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건강의 정의를 가장 잘 설명한 것은? [답 5]
1) 허약하지 않은 상태 2) 질병이 없는 상태 3) 정신적, 육체적, 경제적 안녕 상태
4) 정신적, 경제적, 사회적 안녕 상태 5)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 안녕 상태
2. 공중보건 사업의 최소 단위는? [답 4]
1) 직장 2) 가족 3) 개인 4) 지역사회 5) 인구 10만
3. 1차 예방에 속하지 않는 것은? [답 4]
1) 보건교육․상담 2) 질병예방 3) 건강증진 4) 불구의 기능 극대화 및 재활
5) 예방접종, 가족계획
4. 공중보건학의 발달 순서가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답 1]
1) 고대기-중세기-여명기-확립기-발전기 2) 중세기-여명기-요람기-발전기-확립기
3) 여명기-고대기-중세기-확립기-발전기 4) 여명기-고대기-요람기-발전기-확립기
5) 고대기-중세기-여명기-발전기-확립기
5. 공중보건의 사상이 싹트기 시작한 시기는? [답 3]
1) 고대 이집트시대 2) 중세 확립시대 3) 산업혁명시대 4) WHO발족 이후
5) 1900년 이후
6. 지역사회나 국가의 보건수준을 나타내는 가장 대표적인 지표는? [답 2]
1) 평균수명 2) 영아사망률 3) 모성사망률 4) 조사망률 5) 조출생률
7. 세계 최초의 공중보건법이 제정된 시기는? [답 3]
1) 고대기 2) 중세기 3) 여명기 4) 확립기 5) 발전기
8. 영국에 보건부가 설치된 시기는? [답 2]
1) 중세기 2) 발전기 3) 확립기 4) 여명기 5) 고대기
9. 질병의 발생이나 유행현상을 수리적으로 분석하여 수학적으로 수식화한 역학은? [답 3]
1) 기술역학 2) 분석역학 3) 이론역학 4) 실험역학 5) 임상역학
10. 콜레라의 역학적 전파 양상을 잘 설명한 사람은? [답 2]
1) Koch 2) Snow 3) Gorden 4) Goldberger 5) Lister
11. 어떤 질병이 10년을 주기로 대유행이 반복된다면 이런 변화는? [답 1]
1) 추세변화 2) 순화변화 3) 불규칙변화 4) 돌연유행성 변화 5) 계절적 변화
12. 전향성 조사의 장점이라 할 수 있는 것은? [답 2]
1) 조사경비가 많이 든다. 2) 위험도(Risk)의 산출이 가능하다.
3) 장기간의 관찰이 필요하다. 4) 후향성 조사에 비해서 노력이 많이 든다.
5) 대상자가 많이 탈락한다.
13. 역학적으로 보아 여름철에 발병률이 낮은 전염병은? [답 2]
1) 콜레라 2) 인플루엔자 3) 세균성이질 4) 파라티푸스 5) 장티푸스
14. 아래의 내용 중 질병발생의 3대 요소로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답 2]
1) 환경․소질․감수성 2) 병인․숙주․환경 3) 병인․환경․소질
4) 병인․숙주․유전 5) 숙주․환경․감염
15. 간접전파에서 개달물(fomites)에 속하는 것은? [답 3]
1) 우유, 공 2) 모기, 이 3) 의복, 침구, 수건 4) 식품, 토양 5) 파리, 빈대
16. 공기로 전파되는 전염병은? [답 3]
1) 장티푸스 2) 발진티푸스 3) 디프테리아 4) 광견병 5) 일본뇌염
17. 다음 중 질병의 전파방법 중 직접전파에 속하는 것은? [답 5]
1) 공동 매개체 전파 2) 활성 매개체 전파 3) 경난형 전파
4) 비말핵에 의한 전파 5) 비말에 의한 전파
18. 장티푸스의 가장 중요한 대책은? [답 5]
1) 환자의 격리 수용 2) 환자의 치료 사업 3) 의료 기관의 확충
4) 검역의 철저 5) 환경위생의 철저와 보균자 색출
19. 공중보건상 전염병 관리면에서 가장 중요하고 어려운 것은? [답 2]
1) 환자 2) 보균자 3) 음료수 4) 토양 5) 동물 병원소
20. 호흡기계 질환의 이상적인 관리방법은? [답 3]
1) 환경위생 철저 2) 접촉자 색출 3) 예방접종 실시 4) 발병시 치료 5) 보균자 관리
21. 전염병관리의 3대 원칙 중 감수성숙주 대책에 해당되는 것은? [답 1]
1) 면역 증강 2) 전파 예방 3) 환경위생 4) 식품위생 5) 환자 치료
22. 병원체가 인체로 침입하는 경로 중, 수인성전염병의 침입경로는 주로 어떤 경로를 거치는
가? [답 1]
1) 경구 침입 2) 호흡기 침입 3) 경피 침입 4) 골격기 침입 5) 혈류 침입
23. 전염병발생에 관여하는 6가지 요소의 순서가 올바른 것? [답 3]
1) 병원체-전파-병원소-병원소로부터 탈출-신숙주에의 침입-신숙주의 감수성 및 면역
2) 병원소-병원소로부터 탈출-전파-신숙주의 감수성 및 면역-신숙주에의 침입
3) 병원체-병원소-병원소로부터 탈출-전파-신숙주에의 침입-신숙주의 감수성 및 면역
4) 병원소-전파-신숙주에의 침입-신숙주의 감수성 및 면역-병원소에서 탈출-병원체
5) 병원체-병원소-전파-병원소로부터 탈출-신숙주에의 침입-신숙주의 감수성 및 면역
24. 병원소로부터 병원체의 탈출 경로가 아닌 것은? [답 5 ]
1) 비뇨기계 2) 호흡기계 3) 소화기계 4) 개방병소(피부) 5) 순환기계
25. 다음 중 병후면역이 인정되지 않는 것은? [답 1]
1) 임질 2) 세균성이질 3) 폐렴 4) 와일씨병 5) 장티푸스
26. 홍역 경과 중 전염성이 가장 큰 시기는? [답 2]
1) 회복기 2) 잠복기 3) 회복 후 4) 발병기 5) 후유기
27. 인공능동면역으로 생균백신을 이용하는 전염병은? [답 1 ]
1) 홍역 2) 백일해 3) 콜레라 4) 일본뇌염 5) 디프테리아
28. 인공능동면역으로서 순화 독소를 이용하는 전염병은? [답 2 ]
1) 콜레라, 페스트 2) 파상풍, 디프테리아 3) 홍역, 수두
4) 성홍열, 폴리오 5) 결핵, 황열
29. 자연능동면역이 가장 강력하게 형성되는 질병은? [답 2 ]
1) 이질, 말라리아 2) 두창, 홍역 3) 매독, 임질 4) 수막구균성 수막염
5) 인플루엔자, 폐렴
30. 임신 초기에 이환되면 태아에게 영향을 주는 질병은? [답 2]
1) 홍역 2) 풍진 3) 수두 4) B형간염 5) 디프테리아
31. 검역법에 규정된 검역 전염병은? [답 1]
1) 콜레라, 폐스트, 황열 2) 콜레라, 폐스트, 홍역 3) 폐스트, 황열, 이질
4) 폐스트, 황열, 두창 5) 황열, 두창, 이질
32. 감마 글로블린과 혈청제제 등의 접종으로 얻어지는 면역은? [답 2 ]
1) 인공능동면역 2) 인공수동면역 3) 자연능동면역 4) 자연수동면역 5) 선천적면역
33. 전염병예방법상 전염병의 정기 예방접종을 실시하는 자는? [답 2]
1) 보건복지부장관 2) 시장, 군수, 구청장 3) 보건소장 4) 국립보건원장
5) 시, 도지사
34. 제2차 성비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답 5]
1) 사망시 성비 2) 출생전 성비 3) 노인의 성비 4) 혼령기 성비 5) 출생시 성비
35. 보건통계에서 1세 인구란? [답 3]
1) 12개월 미만 인구 2) 12개월이 된 인구 3) 13개월 이상~만 24개월 미만 인구
4) 24~36개월 미만 인구 5) 24개월 미만 인구
36. 생정통계에서 5~9세 인구란? [답 2]
1) 만 5세부터 만 9세까지의 인구 2) 만 5세부터 만 10세 미만의 인구
3) 만 4세부터 만 9세까지의 인구 4) 만 4세부터 만 10세 미만의 인구
5) 만 5세부터 만 10세 이하까지의 인구
37. 사망통계에서 연간 출생아수가 분모가 되지 않는 것은? [답 3]
1) 영아사망률 2) 모성사망률 3) 조사망률 4) 신생아사망률 5) 후기신생아사망률
38. WHO의 지역사무소의 수는? [답 3]
1) 4개 2) 5개 3) 6개 4) 7개 5) 8개
▣ 아래 각 문항에 대한 옳은 답은 ㉮ ㉯ ㉰ ㉱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다.
