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허 제10-0697667호) ◈『박판스프링 체결 스텐레스 와이어메쉬와 규산질계 침투성 폴리머몰탈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 공법』 |
【개요】 ■ 내부식성 고강도 보강재인 박판 스프링 체결 스텐레스 와이어 메쉬를 나비핀으로 기존 구조물에 부착시키고 접착강도 및 조기강도가 우수한 규산질계 침투성 폴리머 몰탈을 미장이나 숏크리트로 시공하여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과 일체화 시키는 보강공법 → 메쉬에 의한 강성증가로 구조물의 내하력 향상 → 중성화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몰탈로 보호함으로써 구조물의 내구성 증대 |
【용도】 ■ 중성화․염해․화학적침식․동결융해․화재 등으로 인하여 손상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 내하력이 손상된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내하력 향상을 요구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 ■ 교량, 댐, 항만, 터널, 하수암거, 수로교, 여방수로, 정수장, 하수처리장, 건축물 등 모든 콘크리트 구조물에 적용 가능 |
【특성】 ■ 기존 구조물이 습윤상태에서도 시공이 가능 ■ 와이어 메쉬의 퍼짐성이 좋아 원형구조물에서도 시공성이 우수 ■ 와이어 메쉬 거치시 기존 방법은 코어드릴을 사용하여 거치용 홀을 천공하고 고정핀을 함마로 항타하여 메쉬를 구조물에 부착시켜 시공성이 떨어졌으나 금번 특허공법은 공압동력을 이용한 자동 박음장치 및 나비핀을 사용하여 한번에 와이어 메쉬를 구조물에 부착시킬 수 있어 신속한 시공이 가능 ■ 메쉬의 인장강도가 일반철근의 4~5배정도이므로 적은 단면적으로 큰 보강효과 발휘 ■ 메쉬가 내부식성인 STS304 재질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녹이 쓸지 않는다. ■ 방청성, 내화학성, 방수성 등의 물성이 우수한 규산질계 폴리머몰탈 사용으로 내구성 향상 ■ 터널, 지하철, 하수흄관 등 원형구조물 적용시 시공성 우수 |
【공법관련 특허현황】 ①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 공법 : 특허 제10-0697667호 ② 와이어로프 체결용 박판스프링 : 특허 제10-0657205호 ③ 콘크리트 보수용 와이어 메쉬 : 특허 제10-0648413호 ④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용 도포재 : 특허 제10-0770289호 ⑤ 콘크리트 구조물의 앵커핀 셋트 : 실용신안 제0261346호 ⑥ 공압 동력을 이용한 콘크리트 못의 박음장치 : 실용신안 제0393138호 |
1. 적용범위
본 시방은 박판스프링 체결 스텐레스 와이어 메쉬와 규산질계 침투성 폴리머 모르타르를 이용하여 교량, 고가차도, 암거, 수로교, 터널, 원형관거 등의 토목구조물 및 각 종 건축물의 내하력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보수․보강공사에 적용한다.
