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촌마을 활성화를 위한 도농교류센터 건축에 관한 공간 프로그램 연구
A Study on the Space Programming of Urban-Rural Interchange Center for the Rural Activation in the Rural Village
조 원 석* 김 흥 기** Cho, Won-Seok Kim, Heung-Gee …………………………………………………………………………………………………………………………………… Abstract The domestic rural villages have faced on the many problems in future society. The major purposes of this paper are to clarify in spacial programs for the Rural Activating through the Urban-Rural interchange. Firstly, it has examined the rural amenities of rural resources, such as natural surroundings, culture, history, landscape, economy, community power etc.. Secondary, it was checked about analysis of operation-programs corresponding to the rural resources. Thirdly, These space-program of Urban-Rural Interchange, which has been archived process of spacial panning, was investigated the spacial-conditions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programs. To make Urban-Rural Interchange Center, it was necessary to analyze physical spacial size of building gross area, by data of crosschecking with the area per capita and area per household in the rural village. According to the research, Urban-Rural Interchange Center was to be included visiting center, multipurpose room and dining room, exhibiting space, conference room, experience room, welfare space and specialized room with activation of rural village. However additional conditions are required that it is based o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environmentally friendly architecture both operation-program and space-program for the value of common Destiny, citizen and farmers. …………………………………………………………………………………………………………………………………… 키워드: 농촌마을, 도농교류센터, 공간 프로그램, 방문자센터, 농촌활성화 Keywords: Rural Village, Urban-Rural Interchange Center, Space Programming, Visiting Center, Rural Activation …………………………………………………………………………………………………………………………………… |
1. 서 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농촌의 정주성(定住性)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그린투어리즘(Green Tourism), 농촌어메니티개발(Rural Amenity Development), 도농교류(Urban Rural Interchange) 등이 전국적으로 마을과 권역단위로 진행되고 있다. 특히 도농교류(都農交流)는 침체되어 있는 농촌을 활성화하고 도시민에게 농촌으로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며 농촌주민들에게도 도시로의 상호교류가 가능한 양방향적 광범위 프로그램으로 추진되고 있다.
농촌은 도시화가 심화될수록 영농에 의한 1차적, 고전적 생산기능 뿐만 아니라 2차적, 잠재적 기능으로써 도시민들에게 심신을 편안케 하는 쉘터 기능의 휴게, 체험, 추억의 공간은 물론 슬로우 푸드(Slow Food), 슬로우 라이프(Slow Life) 동경에 의한 도시민의 '정신적 고향' 기능이 강화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농촌마을은 인구구조의 취약(초고령화, 노동인구감소), 도농교류의 빈약, 상대적으로 위축된 경제, 환경적 악화, 자유무역협정(FTA)에 의한 농업환경 급변, 소득기반단순, 축산가축전염병 등 마을발전에 걸림돌이 되는 요소가 적지 않게 내재되어 있다.
우리나라 농촌개발은 1970년대 새마을운동사업의 성공 이후 1990년대 문화마을조성사업(2005년부터 전원마을조성사업), 2007년부터 거점면소재지마을종합개발사업 등이 추진되었으나 관주도의 하향식접근(top-down approach) 개발에 의해 농촌의 정주성 향상은 기대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2004년부터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이하 사업)에 의해 소권역 단위로 해당 권역 주민과 지역 전문가의 참여에 의한 상향식(bottom-up) 중심에 농림수산식품부, 농어촌공사, 지자체 등의 기획 프로그램에 의한 하향식 지원을 병행하여 진행되고 있다.
지금까지 각종 도농교류 프로그램으로 팜스테이, 팜스쿨, 템플스테이, 농촌민박, 1사1촌, 귀농/귀촌, 전원마을, 전통테마마을, 녹색농촌체험, 마을축제, 마을유원지, 주말농원, 로컬푸드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사업을 총괄적으로 지원함과 동시에 마을의 거점건축물이 될 "도농교류센터"는 도시와 농촌의 교류활성화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고, 각종 "운영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담아낼 수 있어야 한다. 다양한 운영프로그램에 대응하는 건축시설물의 "공간프로그램"이 조화롭게 지원될 때 여러 프로그램의 시너지 효과가 배가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개발로서 사업의 대표적 건축물인 도농교류센터를 중심으로 공간구성과 공간규모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향후 사업의 운영 및 건축프로그램 입안 및 기획시 필요한 기초적 자료의 제공에 그 의의가 있다.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연구를 위한 조사 대상은 2009년과 2010년 2년 동안 진행된 강원도내 5개 권역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조사 일정과 조사대상의 개요는 표 1과 같다.
연구방법은 도시와 농촌의 도농교류에 관한 문헌조사에 의한 자료수집과 함께 사례분석을 위해 대상지를 선택한 후 현장답사를 4차례의 예비조사와 본조사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연구진행은 CAD 및 C.G작업으로 시각화하였다.