옳은 답으로 조합된 짝 하나를 1)-5) 중에서 선택하라.
39. 아래의 내용은 접촉지수를 나타낸 것이다. 맞는 것 모두가 조합된 것은? [답 1]
㉮ 두창 : 95% ㉯ 백일해 : 60~80% ㉰ 폴리오 : 0.1% ㉱ 홍역 : 5%
1. 정상공기의 용량백분율로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양은? [답 4]
1) 약28%~0.1% 2) 약18%~0.5% 3) 약25%~0.08% 4) 약21%~0.03%
5) 30~0.01%
2. 성인 한 사람이 하루에 호흡하여 소비되는 산소량은? [답 5]
1) 200~250ℓ 2) 300~400ℓ 3) 400~500ℓ
4) 500~900ℓ 5) 600~700ℓ
3. 실내공기의 오염정도를 나타내는 지표가스는? [답 4]
1) 아황산가스 2) 이산화질소 3) 오존 4) 탄산가스 5) 매연
4. 연탄에서 발생되는 일산화탄소는 혈색소와의 친화력이 산소보다 약 몇배가강한가? [답 5]
1) 50매 2) 100배 3) 120매 4) 150매 5) 250매
5. 온열환경에 있어 가장 중요한 온열요소를 정확하게 설명한 것은? [답 2]
1) 기온, 일교차, 습도 2) 기온, 기습, 기류, 복사열 3) 복사열, 실내온도, 일교차
4) 실내온도, 기류, 감각온도 5) 기온, 기류, 일교차
6. 실내의 적당한 지적온도 및 습도는? [답 1]
1) 18±2℃, 40~70% 2) 20±2℃, 30~60% 3) 20±2℃, 60~80%
4) 22±2℃, 60~80% 5) 16±2℃, 40~70%
7. 실내의 기류를 측정하고자 할 때는 다음 중 어느 것을 쓰는가? [답 2]
1) 풍속계 2) 카타온도계 3) 흑구 온도계 4) Aneroid기압계 5) 건구 온도계
8. 아래의 내용 중 불쾌지수를 구하는 방법으로 맞는 것은? [답 3]
1) (건구온도×습구온도)℃×0.72+40.6 2) (건구온도×습구온도)℃+0.72+40.6
3) (건구온도+습구온도)℃×0.72+40.6 4) (건구온도+습구온도)℃÷0.72+40.6
5) (건구온도-습구온도)℃×0.72+40.6
9. 복사열 측정에 이용되는 기구는 어느 것인가? [답 2]
1) 열선풍속계 2) 흑구온도계 3) 카타온도계 4) 아스만 통풍건습계 5) 아우구스트 건습계
10. 다음 중 체온발산의 비율이 가장 큰 것은? [답 1]
1) 피부에서의 증발2) 폐포증발3) 호기가온(乎氣加溫)4) 소변 및 대변5) 골격근과 심장
11. 냉각력의 단위는? [답 4]
1) cal/sec 2) cal/㎠ 3) ㎠/cal/sec 4) cal/㎠/sec 5) ㎠/sec/cal
12. 기류를 측정할 때 사용하는 Kata 온도계 상부온도의 눈금은 얼마인가? [답 5 ]
1) 70℉ 2) 85℉ 3) 90℉ 4) 95℉ 5) 100℉
13. 자외선의 가장 대표적인 광선인 도노선(Dorno-ray)의 파장은? [답 2]
1) 290~315Å 2) 2,900~3,150Å 3) 2,900~31,500Å
4) 4,000~7,000Å 5) 400~700Å
14. 지상의 모든 생물들을 해로운 자외선, 우주선, 감마선으로부터 보호해주는 역할을 하는 생물보호막
오존층을 파괴하고 있는 원인물질과 진행고도가 맞게 짝지어져 있는 것은? [답 3]
1) CO2-약25㎞부근 2) PAN-약20㎞부근 3) CFCS-약25㎞부근
4) NO2-약10㎞부근 5) CO-약50㎞부근
15. 오존층(Ozone layer)에서의 오존의 함량은? [답 5]
1) 1ppm 2) 4ppm 3) 6ppm 4) 8ppm 5) 10ppm
16. 아래의 물질 중 로스엔젤리스 사건과 가장 관계가 깊은 물질은 어느 것인가? [답 5 ]
1) SOx 2) HNO3 3) CO 4) HF 5) O3
17. 대기환경 기준항목이 아닌 것은 어느 것인가? [답 4]
1) SO2 2) Pb 3) NO2 4) H2S 5) O3
18. 아래의 대기오염물질 중 가스상 물질이 아닌 것은? [답 1]
1) 매연 2) 오존 3) 포름알데히드 4) 황화수소 5) 질소산화물과 황산화물
19. 폐에 침착하여 진폐증을 유발시킬 수 있는 입자의 크기는? [답 2]
1) 0.1μ 이하 2) 0.5~5.0μ 3) 0.5~50μ 4) 10~20μ 5) 20~50μ
20. 아래의 자동차 배출가스 오염물질 중 발암성인 것은? [답 5]
1) 질소산화물 2) 황산화물 3) 탄화수소 4) 일산화탄소 5) 벤조피렌
21. 조혈기능에 장애를 일으키는 물질은 어느 것인가? [답 2]
1) 비소 2) 납, 벤젠 3) 아연 4) 황화수소 5) 오존
22. 대기오염물질 중에서 고등식물에 독성이 강한 순서로 나열된 것은? [답 1]
1) HF>SO2>NO2>CO>CO2 2) Cl2>HF>CO>NO2>SO2>CO2
3) SO2>Cl2>HF>CO>NO2>CO2 4) NO2>SO2>Cl2>HF>CO>CO2
5) CO>Cl2>SO2>NO2>HF>CO2
23. 대기오염이 가장 심한 기압의 형태는 어느 것인가? [답 3]
1) 이동성 고기압 2) 이동성 저기압 3) 정체성 고기압 4) 정체성 저기압
5) 답이 없음
24. 대기중의 함량이 높아질 경우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기체는 어느 것인가? [답 1]
1) CO2 2) CO 3) SO2 4) NO2 5) O3
25. 온도, 습도, 기류의 3가지 인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체감을 무엇이라 하는가? [답 1]
1) 감각온도 2) 복사온도 3) 온열온도 4) 쾌적온도 5) 지적온도
26. 아래의 지역 중 대기오염 사건이 일어난 도시가 아닌 곳은? [답 4]
1) Muese valley 2) Donora 3) London 4) Paris 5) L.A
27. 아래의 내용 중 지표수의 특징이 아닌 것은? [답 1]
1) 유기물이 적다. 2) 미생물과 세균번식이 활발하다. 3) 경도가 낮다.
