갯바위, 방파제의 인기 어종! 갯바위나 방파제낚시에서 인기 넘버원은 역시 감성돔(구로다이)이다.
감성돔은 근교 방파제에서도 50cm급의 대물이 낚이고(일본의 경우) 계절에 따라서는 20cm -30cm 정도의 작은 씨알이 많이 잡히곤 한다. 성격은 상당히 신경질인면과 대담성을 같이 갖고 있어서, 의외의 장소에서 대물이 잡히곤하여 인기가 있다. 감성돔을 낚기 위한 채비는 장소에 따라서 여러 가지로 변할 수 있지만, 보통 바닥층을 중점적으로 노리는 채비로 준비한다. 그러나 입질이 왕성하때나 일출 등 먹이 활동이 활발할 때는 상당히 바닥과 떨어진 곳에서도 물곤하므로 수심조절을 충실하게 하도록 한다.
밑밥는 크릴새우를 중심으로 감성돔용집어제, 콩비지, 보리, 번데기가루등으로 만들고, 미끼로는 크릴새우, 미끼용새우, 갯지렁이,
깐새우, 갯가재를 사용하고 잡어가 많을 때는 단고 사용하는 게 좋다. 감성돔낚시에서 좋은 포인트는 수중여 주변, 해구, 갈라진 곳 등 조류의 변화가 있는 곳을 노려 볼만하다.
특히 방파제 같은 곳에서 떠내려 온 부유물들이 쌓이는 곳은 밑밭도 쌓이므로 꼭 노려볼 필요가 있다. 입질이 와도 바로 챔질하지 말고 기다리다 원줄을 가져가거나 낚싯대를 당길 때 챔질을 해야 할 때도 있다. 또한 감성돔의 성향을 간파할 수 있으면 충분히 승산이
있다.
.
전유동조법
전유동이란, 찌를 원줄에 고정하지 않고, 찌멈춤 없이 채비전체가 잠겨 가도록 하는 낚시법이다.
기본적으로 도래를 사용하지 않고 원줄과 목줄을 직결한다. 미끼와 바늘무게만으로 천천히 가라앉아 가므로 미끼가 밑밥과 동조되는
시간이 길어져 물고기가 미끼를 물어도 저항감이 제로 가깝기 때문에 위화감없이 문다. 유영층을 알 수 없거나 발밑에 물고기가 보이는데도 좀처럼 찌가 반응하지 않을 때 효과적인 채비다.
그러면 우선 전유동에 사용하는 찌에 대해서 설명해 보자.
전유동에 사용하는 찌의 부력으로는 주로 0호 00호 0α호가 있다.
우선 0찌의 경우, 원줄과 목줄을 직결하고 좁쌀봉돌을 달지 않고 바늘에 크릴만 달아서 수면에 아슬아슬하게 떠있게 한다.
(단, 사용하는 목줄과 바늘의 대소에 따라 상태가 변화함) 찌를 떠있게 한채로 채비만 가라앉아 가는 낚시 방법이다.
다음은 00찌인데, 이것은0찌와 같은 채비에 찌만 바꾼 형태로서, 채비가 정렬이 되면 찌는 채비전체의 무게로 가라앉기 시작한다.
이와 같이 찌를 가라앉아 가면서 유영층을 찾아가는 낚시에 사용한다.
마지막으로 0α찌가 있는데、이 찌는 위와 같은 채비에 찌만 바꿀 경우, 수면밑을 아슬아슬하게 써스펜드(부유)하고, 조류의 변화가 있는 곳이나 조류가 만나는 곳에 다다르면 천천히 가라앉는다.
부력은 0찌와 00찌의 중간이다.
그 밖에 G5나 G2 부력의 찌도 전유동에 사용된다. 이러한 찌는 조류가 조금 센 포인트나 중층에 채비를 보내고 싶을 때 좁쌀봉돌을 달아 가라앉힐 때 사용한다.
