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본문내용
|
다음검색
문래산인 이학주
성균관대학교 문학박사
전화: 010-2802-1288
강원도민일보 강원도폐교이야기 2020.2.~12 격주로 23회 연재.
강원스토리 교통방송 2018.12~2019.11. 49회 강원도 이야기 방송.
라디오춘천 <강원도 어디까지 아세요> 주4회 출연- KBS춘천 채널 99.5 오후 5시 40분, 900회 방송. 2010년부터 2017년 11월까지
강원방송 최영철의 별을 헤는 밤 1시간 출연 외 다수
각종 TV 수십차례 출연
강원일보와 강원도민일보 각종 칼럼 수회.
광주예술대학교 교수 역임
강원대학교 글쓰기 강의
힌국문화스토리텔링연구원 원장
고전문학, 민속학 전문가
스토리텔링과 관광문화콘텐츠 컨설팅
<논문활동>
연월일 | 논문활동 | |||||
논문제목 | 게재지명 | 발행처 | 구분 | |||
2023.3.30 | DMZ지역 실향민의 인문학적 치유가 가지는 가치와 치유벙법: 전쟁의 비극에서 평화의 상징으로 인문학을 찾다ㅡ 양구수입면을 중심으로 | 아시아강원민속학38 | 아시아강원민속학회 | 논문 | ||
2022.12.30. | 의암 유인석의 시문에 나타난 귀신에 대한 인식과 글쓰기 활용: 鬼神을 활용한 의암의 ‘귀신글쓰기’ 이론 정립 | 의암학연구21 | 의암학회 | 논문 | ||
2022.9.30. | 전통문화의 창조적 계승과 동해신묘의 가치: 양양의 ‘용오름도시 프로젝트’와 그 문화적 의미 | 한국문학과 예술 43 | 숭실대학교한국문예연구소 | 논문-등재 | ||
2022.9.30. | 양구군 후곡리 서암제와 기우제문의 구성 분석: 김현도 현감의 백성에 대한 애정 | 아시아강원민속학37 | 아시아강원민속학회 | 논문 | ||
2022.6.30 | <당곰애기>를 통해 본 무속적 질서의식과 삼신의 의미 | 동방문화사상12집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 논문-등재 | ||
2022.6.30 | 지명의 생성변화와 문화콘텐츠 확산 관련 연구: 춘천시 ‘공지천’지명의 스토리텔링 사례를 통해서 | 인문과학연구73집 |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논문-등재 | ||
2021.12.30 | 윤희순 의사의 유가적 생사의식과 실천행위 | 의암학연구지2호 | 의암유인석기념관 춘천문화원 | 논문 | ||
2021.12.31 | 정선군 <토방집짓기놀이>가 가지는 마당놀이로서의 성격과 개선점 | 한국문학과 예술40 | 숭실대학교 한국문예연구소 | 논문-등재 | ||
2021.8.31 | 윤희순 의사의 작품을 통해 본 의병활동과 선비정신의 상관성 | 동방학45 | 동양학연구소 | 논문-등재 | ||
2020.12.30 | 춘천지역의 대중가요를 통해 본 노랫말쓰기와 관광문화콘텐츠의 상관성: 스토리가 있는 장소여행과 감성분위기 창출 | 『인문과학연구』67 |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논문-등재 | ||
2020.6.30 | 구비문학의 공동작 특질에 따른 무형문화로서의 가치: <범일국사>와 <밭치리>당신화의 비교를 중심으로 | 동아시아고대학58 | 동아시아고대학회 | 논문-등재 | ||
2020.3.30 | 인제인의 민속놀이와 <하추리 도리깨질소리>의 지역적 향유성 | 아시아강원민속학33 | 아시아강원민속학회 | 논문 | ||
2020.1.30 | 「평창 판관대(判官垈)설화의 문화콘텐츠 발굴 및 활성화 방안」 | 동방학42 | 동양학연구소 | 논문-등재 | ||
2019.12.30 | 「구운몽」을 통해 본 자기중심학습 개발 | 어문론집80 | 중앙어문학회 | 논문-등재 | ||
2019.9.30. | 류인석의 성장기를 통해 본 선비의 천품과 배움의 열정 활용론 | 의암학연구18 | 의암학회 | 논문 | ||
2019.3.31 | 『금오신화』의 4차 산업혁명 성향과 글쓰기교육활용: 감성표현의 시공확대와 현재적 가치 창출 | 어문론집77 | 중앙어문학회 | 논문-등재 | ||
2019.3.31 | 나그네관광의 개념으로 마을관광박물관 만들기: 한백록 장군의 역사유적과 춘천시 서면 방동리지역 자원을 중심으로 | 한국문학과 예술29 | 숭실대학교 한국문예연구소 | 논문-등재 | ||
2019.3.31 | 평화와 국토정중앙의 인문학적 가치: 인류낙원(人類樂園)을 만드는 평화의 정중앙 | 아시아강원민속학31 | 아시아강원민속학회 | 논문 | ||
2018.12.20 | 류인석의 인의(仁義)갈등과 영월의거 | 의암학연구17 | 의암학회 | 논문 | ||
2018.12.30 | 팔봉산 산신대제의 전승현황과 치료적 성격 | 벌력문화32 | 홍천문화원 | 논문 | ||
2018.8.31 | 시공세계(時空世界)글쓰기의 관점에서 본 동아시아 전기소설의 원형 수용과 변용 | 동방학39 | 한서대동양학연구소 | 논문-등재 | ||
2018.8.31 | 강원도 무후제의 축제성 | 강원민속학30 | 아시아강원도민속학회 | 논문 | ||
2017.12.31 | 춘천 신동면 마을제사의 현황과 특성 | 춘주문화32 | 춘천문화원 | 문화 | ||
2017.12.31 | <東明王篇>을 통해 본 李奎報의 스토리텔링 전개 | 한국문학과 예술24 | 숭실대학교 한국문예연구소 | 논문-등재 | ||
2017.12.31 | <龍宮赴宴錄>의 치료관광스토리텔링 전통: 용궁을 통한 치료관광스토리텔링의 패러다임 구상 | 인문과학연구55 |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논문-등재 | ||
2017.12.31 | 전(傳)을 통해 본 류인석의 인생관: 글쓰기 양식 전(傳)의 포폄을 통해서 | 의암학연구15 | 의암학회 | 논문 | ||
2017.8.31 | 가리산 설화에 나타난 산에 대한 의식: 산계문화에서 나타나는 신성성과 풍요기원의 집약화를 중심으로 | 강원문화연구36 | 강원대학교 강원문화연구소 | 논문 | ||
2017.8.31 | 민속신앙의 존속과 변천: 인제군 정자리를 중심으로 | 어문학보38 | 강원대학교 국어교육과 | 논문 | ||
2017.8.31 | 고려 팔관회와 춘천 외바퀴수레싸움의 축제적 상관성을 통한 관광문화콘텐츠 활용 | 동방학37 | 한서대 동양학연구소 | 논문-등재 | ||
2017.6.30 | 해당화서낭설화의 서사원형과 관광자원의 잠재성 분석 | 한국문학과 예술22 | 숭실대학교 한국문예연구소 | 논문-등재 | ||
2017.2.28 | 인제 마의태자설화의 문화적 의미와 관광문화콘텐츠 방안: 시공세계(時空世界)글쓰기와 고전의 현대적 활용 | 『동방학』36 | 한서대 동양학연구소 | 논문- 등재 | ||
2016.12.30 | 류인석 의군도총재의 인간애(人間愛) 고찰: 13도의군도총재가 된 이유 | 『의암학연구』14 | 의암학회 | 논문- 일반 | ||
2016.10.31 | 解寃과 祈願의 상관관계를 통한 관광자원 원형 발굴 연구: 삼척 신남리 <애바위>전설의 관광자원화를 중심으로 | 로컬리티인문학16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논문-등재 | ||
2016.8.30 | 류인석 의군도총재의 의병이미지 선양을 위한 스토리텔링과 문화콘텐츠: 글쓰기 방식 新마인드맵의 원리를 활용한 선양 및 관광자원 발굴 | 한국독립운동사연구55 |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 논문-등재 | ||
2016.3.30 | 류인석 전신영정의 문화콘텐츠와 스토리텔링 활용 방안: 농촌관광활성화를 위한 자원 활용의 측면에서 | 한국문학과 예술17 | 숭실대학교 한국문예연구소 | 논문- 등후 | ||
2016.3.30 | 동아시아 전기소설을 통해 본 글쓰기치유로서의 자산계승 | 동아시아 고대학41 | 동아시아고대학회 | 논문- 등재 | ||
2016.2.29 | <崔致遠>을 통해 본 傳奇小說의 글쓰기론: 전기소설적인 판타지를 통한 주제부각 측면에서 | 동방학34 | 한서대학교 동양학연구소 | 논문- 등재 | ||
2016.1.31 | 『오토기보코(伽婢子)』 <노래로 맺은 인연(歌を媒として契る)>에 나타난 생사관과 글쓰기: 글쓰기의 치유력(治癒力)을 중심으로 | 『일본학연구』47 | 단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 논문-등재 | ||
2015.12.31 | 연암의 스토리텔링과 양양군 관광스토리텔링 향방: 법고창신 글쓰기의 활용을 중심으로 | 『국제어문』67 | 국제어문학회 | 논문-등재 | ||