4) 수온 및 탁도의 변화가 심하다. 5) 용존산소의 농도가 높다.
28. 상수를 처리하므로서 수인성전염병이 감소되고 일반사망률이 현저히 저하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답 4]
1) 물재생현상 2) 수명연장 3) 전도현상
4) 밀스-레인케(Mills-Reincke)현상 5) 성층현상
29. 아래의 내용은 수원지에서부터 가정까지의 급수계통을 나타내었다. 옳은 것은? [답 1 ]
1) 취수→도수→정수→송수→배수→급수
2) 취수→도수→송수→정수→배수→급수
3) 취수→도수→소독→정수→배수→급수
4) 취수→송수→정수→도수→배수→급수
5) 취수→도수→정수→배수→송수→급수
30. 상수의 처리과정 중 급속여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답 4]
1) 1일 처리수량이 완속여과에 비해 크다. 2) 역세척을 실시하여 모래를 재생한다.
3) 약품에 의해 응집 침전시킨 후 여과한다. 4) 유지관리비가 적게 든다.
5) 탁도가 높은 물의 처리에 적합하다.
31. 상수의 염소소독에서 모든 조건이 같다면 다음 중 살균력이 가장 큰 것은? [답 4 ]
1) NH2Cl 2)NHCl2 3) HCO3 4) HOCl 5) 클로라민
32. 다음은 물의 염소 소독시 일어나는 반응이다. pH가 알칼리성일 때 잘 진행되는 반응은? [답 1]
1) HOCl→H++OCl- 2) Cl2+H2O→HOCl+HCl 3) H++O2-→H2O
4) HOCl+HCl→Cl2→H2O 5) HOCl→OH-+Cl-
33. 아래의 내용 중 불연속점(break point) 염소처리를 옳게 설명한 것은? [답 2]
1) 유리형 잔류염소 출현시까지 처리 2) 잔류염소 최하강점 이상으로 염소처리
3) 잔류염소 최상승점 이상으로 염소처리 4) 간헐적으로 염소처리
5) 불연속적으로 염소처리
34. 물 1㎘를 40%의 유효 염소를 함유한 표백분을 사용하여 0.2ppm 농도로 염소 소독할 때
필요한 표백분의 양은? [답 5]
1) 30㎎ 2) 40㎎ 3) 50㎎ 4) 400㎎ 5) 500㎎
35. 다음 중 황산반토가 사용되는 것은? [답 4]
1) 분뇨 처리 2) 폐기물 처리 3) 살균 4) 상수 처리 5) 조류제거
36. 음용수의 수질검사에서 KMnO4의 소비량이 많다는 것은 무엇을 뜻하는가? [답 3]
1) 물의 경도가 높다. 2) 대장균이 많다. 3) 유기물이 많다.
4) 혐기성 부패가 일어나고 있다. 5) 물이 깨끗하다.
37. 조류의 번식을 방지하기 위해 주입하는 약품은? [답 4]
1) 명반 2) 염화 제2철 3) 황산마그네슘 4) 황산동 5) 황산 제2철
38. 다음 중 경수에 해당하는 물질은? [답 3]
1) 탄산가스가 많다. 2) 질소와 인이 많다. 3) 칼슘, 마그네슘이 많다.
4) 조류가 많다. 5) 불소량이 많다.
39. 침전지에서 부유물질의 침강속도를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은? [답 3]
1) 부유물질 입자의 밀도가 클 경우 2) 중력가속도가 클 경우
3) 처리수의 점성도가 클 경우
4) 폐수의 밀도와 부유물 입자의 밀도 차가 클 경우
5) 부유물 입자의 직경이 클 경우
40. 다음 공장폐수의 처리에 있어 부상(浮上)처리법의 처리가 적합하지 않은 것은? [답 4]
1) 유지공장의 폐수 2) 제지공장의 폐수 3) 합성세제공장의 폐수
4) 요업공장의 폐수 5) 정유공장의 폐수
41. 미생물을 이용하여 폐수처리를 할 때 유기물 분해속도가 가장 빠른 단계는? [답 3]
1) 감소성장 단계 2) 내호흡 단계 3) 대수성장 단계
4) 정지기 5) 대수-감소성장 단계
42. 하수를 호기성 처리했을 때 가장 많이 발생하는 가스는? [답 2]
1) CO 2) CO2 3) SO2 4) CH4 5) NH3
43. 다음 하수처리법 중 생물학적 처리법이 아닌 것은? [답 4]
1) 활성 오니법 2) 살수 여상법 3) 부패조 4) 응집 침전법 5) 산화지법
44. 다음 하수 처리법 중 호기성 처리법이 아닌 것은? [답 2]
1) 활성오니법 2) 소화법 3) 살수여상법 4) 산화지법 5) 회전원판법
45. 일반적으로 도시하수의 2차 처리공정은 어느 방법을 이용하는가? [답 2]
1) 접촉여상법 2) 활성오니법 3) 응집침전법 4) 산화지법 5) 소화분해법
46. 공장폐수 중 활성슬러지가 가장 벌킹(bulking)하기 쉬운 폐수는? [답 4 ]
1) 탄광폐수 2) 섬유제조업 폐수 3) 자동차 정비폐수
4) 양조장 폐수 5) 요업공장 폐수
47. 다음은 혐기성 처리의 온도와 처리일 수를 나타낸 것이다. 중온소화법의 온도와 처리
일수가 맞게 된 것은? [답 3]
1) 10~15°C에서 30일 정도 소화 2) 30~35°C에서 15일 정도 소화
3) 30~35°C에서 30일 정도 소화 4) 60~75°C에서 15일 정도 소화
5) 50~55°C에서 30일 정도 소화
48. 혐기성 소화처리에 적당한 폐수는? [답 1]
1) 식품가공폐수 2) 석유정제폐수 3) 도금공장폐수
4) 청량음료 제조공장폐수 5) 탄광폐수
49. 메탄가스의 성질을 옳게 나타낸 것은? [답 2]
1) 무색, 악취, 폭발성 2) 무색, 무취, 폭발성 3) 회색, 무취, 안정
4) 회색, 악취, 안정 5) 무색, 무취, 안정
50. 혐기성 처리의 특징으로서 장점이 아닌 것은? [답 2]
1) 기생충란을 사멸시킨다. 2) 호기성 처리방법에 비하여 소화속도가 빠르다.