구분 |
내용 |
조사일시 |
1차 예비조사: 2009. 8, 2차 본조사: 2009. 9 3차 예비조사: 2010. 9, 4차 본조사: 2010. 10 |
연구방법 |
문헌조사, 현장답사, CAD, C.G작업 |
조사대상 |
주요 건축물 |
Ga |
행복문화센터, 노인복지센터, 자연치유산촌문화관, 장류발효체험시설 |
Ku |
다목적교류센터, 도예생활관, 불교문화체험관 |
Su |
도농교류센터, 해양체험관, 자연체험관, 산림학습관 |
Ma |
도농교류센터, 친환경산채엑기스 및 산채절임공장, 향토음식체험교육관, 자연생태학습장, 농산촌생태체험장 |
Ta |
커뮤니티센터, 실버건강시설, 탁장사체험관, 전통공예체험관, 백두대간자연치유센터 |
*표기: Ga:가곡, Ku:건봉, Su:수동골, Ma:마의태자, Ta:탁장사 각 권역의 도농교류센터 기능의 건축물(밑줄친 건축물 대상) |
1.3 선행 연구
도농교류에 관한 연구와 시행은 농어촌구조개선이 1990년대부터 본격 추진되면서 농어촌휴양단지사업, 농촌민박사업, 자연휴양림사업 등이 최근 마을개발사업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현재 농촌회생과 활성화를 위해 이 분야 연구는 표 2와 같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건축프로그램에 관한 공간구성과 공간규모의 분석은 미비한 실정으로 이에 대한 실증적 자료에 의한 연구가 필요함에 따라 본 연구가 수행되었다.
구분 |
연구자 |
연구제목 |
발표 |
도농 교류 |
민승규 외 |
농촌의 신가치 창출을 위한 도농교류 활성화 방안 |
SERI 2007.1 |
배중남 |
도농교류 거점시설에 관한 고찰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2009.8 | |
농림부 |
도농교류의 유형별 수요분석 및 교류방안에 관한 연구 |
농업기반공사 2004 | |
농촌 마을 개발 |
김강섭 외 |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개선방안 연구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2009.11 |
정종술 외 |
전원마을조성사업의 성과와 개선방안 연구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2010.5 | |
송병화 외 |
지역고유의 자원활용에 기반한 21세기 선도형 농촌마을개발 모델 |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논문집, 2007.6 | |
이상영 |
농촌의 친환경 어메니티자원 활성화를 위한 고객만족 영향요인 연구 |
동국대박사학위 논문 2008 |
2. 농촌지역의 도농교류와 개발사업
2.1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고찰
농촌마을의 경관개선, 생활환경정비 및 주민 소득기반확충 등을 통해 살고 싶고, 찾고 싶은 농촌정주공간을 조성하여 농촌에 희망과 활력을 고취함으로써 농촌사회 유지 도모를 사업의 목적으로 하는 사업으로서 주요 추진 방향과 내용은 표 3과 같고 표 4는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연도별 지정 현황을 요약한 것이다. 2004년 지정, 2005년부터 5개년 시행되어 2009년 완결된 사업이 현재 피드백 평가연구의 단계에 있다.
구분 |
내 용 |
사업 추진 기본 방향 |
∙생활권․영농권 등이 같은 발전 잠재력이 있는 마을들을 상호 연계하여 소권역(1개 법정리 이상) 단위로 개발 ∙지역주민과 지자체, 관련전문가 등이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상향 식으로 추진 |
사업 내용 |
∙지역특성별 농촌마을의 경관개선, 기초생활환경정비, 소득기반 확충, 지역사회유지를 위한 인구유치 및 지역역량강화사업 등을 종합추진 ∘마을경관개선: 마을소공원, 담장정비, 마을숲 정비, 빈집 철거 등 ∘기초생활시설: 마을내도로, 주차장, 상․하수도, 주택신․개축 등 ∘소득기반시설: 공동육묘, 공동저장․집하시설 등 ∘(은퇴)도시민의 농촌정주지원을 위한 마을기반정비: 마을재개 발․재정비 등 ∘지역역량강화: 마을기획 컨설팅, 홍보․마케팅, 인구유치 프 로그램 등 ∙권역별 잠재자원 발굴로 지역특성에 맞는 다양한 유형의 농촌공 간정비 추진 |