2. 시공개요
【전체(Full) 공정】
공 정 |
사용재료 |
사용도구 |
||||||||||
① |
면처리 |
▪그라인더, 브레이커 ▪워터젯 |
||||||||||
② |
고압물세척 |
▪고압살수기 |
||||||||||
③ |
녹제거 및 방청처리 |
▪녹제거재 |
▪붓, 스프레이 |
|||||||||
④ |
박판스프링 체결 스텐레스 와이어 메쉬 설치 |
▪와이어 메쉬 ▪나비핀 |
▪전용 에어타카 ▪에어콤푸레샤 |
|||||||||
⑤ |
포수 작업 |
▪살수기 |
||||||||||
⑥ |
바탕조정재 도포 |
▪바탕조정재 |
▪미장도구 ▪핸드 믹서기 |
|||||||||
⑦ |
프라이머 모르타르 도포 |
▪프라이머 모르타르 |
▪모르타르 스프레이 건 ▪핸드 믹서기 |
|||||||||
⑧ |
규산질계 침투성 폴리머 모르타르 시공 |
▪규산질계 침투성 폴리머 모르타르 |
▪미장도구, 핸드믹서기 ▪숏크리트 장비 |
|||||||||
⑨ |
양 생 |
|||||||||||
⑩ |
중성화 보호재 도포 |
▪중성화 보호 도포재 |
▪에어리스건, 스프레이건 ▪핸드 믹서기 |
|||||||||
1. 중성화(염해) 방지 면보수공법: ①+②+⑤+⑥+⑩ 2. 단면보수공법: ①+②+⑤+⑦+⑧+⑨+⑩ 3. 철근노출 단면보수공법: ①+②+③+⑤+⑦+⑧+⑨+⑩ 4. 단면보강공법: ①+②+④+⑤+⑦+⑧+⑨+⑩ |
||
3. 재료
3.1 녹제거재(CL-SC101)
(1) 특 성
- 녹 제거재는 내(耐)부식성이 강한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무색투명의 액체입니다.
- 금속 표면을 내(耐)부식성이 강한 부동태 피막으로 변화시켜 내구성을 크게 높여줍니다.
- 수용성, 인화성(引火惺)이 없으므로 안전하게 사용합니다.
- 일반 녹 제거와는 달리 본 제품은 1주일간 방청성능을 발휘하는 제품입니다.
(2) 시공시 유의사항
- 동결(凍結)되면 품질이 변할 우려가 있으므로 5℃ 이상의 장소에 보관한다.
- 독성은 없지만 피부에 닿거나 눈에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 다른 유해물질과 섞이지 않도록 한다.
(3) 제품 사용량
- 1㎡당 0.2~0.5ℓ을 표준으로 2회 도포 합니다.
3.2 박판스프링 체결 스텐레스 와이어메쉬(CL-ST101,102)
(1) 규격
※ 제품생산 규격 : 표준규격 1롤 1m×20m(현장상황에 따라 규격 변경 가능)
(2) 물성
와이어로프 직경(mm) |
공칭단면적 (mm2) |
인장강도 (kg) |
인장응력 (kg/cm2) | |
|
spec. |
spec. |
|
|
2.4 |
3.52 |
580 |
16,477.3 |
14,005.7 |
3.2 |
6.29 |
1,010 |
16,057.2 |
13,648.6 |
(3) 특성
-. 재질이 스텐레스라서 녹이 잘 슬지 않는다.
-. 단위 면적당 인장강도가 높아 작은 단면으로도 큰 힘을 발휘한다.
-. 주근에 해당하는 와이어로프는 항복강도에 대한 인장강도의 비가 크며
응력부식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고 릴렉세이션이 작다.
-. 현장상황에 따라 와이어메쉬 규격을 조정할 수 있다.
-. 와이어메쉬 자체의 탄력성이 우수하여 원형구조물에 부착이 용이하다.
-. 와어어로프는 모르타르와의 부착력이 우수하다.
(4) 시공시 유의사항
-. 와이어메쉬 시공시 부근과 주근 방향이 틀리지 않도록 주의하여 시공한다.
-. 와이어메쉬의 겹이음은 모멘트가 많이 발생하는 위치를 피하여 시공한다.
3.3 바탕 조정재(CL-C102)
(1) 용도
콘크리트 구조체에 장기간 걸쳐 산성비, CO2가스, 오존, 대기오염, 태양열, 동절기 사용 염화칼슘 등의 외부 환경으로 인한 구조물의 손상(곰보, 핀홀, 결손 등) 부위에 도포하여 시멘트와 물, 특수혼화제의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결정체가 구조물의 공극을 침투 및 안착함으로 구조체를 유해물로부터 보호하고 내구년한을 증대시켜 줌과 동시에 굴곡이 있는 바탕면을 평탄하게 만들어 주는 3성분계의 자재로 제조된 바탕 조정재이다.
