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1]
 (일) 하나 |
자원(字源) : {指事字} 가로 그은 획 하나로 '하나'라는 수를 나타낸 글자임. 부수자이지만 글자의 뜻이나 음에 작용하지 않음. 자의(字義)는 "하나, 처음, 같다, 오로지, 모두" 등의 뜻을 지님. 壹(일)과 통용{갖은자}. 아마도 많은 수의 한자를 일괄 포함시킴.
|
기초 한자 - 1800자 중 13자 0) 一 (일)하나 : 一家, 一片丹心 1) 丁 (정)장정,천간 : 壯丁,丁酉再亂 1) 七 (칠)일곱 : 七面鳥, 七顚八起 2) 三 (삼)셋: 三綱五倫,一日如三秋 2) 丈 (장)어른,길 : 丈母, 大丈夫, 2) 上 (상)위,오르다 : 錦上添花,上元
|
2) 下 (하)아래,내리다 :下賜,不恥下問 3) 不 (불)아니다 : 不定, 自强不息 3) 丑 (축)소,축시 : 丑時, 丑方 4) 丙 (병)천간,밝다 : 丙夜,丙子胡亂 4) 世 (세)세상,인간 : 世界,世紀,世上 4) 且 (차)또,구차,장차 : 苟且, 將且 4) 丘 (구)언덕 : 丘陵, 丘首 *邱와 통용 |
1-2,[2]
 (곤) 뚫다 |
자원 : {指事字} 위아래로 서로 통해 있는 의미로 사물을 뚫어 통함을 뜻하게 만든 글자. 단독 사용 안함.
|
기초 한자 - 1800자 중 1자 3) 中 (중)가운데,맞다 : 中庸,忙中閑
|
|
1-3,[3]
 (주) 점,심지 |
자원 : {指事字} 점 하나를 찍어서 어떤 부분을 특별히 표시하는 글자. 혹은 象形字로 등불의 불꽃 모양에서 따온 글자로도 설명함. 주로 사물의 상태를 표시함. <炷(주)불꽃심지>의 고자(古字)
|
기초 한자 - 1800자 중 3자 2) 丸 (환)알,탄환 : 丸藥, 彈丸,丸都
|
3) 丹 (단)붉다,마음 : 丹脣皓齒, 丹心 4) 主 (주)주인,임금,주 : 主客,主要 |
1-4,[4]
 (별) 삐침 |
자원 : {指事字} 오른쪽 위에서 왼쪽 아래로 삐치어 그 방향으로 굽은 것을 가리키는 글자로 사물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지만, 단독으로 사용되지 않고 특별한 부수의 작용이 없는 글자. 서체에서 '파임'획과 '삐침'획의 '삐침'으로 사용.
|
기초 한자 - 1800자 중 5자 1) 乃 (내)이에,너 : 乃至, 乃父,乃今 2) 久 (구)오래다 : 耐久, 天長地久
|
3) 之 (지)가다,이것 : 不識之無, 之字路 4) 乎 (호)그런가,어조사 : 不亦樂乎 9) 乘(승)타다,수레 : 乘馬, 萬乘之國 |
1-5,[5]
 (을) 새

|
자원 : {象形字} 음기(陰氣)가 강한 초봄에 싹이 굽혀지면서까지 싹터서 나오는 모양의 글자. 혹은 새의 튀어나온 가슴 모양의 글자로 설명. '새을'이라 불리는 이유는 제비{을}자와 거의 흡사해 통용된 명칭이며, 보통 "굽다", "일어나다" 등의 의미를 지니고, "천간(天干)의 둘째 명칭"으로 사용.
|
기초 한자 - 1800자 중 7자 0) 乙 (을)천간,둘째 : 甲乙丙丁,乙科 1) 九 (구)아홉: 九牛一毛,九曲肝腸 2) 也 (야)잇기,어조사 : 焉哉乎也
|
▲2) 乞 (걸) 빌다 : 乞食, 乞人, 求乞 7) 乳 (유)젖 : 乳母, 乳房, 口上乳臭 10) 乾 (건)하늘,괘,마르다 : 乾坤, 乾燥 12) 亂 (란)어지럽다 : 亂臣賊子, 亂刺 |
1-6,[6]
 (궐) 갈고리 |
자원 : {象形字} 끝을 위로 굽힌 갈고리 모양의 글자로 역시 단독으로 사용되지 않고 특별한 부수의 의미 없음.
|
기초 한자 - 1800자 중 3자 1) 了(료) 마치다,깨닫다 : 終了,了解
|
3) 予 (여)나,주다: 予奪 *余(여)와 통용 7) 事 (사)일,섬기다 : 事端, 事親以孝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