지원 내용 |
∙사업비: 권역당 5년간 40~70억원 범위내(여건별 차등) ∙지원조건: 국고보조 70, 지방비 30%(공동소득시설: 보조 80, 자 부담 20%) |
근거 법령 |
∙농림어업인삶의질향상및농산어촌지역개발촉진에관한특별법 제38조, ※시행절차는 농어촌정비법제24조내지제39조 준용 |
|
인천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계 |
'04 |
- |
4 |
4 |
2 |
5 |
4 |
5 |
6 |
5 |
1 |
36 |
'05 |
- |
4 |
3 |
4 |
3 |
4 |
8 |
7 |
6 |
1 |
40 |
'06 |
1 |
- |
3 |
2 |
2 |
3 |
4 |
3 |
2 |
- |
20 |
'07 |
- |
4 |
5 |
1 |
2 |
6 |
6 |
7 |
5 |
- |
36 |
'08 |
1 |
1 |
7 |
2 |
6 |
6 |
8 |
9 |
3 |
2 |
45 |
'09 |
1 |
1 |
7 |
2 |
6 |
6 |
8 |
9 |
3 |
2 |
45 |
계 |
3 |
14 |
29 |
13 |
24 |
29 |
39 |
41 |
24 |
6 |
222 |
2.2 도농교류의 정의 및 유형
도농교류는 도시와 농촌의 다양한 자원의 교류로서 농림부(2004)의 설명을 보면 "사람, 물품, 서비스, 정보, 문화 등의 여러 가지 측면에서 도시와 농촌의 상호관계를 의미하며 도시와 농촌 간에 양방향적, 반복적, 지속적으로 교류가 이루어져 농촌의 특산물이나 서비스를 일방적으로 파는 것이 아니라 인간적 신뢰를 바탕으로 한 네트워크나 자매결연 등을 통해 상생 교류관계를 유지하는 것으로 사람들 간에 접촉이 이루어지고, 상품, 정보, 자본, 서비스 등이 교환되고 거래되는 과정"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상의 도농교류는 공간계획적으로 보면 물리적 환경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보다 다양한 교류에 의한 농촌활성화를 위해 도시민, 학교, 기관, 기업, 종교단체, 시민소그룹, 체험관광그룹과 농촌의 어메니티자원과 인적, 물적교류가 가능하도록 시설의 구조화, 체계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다음 표는 도농교류의 유형으로서 인적, 물적, 교육생활문화체육, 휴가여가활동으로 전개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구분 |
유 형 |
①인적교류 |
자매결연, 1사1촌, 연수, 강좌, 고향방문행사, 자원봉사, 일손돕기, |
②물적교류 |
산지직거래, 인터넷농특산물판매, 농특산품, 공예품 판매, 농업위탁경영, 계약재배, 휴양단지, 별장분양, 농산물, 과수, 가축분양, 땅, 주택매매, 외지인 사업경영 및 투자 |
③교육생활 문화체육 |
환경농업교육, 농사․수확, 농장체험, 농촌자연학습, 체험학습, 바른식생활캠프, 역사문화탐방, 전통체험, 농촌생활․문화체험, 농업/지역산업 현장견학, 지역․마을축제 행사 개최, 평생학습마을 만들기 |
④휴가여가 활동 |
농촌관광, 관광농원, 주말농장, 실버농장, 농촌지역테마관광, 민박, 팬션운영, 낚시, 등산, 야영, MTB,ATV놀이공원 |
출처:농림부, 도농교류의 유형별 수요분석 및 교류방안에 관한 연구, 2004 |
3. 도농교류센터의 공간구성과 공간규모 분석
3.1 조사 대상의 개요
대상지는 국내 농촌마을에 있어 소작농이 많은 전형적인 특성 외에 소규모 밭농사 위주로 소득기반이 취약하고 국제적인 농축산업환경 변화에 따라 '변화만이 살 수 있다'라는 추진 의지가 매우 강한 지역이다. 입지의 자연환경은 Ga와 Ma는 농촌과 산촌의 특성을 함께 지닌 농산촌지역이고 Su권역은 해수욕장과 넓은 하천을 끼고 있어 워터프론트 개발잠재자원이 타지역 보다 비교우위에 있다.