(2) 규격 및 혼합비
품 명 |
규격 |
혼합비 |
비 고 | |
바탕 조정재 |
20kg/포 |
분 말 |
물 |
16%~18% |
20kg |
3.0~4.0ℓ |
※ 현장 조건(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 정도)에 따라 단위 수량비를 조정할 수도 있습니다.
(3) 물성
항 목 |
단 위 |
규 격 |
시험방법 |
시험결과 | |
연도 변화 |
% |
0~15 |
KS F 4716 |
10 | |
부착강도 |
표준양생 |
N/mm2 |
1.1이상 |
KS F 4716 |
1.75 |
저온양생 |
N/mm2 |
0.8이상 |
KS F 4716 |
1.63 | |
내잔갈림성 |
- |
잔갈림이 생기지 않을 것 |
KS F 4716 |
이상없음 | |
내충격성 |
- |
갈림 및 벗겨짐이 없을 것 |
KS F 4716 |
이상없음 | |
물흡수 계수(W) |
kg/(m2․h0.5) |
0.2이하 |
KS F 4716 |
0.15 | |
온랭 반복 작용에 대한 저항성 |
- |
갈림, 부풂 및 벗겨짐이 없고, 부착강도가 1.1N/mm2이상일 것 |
KS F 4716 |
이상없음 | |
습기투과성(sd) |
m |
2이하 |
KS F 4716 |
1.8 |
(4) 특성
-. 염화물에 대한 침투저항성이 우수(비산재를 치환한 3성분계의 제조)
-. 콘크리트에 도포시 무해하고 무독성이며 부착력이 우수하다.
-. 방청력이 우수하여 구조체의 철근을 보호하고 중성화를 지연시킨다.
-. 3성분계 입자들이 시멘트 페이스트화(반고체)하여 공극을 밀실하게 메워준다.
(5) 시공시 유의사항
-. 물과 혼합시 반죽을 충분히 할 것
-. 사용시 자주 거듭 비비기를 할 것
-. 사용도중 반죽이 되어졌을 때 물을 추가하여 되비비기를 하지 말 것
-. 일평균 기온이 30℃이상인 곳 또는 최고온도가 35℃이상인 곳에서는 시공을 금한다.
(단 제조사와 현장 여건을 협의하여 제반조치를 취한 후 시공할 수 있다.)
-. 일평균 기온이 5℃이하일 때 시공을 금한다.
-. 얼지 않게 보관할 것(5℃이상인 곳에 보관)
-. 하절기 직사광선에 방치하지 말 것
-. 보관시 수분과 접촉하지 않도록 할 것.
3.4 프라이머 모르타르(CL-P101)
(1) 용도
단면의 손상정도가 심한 곳에 도포하여 구체를 강화시키는 용도 및 계면사이의 접착력을 증가시켜주는 용도로 사용되며 유기계 재료가 아닌 무기계 재료로서 콘크리트 구조물과 물성이 동일한 우수한 보수재료이다.
(2) 규격 및 혼합비
품 명 |
규격 |
혼합비 |
소요량 | |
프라이머 모르타르 |
25kg/포 |
분 말 |
물 |
1.1kg/㎡(1PLY) |
25kg |
11~12ℓ |
※ 현장 조건에 따라 단위 수량비를 조정할 수도 있습니다.
(3) 특성
-. 신․구 계면간의 우수한 부착력 확보.
-. 우수한 강도 성능.
-. 시공상 접착성이 우수함.
-. 기존 콘크리트와 물성이 거의 같음.
-. 미세 균열의 보완기능.
-. 염화물 등 화학적 유해성분에 대한 침투 저항성 우수.
(4) 시공시 유의사항
-. 물과 혼합시 반죽을 충분히 할 것.
-. 사용시 자주 거듭 비비기를 할 것.
-. 사용도중 반죽이 되어졌을 때 물을 추가하여 되비비기를 하지 말 것.
-. 한번에 2mm이상 도포하지 말 것.