2015.12.31 | 홍천 무궁화 지명 개칭에 따른 관광문화콘텐츠와 스토리텔링 | 강원문화사 연구16 | 사단법인 강원향토문화연구회 | 논문-일반 | ||
2015.10.30 | 강릉시 소돌의 마을기원 양상과 그 의미 | 온지논총45 | 사단법인 온지학회 | 논문-등재 | ||
2015.8.31 | 횡성 태기왕 자원을 활용한 명품 관광지 만들기 | 강원문화연구34 | 강원대학교 강원문화연구소 | 논문-일반 | ||
2015.8.30 | 혼례놀이 신랑다루기의 전승의의와 관광자원화 방안 | 민속연구31 |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 논문-등후 | ||
2015.5.30 | 지역향토자원을 활용한 관광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개발 연구: 춘천시 구곡폭포 | 인문과학57 |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원 | 논문-등후 | ||
2015.3.31 | 인제군 金富大王 관련 지명유래의 현황과 의미 | 한국문학과 예술15 | 숭실대학교 한국문예연구소 | 논문-등후 | ||
2015.2.28 | 신숭겸 관련 콘텐츠가 가지는 관광문화축제의 속성 및 계승 | 동방학32 | 동양학연구소 | 논문-등재 | ||
2014.12.30 | 신화가 가지는 관광자원의 속성연구: 강릉단오제 근원신화를 중심으로 | 인문과학연구43 |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논문-등재 | ||
2014.10.30 | 전기소설 『금오신화』의 서사기법: 서사장치 정절과 인연, 세계관확대에 따른 사랑과 죽음의 역학관계를 중심으로 | 온지논총41 | 온지학회 | 논문-등재 | ||
2014.8.30 | 『金鰲新話』에 나타난 宗敎性과 敍述技法: 傳奇小說 글쓰기의 特性 立場에서 | 동방학31 | 동양학연구소 | 논문-등재 | ||
2014.8.30 | 홍천지역 산간주민들의 구비문화와 산신령 수용 | 강원문화연구33 | 강원대학교 강원문화연구소 | 논문-일반 | ||
2014.4.30 | 장소마케팅에 따른 문화콘텐츠 콘셉트원형 발굴 시론: 인제군 개인약수터를 대상으로 | 국제어문61 | 국제어문학회 | 논문-등재 | ||
2014.3.30 | 대암산과 용늪기우제에 내재한 원형의식 탐구 | 동아시아고대학33 | 동아시아고대학회 | 논문-등재 | ||
2013.12.30 | 신숭겸 설화의 영웅적 형상화 연구 | 춘주문화28집 | 춘천문화원 | 논문-일반 | ||
2013.8.31 | 머슴날의 의미와 철원군의 <머슴날 놀이> | 강원문화연구32집 | 강원대학교 강원문화연구소 | 논문-일반 | ||
2013.09.30 | 공동체를 위한 동신의 수용과 변화에 관한 연구 | 인문과학연구38집 |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논문-등재 | ||
2012.12.31 | 춘천 우두산 설화에 나타난 춘천시의 정체성 연구 | 춘주문화27 | 춘천문화원 | 논문-일반 | ||
2012.02 | 『전기만록』에 나타난 종교성과 서사기법: 전기소설의 특성 입장에서 | 『비교문학』56집 | 한국비교문학회 | 논문-등재 | ||
2012.02.15 | 홍천지역 산간주민들의 산신령 수용과 구비문화연구 | 홍천지역 구비문화연구 중간발표회 |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 학술발표 | ||
2011.12 | 한국인의 점풍속과 점찰경에 나타난 점의 역할 | 비교문화연구25집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 논문-등재 | ||
2011.12 | 구술을 통해 본 가정리의 정체성과 발전방향 | 춘주문화26집 | 춘천문화원 | 논문-일반 | ||
2011.12.17 | 전기만록에 나타난 종교성과 서사기법 | 제45회동아시아고대학회학술발표대회 | 동아시아고대학회 | 학술발표 | ||
2011.12 | 슬픈 관조의 시공 | 사랑은 늘 현재형 풀무문학23집 | 풀무문학회 | 평론 | ||
2011.08 | 김부대왕제 연구 | 동아시아고대학25집 | 동아시아고대학회 | 논문-등재 | ||
2010.12 | 춘천시 북산면 마을제사의 전승양상 | 춘주문화25 | 춘천문화원 | 논문 | ||
2010.10 | 마의태자 관련 지명과 설화 | 인제한계산성학술보고서 | 강원대중앙박물관 | 논문 | ||
2010.08 | 지명의 생성변화와 바람직한 지명집 :인제군 지명집의 문제와 김부대왕(마의태자) 관련 지명과 지명유래를 중심으로 | 동아시아고대학22집 | 동아시아고대학회 | 논문-등재 | ||
2010.03 | 인제군 농촌관광활성화를 위한 명품마을 만들기 | 농촌관광연구17권1호 | 한국농촌관광학회 | 논문-등후 | ||
2009.12 | 춘천 밭치리 마을제사의 축제성 | 춘주문화24 | 춘천문화원 | 논문 | ||
2009.12.17 | 신앙과 전설 속 마의태자와 명품마을 가꾸기 | 인제문화유산 미래가치 창출 | 강원도민일보․인제문화원 | 학술 발표 | ||
2009.11 | 양양군 수동골 마을제사 연구 | 어문논집42 | 중앙어문학회 | 논문 | ||
2009.11.23 | 지명의 생성배경과 바람직한 조사방법: 인제군 남면을 중심으로 | 바람직한 지명유래집과 지명집 만들기 | 한국학중앙연구원․강원도민일보 | 학술 발표 | ||
2009.08.13 | 국토 정중앙과 양구의 인문학적 전망: 느낌과 신바람이 있는 땅 | 국토정중앙의 인문학적 비전과 지역발전 전략 | 국토정중앙개발추진위원회․한국지역지리학회 | 학술 발표 | ||
2009.09 | 화천민요의 양상과 의식요의 성격 고찰 | 강원민속학23 | 강원도민속학회 | 논문 | ||
2008.09 | 홍천 이괄 관련 지명과 설화조사 연구 | 강원민속학22 | 강원도민속학회 | 논문 | ||
2007.12 | 춘천 우두산 설화의 생성성 연구 | 춘주문화22호 | 춘천문화원 | 논문 | ||
2007.11/12 | 강원지역 민속과 지역문화 창출 | 강원광장79 | 강원발전연구원 | 논문 | ||
2007.09 | 화천의 세시풍속 어부식에 대한 고찰 | 강원민속학21 | 강원도민속학회 | 논문 | ||
2006.12 | 홍천군 무후제의 실태와 제의 성격 | 박물관지13 | 강원대중앙박물관 | 논문 | ||
2006.09 | (춘천)신숭겸설화의 영웅적 형상화 연구 | 강원민속학20 | 강원도민속학회 | 논문 | ||
2006.02 | 강원지역 기자속의 유형과 특징 | 박물관지12 | 강원대중앙박물관 | 논문 | ||
2005.12 | 강원대학교 실향민 종합 프로젝트와 통일문화 | 통일과 문화4 | 통일과 문화학회 | 논문 | ||
2005.12 | 강원도 무후제의 양상과 전망 | 지역문화연구4 | 지역문화연구소 | 논문 | ||
2005.09 | 화천의 동제와 성신앙 | 강원민속학19 | 강원도민속학회 | 논문 | ||
2004.08 | 원주의 무형문화 실태와 전승현황 | 강원민속학18 | 강원도민속학회 | 논문 | ||
2002.12 | 금오신화에 나타난 귀신의 매개역할과 작중인물의 별세계 지향 | 동아시아고대학6 | 동아시아고대학회 | 논문 | ||
2001.12 | 신라수이전의 서사범주와 그 의미 연구 | 강원인문논총9 | 강원대 인문과학연구소 | 논문 | ||
2001.09 | 허생전의 구조와 의미 연구 | 한겨레어문연구1 | 한겨레어문학회 | 논문 | ||
2000.12 | 신라수이전 소재 애정전기의 사생관 | 동아시아고대학2 | 동아시아고대학회 | 논문 | ||
2000.02 | 동아시아 전기소설의 예술적 특성연구 | 성균관대 대학원 | 박사 논문 | |||
2000.02 | 동아시아 전기소설의 연원과 전파 | 동아시아 전기소설의 전파와 수용 | 동방문학비교연구회 | 논문 | ||
1998.02 | 조선조 야담집 서발 연구 | 논문집1 | 광주예술대학교 | 논문 | ||
1995.11 | 허생의 인간상 고 | 기곡강신항박사정년퇴직기념 국어국문학논총 | 태학사 | 논문 | ||
1995.04 | <전신전>을 통한 유가적 인생관 연구 | 연민학지3 | 연민학회 | 논문 | ||
1995.02 | <전신전>과 <허생전>의 비교연구 | 논문집2 | 광주예술학교 | 논문 | ||
1991.02 | 조선조 야담집 작가의 야담인식에 관한 연구 | 강원대학교 대학원 | 석사 논문 |
<저서활동>
연월일 | 저서활동 | ||
저서제목 | 발행처 | 구분 | |