구분 |
특 성 |
Ga |
∙해발 900m 내외의 백두대간 산간 지역에 입지한 마을 ∙지방도 416호와 910호에서 접근가능한 시골길 풍광을 지니 고 있는 권역 ∙권역내에 있는 동활계곡과 덕풍계곡에 하절기 피서객이 많이 찾고 있는 수자원의 천혜 지역 |
Ku |
∙호국불교의 명사이고 한국 4대사찰의 하나인 건봉사 사찰을 중심으로 불교문화체험 및 템플스테이 활성화가 기대되는 지 역 ∙마을내 도예 체험과 연계한 팜스테이 프로그램을 추구하고자 주민역량을 높이고 있는 마을 ∙접근교통망은 7번국도, 46번/44번국도, 203번지방도 등 영 동지역 최북단임에도 불구하고 수월한 마을 |
Su |
∙푸른 동해와 백두대간 산간 계곡자원을 동시에 보유하고 있 는 마을 ∙하상천과 지경리 및 원포해수욕장과 연계에 의한 발전가능성 이 매우 높은 지역 ∙2014년 동홍천과 양양간 고속도로 개통으로 수도권 접근성 이 대폭 향상되어 체류형관광문화를 조성하고자 하는 특성 |
Ma |
∙신라재건을 꿈꾸었던 신라 마지막 왕자인 마의태자 숨결이 살아있는 테마산촌을 추구하는 지역 ∙마의태자스토리텔링과 새로운 마의태자문화컨텐츠 조성에 의 해 농촌활성화사업을 전개 ∙이 권역은 1개 법정리에 상남1리부터 4리까지 행정리가 모 두 포함되어 운영 및 건축프로그램의 의사결정이 타권역 보 다 상대적으로 수월 |
Ta |
∙백두대간의 자락에 입지하여 탁장사(씨름)전설의 스토리텔링 을 특성화 프로그램으로 설정한 지역 ∙탁장사의 살맛, 탁장자의 쉴맛, 탁장사의 손맛을 통해 솔향기 가듯한 청정 고향 프로젝트로 추진 ∙동해고속도로의 연장 개통에 의해 하조대 IC에 의해 접근가 능하며, 최근 59번국도의 확포장으로 관광객 증가 추세 |
권역의 인구 분포를 보면 평균 564인으로 조사되었고, 가구수는 283.2가구로 조사되었다. 가구당인구수를 보면 평균 2인 정도이나 Ma는 1.28인/가구로 독거노인가구와 단독가구 비율이 높았고, Ku는 2.53인/가구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조사 건축물의 대지면적 평균은 3,803.8m2로 나타났고, 평균건축면적은 348.82m2, 평균연면적은489.88m2로 계획되었다. Ga 권역 센터의 건축면적은 1층 필로티 주차장 면적 862.87m2 적용 대신 실제 사용성 있는 2층 바닥면적 적용으로 표 8과 같이 조사되었다.
구분 |
인구수 |
가구수 |
가구당인구수 |
Ga |
766 |
397 |
1.93 |
Ku |
491 |
194 |
2.53 |
Su |
683 |
311 |
2.20 |
Ma |
343 |
267 |
1.28 |
Ta |
538 |
247 |
2.18 |
평균 |
564.20 |
283.20 |
2.02 |
구분 |
대지면적 |
건축면적 |
연면적 |
층수 |
Ga |
2,161 |
439.57 |
659.53 |
3층 |
Ku |
4,002 |
330.48 |
330.48 |
1층 |
Su |
3,984 |
390.78 |
657.90 |
2층 |
Ma |
5,946 |
327.96 |
327.96 |
1층 |
Ta |
2,926 |
255.33 |
473.53 |
2층 |
평균 |
3,803.80 |
348.82 |
489.88 |
- |
3.2 Ga권역의 행복문화센터
대상지는 전면 진입도로와 4, 5m 높이차를 지녀 주진입층이 2층에서 형성되고 1층은 경사로로 내려가 필로티 주차장을 형성한다. 이 공간은 하절기 인접 하천과 함께 다양한 행사와 체험활동장으로 제공된다. 2층은 권역의 관리사무실 우측에 주민복지시설로서 남녀 목욕장을 갖추고 식당 기능을 겸비한 다목적실을 좌측에 배치한다. 로비 측면에는 방문자센터라운지로서 마을 소식과 휴게를 겸하도록 사용된다. 3층은 다목적 회의실, 미니독서실, 헬스케어실을 제공하고 우측에 옥상잔디정원과 좌측에 휴게데크를 부여한다. 센터유형은 읍내와 거리가 먼 입지 조건 때문에 주민을 위한 복지개념이 강화된 주민복지중심형으로 구성되었다.
층 |
도 면 |
주요 실명 |
1 |
|
주차장 (필로티) |
2 |
|
다목적실 식당,주방 방문자센터 라운지 관리사무실 목욕장(남) 목욕장(여) 탈의실(남) 탈의실(여) 보일러 전기실 화장실(남) 화장실(여) 로비 방풍실 |
3 |
|
다목적회의실 미니독서실 헬스케어 홀 화장실(남) 화장실(여)
|
조감도 |
| |
출처: 도면-한국농어촌공사, 권역기본계획보고서 도면을 eps재작성 조감도-연구팀 Sketch-up, Photoshop 작업, 타권역 동일 |
3.3 Ku권역의 다목적교류센터
권역내 건봉사의 이미지와 조화되도록 전통목조의 한옥으로 계획하고, 이 마을을 내방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쉴거리, 먹거리, 체험거리를 제공할 수 있는 식당겸용 교육장을 다목적실로 우측에 구성하고 가변벽으로 구획된 체험장과 확장하여 이용율과 사용성을 향상한 특성을 지닌다. 또한 방문자센터 기능 1호, 2호, 3호로 구성하여 휴게 및 체험공간의 역할과 함께 간단한 식사와 숙박이 가능하게 내부공간을 조성하고 있다. 권역사무실을 제공하여 전자상거래를 지원하게 하고, 다목적화장실(장애인화장실)을 갖추었다. 센터유형은 지역의 농촌주민과 도시민의 공동체 생활 및 체험교육을 도모하게 하는 커뮤니티중심형으로 구성되었다.