3) 유지관리비가 적게 든다. 4) 메탄가스를 열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5) 수인성전염병의 전파를 막을 수 있다.
51. 수영장이나 목욕탕에서 전염될 수 없는 질병은? [답 1]
1) 성병 2) 피부병 3) 트라코마 4) 질트리모나스 5) 눈병
52. 온천수 등의 욕수에 대한 수질기준 항목은? [답 5]
1) 탁도 2) 색도 3) 수소이온 농도 4) 과망간산칼륨 소비량 5) 대장균군
53. 다음 중 실내의 자연환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아닌 것은? [답 2]
1) 실내 기류의 속도 2) 실내․외의 기습 차 3) 기체 확산력
4) 옥외의 풍속 5) 실내․외의 기온 차
54. 실내 자연환기가 잘 되는 것은 일반적으로 중성대가 어느 위치에 있을 때인가? [답 2]
1) 방바닥 가까이 2) 천장 가까이 3) 창을 가까이
4) 중간 지점 5) 위치에 무관하다.
55. 자연채광을 위해 좋은 창문의 개각 및 입사각은 몇 도로 하는 것이 좋은가? [답 3 ]
1) 개각 2。이상, 입사각 20。이상 2) 개각 5。이상, 입사각 20。이상
3) 개각 5。이상, 입사각 28。이상 4) 개각 3。이상, 입사각 30。이상
5) 개각 1。이상, 입사각 28。이상
56. 소독작용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닌 것은? [답 5]
1) 수분 2) 시간 3) 온도 4) 농도 5) 채광
57. 다음 중 공기, 물, 무균실 등의 소독에 사용되는 것은? [답 2]
1) X선 2) 자외선 3) 적외선 4) 초음파 5) 감마선
58. 먹는물에서 페놀(phenol)류를 문제삼는 가장 큰 이유는 무엇 때문인가? [답 1]
1) 불쾌한 냄새를 유발하기 때문 2) 물이 탁해지고 색을 띠기 때문
3) 물거품을 발생시키기 때문 4) 경도가 높아서 물때가 생기기 때문
5) 유막을 형성하여 DO의 용해를 방해하기 때문
▣ 아래 각 문항에 대한 옳은 답은 ㉮ ㉯ ㉰ ㉱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다.
옳은 답으로 조합된 짝 하나를 1)-5) 중에서 선택하라.
59. 군집독을 일으키는 가스의 변화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답 5 ]
㉮ CO2 증가 ㉯ O2 감소 ㉰ 악취 증가 ㉱ 기타 가스의 증가
1. 위생사라 함은 위생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전문지식과 기능을 가진 자로서 누구의 면허
를 받는가? [답 3]
1) 국가고시연구원장 2) 행정자치부장관 3) 보건복지부장관 4) 환경부장관
5) 국립보건원장
2. 위생사 국가시험에 응시한 자가 부정행위를 한 경우 처벌은 어떻게 되는가? [답 1]
1) 그 수험을 정지시키거나 합격을 무효로 한다. 2) 그 시험 후 5회 동안 응시할 수 없다.
3) 해당 시험만 무효로 한다. 4) 영구히 위생사 시험에 응시할 수 없다.
5) 그 후 10회 동안 모든 국가시험에 응시할 수 없다.
3. 위생업무 중 “대통령이 정하는 업무”라 함은 무슨 업무를 말하는가? [답 1]
1) 소독업무와 보건관리 업무 2) 근로자 관리업무 3) 실험측정업무
4) 생물학적 기술분야 업무 5) 시료채취업무
4. 위생사 시험실시는 며칠 전에 공고해야 하는가? [답 3]
1) 10일 2) 20일 3) 30일 4) 60일 5) 90일
5. 위생사 면허증을 잃어버리거나 못쓰게 될 때 또는 면허증의 기재사항에 변경이 있을 때에
는 위생사 면허증 재교부 신청서를 누구에게 제출하여 재교부를 받는가? [답 2]
1) 국무총리 2) 보건복지부장관 3) 과학기술부장관 4) 노동부장관 5) 국립보건원장
6. 질병에 걸렸거나 또는 병사한 동물에 있어서 판매할 수 있는 것은 어느 부분인가? [답 5]
1) 고기 2) 장기 3) 뼈 4) 혈액 5) 가 죽
7. 위해 식품으로 판매가 금지된 식품이 아닌 것은 어느 것인가? [답 1]
1) 썩었거나 설익은 것으로 인체의 건강을 해할 우려가 없는 것
2) 유독․유해물질이 들어 있거나 그 염려가 있는 것
3) 병원미생물에 의하여 오염되었거나 그 염려가 있는 것
4) 불결하거나 또는 다른 물질이 혼입 또는 첨가된 것
5) 허가 받지 아니하거나 신고하지 아니한 자가 제조․가공한 것
8. 식품위생법에서 식품 등의 공전은 누가 작성․보급하여야 하는가? [답 2]
1) 보건복지부장관 2) 식품의약품안전청장 3) 국립보건원장 4) 시․도시자
5) 시장, 군수, 구청장
9. 식중독을 일으킨 환자 또는 의심이 있는 자를 진단한 의사 또는 한의사는 누구에게
보고하여야 하는가? [답 5]
1) 보건복지부장관 2) 시, 도지사 3) 시장, 군수, 구청장 4) 식품의약품안전청장
5) 관할 보건소장 또는 보건지소장
10. 식품위생법의 규정에 의해 영업에 종사하지 못하는 질병의 종류가 아닌 것은? [답 3]
1) 피부병 기타 화농성 질환 2) 제1군 전염병 3) B형 간염
4) 제3군 전염병 중 결핵 5)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11. 전염병 예방법에서 규정한 제1군 전염병이 아닌 것은? [답 5]
1) 콜레라 2) 세균성이질 3) 페스트 4) 장출혈성대장균 5) 아메바성이질
12. 전염병 예방법이 규정한 제3군 전염병이 아닌 것은? [답 2]
1) 결핵 2) 파상풍 3) 성병 4) 한센병 5)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13. 의사 또는 한의사는 제1군 전염병 환자를 진찰하였을 때에는 즉시 누구에게 보고하는가?