어떠한 경우라도 전유동조법은 원줄의 굵기, 채비를 흘려 보낼 때 원줄의 조작이 중요한 관건이다.
찌의 구멍직경이 2φ정도이면 원줄은 2호 이하로 사용하는 게 좋다.
만약 2호 이상의 원줄을 사용할 경우는 구멍직경이 큰 찌를 사용하도록 하자.
다음은 원줄 조작에 대한 것으로, 가장 염두에 둬야 할 점은 가라앉힐 채비를 저해하는 사항을 배제하는 것이다.
말하자면 찌보다 위쪽 부분, 즉 해면에 떠있는 부분의 원줄을 자연스럽게 흘리는 일이다.
원줄에는 플로트, 써스펜드, 싱카타입 3종류의 성질이 다른 줄이 있다.
전유동에 가장 적합한 것은 해수면에 뜨는 플로트계통의 원줄이다.
하지만 바람이 강하게 불때는 적합하지 않다.
찌보다 위쪽 부분에 있는 원줄이 바람에 날릴 경우, 찌로부터 위쪽의 원줄에 힘이 실려 가라앉으려 하는 채비에 브레이크를 걸고
만다.
또한 원줄이 바람에 억눌린 찌보다 선행해 버릴 경우는 채비가 가라앉지 않는다.
원줄은 항상 찌보다 조류가 흐르는 방향의 위쪽에 위치해야 한다.
이처럼 바람이 강한날은 써스펜드계통의 원줄을 사용한다.
써스펜드계통의 원줄은 해면 바로 밑을 떠다니므로 비교적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런이유로 써스펜드계통의 원줄을 사용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싱카타입의 원줄, 이것은 언제 사용하면 좋은가?
찌를 흘려 보내면서 하는 낚시의 경우, 찌보다 위부분의 원줄이 해면밑에 잠겨 있거나 원줄이 느러져 있으면 챔질이 늦어지거나
입질을 제대로 파악할 수 없곤 한다. 이것은 원줄의 여분 때문으로 바람직한 상태라 할 수 없다.
때문에 싱카타입의 원줄은 찌를 가라앉혀서 하는 낚시에 사용하면 여분의 원줄이 나가지 않고, 즉 원줄이 느러짐을 방지 할 수 있다.
낚시방법
전유동으로 낚시를 할 경우 밑밥에 신경을 써야한다.
전유동은 위부터 바닥까지 빈틈없이 공략하는 조법이므로 밑밭은 가벼운 것, 무거운 것을 섞어서, 위부터 아래까지 광범위하게 밑밥이 분포되있는 상태로 만들어야 한다.
그러기때문에 크릴에 전유동대응이라고 쓰여져 있는 배합사료, 또는 광범위하게 효과가 있다거나, slope상태라는 표시가 있는 배합사료를 선택한다.
이러한 배합사료의 내용물을 보면 여러 가지 입자가 들어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여러 가지 입자가 각각 빨리 가라앉거나 천천히 가라앉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여러 배합사료를 사용해 보고 자신에게 맞는 배합사료를 선택하도록 하자.
낚시방법으로는 밑밥을 뿌리고 채비를 투입하거나 밑밥에 동조시켜 가면서 채비를 천천히 흘려 준다.
원줄을 잘 조작하지 않으면 채비가 내려가지 않는데 그럴 때는 목줄에 G5나 G6등의 작은 좁쌀봉돌을 물려 보자.
이 작은 좁쌀봉돌 하나로 인해 채비가 잘 내려가는 경우도 있다.
다음은 가라만보의 움직임으로 채비가 입수해가는 속도를 체크한다.
전유동은 밑밥과 같은 속도로 동조 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채비의 하강 속도가 너무 빠르면 벵에돔은 물지 않는다.
그럴 경우는 봉돌을 더 작은 걸 사용하거나, 목줄찌를 사용하는 등 조절한다.
전유동을 마스터하면 반드시 낚시가 한단계 성숙해지고 좋은 조과도 기대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