층 |
도 면 |
주요 실명 |
1 |
|
교육장 체험장 사무실 방문자센터 거실(1호) 거실(2호) 화장실(남) 화장실(여) 장애인화장실 주방 홀 보일러 |
조감도 |
|
3.4 Su권역의 도농교류센터
해수욕장과 접한 대지로 하절기 이용이 매우 높은 특성을 지닌다. 농민들이 조합이나 법인을 형성하여 운영하는 농민휴게소와 같이 추진되는 본 건물은 1층을 방문자센터 기능을 두어 식당겸용 다목적실과 주방을 구성한다.
권역사무실도 내부에 부스 형태로 두어 지역주민의 생활거점이 되도록 한다. 화장실은 별채로 좌측에 형성하고 2층 동선의 계단을 따라 오르면 비즈니스센터 기능의 정보화실과 회의실을 제공한다. 이 지역은 1사1촌 교류가 매우 활성화된 마을로 자매결연 기업의 연수 및 하계 직원휴양지로 지원 건물이 되도록 배려한 특성을 보인다. 센터유형은 커뮤니티중심으로 구성되었다.
이 센터는 옥상정원이 경사형태로 구성되어 하절기 공간 활용성을 제고하였고, 콘크리트 스크린을 설치하여 야간에 영화감상이 가능하도록 공간 구성되었다. 또한 2층 외부에는 1사1촌 사용자들의 휴게를 위해 필로티로 명상휴게정자를 배치하였다.
층 |
도 면 |
주요 실명 |
1 |
다목적실 (식당겸용) 권역사무실 방문자센터 로비 친교라운지 권역사무실 주방 홀 화장실(남) 화장실(여) 장애인화장실 창고 수납 | |
2 |
|
정보화실 회의실 갤러리 홀 화장실(남) 화장실(여)
|
조감도 |
|
3.5 Ma권역의 도농교류센터
마의태자 전설이 깃든 마을로 초기 기획단계부터 전통목조의 한옥으로 추진된 건물이다. 이 건물의 방문자센터는 농번기와 향후 유지관리비를 고려한 인건비 절감을 반영하여 무인운영과 셀프운영이 가능하도록 본채와 구분하여 별채로 공간이 구획되었고, 내외부 전이공간으로 방문자누마루가 추가로 제공되었다. 솟을대문을 기점으로 좌측에 다목적실과 권역사무실이 구성되고, 우측에 정보교류실, 화장실(HP포함), 체험지원실, 확장형 다도실이 구성된다. 이 공간의 전면에는 툇마루가 별도로 추가된다. 센터유형은 커뮤니티중심형의 특성을 보인다.
층 |
도 면 |
주요 실명 |
1 |
|
다목적실 방문자센터 정보교류실 권역사무실 방문자누마루 체험실 다도실 주방 화장실(남) 화장실(여) 장애인화장실 보일러 |
조감도 |
|
3.6 Ta권역의 커뮤니티센터
본 대상지 센터건물은 기존의 마을복지회관을 리모델링하여 공간을 재구성하는 사례이다. 1층의 좌측에 있는 방문자센터는 구 보건지소를 식당겸용 다목적실로 구성하고, 우측의 현재 노인정 영역은 권역전시박물관으로 증개축하는 것으로 추진된다. 건물의 접근성과 친밀감을 높이기 위해 1층 주출입구 전면에 목조 휴게데크를 조성하고, 물레방아가 있는 수공간을 좌측 외벽 전면에 조성한다. 2층은 홀을 중심으로 좌측에 회의실 및 정보교류실로 구성하고 우측에 도농교류멀티미디어실을 제공한다. 회의실 배면에는 조망데크를 조성하여 사용자의 공간이용 특성을 반영한 것으로 계획된다. 또한 마을의 랜드마크로 마을상징탑을 우측에 세워 국도변에서의 인지성을 높인다. 센터유형은 1층의 커뮤니티 기능과 2층의 주민복지 기능을 수직조닝한 2개 기능 복합형으로 추진되었다.
층 |
도 면 |
주요 실명 |
1 |
|
방문자센터 (식당겸용) 권역전시박물관 로비 경비실 보일러 주방 다용도실 수납 화장실(남) 화장실(여)
|
2 |
|
회의실/ 정보교류실 도농교류멀티미디어실 홀 화장실(남) 화장실(여) 보일러 |
조감도 |
|
조사 대상 도농교류센터 공간프로그램을 상세하게 요약하면 표 14와 같이 용도별로 업무, 다목적실, 복지, 문화, 교육, 체육, 방문자센터, 위생, 지원실, 공용면적(로비, 홀, 복도, 계단), 옥외시설로 구분되며, 신축과 리모델링, 현대식과 전통한옥식으로 계획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권역사무실과 다목적실은 관리 및 사용성의 측면에서 필수공간으로 포함되고, 방문자센터 기능의 지원공간도 크기의 대소가 있을 뿐 공간구성시 주민의 운영조건에 따라 본동 또는 부속동으로 계획됨을 알 수 있다.
