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차이점
< 일반은행 >
시중은행, 지방은행, 외국은행 등으로 구성
- 시중은행 : 전국에 점포망을 설치·운영.
- 지방은행 : 해당 지역과 서울시, 인접 광역시에 점포 설치·운용.
- 외은지점 : 주로 도매금융에 특화.
- 일반은행은 방대한 점포망과 조직을 갖추고 가계, 기업 등으로부터 예금 등의 형태로 획득한 자금을 재원으로 기업
등 자금수요자 에게 단기대출을 공여하는 상업금융업무를 주업무로 수행한다.
- 설비자금공급 등을 위한 장기금융업무, 내국환 및 외국환 등 환업무, 지급보증업무, 유가 증권투자업무 등의 업무도
수행.
- 이 밖에 국고대리업무, 보호예수 등 은행업에 관련된 부수업무와 신탁업무·신용카드업무 및 환매조건부 국공채매출
업무 등의 업무를 겸영.
< 저축기관 >
- 저축기관은 자금의 대부분을 민간으로부터 특유의 저축성예금 형태로 조달하여 특정목적과 관련된 대출업무를 취급
하는 금융기관.
- 예금의 대부분이 금리 또는 배당수익을 목적으로 한 장기성예금이거나 조합금융 등 대출을 위한 목적부 저축성 예금.
- 현재 저축기관으로는 은행신탁계정, 상호저축은행, 신용협동기구 및 체신예금 등이 있음.
- 신탁업무는 고객의 재산을 수탁받아 특정대상에 장기간 운용하여 그 수익을 고객에게 지급하는 업 무로서 수탁자
(은행신탁 계정)는 일정률의 수수료 수입만을 획득.
- 상호저축은행는 지역밀착형 서민금융기관으로 계·부금 및 예·적금 수입, 소액신용대출 및 어음 할인 업무를 담당.
- 신용협동기구로는 신용협동조합, 새마을 금고, 상호금융 등이 있는데 이들 기구는 조합원에 대한 저 축편의 제공과
융자를 통하여 조합원 상호간의 공동이익을 추구할 목적으로 설립·운용
- 체신예금은 은행예금과 마찬가지로 요구불예금과 저축성예금으로 구분되나 예금에 대한 지급 준비적립의무가 없으며
정부 예산의 통제를 받는다는 점에서 은행예금과 차이가 있음.
2. 흐름
중견 건설사의 잇따른 부도로 덩달아 건전성이 악화된 저축은행들이 생존을 위해 모든 수단을 동원하고 있다. 자산관리공사가 2차례 매수했지만 PF연체율이 10.6%에 달하고 있어 PF부실 규모가 큰 일부 저축은행도 자산건전성 하락에 따라 위기에 직면할 가능성이 있다.
지난 4월 유상증자와 후순위채로 자본을 늘린 솔로몬저축은행 계열의 경우 11일자로 부산솔로몬저축은행에 200억원을 더 증자할 계획이다. 지난달 말 골든브릿지자산운용이 조성한 5억달러 규모의 선박펀드에 가장 많은 비중을 투자해 화제가 되었다. (기관이나 개인들로부터 수수료만 받고 투자 중개 역할을 해온 금융회사가 직접 선박펀드에 투자하는 것은 극히 이례적) 솔로몬저축은행 관계자는 "최근의 경기 동향과 해운 물동량 회복 가능성을 감안, 벌크선을 발주하는 선박펀드에 투자하게 되었다고 한다.
첫댓글
*간추림.
- 업무의 차이 : 신용카드, 신탁, 보험, 펀드, 외국환업무 등 (여기서 일반은행은 수수료 장사)
- 지점을 확대할 때 자기자본이 80억이상 유지하고 있어야함.(저축은행만)
- 해당지역에서만 영업 가능. 다른 지역으로 확대하고자 할 때는 합병을 통해서만 함.
- 규모의 차이
- 저축은행은 예대마진 외에는 없음.
저축은행의 전반적인 흐름 참고 사이트
http://www.fsb.or.kr/ 에서 고객지원 -> 계간저축은행
참고하세요~괜찮은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