-. 일평균 기온이 25℃이상인 곳 또는 최고온도가 30℃이상인 곳에서는 시공을 금한다. 다만
부득이하게 시공을 실시할 경우 콘크리트 시방서 서중 콘크리트 규정에 따른다.
-. 일평균 기온이 5℃이하일 때 시공을 금한다. 다만 부득이하게 시공을 실시할 경우 콘크리트
시방서 한중 콘크리트 규정에 따른다.
-. 얼지 않게 보관할 것(5℃이상인 곳에 보관)
-. 하절기 직사광선에 방치하지 말 것.
-. 보관시 수분과 접촉하지 않도록 할 것.
3.5 규산질계 침투성 폴리머 모르타르(CL-M101)
(1) 규격 및 혼합비
품 명 |
규격 |
혼합비 |
단위수량 | |
규산질계 침투성 폴리머 모르타르 |
25kg/포 |
분 말 |
물 |
16~18% |
25kg |
4.0~4.5ℓ |
※ 현장 조건에 따라 단위 수량비를 조정할 수도 있습니다.
(2) 특성
-. 섬유보강재가 혼합되어 있어 균열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다.
-. 숏크리트 장비를 사용 타설시 리바운드가 작다.
-. 조기강도 및 종국강도가 우수하여 기존 콘크리트와 일체화를 이룬다.
-. 기존 콘크리트와의 접착성이 우수하다.
-. 수축이 작아 균열 발생 확률이 적다.
-. 기존 콘크리트와 역학적 거동이 동일하다.
-.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 및 장기 내구성이 우수하다.
-. 이산화탄소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여 콘크리트의 중성화를 예방한다.
-. 염화물의 저항성이 우수하여 내부 철근의 부식을 방지한다.
-. 유해 화학성분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다.
(3) 물성
항 목 |
단 위 |
규 격 |
시험방법 |
시험결과 | |
휨 강 도 |
28일 |
N/mm2 |
6.0이상 |
KS F 4042 |
6.55 |
압축강도 |
28일 |
N/mm2 |
20.0이상 |
KS F 4042 |
51.4 |
부착강도 |
표준조건 |
N/mm2 |
1.0이상 |
KS F 4042 |
1.89 |
온냉반복후 |
N/mm2 |
1.0이상 |
KS F 4042 |
1.79 | |
내알칼리성 |
N/mm2 |
압축강도 20.0이상 |
KS F 4042 |
20.8 | |
투 수 량 |
g |
20이하 |
KS F 4042 |
2.9 | |
물 흡수 계수 |
0.5이하 |
KS F 4042 |
0.07 | ||
길이 변화율 |
% |
±0.15이내 |
KS F 4042 |
-0.09 | |
방청성 |
% |
95이상 |
KS F 2561 |
96 |
※ 현장 여건에 따라 규격, 시험방법, 시험결과 내용이 변경 될 수도 있습니다.
(4) 시공시 유의사항
-. 물과 혼합시 반죽을 충분히 할 것.
-. 사용시 자주 거듭 비비기를 할 것.
-. 사용도중 반죽이 되어졌을 때 물을 추가하여 되비비기를 하지 말 것.
-. 일평균 기온이 25℃이상인 곳 또는 최고온도가 30℃이상인 곳에서는 시공을 금한다. 다만
부득이하게 시공을 실시할 경우 콘크리트 시방서 서중 콘크리트 규정에 따른다.
-. 일평균 기온이 5℃이하일 때 시공을 금한다. 다만 부득이하게 시공을 실시할 경우 콘크리트
시방서 한중 콘크리트 규정에 따른다.
-. 얼지 않게 보관할 것(5℃이상인 곳에 보관)
-. 하절기 직사광선에 방치하지 말 것.
-. 보관시 수분과 접촉하지 않도록 할 것.
