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례
서문•7
옮긴이의 말•8
제1장 | 경전의 역사-나의 정의-자기 자신의 경험(스와누바바)•13
제2장 | 그대는 브람만이다•36
제3장 | 모든 것은 환영이다. 모든 것은 오로지 의식이다. 속성들이 없는 자에 대한 경배•50
제4장 | 하나의 분리되지 않은 에센스와 분리되지 않은 경험에 대한 정의•62
제5장 | 모든 것은 토끼의 뿔과 같다. 모든 것은 브람만이다.•74
제6장 | 브람만의 물로 목욕하는 것과 브람만의 만트라에 대하여•85
제7장 | 브람만을 위한 타르파나(물의 헌주)와 브람만을 위한 호마(불의 봉헌)에 대하여•96
제8장 | 지반묵타(살아 있는 동안 해방을 얻은 사람)의 정의•107
제9장 | 비데하묵타(몸을 떠난 해방을 얻은 사람)의 정의•121
제10장 | 모든 것은 나이다.•123
제11장 | 모두가 브람만이며 나는 ‘그것’이다.•143
제12장 | 모든 것은 오로지 브람만이다.•144
제13장 | 모든 것은 비실재이며, 모든 것은 의식이다.•157
제14장 | 나누어지지 않는 성품에 대한 탐구•171
제15장 | 마음을 정복하는 방법들•181
제16장 | 마음의 평화•195
제17장 | 절대자에 대한 지식에 의해 절대자로 존재하는 상태•209
제18장 | 나뉘지 않은 성품에 대한 명상•224
제19장 | 현자의 위대함•238
제20장 | 절대자에 대한 확신으로 얻는 해방•254
제21장 | 브람만-나의 묵상•268
제22장 | 나뉘지 않은 성품에 대한 확신•281
제23장 | 아드바이타(비이원) 진리에 대한 설명•293
제24장 | 희열의 성품에 대한 확신으로 희열에 이름•303
제25장 | 순수한 브람만에 대한 확신으로 지고한 해방에 이름•312
제26장 | 비이원의 성품에 차별 없이 머물기•322
제27장 | 오점 없는 성품의 탐구에 의해 평화에 이름•333
제28장 | 네 가지 위대한 금언들에 대한 설명•345
제29장 | 순수한 실재의 성품에 대한 부단한 명상•363
제30장 | 지고한 브람만을 확신함으로써 오는 지고한 희열•373
제31장 | 64가지 예들로 설명된 비이원의 진리•383
제32장 | 자기 자신이 지고한 실재라는 확신으로 지고자에 이르기•393
제33장 | 나의 나뉘지 않은 지식의 위대함•405
제34장 | 모든 것은 브람만이며, 나가 모든 것이며, 그리고 내가 브람만이라는 확신의 위대함•415
제35장 | 비이원을 확신하는 지식으로 나 안에 머무는 사마디•430
제36장 | 나뉘지 않은 절대자라는 확신으로 마음을 지우고, 나뉘지 않은 브람만이라는 확신으로 무지를 없애기•443
제37장 | 나뉘지 않은 지고한 확신으로 비이원의 브람만으로 머물기•456
제38장 | 이 경전의 위대함•465
제39장 | 구루의 은총의 사랑스러운 경이로움에 대한 니다가의 찬양과, 나뉘지 않은 자각에 대한 그의 놀랍고도 직접적인 체험의 묘사•478
제40장 | 자신이 브람만, 보는 자이며, 볼 것이 아무것도 없으며, 구루에게 절할 것도 없다는 니다가의 선언•487
제41장 | 진리-지식-무한한 희열인 브람만이 되는 것에 대한 니다가의 이야기•498
제42장 | 이 경전, 경전을 가르치는 스승, 그리고 지식을 주는 쉬바의 은총의 위대함에 대한 니다가의 묘사•508
제43장 | 아차리야(스승)의 은총으로 영원하고, 순수한 깨달음과 해방을 얻어 무한한 의식으로 거주하는 지반묵티(살아 있는 동안 해방)의 상태를 얻는 것에 대한 니다가의 이야 기•516
제44장 | 지고한 쉬바의 은총을 얻기 위한 주요한 수단들로서 깊은 명상으로 이 경전의 위대함을 찬양•526
성자 리부에게 드리는 인사•540
용어 해설•548
제1장
경전의 역사 - 나의 정의 - 자기 자신의 경험 (스와누바바)
지고한 쉬바에 대한 복종
1
다섯 얼굴을 가진 신(가네샤, 쉬바 수행원들의 신, 코끼리 머리를 하고 있는 신), 여섯 얼굴을 한 신(스칸 다 ‘공격자’), 인자하신 어머니, 그리고 무수한 현자들, 신들, 그리고 기타 사랑스러운 헌신자들과 함께 그들의 수많은 수행원들이 어떤 무엇을 이루기 위해, 그들의 염원을 이루기 위하여 그들 의 가슴속에서 끝없이 숭배하고 있는, 광활한 하늘처럼 나눌 수 없는, 자비의 바다이며 의식의 공간인 저 지고한 쉬바(상서로운 신, 절대자)에게 고개 숙이자.