조사대상 공간프로그램 |
Ga |
Ku |
Su |
Ma |
Ta |
업무 |
관리사무실(29.07) |
사무실(36.72) |
권역사무실(36.64) |
권역사무실(16.20) |
관리경비실(7.92) |
다목적실 (식당/주방포함) |
식당(99.36) 주방/저장고 |
교육장/식당/주방 (69.12) |
다목적실/식당(76.50) 주방(43.20) |
다목적실(48.60) |
- |
복지 |
목욕장(남)(45.36) 목욕장(여)(45.36) 탈의실(남)(28.08) 탈의실(여)(28.08) |
- |
- |
- |
- |
문화 교육 체육 |
미니도서실(29.07) 헬스케어(36.72) 다목적실(73.44) |
체험장(69.12) |
정보화실(34.20) 정보라운지(34.20) 회의실(43.20) |
정보교류실(32.40) 체험실(21.60) 다도실(10.80) 확장형다도실 (10.80) |
권역전시박물관(52.98) 회의실(77.22) 멀티미디어실(73.44)
|
방문자센터 |
방문자라운지 (29.16) |
방문자센터(51.84) 거실(1호)(25.92) 거실(2호)(25.92) |
방문자센터로비(130.76) |
방문자센터(54.0) |
방문자센터(109.26) |
위생 |
2층화장실(남)(15.39) 2층화장실(여)(15.39) 3층화장실(남)(15.39) 3층화장실(여)(15.39) |
화장실(남)(13.77) 화장실(여)(13.77) |
1층화장실(남)(13.50) 1층화장실(여)(18.0) 2층화장실(남)(13.50) 2층화장실(여)(18.0) 장애인화장실(4.0) |
주방(32.40) 화장실(남)(10.80) 화장실(여)(17.82) 장애인화장실(5.04) |
외부화장실(남)(7.02) 외부화장실(여)(9.72) 로비화장실(남)(7.80) 로비화장실(여)(4.75) 2층화장실(남)(7.80) 2층화장실(여)(4.75) |
지원실 |
보일러/전기실(29.07) 방풍실(12.96) |
보일러(6.75) |
비즈니스센터홀(74.52) 친교라운지(37.80) 전시판매(25.20) |
보일러실(2.52) 방문자누마루(18.0) |
1층보일러실(2.52) 2층보일러실(3.24) 다용도실(3.15) 수납(8.10) 마을상징탑(28.80) |
공용면적 (로비,복도,홀, 계단실) |
2층(63.01) 3층(49.95) |
홀(17.55) |
로비,창고 등 (104.40) 1층계단,창고등(34.70) 2층계단등(38.70) |
- |
1층로비계단(34.43) 2층홀 계단(41.43) |
옥외시설 |
옥상잔디정원(133.92) 전망대정자 |
수공간 2개소 야외공연장 |
명상휴게정자(20.25) 브릿지1(6.75) 브릿지2(8.28) |
루하공간(16.20) 툇마루(30.78) 물놀이공간 비오톱 연못 팔각정자 |
물레방아 우물 족욕장 실개천
|
대지면적 |
2,161 |
4,002 |
3,984 |
5,946 |
2,926 |
건축면적 |
439.57 |
330.48 |
390.78 |
327.96 |
255.33 |
연면적 |
659.53 |
330.48 |
657.90 |
327.96 |
473.53 |
인구수 |
766 |
491 |
683 |
343 |
538 |
1인당 대지면적 |
2.82 |
8.15 |
5.83 |
17.34 |
5.44 |
1인당 연면적 |
0.86 |
0.67 |
0.96 |
0.96 |
0.88 |
가구수 |
397 |
194 |
311 |
267 |
2471 |
가구당 대지면적 |
5.44 |
20.62 |
12.81 |
22.27 |
11.85 |
가구당 연면적 |
1.66 |
1.70 |
2.12 |
1.23 |
1.92 |
가구당인구수 |
1.93 |
2.53 |
2.20 |
1.28 |
2.18 |
규모(층) |
3(1층 필로티주차) |
1 |
2 |
1 |
2 |
건축양식 |
현대식 |
한옥 |
현대식 |
한옥 |
현대식 |
주요구조 |
철근콘크리트 |
전통목조 |
철근콘크리트 |
전통목조 |
철근콘크리트 |
건축특성 |
신축 |
신축 |
신축 |
신축 |
증개축/리모델링 |
센터유형 |
주민복지중심 |
커뮤니티중심 |
커뮤니티중심/1사1촌 |
커뮤니티중심 |
커뮤니티주민복지복합 |
3.7 도농교류센터의 공간계획
건축물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지역민의 시설 운영프로그램과 건축물의 공간프로그램에 관한 합리적이고 합목적 성과를 위해 권역 마을의 어메니티자원을 추출 정리하여야 한다. 현황자원은 물론 장차 개발의 가능성이 있는 잠재자원까지 발굴되어 미래지향적이면서 동시에 지속가능성을 반영하여야 한다. 먼저 아래 그림과 같이 환경자원(A1), 자연자원(A2), 역사자원(A3), 경관자원(A4), 시설자원(A5), 경제활동자원(A6), 공동체활동자원(A7) 등 총 7대 영역으로 구분 조사한다.
