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개 요
하루평균 기온이 25℃ 초과하는 경우 서중콘크리트로 간주 하므로 B/P 관리 및 양생관리에 주의를 요함.
2.타설온도가 콘크리트에 미치는 영향
1) 티설온도가 높을수록 초기 발열량이 크다 2) 발열량이 클수록 수화작용을 촉진시켜 온도응력에 의한 균열발생 3) 급속한 응결로 인한 콜드죠인트 발생 4) 연행공기량의 감소 5) 표면수분의 급격한 증발로 인한 소성수축균열 발생
3.서중 콘크리트 중점관리 항목
1) 관리항목 (1) 사용되는 재료의 적정온도 유지 방안(특히 골재) (2) 운반 및 타설시 콘크리트 온도상승 방지 방안 (3) 타설 후 습윤상태 유지방안 2) 사용되는 재료의 온도가 콘크리트 혼합물에 미치는 영향
4.서중콘크리트 관리 방안 1) 사전냉각(Pre-Cooling) (1) 사전 냉각이 필요한 이유 - 골재저장중 상승된 온도저하 - 운반중 콘크리트 온도가 상승될 온도를 사전에 저하 - 콘크리트 치기시 온도를 30℃ 이하로 하기위한 대책 (2) 사전냉각 방법 - 골재를 냉풍에 의한 냉각 - 골재에 지속적인 살수 - 얼음을 이용하는 방법 - 냉각된 혼화수를 이용하는 방법 (3) 사전냉각시 유의사항 - 각 재료의 냉각은 비빈콘크리트의 온도가 균등히 되도록 시행 - 얼음은 콘크리트 비비기가 완전히 끝나기 전에 녹아야 함 - 비벼진 온도는 외기온도보다 10∼15℃ 정도 낮게 유지 - 굵은 골재의 냉각은 1∼4℃ 냉각공기와 냉각수에 의한 방법으로 시행 - 얼음 덩어리는 물의 양의 10∼40% 정도 2) B/P 관리 (1) 골재 야적장 - 차광시설 및 스프링쿨러 설치하여 온도상승 방지 - 콘크리트 치기 24시간 전부터 살수 (2) 시멘트 사일로 - 단열시설을 설치하고 주기적으로 살수 (3) 물, 혼화제 탱크 - 단열 및 지붕을 설치하고 노출된 배관에도 단열처리 - 비빈직후 콘크리트 온도를 낮추기 위해 저온의 물 사용 - 온도계를 설치하여 온도관리
(4) 운반장비 - Agitator 드럼은 양생포를 씌워 콘크리트 온도상승 방지 - 덤프트럭등은 표면을 덮어 일광의 직사나 바람으로부터 보호
5.타설시 유의사항
1) 한층의 타설높이 40∼50cm, 30분에 1∼1.5m 정도의 높이로 타설 2) 생산에서 치기까지 1.5시간내에 완료 3) 연속타설하여 콜드 죠인트 방지 4) 단위수량을 최소화하여 수화열 억제 5) 타설즉시 양생실시 6) 양생포로 습윤양생이 불가한 경우 양생제를 2회이상 살포하고 차광망으로 보호 7) 수직부재는 조속히 탈형(fck=50kg/cm2)하여 습윤양생 실시 8) 슬래브는 방풍막을 설치하여 표면건조 방지 9) 갑작스런 건조에 의한 균열발생시 재 진동 다짐이나 탬핑 실시
6. 콘크리트 온도관리 방법
1) 콘크리트 온도점검 시기 - 제조시 - 현장도착하여 -치기전 2) 관리대장 기록관리
|
/ 출처: http://jointkore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