3.6 중성화 보호 도포재(CL-C101)
(1) 용도
중성화 보호용 도포재는 콘크리트의 모체에 씰리게이트(sillicate) 입자가 깊이 침투하여 표면조직의 기공을 막아 자체강도를 강화시켜주는 마감 처리용 시멘트 풀로 중성화 방지 성능, 내화학성, 방청성, 방수성, 유해가스 저항성 등이 뛰어나므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지속적이고 영구적인 산성화와 열화현상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향상시켜주며 우수한 방수성능으로 인해 백화현상 등을 막아준다. 따라서 본 제품은 콘크리트의 구조물 내구년한을 효과적으로 늘려주는 콘크리트 보호용 강화제이다.
(2) 특성
-. 염화물등 유해물 침투저항성 우수(비산재 함유)
-. 중성화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혼합재 첨가)
-. 유해화학성분 저항성 우수(CO2, Nacl, Cl-, OH-, 오존)
-. 방수 및 지수성 우수
-. 콘크리트에 도포시 무해하며 무독성
-. 아질산 이온을 함유하여 방청력이 우수하고 항균․항충 효과 우수
(박테리아, 곰팡이, 이끼 억제, 결로방지)
-. 우수한 부착성 및 장기부착성능 우수
-. 미세균열 보완기능
-. 우수한 작업성
(3) 규격 및 혼합비
품 명 |
규격 |
혼합비 |
비 고 | |
중성화 보호용 도포재 |
20kg/포 |
분 말 |
물 |
1.2kg/㎡(1PLY) 2.4kg/㎡(2PLY) |
20kg |
9~11ℓ |
※ 현장 조건에 따라 단위 수량비를 조정할 수도 있습니다.
(4) 물성
항 목 |
단 위 |
규 격 |
시험방법 |
시험결과 | |
도막 형성 후의 겉모양 |
표준 양생 후 |
- |
주름, 잔갈림, 핀홀, 변형 및 벗겨짐이 생기지 않을 것 |
KS F 4936 |
이상없음 |
내알칼리성 시험 후 | |||||
내염수성 시험 후 | |||||
중성화 깊이 |
mm |
1.0이하 |
KS F 4936 |
0.9 | |
염화물 이온 침투 저항성 |
Coulombs |
1,000이하 |
KS F 4936 |
978 | |
투 습 도 |
g/m2․day |
50.0이하 |
KS F 4936 |
42 | |
내투수성 |
- |
투수되지 않을 것 |
KS F 4936 |
이상없음 | |
부착강도 |
표준 양생 후 |
N/mm2 |
1.0이상 |
KS F 4936 |
1.78 |
온․냉 반복 시험 후 | |||||
균열 대응성 |
20℃ |
- |
잔갈림 및 파단되지 않을 것 |
KS F 4936 |
이상없음 |
※ 현장 여건에 따라 규격, 시험방법, 시험결과 내용이 변경 될 수도 있습니다.
(5) 시공시 유의사항
-. 물과 혼합시 반죽을 충분히 할 것
-. 사용시 자주 거듭 비비기를 할 것
-. 사용도중 반죽이 되어졌을 때 물을 추가하여 되비비기를 하지 말 것
-. 한번에 2mm이상 도포하지 말 것(균열발생)
-. 일평균 기온이 25℃이상인 곳 또는 최고온도가 30℃이상인 곳에서는 시공을 금한다. 다만
부득이하게 시공을 실시할 경우 콘크리트 시방서 서중 콘크리트 규정에 따른다.
-. 일평균 기온이 5℃이하일 때 시공을 금한다.
-. 얼지 않게 보관할 것(5℃이상인 곳에 보관)
-. 하절기 직사광선에 방치하지 말 것
-. 보관시 수분과 접촉하지 않도록 할 것.
-. 도포후 양생 시간 동안 직접 물에 접촉을 피해야 한다.
4. 시 공
4.1 면처리
1) 열화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을 그라인더, 브레이커 등을 사용하여 제거한다.
2) 이물질 및 부착물은 에어펌프 등을 사용하여 제거한다.
4.2 고압물 세척
1) 콘크리트 열화부분을 완전히 제거한 후 고압수세정기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위에 남아있는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한다.