2023.4 | 산수마을사람들 | 산수1리마을회, 문화통신 | 공저 |
2023.3 | 횡성회다지소리 | 횡성군 | 공저 |
2022.12 | 한국의 마을신앙 충청북도 충주시 | 한국민속박물관 | 공저 |
2022.12 | 인제군 민속장이 이야기 | 인제문화원 | 공저 |
2022.12. | (인제군) 남면 지명유래 | 인제문화원 | 단독 |
2022.11 | 신북읍 | 춘천문화원 | 공저 |
2022.12. | DMZ 사라진 마을 이야기 | 통일부 남북접경협력과 | 공저 |
2022.12 | 남산면 지명유래 | 춘천문화원 | 공저 |
2022.10 | 소소한 마실길, 설렘의 시작 횡성 | 횡성군 | 단독 |
2022.6. | 김화군지-통과의례, 민속신앙, 공동체행사 | 철원군 | 공저 |
2022.5.10 | 양구군 수입면 사람들, 금강산 아래 마을이야기 | 양구군 | 단독 |
2022.2 | 사북 해봄마을 | 정선군도시재생지원센터 | 공저 |
2021.12.31 | 양구사람들의 마을신앙 | 양구문호ㅑㅏ원 | 단독 |
2021.12 | 진부면지 | 평창문화원 | 단독 |
2021.12.30 | 믿음은 웃음-인제성당이야기 | 인제문화원 | 공저 |
2021.12.30 | 상남면 지명유래 | 인제문화원 | 단독 |
2021.12 | 청춘길일 | 횡성군 | 공저 |
2021.12 | 댐과 춘천 | 춘천문화원 춘천학연구소 | 공저 |
2021.12 | 철원 옛이야기 | 철원문화원 | 단독 |
2021.12 | 약사명동 | 춘천문화원 춘천학연구소 | 공저 |
2021.12 | 춘천시 동내면 지명유래 | 춘천문화원 | 단독 |
2021.12 | 춘천시 동면 지명유래 | 춘천문화원 | 단독 |
2021.9 | 맛있는 마을 아카이빙 정선군 신동읍 조동리 | 정선군도시재생지원센터 | 공저 |
2021.11 | 강원도 오래된미래 | 산책 | 공저 |
2021.5 | 쇠목골이야기 | 횡성군 | 공저 |
2021.7 | DMZ지리 | 국토지리원 | 공저 |
2021.6 | 근화동지 | 춘천학연구소 | 공저 |
2021.03 | 지식 in 춘천 | 춘천문화원 춘천학연구소 | 공저 |
2020.12 | 소양동 | 춘천문화원 춘천학연구소 | 공저 |
2020.12 | 평창의 무형문화유산 | 평창군 | 공저 |
2020.12 | 인제사람들의 마을신앙4 | 인제문화원 | 단독 |
2020.12 | 양구 옛이야기 | 양구문화원 | 단독 |
2020.12 | 소양동지 | 춘천문화원 | 공저 |
2020.12 | 강원의 효열문화 | 강원도사편찬위원회 | 공저 |
2020.12 | 북강원도사1:금강산권역2 | 강원도사편찬위원회 | 공저 |
2020.12 | 동산면 지명유래 | 춘천문화원 | 단독 |
2020.12 | 신동면 지명유래 | 춘천문화원 | 단독 |
2020.6 | 김유정 문학 콘서트 | 소명출판 | 공저 |
2020.5 | 척주가 | 삼척시 문화공보실 | 역서 |
2020.4 | 강원문화사(1)-선사시대에서 일제강점기 이전의 역사․사상․문학․민속․지리- | 문화에듀플러스 | 공저 |
2019.12 | 춘천민속아카이브 | 춘천문화원 | 공저 |
2019.12 | 신북읍 지명유래 | 춘천문화원 | 단독 |
2019.12 | 인제사람들의 마을신앙3 | 인제문화원 | 단독 |
2018.12 | 홍천군지중권-통과의례 | 홍천군 | 공저 |
2018.12 | 강원도사23-상례 | 강원도사편찬위원회 | 공저 |
2018.12 | 강촌에 살고 싶네 | 디자인하우스 | 공저 |
2018.12 | 이야기가 있는 강원의 해안 | 산책 | 공저 |
2018.12 | 이야기가 있는 강원의 강 | 산책 | 공저 |
2018.12 | 이야기가 있는 강원의 산 | 산책 | 공저 |
2018.6 | 인제민속놀이 | 인제문화원 | 단독 |
2018.2 | 인제 옛이야기 | 강원도문화원연합회,인제문화원 | 단독 |
2017.12 | 하추리 사람들 | 산책 | 단독 |
2017.12 | 마지막 교실 추억의 시작 | 강원교육희망재단 | 공저 |
2017.8 | 류인석 | 의암학회 | 단독 |
2017.6 | 우천면 이야기 | 금강P&B | 공저 |
2017.2. | 정자리 사람들 | 산책 | 단독 |
2016.7 | 홍천축협50년사 | 홍천축협 | 단독 |
2016.5 | 강원도 지역원형과 인문학적 각성3 | 청운 | 공저 |
2015.11 | 내설악 그 명승에 빠지다 | 인제문화원 | 단독 |
2015.9 | 횡성에 뿌리내린 태기왕을 찾아서 | 강원도민일보 | 공저 |
2015.5 | 홍천군 동면 노천리 좌운리 스토리텔링과 마을관광박물관 | 금강P&B, 농촌엔이티 | 단독 |
2015.5 | 강원도 지역원형과 인문학적 각성2 | 청운 | 공저 |
2014.12 | 38선의 기억 | 인제문화원 | 단독 |
2014.12 | 설악산 스토리텔링 | 설악산관리공단 | 공저 |
2014.8 | 창의적 글쓰기와 말하기 | 강원대출판부 | 공저 |
2014.5 | 강원도 지역원형과 인문학적 각성 | 청운 | 공저 |
2014.5 | 설화와 문화원형 | 청운 | 단독 |
2014.5 | 홍천군 노천리 좌운리의 지명유래 스토리텔링 | 금강P&B | 단독 |
2014.4 | 강원도 산간문화 | 지식산업사 | 공저 |
2013.12 | 한반도 배꼽 이야기(양구군 스토리텔링) | 금강P&B | 공저 |
2013.11 | 한국민속문학사전 민요편 | 국립민속박물관 | 공저 |
2013.1 | 속초수산시장 장보러 갑세 | 속초시 | 공저 |
2012.12 | 동아시아의 종교와 문화 | 경인문화사 | 공저 |
2012.12 | 인제사람들이 겪은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 인제문화원 | 공저 |
2012.12 | 한국민속문학사전설화편 | 국립민속박물관 | 공저 |
2012.11 | 가정리 의병마을: 백년터울 더듬어 가정리 길을 걷다 | 춘천문화원 | 공저 |
2012.6 | 스토리텔링이 있는 화천여행 | 화천군 | 공저 |
2012.5. | 고전문학의 서사세계 | 박이정출판사 | 단독 |
2012.1. | 철원 농촌체험관광해설사 스토리텔링북 | 철원군농업기술센터 | 공저 |
2011.9. | 수동골 사람들(양양군 현남면) | 한국학술정보주식회사 | 단독 |
2011.6. | 횡성의 시장민속 | 횡성문화원 | 공저 |
2011.01. | 사랑과 낭만의 도시 춘천(춘천설화를 활용한 문화콘텐츠와 스토리텔링 컨설팅) | 박이정출판사 | 단독 |
2010.12 | 북산면 사람들(춘천시) | 춘천문화원 | 공저 |
2010.11 | 필사본 조선지지자료 강원도 편 연구 | 경인문화사 | 공저 |
2009.12 | 인제사람들의 마을신앙 | 인제문화원 | 단독 |
2009.7 | 한국민속제의 전승과 현장 | 새미 | 공저 |
2008.02 | 화천군지증보판. 5편 언어와 문학. 6편 문화유적 집필 | 화천군 | 공저 |
2007.12 | 한자와 생활문화 | 백산출판사 | 공저 |
2007.08 | 한국의 마을신앙 | 국립민속박물관 | 공저 |
2007.02 | 강원도 무후제 조사 연구 | 강원대중앙박물관 | 단독 |
2007.02 | 동아시아의 문화표상 | 박이정 | 공저 |
2005.12 | 강원인의 일생의례 | 민속원 | 공저 |
2005.10 | 화천사람들의 축제와 구비문학 | 대선 | 공저 |
2005.09 | 화천사람들의 삶과 민속문화 | 대선 | 공저 |
2005.06 | 강원도 인문학 기초자료 조사연구 | 북스힐 | 공저 |
2004.09 | 화천민속지 | 화천군 | 공저 |
2004.07 | 아들 낳은 이야기-한국의 기자풍속 강원도 편 | 민속원 | 단독 |
2002.12 | 강원의 민요2 | 강원도 | 공저보조 |
2001.12 | 강원의 민요1 | 강원도 | 공저보조 |
2002.05 | 동아시아 전기소설의 문학세계 | 북스힐 | 단독 |
2000.03 | 고소설의 사적 전개와 문학적 지향 | 보고사 | 공저 |
1999.06 | 신춘문예당선시집 열린시조6호(1998.봄) | 태학사 열린시조사 | 공저 평론 |
<특강활동>
연월일 | 특강활동 | |
강의제목 | 강의기관 | |
2004.07.14 | 강원도의 축제 | 춘천시 동부노인복지회관 |
2004.07.15 | 강원도의 민속신앙 | 춘천시 동부노인복지회관 |
2005.07.25 | 화천의 민속 | 화천문화원 |
2008.04.15 | 강원도 무형문화재 | 춘천문화원 |
2008.04.28 | 강원도 아리랑 | 춘천문화원 |
2008.08.18 | 강원의 민속 | 한국방송통신대학 강원학습관 |