다음은 2단계로 지역민이 법인체를 만들거나 조합을 형성하여 운영의 주체를 구성하고 운영회에서 마을 발전에 대한 운영프로그램을 어메니티자원을 최대한 활용하여 작성하고 의사결정과정을 수행한다. 운영프로그램은 도시민이 농촌을 방문하여 경험할수 있는 모든 행위활동을 반영하여 볼거리(P1), 먹거리(P2), 즐길거리(P3), 살거리(P4), 체험거리(P5), 쉴거리(P6), 알거리(P7)에 대한 예상 프로그램을 작성한다.
3단계는 건축적으로 시설을 지원하여야 할 부분을 관련 전문가와 공간프로그램을 선정하고 행정그룹과 운영그룹, 전문가그룹이 함께 발전시켜 최종 공간계획을 결정한다. 본 연구의 조사 결과 소요공간의 종류는 농민들이 운영하는 휴게소 기능을 담당하게 되는 방문자센터(S1), 다목적실 겸 식당(S2), 회의실 및 정보실(S3), 전시박물관(S4), 주민복지제실(S5), 각종체험실(S6) 및 기타 공간으로는 권역의 특성화시설(S7)로서 총 7대 영역으로 구분가능하다. 다음 표는 공간구성에서 예상되는 사용자의 행위활동을 요약한 것으로서 이는 운영프로그램이 변경되었을 때 공간 조건에서 시설지원이 가능하도록 공간계획원칙은 가변적으로 변용이 가능하게 내력벽 보다는 라멘조로 하며 커튼월시스템과 가변 칸막이 건식시스템에 의해 기능적으로 지속가능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실/공간 |
사용자의 행위활동 |
방문자센터 |
휴게, 농특산물판매(무인/셀프), 마을안내 |
다목적실/식당 |
행사, 식사 등 다양한 실내활동 지원, 실의 크기는 대규모이고 가변적으로 계획 |
회의실/정보실 |
권역회의, 1사1촌, 정보교류장의 방문객과 지역민 공동이용 |
전시/박물관 |
마을의 역사, 유물 전시 및 소규모 마을박물관 |
주민복지제실 |
찜질방/목욕탕, 헬스실, 독서실, 보건실 등 |
각종체험실 |
전통농촌음식, 다도, 공예, 특산물가공 등 |
특성화공간 |
스토리텔링, 전설문화, 소득기반시설, 다문화사회프로그램 등 연계 |
기타 |
화장실, 다목적(장애인)화장실, 수납창고, 테라스, 데크, 옥상정원, 옥외공간 등 |
공간계획 과정을 도식화하면 다음 그림2와 같이 공간구성과 공간규모로 구분 6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먼저 공간구성은 마을의 어메니티자원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운영프로그램을 선정하고 최종적으로 운영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시설의 공간프로그램을 결정한다. 또한 공간규모계획은 과소설계와 과다설계가 되지 않는 최적규모로서 가구당연면적을 검토한 후 다시 1인당 연면적으로 적정성과 규모 타당성을 재검한다. 6단계로 시설 연면적을 산출할 수 있는데 이 때 사용자(도시민과 농촌주민)의 다양한 행위활동에 장애가 되지 않는 단위실의 규모를 적용하여야 할 것이다. 예컨대, 다목적실의 경우 대규모 체험 행사 및 도농교류축제 때 실내공간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이 가능하도록 충분한 공간이 효과적인 바, 다른 실과 확장형으로 계획이 되는지 우선 검토할 것을 권장한다.
도농교류센터의 유형으로는 도시와 농촌의 공동체 형성을 위한 '커뮤니티중심형'과 주민복지를 고려한 '복지중심형', 이 두 개 기능을 결합한 '커뮤니티복지복합형'으로 계획가능하다. 이러한 유형계획은 권역의 특성을 반영한 결과로서 1사1촌에 의한 기업 연수, 관광수요를 창출하기 위한 형태, 주민의 복지 향상을 고려한 형태 등 다양하게 발전시키고 장차 변용 가능성을 고려하여 지속가능하게 하여야 할 것이다.