2) 분진이 있을 경우 모르타르의 접착력이 대단히 저하될 우려가 있으므로 고압의 살수기를
사용하여 철저히 청소를 하도록 한다.
4.3 녹제거 및 방청처리
1) 녹이 발생한 부위를 먼저 고압세척기로 분사하여 불순물(녹, 찌꺼기, 산화물)을 세척합니다.
2) 1차 CLEANER(녹 제거제)를 0.2~0.3ℓ/㎡ 분사하거나 brush를 사용하여 도포합니다.
3) 도포후 철근표면 상태를 check (기존 철재표면은 흑색의 산화 제이철(Fe₂O₃)에 의한 부 동태피막(passive film)으로 보호되어 있으나 물과 공기중에 산소와 결합하여 수산화제이 철(Fe(OH)₃)이 형성되어 철재표면에 붉은 녹이 형성된다)하여 흑색상태로 변화하면서 부 풀어 오름이 발생할 때 물로(고압세척기 사용) 세척하여 깨끗하게 닦아 냅니다.
4) 2차 CLEANER(녹 제거제)를 0.2~0.3ℓ/㎡를 위 방법과 동일하게 적용을 하며 정리 정돈 후 마무리 합니다.
4.4 박판스프링 체결 스텐레스 와이어메쉬 설치
1) 박판스프링 와이어메쉬를 시공할 부분에 맞추어서 재단을 실시한다. 이때 와이어 컷팅기를
사용하여 재단을 실시한다.
2) 와이어 재단시 시공도면을 참조하여 제작한다.
3) 나비핀을 사용하여 박판스프링 체결 스텐레스 와이어메쉬를 보강면에 부착시킨다.
4) 나비핀 박음은 전용 에어 타카(에어콤푸레샤에서 발생하는 공압을 사용하는 장비)나 해머 를 사용하며 박음위치는 박판스프링 체결 스텐레스 와이어메쉬의 부근 사이로 한다.
5) 나비핀의 설치 간격은 300mm 이내로 한다. 현장여건에 따라 설치 간격을 조절하며 박판 스프링 체결 스텐레스 와이어메쉬가 잘 고정될 수 있는 간격이어야 한다.
6) 박판스프링 체결 스텐렌스 와이어메쉬의 주근방향 겹이음은 500~1,000mm 정도로 하고 모멘트 발생이 가장 큰 부위(중앙부)는 가능한 피하는 것이 좋다.
7) 박판스프링 체결 스텐렌스 와이어메쉬의 부근방향 겹이음은 60mm이상으로 한다.
4.5 포수 작업
1) 시공면에 충분한 물을 살포하는 포수 작업을 실시한다.
2) 모르타르의 시공시 표면은 건조되고 모체의 내부는 포화된 상태에서 작업을 실시한다.
4.6 바탕 조정재 도포
1) 물을 혼합용기에 배합비의 약 75% 정도 먼저 투입하고 분말을 투입하면서 전동믹서
(RPM 400~500)로 완전한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나머지 혼합액을 첨가하여
작업용도에 맞는 반죽질기를 얻는다. 교반 시간은 3~5분 정도로 한다.
2) 핸드 믹서기를 사용할 경우 충분히 혼합하여 작업을 실시한다.
3) 표면 마무리 미장작업은 10분(상온 20℃)이내에 신속히 마감한다.
4) 교반 후 경화과정에 있는 몰탈에 분말 또는 물을 추가로 혼합하지 않는다.
5) 3mm 정도의 두께로 인력 미장으로 시공하며 모체사이에 공극이 발생되지 않도록 힘을
가하여 흙손질을 해야 한다.
4.7 프라이머 모르타르 도포
1) 30분 이내(20℃, 상온기준)에 사용할 분량만 비빔을 실시하며 한번에 1포를 다 소모하지
않을 경우 분말과 물의 비(분말 : 물=25kg : 11~12ℓ)를 현장계량을 통하여 필요한 만큼
사용한다.