[답 5]
1) 보건소장을 거쳐 보건복지부장관 2) 시․도지사 3) 보건소장을 거쳐 시․도지사
4) 보건복지부장관 5) 전염병 환자를 관할하는 보건소장
14. 제1군 전염병 환자가 사망하였을 때 기타 신고의무자에 속하지 않는 자는? [답 3]
1) 호주․세대주 2) 군부대 소속부대장 3) 양호교사 4) 관공서의 장 5) 병원의 경영자
15. 정기 예방접종을 실시하여야 하는 질병이 아닌 것은? [답 5]
1) 디프테리아 2) 유행성이하선염 3) 풍진 4) 파상풍 5) 아메바성이질
16. 보건소장이 “환자명부의 작성 및 보고”의 규정에 따라 보고를 하여야 하는 데 기간이 잘못
된 것은? [답 5]
1) 제1군․제4군 전염병 : 신고 또는 보고 받은 후 즉시
2) 제2군․제3군 전염병 : 매주 1회
3) 제2군․제3군 전염병 중 2인 이상의 전염병 환자 발생이 역학적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의심되는 경우와 일본뇌염 : 신고 또는 보고 받은 후 즉시
4) 지정전염병 : 매주 1회
5) 제2군․제3군 전염병 중 2인 이상의 전염병 환자 발생이 역학적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의심되는 경우와 일본뇌염 : 매주 1회
17. 환경영향조사대행자의 등록의 결격사유에 해당하지 않는 자는? [답 3]
1) 금치산자 또는 한정치산자
2) 파산선고를 받고 복권되지 아니한 자
3) 등록이 취소된 후 3년이 경과하지 아니한 자
4) 먹는물관리법에 위반하여 징역 이상의 형을 선고를 받고 그 집행이 종료되거나 집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된 후 2년이 경과하지 아니한 자
5) 먹는물관리법에 위반하여 징역형에 대한 집행유예의 선고를 받고 그 유예기간에 있는 자
18. 환경부장관은 먹는물 관련자에게 영업정지에 갈음하여 얼마이하의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는가? [답 1]
1) 5천만원 2) 4천만원
3) 3천만원 4) 2천만원
5) 1천만원
19. 먹는샘물 제조업자의 경우 생산 및 작업일지를 작성 일로부터 얼마 동안 보존하여야
하는가? [답 1]
1) 1년 2) 2년 3) 3년 4) 5년 5) 7년
20. 먹는 물의 수질기준 중 총대장균군 기준은? [답 3]
1) 10㎖에서 검출되지 않을 것 2) 50㎖에서 검출되지 않을 것
3) 100㎖에서 검출되지 않을 것 4) 200㎖에서 검출되지 않을 것
5) 300㎖에서 검출되지 않을 것
21. 지정폐기물을 수집, 운반 또는 처리를 업으로 하고자 하는 자는 누구에게 허가를 받아야
하는가? [답 5]
1) 군수 2) 구청장 3) 시장 4) 보건복지부장관 5) 환경부장관
22. 사후관리 대상인 폐기물을 매립한 후 일정기간 동안 토지의 이용을 제한할 수가 있다.
이 제한기간에 포함되는 용도는 어느 것인가? [답 1]
1) 공장부지 조성 2) 공원 3) 수목의 식재 4) 초지의 조성 5) 체육시설의 설치
23. 사후관리 대상인 폐기물을 매립하는 시설이 사용 종료되거나 폐쇄된 날로부터 몇 년간
토지이용을 제한하는가? [답 5]
1) 1년 2) 5년 3) 10년 4) 15년 5) 20년
24. 오수처리대책지역에 해당하지 않는 지역은? [답 1]
1) 취수시설로부터 유하거리 5㎞이내의 상류 지역 2) 상수원 보호구역
3) 지하수보전구역 4) 호소 수질관리지역 5) 공원보호구역
25. 다음은 건물 등의 증축에 따라 오수처리시설의 설치대상에 관해 설명한 것이다.
오수처리시설을 설치하는 업소와 면적이 잘못 연결 된 것은 어느 것인가? [답 5]
1) 건축 연면적이 1,600㎡이상인 건물
2) 건축 연면적이 400㎡이상인 고속도로 휴게소 및 여객자동차 터미널
3) 목욕장업에 필요한 건축 연면적이 200㎡이상인 건물 등
4) 골프장업 스키장업의 사업장 안의 오수가 발생하는 건물 등
5) 식품접객업에 필요한 건축 연면적이 200㎡이상인 건물 등
26. 허가대상 축산폐수배출시설에 관한 내용이다. 잘못된 것은? [답 5]
1) 돼지 사육시설 : 면적 1,000㎡ 이상
2) 소 사육시설 : 면적 9000㎡ 이상
3) 젖소 사육시설 : 축사면적 면적 900㎡ 이상 또는 운동장 면적 2,700㎡이상
4) 말 사육시설 : 면적 9000㎡ 이상
5) 닭․오리․양 사육시설 : 면적 150㎡ 이상
27. 축산폐수 배출시설의 배출부과금 부과대상이 되는 오염물질은? [답 1]
1) 유기물과 부유물 2) 유기물과 DO 3) COD와 SS
4) BOD와 pH 5) COD와 pH
28. 오수처리시설의 방류수 수질에 관한 내용이다. 기준이 잘못 된 것은? [답 1]
1) 골프장 및 스키장에서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은 20㎎/ℓ이하이다.
2) 특정지역의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은 20㎎/ℓ이하이다.
3) 특정지역의 부유물질량은 20㎎/ℓ이하이다.
4) 기타지역의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은 20㎎/ℓ이하이다.
5) 기타지역의 부유물질량은 20㎎/ℓ이하이다.
▣ 아래 각 문항에 대한 옳은 답은 ㉮ ㉯ ㉰ ㉱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다.
옳은 답으로 조합된 짝 하나를 1)-5) 중에서 선택하라.
29. 폐기물의 투기금지 지역이 아닌 곳은? [ 답 2]
㉮ 시장․군수․구청장이 폐기물의 수집을 위하여 마련한 곳
㉯ 해안
㉰ 공원․도로 등 시설의 관리자가 폐기물의 수집을 위하여 마련한 곳
㉱ 해수욕장, 항만, 어항
1) ㉮ ㉯ ㉰ 2) ㉮ ㉰ 3) ㉮ ㉱ 4) ㉱ 5) ㉮ ㉯ ㉰ ㉱
30. 아래의 내용은 폐기물관리법 벌칙 중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는 경우에 해당하는 것이다. 맞는 것 모두가 조합된 것은? [답 1]
㉮ 허가를 받지 아니하고 폐기물 처리업을 한자
㉯ 부정한 방법으로 폐기물 처리업 허가를 받은 자
㉰ 폐쇄 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한 자
㉱ 등록을 하지 아니하고 폐기물 처리시설 설계․시공업을 한자
1) 가,나,다 2) 가,다 3) 나,라 4) 라 5) 가,나,다,라
2. 잔류분무 작업 시 적당한 분사거리와 분무량은? [답 3]
1) 분사거리 40cm, 분사량 30cc/m2 2) 분사거리 43cm, 분사량 35cc/m2
3) 분사거리 46cm, 분사량 40cc/m2 4) 분사거리 49cm, 분사량 45cc/m2
5) 분사거리 52cm, 분사량 50cc/m2
3. 해충구제 방법 중 열처리 법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답 5]
가. 옷, 침대, 시트 등을 열처리하여 이, 빈대, 진드기 등을 구제한다.
나. 이, 빈대는 -17℃ 이하에서 2시간 정도 노출 처리하여도 구제된다.
다. 바퀴는 -8℃ 이하에서 1시간 정도 노출 처리하여도 구제된다.
라. 목재 해충을 구제하기 위해 열처리 할 경우에는 목재의 두께에 따라 동일한 온도에서도 처리 시간을 달리한다.
1) 가,나,다 2) 가,다 3) 나,라 4) 라 5) 가,나,다,라
4. 여름 철 저수조(받아 놓은 물)에서 발생하기 쉬운 위생해충은? [답 4]
1) 먹파리류 2) 등에류 3) 집파리류 4) 나방파리류 5) 검정파리류
5. 곤충 표피(cuticle)의 특징은? [답 1]
1) 외부의 병원체를 방어하는 물리적 장벽의 역할을 담당한다.
2) 외표피는 시멘트층과 단백성표피층 2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3) 극모 등을 형성하는 조모세포가 표피층에 분포하고 있다.