공간계획시 각실의 공간구성이 작성되면 해당 건축물의 추정공사비(현 660만/3.3m2 내외), 공간의 이용율(주별, 월별, 계절별 이용시간 등), 공간의 점유율(특정 시간 수용가능인원)에 대한 검토에 의해 공간규모를 결정하고 다시 공간구성의 1단계부터 수정 발전하는 피드백과정을 통해 최종 가구당면적, 1인당면적, 연면적을 검토한다.
대상지의 가구당면적 조사 결과 Su가 2.12/가구로 최대치를 보였고, Ma가 1.23/가구로 최소치를 보였다. 1인당면적을 비교하면 Su, Ma가 동일하게 0.96/인으로 나타났고, 최소치는 Ku로 0.67/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가구당인구수에 있어 Ku가 2.53인/가구로 가장 높고, Ma가 1.28인/가구로 가장 낮은 인구분포특성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1인당면적은 평균 0.886/인으로 계획되었고, 1인당가구면적은 평균 1.726/가구로서 독거노인가구와 1인단독가구의 증가에 따라 가구당면적에 따른 공간규모계획 보다는 1인당면적의 검토에 의한 공간규모를 확정하는 것이 타당성을 높게 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4. 결론 및 제언
농촌 활성화 과제는 농산어촌 주민은 물론 도시민 모두의 과제가 아닐 수 없다. 그 방안의 하나로 물적, 인적 도농교류의 확대사업은 국토의 균형발전과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WTO, FTA의 신경제 체제의 충격을 완화, 긍정적으로 승화할 수 있는 기초가 된다. 이에 본 연구는 도농교류센터 기능의 건축물을 대상으로 공간계획의 구성과 규모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 공간프로그램의 추출은 1단계로 대상 농촌마을의 권역내 유무형적 7대 어메니티자원을 조사하고, 2단계는 볼거리, 먹거리, 즐길거리 등의 7대 운영프로그램을 선정한다. 3단계는 2단계 조건을 충족할 수 있도록 방문자센터를 중심으로 다목적실, 각종 체험실, 복지제실 등의 단위공간의을 결정한다.
• 도농교류센터의 공간규모는 상기의 공간프로그램을 추출하는 공간구성의 결과에 따라 가구당면적과 1인당면적에 따른 시설 연면적을 산정할 수 있는데, 가구당면적은 독거노인가구와 1인단독가구의 증가에 따라 편차가 크게 됨에 따라 과다설계의 우려가 있으므로 1인당면적에 의해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사되었다.
• 도농교류센터의 유형은 커뮤니티중심형, 복지중심형, 커뮤니티복지복합형으로 계획가능하다. 예컨대 부지가 국도변, 유원지, 해수욕장 입지의 경우 '농민운영휴게소' 형태의 커뮤니티중심형으로 가능하고, 1사1촌과 같은 프로그램이 활성화 된 권역은 직원 연수와 휴양지로 커뮤니티를 추구할 수 있다. 또한 읍내와 거리가 먼 농촌마을의 경우 주민복지중심으로 계획하되 도시민과 교류프로그램의 구성 비율을 주민 요구도와 권역의 미래 정주환경 변화도에 따라 증감 가능하도록 비내력벽, 칸막이벽, 가변벽으로 디자인하여 지속가능한 공간프로그램을 초기부터 지원하는 것이 주요하다.
농촌 활성화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한다.
첫째, 농촌 주민의 도시로의 소통의 장이 되고 있는 전통 5일장의 육성 및 거점면 소재지 마을종합개발사업(2007년부터 시행)과 연계하여 이른바 "주말장터"가 도농교류센터에서 형성되길 바란다. 주말장터는 도시민들이 직접 농어촌으로 방문하여 권역의 농수산물을 직거래하여 유통의 비효율 과정을 일소할 수 있다. 이는 로컬푸드사업과 저탄소녹색성장추진과 함께 도모될 수 있다.
둘째, 전국적으로 200여 곳 마을에 건립되었거나 추진 중인 도농교류센터의 방문객에 대한 인지성 제고를 위해 고속도로 휴게소와 같이 통일된 색채와 형태의 싸인보드 설치가 필요하고, 건물의 랜드마크 및 심볼 요소를 특성 있게 디자인하여 도농교류의 거점 건물로서 기능이 확대될 수 있도록 디자인 가이드 제시가 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1. 김강섭, 정종술, 이상정,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개선방안 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2009. 11
2. 농림부, 도농교류의 유형별 수요분석 및 교류방안에 관한 연 구, 농업기반공사, 2004
3. 민승규, 강신겸, 조연희, 심창섭, 최경승, 농촌의 신가치 창출 을 위한 도농교류 활성화 방안, SERI 2007. 1
4. 송병화, 이관규, 지역고유의 자원활용에 기반한 21세기 선도 형 농촌마을개발모델,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논문집, 2007. 6
5. 이상영, 농촌의 친환경 어메니티자원 활성화를 위한 고객만 족 영향요인 연구, 동국대박사학위논문, 2008
6. 도시와 농어촌 간의 교류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령, 시행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