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2)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것
![]() | ||||||||||
| ||||||||||
![]() |
(3)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것
![]() | ||||||||||
| ||||||||||
![]() |
2. 순 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1)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 | ||||||||||||||||||||
| ||||||||||||||||||||
![]() |
(2)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것
![]() | |||||
| |||||
![]() |
(3)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것
![]() | ||||
| ||||
![]() |
3. 두 음절로 된 다음 한자어
![]() | ||||||
| ||||||
![]() |
(1) 고유어끼리 결합한 합성어( 및 이에 준하는 구조) 또는 고유어와 한자어가 결합한 합성어 중, 앞 단어의 끝 모음 뒤가 폐쇄되는 구조로서,
① 뒤 단어의 첫소리 'ㄱ, ㄷ, ㅂ, ㅅ, ㅈ' 등이 된소리로 나는 것
② 폐쇄시키는 음([ㄷ])이 뒤의 'ㄴ, ㅁ'에 동화되어 [ㄴ]으로 발음되는 것
③ 뒤 단어의 첫소리로 [ㄴ]이 첨가되면서 폐쇄시키는 음([ㄷ])이 동화되어 [ㄴㄴ]으로 발음되는 것
(2) 두 글자(한자어 형태소)로 된 한자어 중, 앞 글자의 모음 뒤에서 뒤 글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6개 단어에 사이시옷을 붙여 적기로 한 것이다.
사이시옷 용법을 알기 쉽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① 개-구멍, 배-다리, 새-집(鳥巢), 머리-말(序言)
② 개-똥, 보리-쌀, 허리-띠, 개-펄, 배-탈, 허리-춤
③ 개-값, 내-가(川邊), 배-가죽(腹皮), 새(←사이)-길(間路), 귀-병(病), 기(旗)-대, 세(貰)-돈, 화(火)-김
④ 배-놀이(船遊), 코-날(鼻線), 비-물(雨水), 이-몸(齒?), 무시(無市)-날, 보(洑)-물, 패(牌)-말
⑤ 깨-잎, 나무-잎, 뒤-윷, 허드레-일, 가외(加外)-일, 보(洑)-일
⑥ 고-간(庫間), 세-방(貰房), 수-자(數字), 차-간(車間), 퇴-간(退間), 회-수(回數)
에서, ①∼⑤는 모두 합성어이며, ⑥은 이에 준하는 한자어다. 그런데
①의 경우는, 앞 단어의 끝이 폐쇄되는 구조가 아니므로, 사이시옷을 붙이지 않는다.
②의 경우는, 뒤 단어의 첫소리가 된소리나 거센소리이므로, 역시 사이시옷을 붙이지 않는다.
③의 경우는, 앞 단어의 끝이 폐쇄되면서 뒤 단어의 첫소리가 경음화하여 [갣ː깝, 낻ː까]로 발음되므로,
사이시옷을 붙이어
• 갯값, 냇가, 뱃가죽, 샛길 | • 귓병, 깃대, 셋돈, 홧김 |
으로 적는다.
④의 경우는, 앞 단어의 끝이 폐쇄되면서 자음 동화 현상(ㄷ+ㄴ→ㄴ+ㄴ, ㄷ+ㅁ→ㄴ+ㅁ)이 일어나 [밴노리,빈물]로 발음되므로, 사이시옷을 붙이어
• 뱃놀이, 콧날, 빗물, 잇몸 | • 무싯날, 봇물, 팻말 |
로 적는다. '팻말, 푯말'은, 한자어 '패(牌), 표(標)'에 '말(말뚝)'(옛말에서 'ㅎ'곡용어)이 결합된 형태이므로,
2의 규정을 적용하여 '팻말, 푯말'로 적는 것이다. 다만, 한자어 '牌?, 標?'은 '패말, 표말'로 적어야 한다.
⑤의 경우는, 앞 단어 끝이 폐쇄되면서 뒤 단어의 첫소리로 [ㄴ]음이 첨가되고, 동시에 동화 현상이 일어나 [깯닙→깬닙, 나묻닙→나문닙]으로 발음되므로, 사이시옷을 붙이어
• 깻잎, 나뭇잎, 뒷윷, 허드렛일 | • 가욋일, 봇일 |
로 적는다.
⑥의 경우는, 한자어에는 사이시옷을 붙이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이 6개 단어만은
• 곳간 , 셋방, 숫자, 찻간, 툇간, 횟수 |
로 적는다.
이 설명에 따르면, '내과(內科), 이과(理科), 총무과(總務課), 장미과(薔薇科)' 등은 3에서 다루어진 6개 이외의 한자어이므로 사이시옷을 붙이지 않으며, '나리-과(科), 말선두리-과(科)' 등은, '과'가 비교적 독립성이 약한 형태소이긴 하지만, 앞의 고유어와의 사이에 경계가 인식되는 구조이므로, 2의 규정을 적용하여
• 나릿과, 말선두릿과 |
로 적는 것이다.
한편, 2 (1)의 예시어 '찻잔, 찻종'에서의 '차'가 순 우리말이냐 하는 의문이 있을 수 있겠으나, 예로부터 '茶 '자의 새김(訓)이 '차'였으므로, 한자어 '다(茶)와 구별한 것으로 해석된다.
첫댓글 고맙습니다. 대충 어리버리하게 아는 것과 확실하게 꼬집어 아는 것의 차이를 알겠습니다. *^^*
어라! 아닌데......? 장마삐 , 장맏삐로 발음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장맛비로 써야합니다. 그런데 저도 불만입니다. 둘 다 등교길, 장마비로 써야 더 편하고 발음도 장마비라고 해도 문제가 되지 않거든요. 오히려 사이시옷규정을 바꿔야 하지 않을까요? 제 생각으로는 ......ㅠ.ㅠ
국어사전에는 장맛비로 되어 있는데요.. 발음 장마삐 맏삐.. 이렇게 소리나네요..^^ 혼동되네요.^^ 궁금증도 생기고.^^
등굣길 장맛비가 맞는거죠. 그럼~ 장마비는 북한어로 나와 있습니다. 우진님.. 수정해주셔야겠네요.^^ 장맛비로..
아.. 꼼꼼히 보셨군요. 이렇게 옛날 글까지... 글쎄 어디서 긁어왔는지 기억이 안 나는데 장맛비가 맞죠. 있던 건 설명 자체가 틀린 거라 국립국어원에서 새로 퍼왔습니다. 다른 글에서도 틀린 데 있으면 언제든 찾아서 지적해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