2008.10.27 | 춘천의 민속 | 춘천문화원 |
2009.01.14 | 양구의 민속문화 | 양구문화원 |
2009.01.19 | 강원도의 민속문화 | (사)강원예절문화교육원 |
2008.07~2011. 07 | 강원의 불교이야기(불교문학) | 강원불교대학 |
2009.06.01 | 강원도 아리랑 | 춘천문화원 |
2009.07.16 | 화법과 스토리텔링 | 화천민속박물관 |
2009.07.28 | 화천의 민속문화 | 화천민속박물관 |
2009.10.01 | 문화해설과 문화해설가의 역할 | 인제문화원 |
2009.10.09 | 인제의 민속문화 | 인제문화원 |
2009.11.02 | 춘천의 민속 | 춘천문화원 |
2010.04.19 | 강원의 설화와 유적 | 춘천문화원 |
2010.07.22 | 일생의례의 놀이문화 | 화천사회복지관 |
2010.10.18 | 춘천의 설화와 민속 | 춘천문화원 |
2011.5.24 | 강원도 아리랑 | 춘천문화원 |
2011.6.7 | 설화와 유적 | 춘천문화원 |
2011.8.9 | 세종대왕의 리더십 | 사)강원예절문화교육원 |
2011.8.25 | 북산면 사람들을 통해 본 춘천의 풍속 | 강원방송(GBN) |
2011.11.22 | 설화와 민속 | 춘천문화원 |
2012.3.8 | 수동골 사람들의 삶과 풍속 | 네트피아 |
2012.3.13 | 농촌체험관광해설방법1 | 철원동송농업기술센터 |
2012.3.20 | 농촌체험관광해설방법2 | 철원동송농업기술센터 |
2012.5.8 | 강원의 설화와 유적 | 춘천문화원 |
2012.5.9 | 설화를 통해 본 다문화이야기 | 사)강원예절문화교육원 |
2012.5.15 | 강원도 아리랑 | 춘천문화원 |
2012.5.30 | 가정리 의병마을 | 사)강원예절문화교육원 |
2012.8.31 | 인제빙어축제역사문화자원활용제언 | 인제군청 |
2012.10.9 | 춘천의 설화와 민속 | 춘천문화원 |
2012.10.30 | 지역문화컨설팅: 춘천 공지어전설을 중심으로 | 강원대학교 스토리텔링학과 |
2012.12.6 | 리더의 변화와 창의력, 그리고 공작산 권역 | 한국농어촌공사 공작산권역 |
2013.2.22 | 농촌전통자원 소득화 발전방안 | 원주농업기술센터 |
2013.3.15 | 농촌전통문화자원 관광상품화 발전방안 | 강원도농업기술센터 |
2013.5.17 | 스토리텔링 표현자세, 방법, 실례 | 지역관광연구소 |
2013.9.24 | 인제 용늪, 개인약수 문화콘텐츠 | 인제군 하늘내린센터 |
2013.11.7 | 한국설화와 다문화 | 강원예절문화교육원 |
2013.11.27 | 강원도 여성의병유적 교육적 활용 | 강원도민일보 |
2014.3.7 | 아쿠아테라피상품 스토리텔링 방향 | 강원대산학협력단 |
2014.5.13 | 강원도의 무형문화재 | 춘천문화원 |
2014.5.20 | 강원도 민속예술축제 | 춘천문화원 |
2014.9.30 | 스토리텔링 표현 기법 | 평창문화원 |
2014.10.10 | 강원도 아리랑 | 평창문화원 |
2014.10.31 | 일생의례에 나타난 놀이문화 | 평창문화원 |
2014.10.31 | 나는 누구인가: 세상에서 가장 무서운 것 정복하기 | 진부고등학교 |
2014.11.14 | 농촌마을 스토리텔링 표현 기법 | 방아다리권역 |
2014.11.24 | 연암 박지원과 양양군 스토리텔링 | 양양문화원, 강원도민일보 |
2015.3.24 | 사례로 본 음식스토리텔링(평창군 전통음식) | 송호대 평생교육원 |
2015.5.13 | 한·중·일·월의 생사관 | 제천시립도서관시민강좌 |
2015.5.26 | 무형문화재 | 춘천문화원 문화해설사반 |
2015.10.20 | 아리랑 | 춘천문화원 문화해설사반 |
2016 | 나는 누구인가 | 인제 군부대 |
2016 | 아리랑 | 경기대학교 |
2016 | 일생의례에 나타난 놀이문화 | 경기대학교 |
2016.3.-11 | 불교문학 | 강원불교대학 |
2017.8.28 | 전통문화의 개념과 한국의 전통문화 | 춘천교육대학교 |
2017.8.29 | 화전민 그리고 강촌인 | 그냥당당 |
2017.10.17 | 방랑시인 김삿갓이 잠든 곳은 어디인가 | 영월교육도서관 |
2017.10.31 | 김삿갓의 세세계와 그의 시대적 풍류는 | 영월교육도서관(낮) |
2017.10.31 | 방랑시인 김삿갓이 잠든 곳은 어디인가 | 영월교육도서관(저녁) |
2017.11.23 | 생활장인-나 이런 사람이야 | 소양로생활장인강사양성 |
2017.12.7 | 생활장인-나 이렇게 할거야 | 소양로생활장인강사양성 |
2018.5.17 | 류인석 특강 | 의암학회, 영월중국어문화원 |
2018.8.27 | 강원인의 일생의례에 나타난 놀이문화 | 강원연구원 강원학센터 |
2018.9.7 | 류인석 특강 | 영월문화원, 의암학회 |
2018.11.9 | 류인석 특강 | 평창 둔내면사소 |
2018.11.16 | 류인석 특강 | 강대서암관, 의암학회 |
2018.11.24 | 류인석 특강 | 독립기념관, 의암함회 |
2018.12.12 | 아리랑 특강 | 사농동 현대노인회관 |
2018.12.19 | 춘천의 왕과 풍수설화 | 강원대학교 실사구시파노라마 |
2019.1.22 | 민요와 아리랑 특강 | 춘천 동부노인복지회관 |
2019.2.1 | 춘천의 지명과 낙원의식 | 강원대학교 사회대 교수 |
2019.2.13 | 나그네관광과 마을관광박물관 만들기 | 강릉녹색도시체험컨밴션센터 |
2019.2.18 | 나는 누구인가 | 춘천소년원 |
2019.2.20 | 나그네관광과 마을관광박물관 만들기 | 인제덕적리마을회관 |
2019.2.25 | 나그네관광과 마을관광박물관 만들기 | 인제천도리마을회관 |
2019.4.24 | 윤희순, 그 아름다운 이름(3회) | 춘천중학교 |
2019.5.21 | 의암 류인석 특강 | 강대 서암관(의암학회) |
2019.7.23 | 나그네 관광과 마을관광박물관 만들기 | 철원문화원 |
2019.8.9 | 왕과 풍수설화를 통해 본 춘천의 낙원의식 | 꿈마루(우두동 현대아파트) |
2019.8.14 | 왕과 풍수설화를 통해 본 춘천의 낙원의식 | 정부합동청사 |
2019.9.25 | 강원인의 일생의례에 나타난 놀이문화와 생활예절 | 제2하, 한림대 |
2019.10.28 | 산촌에 남아 있는 춘천의 민속 | 시청(춘천역사문화연구회) |
2019.11.19.-12.17. 4회 | 강원도 아리랑, 일생의례에 나타난 놀이문화 외 | 춘천문화원 |
2019.11.30 | 의암 유인석 특강 | 의암학회 독립기념관 |
2019.12.3 | 왕과 풍수설화를 통해 본 춘천의 낙원의식 | 춘천시 문화재단 |
2020.5.1 | 춘천 지명에 나타난 낙원의식 | 실레책방 |
2020.5.15 | 한국의 예절-일생의례에 나타난 놀이문화와 생활예절 | 제2하, 한림대 |
2020.11.6 | 한국의 예절-일생의례에 나타난 놀이문화와 생활예절 | 제2하, 한림대 |
2020.12.11 | 한국의 예절-일생의례에 나타난 놀이문화와 생활예절 | 제2하, 한림대 |
2021.1.28 | 한국의 예절-일생의례에 나타난 놀이문화와 생활예절 | 제2하, 한림대 |
2021.3.8 | 한국의 예절-일생의례에 나타난 놀이문화와 생활예절 | 제2하, 한림대 |
2021.5.26 | 한국의 예절-일생의례에 나타난 놀이문화와 생활예절 | 제2하, 한림대 |
2021.5.26 | 춘천옛이야기, 춘천 옛이야기-화롯가의 가르침- | 실레책방 |
2021.6.9 | 화천의 기원과 흐름, 그리고 정체성과 흥 | 화천도시재생 |
2021.6.30 | 춘천옛이야기, 대룡산신의 선물-공지천이야기의 무한변신 | 실레책방 |
2021.7.16 | 한국의 예절-일생의례에 나타난 놀이문화와 생활예절 | 제2하, 한림대 |
2021.7.28 | 춘천옛이야기, -사랑의 신 전계심이야기-귀신과 인간의 만남 | 실레책방 |
2021.8.25 | 춘천옛이야기-부귀발복주랴, 명당이야기 | 실레책방 |
2021.9.8 | 양구옛이야기-시공세계에서 놀자 | 양구문화원 |
2021.9.29 | 춘천옛이야기-춘천의 노래 | 실레책방 |
2021.10.25 | 한국의 예절-일생의례에 나타난 놀이문화와 생활예절 | 제2하, 한림대 |
2021.11.11 | 소돌, 축복의 땅과 이상향 만들기 | 강릉바다강의 |
2021.12.27 | 한국의 예절-일생의례에 나타난 놀이문화와 생활예절 | 제2하, 한림대 |
2022.2.23 | 한국의 예절-일생의례에 나타난 놀이문화와 생활예절 | 제2하, 한림대 |
2022.4.18 | 춘천의 설화 | 본책 |
2022.4.21 | 구술채록의 방법과 실제 | 횡성군 |