4) 기저막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5) 표피가 손상을 입었을 때에는 표피층에서 표피물질을 분비한다.
6. 불쾌해충(niusance)으로 조합된 것은? [답 3]
가. 곱추파리 나. 나방파리 다. 모래파리 라. 깔따구
1) 가,나,다 2) 가,다 3) 나,라 4) 라 5) 가,나,다,라
7. 다음은 살충제의 급성독성에 관한 설명이다. 잘못된 설명은? [답 3]
1) 급성독성평가는 일반적으로 경구독성, 경피독성, 흡입독성으로 구분되어 평가한다.
2) 급성독성평가는 실험동물을 사용하여 동일조건의 환경에서 약제를 투여하여 처리된 동물 중 반수(50%)가 치사 될 떄의 약량을 말한다.
3) 경구 및 경피독성 약량은 체중 1㎏당 g으로 표시하게 된다.
4) 흡입독성은 1㎥내의 약제농도를 ㎎으로 표시하게 된다.
5) 경구독성과 경피독성은 살충제 제제 형태에 따라 반수치사농도(LD50)가 다르다.
8. 다음은 신증후출혈열에 관한 설명이다. 다음 설명 중 잘못된 것은? [답 4]
1) 한국에서 농촌 유행지역의 Hantaan virus의 주동물 병원소는 Apodemus agrarus coreae라는 들쥐이다.
2) 농촌형 신증후출혈열은 야외에서 근무하거나 야외 작업에 종사한 주로 20-50대 연령의 군인, 농부들에 주로 발생하며, 유행지역에서는 일년 내내 발생한다.
3) 도시형 신증후출혈열은 집쥐에 의해서 전파되며, 연중발생하나 가을과 겨울에 빈번하다.
4) 사람간의 전파가 일어난다.
5) 쥐의 타액, 소변, 대변 등으로 배설된 virus들이 호흡기를 통하여 쥐들 사이에 또는 사람에게 감염된다.
9. 말라리아 매개모기 구제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답 5]
가. 말라리아의 매개모기 방제를 위해서는 살포방법과 매개모기의 흡혈습성 등 매개체의 생태를 고려해야 한다.
나. 말라리아의 매개모기의 화학적 방제를 위해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이 감수성 있는 살충제의 선정이다.
다. 최근에는 피레스로이드계의 살충제를 말라리아 방제에 많이 사용하여 왔다. 이렇듯 지속적으로 같은 살충제를 사용하면 이에 대한 저항성이 증가하여 기존에 사용하던 농도로는 방제하고자 하는 대상 해충을 살충할 수 없게 된다.
라. 국내에서 사용되는 시판 살충제는 단일제제가 아니라 2중 3중 복합제로 되어 있어 계속적으로 사용하면 여러 약제에 동시에 저항성이 발생하게되는 문제를 야기한다.
1) 가,나,다 2) 가,다 3) 나,라 4) 라 5) 가,나,다,라
10. 다음은 Bti제에 관한 설명이다. 다음 중 옳은 것은? [답 2]
가. B.t.i. 제제의 약효 잔류기간이 7-10일이므로 재처리 시점 설정에 주의를 한다.
나. B.t.i. 제제는 인체의 위험하지 않으므로 물에 희석하는 과정에서 특별한 보호장구를 착용하지 않고도 작업할 수 있다.
다. B.t.i.제제를 살포하는 용기에 살충제가 남아 있으면, 세균이 모두 죽으므로 유충구제 전용 용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 번데기가 많이 서식하는 발생원에는 살포하면 모기구제 효과가 좋다.
1) 가,나,다 2) 가,다 3) 나,라 4) 라 5) 가,나,다,라
11. 다음은 가열연막기를 이용한 야외효력평가시험을 하고자 한다. 다음 중 시험 방법 중
올바른 것은? [답 1]
가. 공시충망(18X25cm)을 지상에서 1m 높이에 위치시킨 후 휴대용 연막소독기를 이용하여 시간당 1km속도를 유지하면서 방제효과 실험을 실시한다.
나. 각 살충제의 희석배수와 사용농도가 다르므로 결과를 평균하여 치사효과를 확인한다.
다. 차량용 연막소독기로 시험할 때에는 시간당 8km 속도와 200L 분사량를 유지하면서 방제효과 실험을 실시한다.
라. 가열연막기를 이용한 야외효력평가시험은 바람이 전혀 불지 않는 오후에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1) 가,나,다 2) 가,다 3) 나,라 4) 라 5) 가,나,다,라
12. 정기적인 모니터링 및 예방홍보에 중점을 두고 관리해야 할 전염병은? [답 3]
1) 콜레라-페스트 2) 일본뇌염-폴리오 3) 말라리아-쯔쯔가무시증
4) 황열-뎅기열 5) 사상충증-샤가스병
13. 가을철 급성열성질환-쯔쯔가무시증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답 5]
1) 쯔쯔가무시병은 Rickettsia tsutsugamushi에 의한 전염병으로 쥐 등에 기생하는 진드기(mite)에 물려서 감염된다.
2) 유행지역의 관목숲이나 유행지역에 가는 것을 피해야하며 환자는 격리시킬 필요가 있다.
3) 숲에서 감염되는 까닭에 국내에서는 계절적으로 늦가을에 많고 겨울철에는 발생되지 않는다.
4) 농부, 군인, 야외활동을 하는 사람들이 주로 감염된다.
5) 쯔쯔가무시 매개곤충은 애벌레(자충)만이 흡혈성으로 감염원이 된다.
14. 바퀴벌레 구제방법으로 올바른 것은? [답 4]
1) 바퀴벌레는 어디든 들어 갈 수 있으므로, 컴퓨터의 시스템, 전기 콘센트, 기계장치의 내부 등 어디든 반드시 화학약품처리를 한다.
2) 가정용 살충제는 원칙적으로 저독성 살충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그릇이나 씽크대 주변에 약품을 반드시 씻어낼 필요가 없다.
3) 바퀴벌레의 생존 최적조건은 온도 18℃ 내외이다.
4) 바퀴벌레는 서식처 주위의 3-4m를 웬만해서는 벗어나지 않기 때문에 바퀴벌레가 발견되는 곳에서 3-4m 이내를 렌턴을 이용하여 유심히 살피면서 서식처를 찾는다.
5) 바퀴의 개체수가 많은 경우에 먹이통 살충제를 사용한다.
15. 쥐 구제방법으로 올바른 것은? [답 5]
가. 쥐를 잡는 것은 쥐의 개체군 밀도가 낮을 때 수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나. 급성살서제의 기피성을 줄이기 위하여 사전미끼에 살서제를 섞지 않고 4-8일간 설치한다.
다. 트랩 사용은 살서제를 사용한 후 생존한 소수의 쥐가 먹이 섭취에 더욱 조심하게 되었을 때 사용하는 것이 좋다.
라. 구서작업을 성공적으로 완수한 후 그 지역에 새로 침입한 소수의 쥐의 정착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항응혈성살서제를 혼합한 미끼먹이를 장시간 계속 설치하는 것이 좋다.