2) 현장 여건에 따라 물 사용량을 조절(약 75%물 투입후 나머지 물을 투입)하여
반죽 질기를 조정한다.
3) 반죽질기는 작업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가급적 묽게 한다.
4) 핸드 믹서기를 사용하여 충분히 혼합하여 작업을 실시한다.
5) 프라이머 모르타르의 시공은 대단위 면적일 경우 모르타르 스프레이건을 사용하여 도포를
하는 것이 편리하며 소규모 면적일 경우에는 붓, 롤러 등을 사용하여 시공하여도 무방하다.
6) 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절대 2mm이상의 두께로 도포를 하지 않는다.
4.8 규산질계 침투성 폴리머 모르타르 시공
1) 물을 혼합용기에 배합비의 약 75% 정도 먼저 투입하고 분말을 투입하면서 전동믹서
(RPM 400~500)로 완전한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나머지 혼합액을 첨가하여
작업용도에 맞는 반죽질기를 얻는다. 교반 시간은 3~5분 정도로 한다.
2) 핸드 믹서기를 사용할 경우 충분히 혼합하여 작업을 실시한다.
3) 기존 콘크리트와의 부착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바탕면의 표면처리 후 고압 물세척으로
시공 표면을 깨끗이 세척하여야 한다.
4) 가급적 숏크리트 방식의 시공을 권장하며 경험있는 전문 시공자에 의해 시공되어야 한다.
5) 표면 마무리 미장작업은 10분(상온 20℃)이내에 신속히 마감한다.
6) 교반 후 경화과정에 있는 몰탈에 분말 또는 물을 추가로 혼합하지 않는다.
7) 인력 미장시에는 모체사이에 공극이 발생되지 않도록 힘을 가하여 흙손질을 해야 한다.
8) 미장작업을 실시할 경우 표면미관을 고려하여 평탄하게 하며 경험과 기술이 풍부한
미장공에 의해 실시한다.
-. 일반적으로 20mm 시공시에는 초벌, 재벌, 정벌의 3회 미장을 실시해야 하며 30mm
시공시에는 4회의 미장을 실시해야 한다.
-. 천장부위 시공시 재료의 무게로 인한 처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10mm이상을 한꺼번에
시공하지 않는다.
-. 재벌 및 정벌작업은 초기 경화가 시작될 때 하는 것이 가장 좋으며 명일 작업시 표면에
물을 살포하여 표면건조 포화상태로 만든 후 미장 작업을 실시한다.
9) 도포가 완료된 모르타르는 초결이 시작되는 단계에서 최소 7일 이상 양생포 등을 이용하여
습윤 양생을 실시한다.
4.9 양생
1) 시공 모르타르의 사용량과 시공두께에 따라 30분에서 4시간 동안 습윤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며
시공된 모르타르는 동결, 비, 수압 등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2) 마무리 작업이 완료되고 초기경화가 시작된 후(20℃ 상온기준, 약 3시간) 7일 이상 양생포
등을 사용하여 습윤 상태에서 양생시킨다.
4.10 중성화 보호재 도포
1) 30분 이내(20℃, 상온기준)에 사용할 분량만 비빔을 실시하며 한번에 1포를 다 소모하지
않을 경우 분말과 물의 중량비(분말 : 물=20kg : 9~11ℓ)를 현장 계량을 통하여 필요한
만큼 사용한다.
2) 현장 여건에 따라 물 사용량을 조절(약 90% 물 투입후 나머지 물을 투입)하여
반죽 질기를 조정한다.
3) 반죽질기는 작업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가급적 묽게 한다.
4) 핸드 믹서기를 사용하여 충분히 혼합 후 3~5분 정도 방치하여 에어 포켓을 제거한 다음 시공을 실시한다.
5) 중성화 보호용 도포재의 시공은 대단위 면적일 경우 에어리스 건을 사용하여 도포를 하는
것이 편리하며 소규모 면적일 경우에는 붓, 롤러 등을 사용하여 시공하여도 무방하다.
6) 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절대 2mm이상의 두께로 도포를 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