2022.4.26 | 구술채록의 방법 및 실제1 | 양구문화원 |
2022.5.3 | 구술채록의 방법 및 실제2 | 양구문화원 |
2022.5.3 | 한국의 예절 | 제2하, 한림대 |
2022.5.10 | 춘천의 설화 | 호수를 베고-춘천문화재단 |
2022.6.19 | 의암 유인석 특강 | 춘천학연구소(작은도서관) |
2022.6.23 | 소돌서낭제 | 동해안바다연구회 |
2022.6.25 | 의암 유인석 특강 | 춘천학연구소(작은도서관) |
2022.6.30 | 나그네관광 | 동해문화원 |
2022.7.2 | 의암유인석 특강 | 춘천학연구소(작은도서관) |
2022.8.28 | 양구의 옛이야기를 찾아서 | 양구근현대사박물관 |
2022.8.31 | 한국의 예절 | 제2하, 한림대 |
2022.9.3 | 양구배꼽축제 양구토크쇼 | 양구군 |
2022.9.17 | 양구에 안녕과 복락과 평화를 주소서(양구 인문학 특강, 마을신앙) | 양구인문학박물관 |
2022.9.25 | 스토리텔링의 기술 | 양구근현대사박물관 |
2022.10.6 | 옛이야기, 춘천 옛이야기-화롯가의 가르침 | 춘천시립도서관 |
2022.10.13 | 대룡산신의 선물-공지천이야기의 무한변신 | 춘천시립도서관 |
2022.10.20 | 귀신과 인간의 만남-전계심, 그리고 춘천신이설화 | 춘천시립도서관 |
2022.10.24 | 한국의 예절-일생의례 | 제2하, 한림대 |
2022.10.27 | 부귀발복주랴, 춘천의 명당이야기, 이상향은 어디인가 | 춘천시립도서관 |
2022.11.4 | 풍수설화를 통해 본 춘천, 명당이야기 | 꿈 너머 꿈 도서관, 한림대 |
2022.11.8. | 한국문화의 이해 | 제2하, 한림대 |
2022.12.2 | 한국문화의 이해 | 제2하, 한림대 |
2022.12.22 | 한국문화의 이해 | 제2하, 한림대 |
2023.1.17 | 시공세계글쓰기 | 강사노조강원대분회 |
2023.2.8 | 한국문화의 이해 | 제2하, 한림대 |
2023.2.23 | 한국문화의 이해 | 제2하, 한림대 |
2023.3.13 | 한국문화의 이해 | 제2하, 한림대 |
2023.3.15 | 나의 능력, 한국인의 창의력 | 강원대학교 |
2023.5.17 | 신마인드맵 | 모드가살롱,춘천문화재단 |
2023.5.24 | 관점가지기 | 모드가살롱,춘천문화재단 |
2023.6.2 | 시공세계글쓰기 | 모드가살롱,춘천문화재단 |
2023.6.8 | 한국문화의 이해 | 한림대, 제2 |
2023.6.15 | 한국문화의 이해 | 제2. 한림대 |
2023.6.29 | 한국인의 긍정심리와 놀이 | 동해문화원 |
2023.7.9 | 춘천학 특강-춘천에 이런 곳이 있었네, 봉의산에 깃든 춘천인의 삶 | 강원도민일보, 커뮤니티 돌봄센터 |
2023.7.11 | 한국문화의 이해 | 한림대, 제2 |
2023.8.8. | 한국문화의 이해 | 한림대, 제2 |
<조사연구활동>
연월일 | 조사연구활동 | ||
조사연구과제명 | 역할 | 의뢰기관 | |
2023.6 | DMZ스토리(사라진 마을 조사 복원) 양구2 | 공동연구 | 통일부 |
2023.12 | |||
2023.7 | 인제, 양구 역사 | 책임집필 | 강원도민일보 |
2023.9 | |||
2023.5 | 전국 축제 집필 80개 | 책임집필 | ㈜엑티버, 한국문화원연합회 |
2023.10 | |||
2023.6 | 속초 내물치 글 | 책임집필 | 속초시, 강원아카이브협동조합 |
2023.9 | |||
2023.4 | 평창메밀의 농경법과 음식 | 책임집필 | 강원연구원 |
2023.9 | |||
2023.4 | 서면지 | 책임집필 | 춘천문화원 |
2023.9 | |||
2023.3 | 내 기억 속의 인제 | 책임집필 | 인제문화원 |
2023.11 | |||
2023.5 | 춘천지역 무형문화유산 조사 및 현황 분석 | 공동연구원 | 춘천시의회 |
2023.7 | |||
2023.3 | 기린면 지명유래 | 책임집필 | 인제문화원 |
2023.11 | |||
2023.3 | 북강원도사-고려시대 도교 | 책임집필 | 강원도청 |
2023.8 | |||
2023.3. | 동내면지 | 책임집필 | 춘천문화원 |
2023.6 | |||
2022.6 | 양구사람들의 마을신앙2 | 책임집필 | 양구문화원 |
2023.12 | |||
2022.4. | 신북읍지 | 책임집필 | 춘천문화원 |
2022.7 | |||
2022.5 | DMZ스토리(사라진 마을 조사 복원) 양구1 | 책임조사 | 통일부 |
2022.9 | |||
2022.4.13 | 의병집필 100건 | 책임집필 | (주)액티버 |
2022.12.16 | |||
2022.3.20 | 화천군지 | 책임집필 | 화천군청, 강원도민일보 |
2022.4.30 | |||
2022.3.24 | 산수리이야기 | 책임집필 | 산수리마을 |
2022.12.31 | |||
2022.3 | 춘천 남산면 지명유래 | 책임집필 | 춘천문화원 |
2022.10.30 | |||
2022.2.1 | 충주 마을제사조사 | 책임집필 | 한국민속박물관 |
2022.3.30 | |||
2022.4.11 | 인제 쟁이들 | 책임집필 | 인제문화원 |
2022.11.30 | |||
2022.4.1 | 인제 남면 지명 | 책임집필 | 인제문화원 |
2022.11.30 | |||
2021.3.1 | 춘천지명사전 | 책임집필 | 춘천학연구소 |
2021.12.30 | |||
2021.3.1 | 횡성군 우항리 스토리텔링 | 책임집필 | 횡성도시재생 |
2021.5.30 | |||
2021.5.1 | 인제 상남면 지명유래 | 책임집필 | 인제문화원 |
2021.11.30 | |||
2021.5.1 | 인제성당이야기 | 첵임집필 | 인제문화원 |
2021.11.30 | |||
2021.6.14 | 양구의 마을신앙 조사사업 | 책임집필 | 양구문화원 |
2021.11.30 | |||
2020.8 | 수입면 이야기 | 책임집필 | 양구군 |
2021.9 | |||
2021.3.20 | 댐과 춘천 | 책임집필 | 춘천학연구소 |
2021.9.30 | |||
2020.12 | 근화동지-공지천토박이 | 책임집필 | 춘천문화원 |
2021.3 | |||
2020.11 | 양구옛이야기 | 책임집필 | 양구문화원 |
2020.12 | |||
2020.8 | 진부면지 | 책임집필 | 평창문화원 |
2021.9 | |||
2020.8 | DMZ지리지 | 책임집필 | 통일부 |
2020.12 | |||
2020.5 | 소양동지-소양동토박이 | 책임집필 | 춘천문화원 |
2020.10 | |||
2020.5 | 춘천학스터디-지식in춘천 | 책임집필 | 춘천문화원 |
2020.8 | |||
2020.5 | 평창 설화 콘텐츠 | 책임집필 | 평창문화원 |
2020.8 | |||
2020.5 | 인제군 마을신앙 및 가정신앙 조사 | 책임집필 | 인제문화원 |
2020.12 | |||
2020.4 | 동해시 발한동 동호동 책방마을 기록화 사업 | 책임집필 | 동해시 |
2020.11 | |||
2020.3 | 양구 수입면 인문학 자문 | 책임집필 | 양구군 |
2020.4 | |||
2020.3 | 삼척의 척주가 윤색 및 발간 | 책임집필 | 삼척시 |
2020.5 | |||
2020.5 | 한국의 관방유적 | 책임집필 | 한국문화원연합회 |
2020.12 | |||
2020.3 | 북강원도 이야기-외금강 | 책임집필 | 강원도청 |
2020.8 | |||
2020.1 | 강원도의 충효열각-영서지역 | 책임집필 | 강원도청 |
2020.7 | |||
2019.12 | 춘천지역의 노래를 통해 본 노랫말쓰기와 관광문화콘텐츠: 스토리가 있는 장소여행과 감성분위기 창출 | 책임집필 | 한국연구재단 |
2020.11 | |||
2019.8 | 화천향교지 | 책임집필 | 화천문화원 |
2019.12 | |||
2019.8 | 홍천 서석면 코스모스축제 자문평가 | 공동연구원 | 홍천군청 |
2019.11 | |||
2019.8 | 지명유래집필(서울, 경기, 인천, 강원) | 책임집필 | 문화재청(문화원연합회) |
2019.10 | |||
2019.7. | 강원도(홍천군) 폐교조사 | 책임조사집필 | 강원도교육희망재단 |
2019.11.30 | |||
2019.3 | 춘천 동면지리지 | 책임집필 | 춘천문화원 |
2019.9 | |||
2019.6.5 | 춘천 충의 전시회(시청 2층) | 책임전시 | 보훈청(도민일보) |
2019.6.14 | |||
2019.4 | 철원향토문화전자대전 | 책임집필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9.8 | |||