1) 가,나,다 2) 가,다 3) 나,라 4) 라 5) 가,나,다,라
16. 기어다니는 해충 쥐며느리, 빈대, 그리마, 지네 등을 거의 제거 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답 5]
1) 청결 2) 쓰레기처리 3) 환기와 습기관리 4) 스크린 설치(방충망)
5) 도포용 살충제 적용
17. 다음의 위생 해충 및 구제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답 2]
1) 잔 풀이 밀생하고 있는 곳에서는 쥐가 다니는 길에 풀이 나지 않아 통로를 식별할 수 있습니다.
2) 도포용 살충제를 시공한 후 약품이 마르면 물청소를 하여도 된다.
3) 곤충이 서식하기 위해 기본적인 조건 중에 하나가 바로 습기이다. 그러므로 수시로 환기하고 실내를 건조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4) 죽은 바퀴는 자연 분해되어 먼지가 되며 이는 알레르기성 비염을 일으키는 중요한 원인이 된다.
5) 바퀴벌레의 서식처 주변은 검은 깨 같은 분비물이 보인다.
18. 다음 곤충의 체벽(외골격)을 구성하는 가장 외부층은? [답 3]
1) 외원표피 2) 근육 3) 왁스층 4) 진피층 5) 기저막
19. 다리부분 중 한마디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답 1]
1) 부절 2) 퇴절 3) 전절 4) 경절 5) 기절
20. 어느 지방의 살충제 투여결과 옛날에는 치사량이 되었는데 올해는 10배로 증가시켜 곤충이
사멸되지 않는 이유는? [답 4]
1) 면역성이 생기기 때문에 2) 내성이 생기기 때문에
3) 생태적 저항성이 생기기 때문에 4) 생리적 저항성이 생기기 때문에
5) 항상성이 생기기 때문에
식품위생학
1. 식품위생의 목적이라고 할 수 없는 내용은? [답 5]
1) 위생상의 위해 방지 2) 식품영양의 질적 향상 도모 3) 국민의 건강증진
4) 국민보건의 향상과 5) 식품 가공 산업 육성
2. 식육의 부패 진행과정을 옳게 나열한 것은? [답 4]
1) 자가소화→사후강직→강직해제→부패 2) 사후강직→자가소화→강직해제→부패
3) 강직해제→자가소화→사후강직→부패 4) 사후강직→강직해제→자가소화→부패
5) 강직해제→사후강직→자가소화→부패
3. 다음 중 내용이 잘못된 것은? [답 1]
1) 우유의 세균 수는 20,000/㎖ 이상이다. 2) 정상우유의 유지방함량은 2.7% 이상이다.
3) 정상우유의 산도는 젖산으로서 0.18 이하이다.
4) 정상우유의 대장균은 2이하이다. 5) 이미, 이취가 없어야 한다.
4. 미생물의 생육의 필요한 무기질로서 미량을 요구하는 것은? [답 2]
1) P 2) Ca 3) Mg 4) K 5) S
5. 수분이 많은 식품에서 형성되는 주요 microflora는? [답 2]
1) 곰팡이 2) 세 균 3) 원충류 4) 효모 5) 조류
6. 발효란 식품중의 어떤 성분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현상인가? [답 2]
1) 단백질 2) 탄수화물 3) 지방질 4) 무기염류 5) 비타민
7. 병원성 대장균의 설명 중 틀린 것은? [답 1]
1) 2차 오염은 없으며 화농성 질환을 일으킨다.
2) 혈청학적 분류로 일반대장균과 구별된다.
3) 오염원은 분변에 의한다. 4) 주증상은 급성위장염이다.
5) 주로 영․유아에게 감염된다.
8. 우유의 살균온도와 시간 중 고온살균에 해당하는 것은? [답 2]
1) 63℃, 30분 2) 71℃, 15초 3) 100℃, 15초 4) 80℃, 30초 5) 121℃, 1초
9. 어육의 부패시 생성되는 물질로 부패취를 내는 물질은? [답 3]
1) histamin 2) ethanol 3) trimethylamin 4) histidin 5) amino acid
10. 냉동식품의 오염지표로 이용되는 미생물은? [답 3]
1) Vibrio 속 2) Micrococcus 속 3) Enterococcus 속 4) Escherichia 속 5) Proteus 속
11. 주모성 편모를 가지고 있는 균만으로 된 것은? [답 3]
1) 콜레라균, 장티푸스균 2) 페렴균, 포도상구균 3) 대장균, 살모넬라균
4) 연쇄상구균, 대장균 5) 살모넬라균, 장염 비브리오균
12. Neurotoxin을 생산하는 식중독균은? [답 2]
1) Salmonella enteritidis 2) Clostrdium botulinum 3) Staphylococcus aureus
4) Vibrio parahaemolyticus 5) Salmonella typhimurium
13. 다음 세균성 식중독균 중 잠복기가 가장 짧은것은? [답 3]
1) Clostridium welchii 2) Clostrdium botulinum 3) Staphylococcus aureus
4) Vibrio parahaemolyticus 5) Salmonella typhimurium
14. 식중독 중 사망률이 가장 높은 것은? [답 2]
1)살모넬라 식중독 2)보툴리누스 식중독 3)황색포도상구균 식중독
4)장염비브리오 식중독 5) 병원성대장균 식중독
15. 식물성 식중독을 일으키는 독소는? [답 5]
1) Tetrodotoxin 2) Saxitoxin 3) Venerupin 4) Mytilotoxin 5) Muscarine
16. 황색포도상구균에 의한 식중독과 관계가 가장 먼 것은? [답 1]
1)잠복기가 1~2일이다. 2)사망률이 낮다. 3)독소형이다.
4)구토 등 위장증상을 나타낸다. 5)원인식품은 우유 및 유제품 등이다.