나타라자(춤의 신인 나타라자에 대한 복종)
2
이 순수한 에테르의 의식이 자신의 자유로운 샥티(궁극의 힘)와 합해져 지고한 진리로 퍼져 온다. 헌신자들의 안녕을 위하여 연민으로 피어나는 춤, 끝없는 환희의 춤, 모두로 하여금 비이원의 희열이라는 경이로움을 깨닫게 해주는 이 춤은 우리의 가슴속에 영원하리라.
3
우리가 그 형상의 보호를 받게 해주소서. 왼편엔 온 우주의 어머니가 계실 것이요, 오른편엔 온 우주의 아버지가 계실 것이니 이 발찌에서 나오는 소리는 모든 지식의 기원이며, 그것의 세 눈들로부터 모든 것이 나타나도다.
쉬바와 다른 신들에 대한 복종
4
모든 생명과 생명이 없는 세계의 신이시며, 무한한 힘의 화신이신 영원한 쉬바의 발에 영광 있어라. 모든 현상 세계의 어머니시며, 영원한 희열의 화신이신 데비(여신)의 발에 영광 있어라. 모 든 장애들을 없애고 모든 것을 이롭게 하는 비나야카(제거자)의 발에 영광 있어라. 아낌없이 봉사 하는 헌신자들에게 쉬바의 지식을 주는 샨무카(여섯 얼굴을 가진 신)의 발에 영광 있어라.
경전의 역사
5
처음에, 이 모든 세상을 잉태하신 지고한 신은 세상 사람들의 안녕을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의 식(카르마)들, 명상(우파사나)과 지식(갸나)을 설명하는 베다들을 만드셨으며, 뿐만 아니라, 베다 의 지극한 미묘함을 바르게 이해시키기 위하여 스므리티(계시서)들과 푸라나(전설)들, 이티하사 (서사시)들 그리고 여러 경전들을 만드셨다.
6
변하지 않는 비이원의 원리를 묘사하고 있는 푸라나들과 이티하사들 중에서 모든 것 위에 우 뚝 서 있는, 귀한 것들 중 가장 귀한 서사시인 베다들의 주요한 의미는 쉬바라하스야(“쉬바의 비밀”, “쉬바의 신비”)란 이름으로 이미 유명해져 있다. 열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 이 서사시는 지극히 성스럽다.
7
옛날, 지고한 쉬바는 지고한 어머니에게 이 격찬 받은 서사시를 가르쳤다. 은총의 화신인 어머니는 여섯 얼굴을 가진 스칸다에게 이것을 가르쳤다. 스칸다는 쉬바에 대한 헌신으로 가득 차 있는 자이기샤비야에게 이것을 열성을 다하여 가르쳤다. 쉬바의 영광과 함께 이것을 얻은 비야 사는 이것을 성자 수타에게 가르쳤다.
8
성자 수타는 이 미묘한 경전을 여러 위대한 성자들에게 가르쳤다. 이렇게 전해지면서, 이 숭고한 경전은 온 세상에 알려지기 시작했다. 아주 오랜 옛날에, 무엇과도 견줄 수 없는 쉬바는 오직 리부에게만 『쉬바라하스야』의 이들 12부 가운데 아주 경이로운 제6부를 전하였다.
9
진귀한 것 중의 가장 진귀한 이 6부는 총 50개의 장들로 되어 있다. 이 가운데 44개의 장들이 지 고한 쉬바의 은총의 선물로 성자 리부에 의해 니다가와 세상의 여러 성자들에게 상세히 설명되어 왔기에 여기에서 이 장들은 숭고한 『리부 기타』라 불리었다.
10
나는 신에 의해 산스크리트로 제시된 이 기타의 첫 세 장들과 마지막 세 장들을 제외한 제6부의 핵심이 되는 44장들을 해방을 열망하는 사람들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타밀어로 설명하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