2019.3 | 강원도 무형문화조사 | 책임조사집필 | 문화재청 |
2019.10 | |||
2019.3 | 인제마을제사3 | 책임조사집필 | 인제문화원 |
2019.11 | |||
2019.3 | 춘천민속아카이브 | 책임연구원 | 춘천문화원 |
2019.11 | |||
2018.2 | 강촌지리지 | 책임집필 | 춘천시문화재단 |
2018.12 | |||
2018.2 | 강원도사(일생의례-상례) | 책임집필 | 강원도 |
2018.4 | |||
2018.3 | 춘천 동산면지리지 | 책임집필 | 춘천문화원 |
2018.11 | |||
2018.3 | 홍천군지(일생의례) | 책임집필 | 홍천군 |
2018.8 | |||
2018.5 | 강원도 지식총서(산, 강, 바다) | 책임집필 | 강원연구원 강원학센터 |
2018.8 | |||
2018.3.1 | 의병 콘텐츠 집필(125건) | 책임집필 | 한국문화원연합회 |
2018.8.15 | |||
2018.8 | 시공세계 글쓰기의 관점에서 본 동아시아 전기소설의 원형 수용과 변용 | 책임집필 | 한국연구재단 |
2017.9 | |||
2017.12 | 인제 목기 | 피디 | 한국문화원연합회 |
2017.7 | |||
2017.12 | 인제 옛이야기 | 책임집필 | 한국문화원연합회 |
2017.7 | |||
2017.11 | 홍천군 무궁화 스토리텔링 | 공동집필 | 홍천군청 |
201.9 | |||
2017.10 | 강원 폐교 스토리 | 책임집필 | 강원교육청 |
2017.11 | |||
2017.5 | 인제군 도리깨질 소리 | 책임집필 | 인제문화원 |
2017.12 | |||
2017.5 | 인제군 하추리 민속지 | 책임집필 | 인제문화원 |
2017.12 | |||
2017.7 | 춘천시 동내면 지리지 | 책임집필 | 춘천문화원 |
2017.11 | |||
2017.6 | 평창군 용평면 자문 | 책임집필 | 한국농어촌공사 |
2017.8 | |||
2017.5 | 횡성군 안흥면 자문 | 책임집필 | 한국농어촌공사 |
2017.7 | |||
2017.2.27 | 알기 쉬운 의암 선생 이야기 | 책임집필 | 의암학회 |
2017.6.30 | |||
2016.10.14 | 횡성군 우천면 스토리텔링 | 책임집필 | 횡성군 |
2017.2.28 | |||
2016.6.1 | 인제군 민속놀이집 | 책임집필 | 인제문화원 |
2016.12.30 | |||
2016.6.1 | 인제군 남면 정자리 민속지 | 책임집필 | 인제문화원 |
2016.12.30 | |||
2016.2.10 | 홍천축협50년사 | 책임집필 | 홍천축협 |
2016.7.30 | |||
2016.7.1 | 춘천시 신동면 지명유래 민속 | 책임집필 | 춘천문화원 |
2016.11.30 | |||
2015.7.1 | 춘천시 남산면 지명유래 민속 | 책임집필 | 춘천문화원 |
2015.11.30 | |||
2015.7.1 | 태극권역 스토리텔링 | 책임집필 | 농촌넷 |
2015.11.30 | |||
2015.8.1 | 홍천 창촌리 자문 | 책임집필 | 한국농어촌공사 |
2015.8.30 | |||
2015.4.6 | 양구 강선놀이 시나리오 및 연구 | 책임집필 | 양구군청 |
2015.4.29 | |||
2014.12.5 | 인제군 생활사: 나와 6.25 | 책임집필 | 인제문화원 |
2014.12.30 | |||
2014.11.24 | 횡성지역의 옛지명 | 책임집필 | 횡성문화원 |
2014.12.5 | |||
2014.9.3 | 내설악 관광지도제작을 위한 지명조사 | 책임집필 | 인제문화원 |
2015.6.30 | |||
2014.9.1 | 설악산 스토리텔링 | 공동연구 | 국립공원관리공단 |
2014.12.20 | |||
2014.8.10 | 철원지역의 옛지명 | 책임집필 | 철원문화원 |
2014.9.20 | |||
2014.4.20 | 공작산권역 스토리텔링 | 책임집필 | 농촌넷 |
2014.11.20 | |||
2013.8.1 | 지역원형(Local Archetype)의 재인식과 인문학적 각성: 지역문화콘텐츠를 중심으로 | 박사급연구원 | 한국연구재단 |
2016.7.31 | |||
2013.7.10 | 춘천맥국 관련 지명 및 민속조사 | 책임연구 | 춘천문화원 |
2013.11.30 | |||
2013.6.25 | 인제김부대왕제놀이 시나리오 및 연구 | 책임집필 | 인제문화원 |
2013.7.25 | |||
2013.6.20. | 영월군 사북읍소재지 스토리텔링 | 책임집필 | 한국농어촌공사 |
2013.8.15 | |||
2013.6.20 | 영월군 북면 마차리 스토리텔링 | 책임집필 | 한국농어촌공사 |
2013.7.15 | |||
2013.4.1. | 철원머슴날놀이 시나리오 및 연구 | 책임집필 | 철원문화원 |
2013.6.30 | |||
2013.5.1 | 인제군 개인약수 대암산 용늪 문화컨설팅 | 공동연구 | 문화관광부 인제군 |
2013.10.30 | |||
2013.3.1 | 양구정중앙스토리텔링 | 책임집필 | 양구군청 |
2013.10.30 | |||
2012.12.30 | 양구군지집필(민속 편) | 책임집필 | 양구군청 |
2013.4.30 | |||
2012.9.30 | 38선의 기억: 6.25한국전쟁 전후의 삶 | 책임연구 | 인제문화원 |
2012.12.31 | |||
2012.9.1 | 금오신화에 나타난 종교성과 서사기법 | 책임연구 | 한국연구재단 |
2013.8.31 | |||
2012.7.1 | 속초관광수산시장스토리텔링 | 연구원 | 속초시청 |
2012.10.31 | |||
2012.7.9 | 홍천군 노천리 좌운리 지명유래 스토리텔링 | 책임집필 | 한국농어촌공사 |
2012.8.31 | |||
2011.7.1 | 구비문학과 사회문화적 토대의 소통 | 박사급연구원 | 한국연구재단 |
2012.4.31 | |||
2011.7.1 | 가평군의 정체성 연구(민속, 설화, 문학 부문) | 연구원 | 가평군청 |
2011.12.14 | |||
2011.7.1 | 화천 생태관광스토리텔링 | 연구원 | 화천군청 |
2012.4.31 | |||
2011.7. | 가정리 문화전승사업 | 책임집필 | 춘천문화원 |
2011.11. | |||
2011.4.6 | 철원군 문화관광해설자료집 | 책임집필 | 철원농업기술센터 |
2011.8.18 | |||
2010.11.15 | 강원도사 고려시대의 고유신앙 | 책임집필 | 강원도청 |
2011.2.28 | |||
2010.10.06 | 횡성의 시장민속 | 공동연구 | 횡성문화원 |
2011.02.28 | |||
2010.7.17 | 청평사권역 향토자원조사연구 | 연구책임 | 춘천문화원 |
2010.12.22 | |||
2010.01.04 | 한계산성 기초현황조사 및 안전성 검토 용역 | 공동연구 | 인제군 |
2010.10.06 | |||
2010.3.1 | 춘천시 인물설화의 문화콘텐츠와 스토리텔링 연계 컨설팅 | 연구책임 | 춘천시문화재단 |
2010.12.31 | |||
2009.07 | 인제군의 마을제사 | 연구책임 | 인제문화원 |
2009.12 | |||
2009.02 | 2009년도 횡성한우조형물 설치를 위한 컨설팅 | 공동연구 | 횡성군 |
2009.03 | |||
2008.08 | 횡성한우 역사 재조명 사업 학술연구 | 공동연구 | 횡성군 |
2009.03 | |||
2008.07 | 한국전쟁전후 민간인 집단희생 관련 피해자현황조사(인제군 편) | 공동연구 |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 위원회 |
2009.02 | |||
2007.09 | 화천군지 증보판 감수 편집 | 공동연구 | 화천문화원 |
2008.01 | |||
2006.09 | 화천군지 증보판-<문학>, <문화유적>편 | 책임집필 | 화천문화원 |
2007.01 | |||
2006.06 | 홍천 <보리울 발 방아소리> 시나리오 조사연구 | 책임집필 | 홍천군 |
2006.09 | |||
2006.05 | 강원도 무후제 조사 연구 | 책임집필 | 강원대학교중앙박물관 |
2007.02 | |||
2003.12 | 화천민속지 발간 | 공동연구 | 화천군 |
2004.09 | |||
2002.08 | 남북한 강원도 문화동질성 회복을 위한 인문학 기초자료의 발굴 조사 수집 분석 정리연구 | 공동연구 | 한국학술진흥재단 |
2003.07 | |||
2002 | 강원의 민요 2 | 연구보조 | 강원도 |
2002 | |||
2001 | 강원의 민요 1 | 연구보조 | 강원도 |
2001 |
※위 사항은 개인적인 조사활동은 빼고 용역활동을 통한 것만 기재함.