17. 화학적 식중독의 원인 유해금속류가 아닌 것은? [답 2]
1) 비소 2) 철분 3) 납 4) 카드뮴 5) 수은
18. 다음 중 지적온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답 3]
1) 미생물의 사멸온도 2) 미생물의 증식 불능온도 3) 미생물의 증식 가능온도
4) 미생물의 증식 최적온도 5) 미생물의 증식 정지온도
19. 식품의 변질 중 산패(rancidity)현상이란?[답 2]
1) 탄수화물의 산화 2) 지방의 산화 3) 단백질의 부패
4) 탄수화물의 발효 5) 아미노산의 생성
20. 식품 중에서 대장균이 검출되었다면 존재 가능한 세균은? [답 5]
1)디프테리아균 2)광견병균 3)백일해균 4)파상풍균 5)이질균
21. 조리사의 화농소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 식중독은? [답 4]
1) 보투리누스식중독 2) 병원성 대장균에 의한 식중독 3) 살모넬라 식중독
4) 황색포도상구균에 의한 식중독 5) 장염비브리오식중독
22. 식중독의 원인물질 중 발생빈도가 가장 높은 것은?[답 1]
1) 세균성 2) 화학성 3) 식물성 4) 동물성 5) 환경오염
23. 경구, 피부를 통하여 감염을 일으키는 기생충은? [답 3]
1) 회충 2) 요충 3) 편충 4) 구충 5) 유구조충
24. 다음 중 법랑제 식기에 음식을 저장할 때 용출할 수 있는 중금속은? [답 5]
1) 납 2) 수은 3) 아연 4) 구리 5) 안티몬
25. 식품을 당에 저장하기 위하여 적당한 당의 함량은? [답 5]
1) 10% 2) 20% 3) 30% 4) 40% 5) 50%
26. 식품이 미생물에 의하여 변질되지 않게 하기 위한 최저수분 활성은 얼마 이하인가? [답 5]
1) 1.0 2) 0.9 3) 0.8 4) 0.7 5) 0.6
27. 연기 속에 함유되어 살균작용을 하는 성분은? [답 1]
1) 포름알테히드 2)디히드로아세트산 3)솔빈산 4)안식향산 5)석탄산
28. 다음 방사선 중 식품살균에 가장 효과적인 것은? [답 3]
1) α선 2) β선 3) γ선 4) 중성자선 5) 양자선
29. 식품을 냉장고에 보관하는 목적과 관련이 없는 것은? [답 3]
1) 식품의 신선도 유지 2) 식품의 자기소화 억제 3) 미생물의 멸균
4) 식품의 화학작용억제 5) 식품의 영양가 유지
30. 다음 중 사용이 허용되어 있는 인공감미료는? [답 2]
1) 사이클라메이트(Cyclamate) 2) 사카린(Saccharin) 3) 둘친(Dulcin)
4)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5) 톨루이딘(Toludine)
31. 우유의 가온 멸균시 위생적 지표가 되는 것은? [답 1]
1)결핵균의 사멸 2)대장균의 사멸 3)디프테리아균의 사멸 4)장티프균의 사멸
5)콜레라균의 사멸
32. 다음 중 호기성 부패세균을 억제하는 식품조존방법은?[답 4]
1)훈증법 2)냉동법 3)소금절이법 4)통조림법 5)훈연법
33. 다음 중 독소형 식중독을 일으키는 독소는? [답 3]
1) Venerupin 2) Cicutoxin 3) Enterotoxin 4) Tetrodotoxin 5) saxitoxin
34. 다음 중 감염형 식중독을 가장 잘 일으키는 원인균은? [답 4]
1) Salmonella paratyphi 2) Streptococcus lactics 3) Staphylococcus aureus
4) Salmonella typhimurium 5) Clostridium botulinum
35. Botulinus의 독소를 설명한 것이다. 틀린 것은? [답 3]
1)혐기성 상태에서 생산된다 2)신경독소이다. 3)열에 강하다
4)치사율이 높다. 5)신경계 급성중독을 일으킨다.
36. 주류에 허용되는 methanol의 함량은?
1)0.5㎎/ ㎖ 이하 2)1.0mg/㎖ 이하 3)5.0mg/㎖ 이하 4)10mg/㎖ 이하 5)20mg/㎖이하
37. 식품첨가물 중 용해제의 사용목적은? [답 4]
1)관능을 좋게 하기 위하여 2)영양강화를 위하여 3)보존성을 높이기 위하여
4)작업능률을 높이기 위하여 5)품위향상을 위해
38. 다음 중 곡물을 잘못 저장하였을 때 간에 암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은? [답 3]
1)Formalin 2)Histamin 3)Aflatoxin 4)Methanol 5)Ethanol
39. 채소나 과일을 가스저장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가스는?[답 1]
1)질소가스 2)일산화탄소 3)산소가스 4)이황화탄소 5)불소가스
40. 살모넬라식중독과과 포도상구균 식중독 감별법으로 적당한 것은? [답 3]
1)두통, 복통, 설사 2)열, 복통, 설사 3)잠복기간 발열정도
4)잠복기간, 열, 구토, 설사, 발열정도 5)잠복기간, 열, 구토, 설사, 발열정도
41. 세균성 식중독이 소화기계전염병과 다른 설명 중 틀린 것은? [답 5]
1)잠복기가 짧다 2)2차 감염이 없다 3)균량이 많을때 발병한다
4)면역이 성립되지 않는다 5)균이 분비한 병독소로만 발병된다
42. 다음 중 만성 중독을 일으키는 유기염소계 농약인 것은?[답 1]
1) DDT(Dichlorodiphenyltrichoroethan) 2) Diazinon 3) Parathion
4) Malathion 5) phenylmercuric acetate
43. 살모넬라(Salmonella) 식중독의 원인균에 대한 설명이다. 살모넬라식중독의 설명이 옳은 것으로 모두 조합된 것은?[답 4]
㉮ 주된 증상은 발열, 복통, 설사, 구토 등이다.
㉯ 고기, 달걀, 우유, 유제품 등에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
㉰ 치명률은 0.3~1%정도이다. ㉱ 균의 형태는 Gram음성, 간균이다
1)가, 라 2)가, 나, 다 3)나, 다, 라 4)가, 나, 다, 라
44. 살모넬라(Salmonella) 식중독의 원인균에 대한 설명이다. 살모넬라 식중독균의 성상이 옳은 것으로 모두 조합된 것은?[답 4]
㉮ Gram 음성이다. ㉯ 간균이다.
㉰ 소수를 제외하고는 주모성의 편모를 가지고 있다. ㉱ 유당을 분해하지 않는다.
1)가, 라 2)가, 나, 다 3)나, 다, 라 4)가, 나, 다, 라
45. 보툴리누스 식중독의 원인균에 대한 설명이다. 보툴리누스 식중독균의 성상이 가장 옳은 것은?[답 1]
1) Gram 양성이다. 2) 포자가 없다. 3) 호기성균이다. 4) 치사율이 낮다.
46. 병원성 대장균 식중독균의 일종인 E.Coli O157iH7에 대한 설명이다.. 균의 설명 중 가장 옳은 것은?[답 1]
1) O157은 O 항원의 여러 타입 중 157번째로 발견된 것을 의미한다.
2) H7은 균체항원을 뜻한다.
3) 베로독소(Verotoxin)을 생성하지 않는다.
4) Gram 음성구균이다.
47. 캄필로박터 식중독의 원인균에 대한 설명이다. 설명 중 가장 옳은 것은?[답 2]
1) 감염후 14시간~7시간 후에 증상이 나타난다.
2) 캄필로박터 식중독은 주로 식품, 우유, 물을 통해 감염된다.
3) 주된 증상은 호흡곤란, 심장발작이다.
4) 체외독소(exotoxin)를 분비한다.
48. Vibrio vulnificus균에 대한 설명이다. 설명 중 옳은 것은?[답 2]
1) Gram 양성 편성혐기성 구균이다. 2) 패혈증 또는 피부괴저병을 일으킨다.
3) 비호염성 세균이다. 4) 상처를 통해서 감염되지 않는다.
49. 다음 그림은 식중독균이며 성상과 증상은 다음과 같다. 가장 올바른 예방방법은?[답 4]
증상
․Gram 양성균이다. ․Enterotoxin을 생산한다.
․잠복기가 짧다. ․주된 증상은 구토와 설사이다
가) 식품의 오염을 방지한다. 나) 올바른 식품 취급법을 준수한다.
다) 손에 화농소가 있는 사람은 조리업무에 종사하지 않는다.
라) 식품은 저온보관 한다.
1)가, 라 2)가, 나, 다 3)나, 다, 라 4)가, 나, 다, 라
50. 다음 그림은 식중독균이며, 성상은 다음과 같다. 이 식중독의 원인균은?[답 3]
․Gram 양성간균이다. ․주모성의 편모가 있다.
․호기성이며 내열성이다. ․전분성식품 중 쌀밥에서 많이 발생한다.
첫댓글 감사합니다
유익한자료 감사합니다.
^^
좋은자료 감사
감사합니다
좋은자료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