☎ 011-681-0255)
○ 수강비 : 12만원(답사 교통비 별도, 정읍통문 회원은 2만원 할인)
※ 진행원칙
- 강사는 원칙적으로 카페 정읍통문 회원의 재능기부로 진행한다.
- 수강생은 강사를 비롯해 카페 정읍통문 회원을 중심으로 한다.
- 모아진 기금은 추후 사회적 협동조합 설립 기금으로 활용한다.
○ 프로그램 (예시)
1강 : 정읍이 우주의 배꼽이다 - 글로컬시대와 ‘지역적 삶’ / 주요섭
2강 : 정읍통사1(고대~조선) : 정읍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 이상섭
3강 : 정읍통사2(근대1) : 동학농민혁명과 정읍 / 조광환
4강 : 정읍통사3(근대2) : 정읍지역의 민족종교(강증산과 보천교) / 김재영
5강 : 정읍통사4(현대) : 해방 이후 정읍의 현대사(민주화운동을 중심으로) / 유철준
6강 : 정읍의 땅과 문화(골목길 답사) : 토요일 한나절 / 이갑상
7강 : 정읍의 예술1(음악) : 수제천과 농악을 중심으로 / 박상주
8강 : 정읍의 예술2(미술) : 서화를 중심으로 / 김용련
9강 : 정읍의 예술3(문학) : 전통문학과 현대문학 / 이형미
10강 : 정읍의 인물 : 시대별 주요 인물 / 유종국
11강 : 정읍의 땅과 문화 (정읍권) : 박래철
12강 : 정읍의 땅과 문화 (고부권) : 곽형주
13강 : 정읍의 땅과 문화 (태인권) : 서혁기
14강 : 정읍의 땅과 문화 (현장답사, 토요일 하루) : 박래철, 곽형주, 서혁기
15강 : 정읍, 새로운 미래를 향하여 (토론) / 다 함께
정읍인문학 기획안.hw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