<학술발표 및 토론>
연월일 | 학술발표 및 토론 활동(2018년까지 100여회, 2019년 1월 이후) | ||
조사 연구 발표 토론 명 | 역할 | 토론기관 | |
2019.2.19 | 『금오신화』의 4차 산업혁명 성향과 글쓰기교육활용: 감성표현의 시공확대와 현재적 가치 창출 | 발표자 | 중앙어문학회 |
2019.5.15 | 춘천 고산 도포서원 학술대회 | 토론자 | 춘천시역사문화연구회 |
2019.5.28 | 예술단체의 역할과 지역의 미래 | 토론자 | 강원도 오페라앙상불 |
2019.6.21 | 강원도 지명연구의 새로운 방향 모색 | 토론자 | 강원학연구센터 |
2019.7.16 | 대붕호 대명제 파로호 화천저수지 공론(지명회의) | 발표자 | 화천군청 |
2019.7.5 | 류인석의 성장기를 통해 본 선비의 천품과 배움의 열정 활용론 | 발표자 | 의암학회 |
2019.7.27 | 태권도, 한국의 선비사상으로 세계 평화를 품다 | 발표자 | 2019평창세계태권도한마당 조직위원회 |
2019.8.22 | 남북한 설화의 비교연구 | 토론자 | 중앙어문학회 |
2019.10.6 | 김유정 작품을 원천으로 한 <김유정아리랑> 개발 | 발표자 | 김유정문학회 |
2019.11.22 | 평창 판관대(判官垈)이야기의 문화콘텐츠 발굴 및 활성화 방안 | 발표자 | 평창문화원 |
2019.11.27 | DMZ문화지리: 경계와 기억의 터 | 토론자 | 통일연구원 |
2019.11.29 | 강원도 구비문학의 무형문화 가치: <범일국사>신화와 <밭치리>신화의 비교를 중심으로 | 발표자 | 강원연구원(강원학대회) |
2019.12.6 | 춘천 지역마을제사의 전승양상과 특성 | 발표자 | 춘천문화원 |
2019.12.7 | 삶과 죽음에 대한 학제적 접근 | 사회자 | 한국문화융합확회 |
2019.12.14 | 인제인의 민속놀이와 <하추리 도리깨질 소리>의 지역적 향유성 | 발표자 | 아시아강원민속학회 |
2019.12.21 | 춘천지역 향토인물 신숭겸 관련 축제 콘텐츠와 서면지역 의식주 활성화 및 활용제언 | 발표자 | 한백록장군기념사업회 |
2020.1.27 | 경계를 넘는 인문학 | 토론자 | 강원대학교 교양교육원 외 |
2020.10.22 | 평창군 무형문화유산 목록화를 위한 학술대회; 평창군 설화의 전승양상 | 발표자 | 평창문화원 |
2020.10.16 | 강원 경기 의병 재조명; 의암학회 학술대회 | 토론자 | 춘천시, 춘천문화원 |
2020.12.4 | 강원학대회 동해민속놀이 | 토론자 | 강원학센터 |
2020.8.6.~9.30 | 김유정아리랑 전시 | 김유정아리랑창작 | 김유정문학촌 낭만누리 |
2021.6.16 | 정선토방집짓기 학술대회 | 발표자 | 정선문화원 |
2021.7.2 | 강원도 고지명 편찬을 위한 학술세미나 | 토론자 | 강원연구원 강원학센터 |
2021.7.27 | DMZ이야기-구술로 만드는 DMZ민속사 | 발표자 | 강원대 DMZ HELP센터 |
2021.9.9 | 국토정중앙, 새로운 출발, 국토정중앙 가치 재조명: 생각지도에 따른 국토정중앙 가치 확산의 필요성- 이상[꿈]성취를 위해 감정이입을 할 수 있는 체계적인 크고 작은 그림[이미지]이 필요함- | 토론자 | 강원연구원, 국토정중앙위원회 |
2021.11.17 | 춘천지역 일제잔재에 대한 토론 | 토론자 | 의암학회 |
2021.12.2 | 강원지역 민속신앙의 흐름과 멈춤: 동해안별신굿을 중심으로 | 토론자 | 강원학대회 |
2021.12.4 | 횡성 마을기록 대회 | 사회 | 강원아카이브협동조합 |
2022.7.27 | DMZ사라진 마을과 수입면 사람들 | 발표자 | 강원대 DMZ HELP센터 |
2022.8.19 | 동해신사의 가치제고를 위한 전통문화의 계승과 창작 - 인간과 귀신의 교감으로 양양을 용오름 도시로 만들기 - | 발표자 | 양양문화원 |
2022.9.3 | 양구 국토정중앙 가치 재조명 토론회-토크쇼 | 발표자 | 양구군청 |
2022.11.8 | 양구 DMZ 사라진 마을 조사 및 재현 구술채록 결과 | 발표자 | 강원대학교, 통일부 |
2022.11.17 | 의암 유인석의 시문에 나타난 귀신에 대한 인식과 글쓰기 활용- 鬼神을 활용한 의암의 ‘귀신글쓰기’ 이론 정립 - | 발표자 | 의암학회 |
2022.12.2. | DMZ지역 실향민 인문학적 치유가 가지는 가치와 치유방법-전쟁의 비극에서평화의 상징으로 인문학을 찾다, 양구수입면을 중심으로- | 발표자 | 제5회 강원학대회, 강원연구원 |
2022.12.16 | 밭치리 신화와 마을제의의 무형문화로서의 가치 | 발표자 | 춘천문화원 |
2023.6.23 | <횡성의 역사문화자원 활용과 브랜드 전략>에 대한 토론 | 토론지 | 아시아강원민속학회 |
※위 사항은 2019년 이후의 발표 토론 사항만 기재함. 2018년까지는 약 100여 회 넘게 진행됨.
<학술사회활동>
연월일 | 학술사회활동 | ||
활동내역 | 활동기관 | 역할 | |
2005.02 | 화천지역발전연구회 | 강원대학교 | 연구위원 |
2009.02 | |||
2006.05 | 화천군 농촌지역 향토자원 조사 | 농촌진흥청 | 선정 및 심사위원 |
2006.12 | |||
2008.01 | 동아시아고대학회 | 동아시아고대학회 | 강원지역이사 |
2009.12 | |||
2008.04 | 강원예절문화교육원 | (사)강원예절문화교육원 | 이사 |
2019. | |||
2008.01 | 강원도 민속학회 | 강원도민속학회 | 감사 |
2010. 12 | |||
2008.6.12 | 2008춘천지역 농촌개발사업 선정 | 한국농촌공사 강원지역본부 | 심사위원 |
2008.7.10 | 2008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소양호 권역> | 한국농촌공사 강원지역본부 | 자문위원 |
2008.8.23 | |||
2008.7.10 | 2008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소금강 권역> | 한국농촌공사 강원지역본부 | 자문위원 |
2008.8.23 | |||
2009.7.8 | 2009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아침볕봉황 권역> | 한국농어촌공사 강원지역본부 | 자문위원 |
2009.8.28 | |||
2009.7.8 | 2009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건봉 권역> | 한국농어촌공사 강원지역본부 | 자문위원 |
2009.8.28 | |||
2009.7.8 | 2009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수동골 권역> | 한국농어촌공사 강원지역본부 | 자문위원 |
2009.8.28 | |||
2009.12.9 | 2010한국농어촌공사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선정; 경북지역 | 한국농어촌공사 의왕본부 | 심사위원 |
2009.12.17 | |||
2011.1.2 | 아침볕봉황권역 세부설계 자문 | 한국농어촌공사 강원지역본부 | 자문위원 |
2010.3.1 | 동아시아고대학 | 동아시아고대학회 | 편집위원 |
2011.12.30 | |||
2012.7.9 | 공작산권역 농촌마을개발사업 자문 | 한국농어촌공사 강원지역본부 | 자문위원 |
2012.8.31 | |||
2013.7.31 | 2014강원민속문화의 해 추진협의회 | 강원도 국립민속박물관 | 지도 자문위원 |
2014.12.31 | |||
2014.7.10 | 2014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4권역 <방아다리권역>, <태극권역>, <평창읍소재지권역>, <내촌면소재지권역> | 한국농어촌공사 강원지역본부 | 자문위원 |
2014.9.30 | |||
2015.5.1 | (사)강원행복시대 | (사)강원행복시대 | 이사 |
2019. 12 | |||
2015.5.1 | 한국농어촌관광학회 | 한국농어촌관광학회 | 이사 |
2017. 12 | |||
2015.8.30 | 동방학 | 한서대학교 동양학연구소 | 편집위원 |
2022.현재 | |||
2016.1.1 | 동아시아고대학 | 동아시아고대학회 | 학술이사 |
2018.12.31 | |||
2018.9.2 | 한백록 장군 기념사업회 | 한백록 장군 기념사업회 | 상임이사 (회장) |
2021.9.30. | |||
2019.5.3 | 인투컬쳐 | 사)인투컬쳐 | 공동대표 |
2023.현재 | |||
2019.5.1 | 강원도지명위원회, 강원도도로명주소위원회 | 강원도 | 위원 |
2023.현재 | |||
2019.7. | 화천지명위원회 | 화천군 | 위원 |
2019.12 | |||
2019.12.5 | 2019년 가평군 장인선정 심의위원회 | 가평군 | 위원 |
2019 | 춘천학연구소 상임위원 | 춘천문화원 | 위원 |
2021.2 | |||
2020.1 | 강원아카이브협동조합 위원 | 강원아카이브협동조합 | 위원 |
2023. 현재 | |||
2020.7 | 의암(유인석)학회 | 의암학회 | 이사 |
2025.7 | |||
2020.9.28 | 윤희순 선양사업심의위원회 | 춘천시 | 위원장 |
2024.9.27 | |||
2021.4.7. | 춘천시 문화해설사 선정 위원 | 춘천시 | 위원 |
2021~ | 전국강사노동조합 강원대지회 | 강원대학교 | 부위원장, 대의원 |
2021.~ | 춘천시 지명위원회 위원 | 춘천시 | 위원 |
2021.9.9.~ | 국토정중앙위원회 | 양구군 | 위원 |
2021.~ | 강원대 원격수업관리위원회 | 강원대학교 | 위원 |
2022.10~ | 강원민속학회 | 강원민속학회 | 연구이사 |
2022.12~ | 풀무문학회 | 풀무문학회 | 회장 |
2023.5.15. 2026.12.31 | 홍천문화원 자문위원회 | 홍천문화원 | 위원 |
2023.5.20. 2024.12.31 | 춘천문화원 민속예술단 자문위원 | 춘천문화원 | 위원 |
<언론활동>
연월일 | 언론활동 | ||
활동내용 | 활동기관 | 역할 | |
2023.7.2 | 글 쓰는 이학주, 100번째 책, 산수마을사람들 | 오마이뉴스 | 인터뷰 |
2023.여름 | 천렵, 강과 계곡에서 즐기는 우리의 여름 풍속 | 문화통신58 | 글게재 |
2023.3. 봄 | 겨울바람이 만든 진미, 황태 | 문화통신57 | 글게재 |
2022.12.겨울 | 신이 된 아기장수 | 문화통신56 | 글게재 |
2022.9. 가을 | 비나이다 비나이다 용왕신께 비나이다 | 문화통신55 | 글게재 |
2022.9.5 | 동해신묘 라디오 인터뷰 | 강릉kbs라디오 | 자문출연 |
2022.8 | 헤어진지 48년만에 만난 언니, 그리고 그리운 사람들 | 양구메아리 | 글게재 |
2022.여름 | 아들딸 구별 말고, 일점혈육 하나만 점지해 주소서 | 문화통신54 | 글게재 |
2022.6 | 잊지 못한 고향은 지도가 되었네, 정일호 | 양구메아리 | 글게재 |
2022.6.2 | 이학주의 금강산아래이야기 및 글쓰기 | G1라디오 최영철의 별헤는밤 1시간 | 출연 |
2022.봄 | 소나무, 그대는 우리 삶의 동반자 | 문화통신53 | 글게재 |
2021.12 | 이상향이 어디 인고, 양구라고 부른다네 | 양구문화32 | 글게재 |
2019. 봄 | 민속창출-지나온 사람에 현재 생각을 더하면 미래를가꾸는 일 | 문화통신41 | 글게재 |
2022.3.1 | 양구 수입면 김경환이야기 | 양구메아리 | 글게재 |
2022.1.3. | 양구 수입면 김금녀이야기 | 양구메아리 | 글 게재 |
2022.1.3. | KBS뉴스 7시 호랑이해 자문 인터뷰 | KBS7시 뉴스 | 자문 |
2021.10. | 수입면이야기 조사에 대한 단상 | 양구메아리174 | 글 게재 |
2021.8. | 600년 전통 인제목기 | 우리문화298 | 글 게재 |
2021.9.8 | 춘천KBS지명수배 –2주년 기념 | 춘천KBSTV | 자문출연 |
2021.9.1 | 양구사람들이 아름다운 이유를 아시나요 | 양구메아리 | 글 게재 |
2021.6.7 | 애막골 꽃길을 걸어 대룡산까지 | 춘천사람들 | 춘천지명이야기 |
2021.5.10 | 대룡산 계곡을 울리는 수려한 물소리 | 춘천사람들 | 춘천지명이야기 |
2021.2.11 | 언어사대주의 | 강원도민일보 | 컬럼 |
2020.6.25 | 강릉KBS라디오 척주가 소개 | 강릉KBS | 책소개 |
2020.6.16 | 삼척MBC라디오 척주가 소개 | 삼척MBC라디오 | 출연 |
2020.4 | 춘천KBSTV 지명수배 밭치리 | 춘천KBSTV | 자문출연 |
2020.2 | 춘천KBSTV 지명수배 뒤뚜루 | 춘천KBSTV | 자문출연 |
2020.2~2021.3 | 강원도민일보 이학주의 폐교이야기 | 강원도민일보 | 격주연재 23회 |
2014~ 2019 | 미기재 (강원교통방송 주1회 출연 1년, MBC강원365 등, 수십 회) | 강원교통방송, 문화방송 외 | 출연 |
2015.8~2017.11 | KBS라디오 공감5시, 강원로드 매주 1회. 140회 | KBS라디오 | 출연 |
2010.4.20~ 2013.4.20 | KBS라디오 춘천, 강원도 어디까지 아세요. 660회 | KBS라디오 | 출연 |
2012.8.25 | 고전문학의 서사세계 소개 | 강원도민일보 | 책소개 |
2012.7.7 | 스토리텔링이 있는 화천여행 소개 | 강원일보, 강원도민일보 | 책소개 |
2012.2.6 | 정월대보름에 대하여 | G1강원민방 생방송투데이 | 출연 |
2012.1.23 | 설날에 대하여 | 강원교통방송 | 전화출연 |
2011.12.31 | 수동골 사람들 소개 | 강원일보 | 책소개 |
2011.12.31 | 수동골 사람들 소개 | 강원도민일보 | 책소개 |
2011.4.28 | KBS라디오 전국여행, 소양강처녀 | KBS라디오 | 출연 |
2011.3.19 | MBC 정보시대 오늘로 사랑과 낭만의 도시 춘천 | MBC라디오 | 전화출연 |
2011.3.15 | 사랑과 낭만의 도시 춘천 소개 | 강원도민일보 | 책소개 |
2011.3.8 | 사랑과 낭만의 도시 춘천, 북산면 사람들 소개 | 강원일보 | 책소개 |
2010.3.15 | 춘천 밭치리 마을제사의 축제성,춘주문화24호 | 강원일보 | 논문소개 |
2010.2.17 | 호랑이해의 설날 | 강원도민일보 | 기고 |
2010.2.10 | 민속신앙에 대해서(인제사람들의 마을신앙) | 춘천문화방송 | 전화출연 |
2010.2.8 | 인제사람들의 마을신앙 출간 | 강원일보 | 저서소개 |
2010.2.6 | 산촌사람들의 삶과 문화 | 강원도민일보 | 저서소개 |
2010.1.27 | 2018동계올림픽유치 홍보 전략에 달렸다 | 강원일보 | 독자칼럼 |
2010.1.7 | 마의태자에 대해서 | 불교방송 | 전화출연 |
2009.12.18 | 마의태자 발자취 스토리텔링 | 강원도민일보 | 심포지엄기사 |
2009.11.23 | 지명은 중요한 문화유산 | 강원도민일보 | 발표회기사 |
2009.11.15 | 외래어와 외국어는 다르다 | 강원일보 | 독자칼럼 |
2009.11.4 | 문래리 탄생을 축하하며 | 강원도민일보 | 기고 |
2009.10.12 | 인제문화해설사 강좌 | 강원일보 | 기사 |
2009.8.14 | 국토정중앙 스토리 접목 필요 | 강원도민일보 | 발표회기사 |
2008.5.13 | 단오, 어린 시절의 추억 | 칼럼플러스 | 기고 |
2008.2.21 | 정월대보름, 동제의 재발견 | 강원도민일보 | 기고 |
2008.2.6 | 설의 의미와 풍습 | 강원교통방송 | 전화출연 |
2008.1.29 | 신명나는 마을제사 | 칼럼플러스 | 기고 |
2007.9.25 | 추석명절의 유래와 세시풍속 | 춘천KBS시사플러스 | 전화출연 |
2007.9.23 | 추석명절의 의미와 전통풍습 | 강원교통방송 TBN초대석 | 전화출연 |
2007.9.7 | 화천어부식 문화상품 가치 높다 | GTB강원민방 생방송투데이 | 논문소개 |
2007.9.4 | 화천 정월대보름 액막이행사 어부식 문화상품 가치 높다 | 강원도민일보 | 논문소개 |
2007.9.1 | 선조들의 액막이법 | 칼럼플러스 | 기고 |
2007.3.21 | 무후제에 담긴 강원인의 인심 | 칼럼플러스 | 기고 |
2007.3.5 | 14시군 55개 무후제 소개 | 강원도민일보 | 저서소개 |
2007.2.6 | 풍속을 통해 본 설날 | 칼럼플러스 | 기고 |
2007.1.29 | 황금돼지해의 진실 | 칼럼플러스 | 기고 |
2006.10.20 | 쌍춘년 황금돼지해의 진실 | GTB강원민방 시사매거진 뜨거운 감자 | 출연 |
2006.9.5 | 강원인문학 일으켜 세우다 | 강대동창회보 | 저서소개 |
2006.7.8 | 강원인의 일생의례, 의식주, 생산민속 | GTB강원민방 | 출연 |
2006.4.5 | 개팔자가 상팔자 | 강대동창회보 | 백령칼럼 |
2005.12.26 | 한눈에 보는 일생의례 | 강원도민일보 | 저서소개 |
2005.3 | 기자신앙에 대해서 | 강원매거진 | 대담 |
2004.8.17 | 아들기원 상징물 이야기 담아 내 | 강원도민일보 | 저서소개 |
<민속예술활동>
연월일 | 민속예술활동 | ||
활동내용 | 활동기관 | 역할 | |
2007.06 | 강원도 민속예술축제 출품 홍천 민속예술놀이 <보리울 발 방아소리> | 홍천군청 | 자료작성 및 고증 |
2007.09 | |||
2007.09 | 제49회 한국민속축제출연 <화천 냉경지 어부식놀이> | 화천군청 | 자문위원 |
2013.04 | 강원도 민속예술축제 출품 철원 민속예술놀이 <철원머슴날놀이> | 철원문화원 | 자료작성 및 고증 |
2013.06 | |||
2013.06 | 강원도 민속예술축제 출품 인제 민속 예술놀이 <김부왕 단오놀이> | 인제문화원 | 자료작성 및 고증 |
2013.07 | |||
2015.04 | 강원도 민속예술축제 출품 양구 민속예술놀이 <강신놀이> | 양구군청 | 자료작성 및 고증 |
2015.04 | |||
2016.07 | 인제 민속놀이집(크라운판293쪽) | 인제문화원 | 책임집필 |
2016.12 | |||
2017.7 | 인제 하추리 <도리깨질소리> | 인제문화원 | 시나리오 작성 |
2017.8 | |||
2019.4.3. | 홍천 시동리 <회다지소리> | 홍천문화원 | 자료작성 및 고증 |
2021.7.16. 2022.4.수정 | 홍천 시동리 금물산명당소리 | 홍천문화원 | 자료작성 및 고증 |
2021.7.16. 2022.4. 수정 | 춘천 신용연 기우제 | 춘천문화원 | 자료작성 및 고증 |
<수상사항>
연월일 | 수상사항 | ||
수상내용 | 수여기관장 | ||
2009.2.11 | 좋은 아버지상 | 봄내유치원장 | 최고의 상 |
2019.12.31 | 감사패 제656호 | 강원도지사 | 지명연구 |
2020.5.4 | 의암대상 | 강원도지사 | 의병연구 |
첫댓글 방송 꼭 듣겠습니다.ㅎㅎ -강원도에서 노후를 보내고 싶은 1인
겸손 님 고맙습니다. 춘천에 언제 오시는지요? 소주 한 잔 같이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