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어 |
중국어 |
일본어 |
한 |
韓 |
かんこく |
중 |
中 |
ちゅうごく |
일 |
日 |
にほん |
나 |
我 |
わたし |
문 |
文 |
もじ |
Ⅲ-2. 디자인 결과
Ⅲ-2-1. 기본유니트 제작
기본유니트는 패턴의 특징을 결정짓는 디자인의 최소단위이며, 이것은 한‧중‧일의 3개국의 언어를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표현수법인 테셀레이션은 정삼각형, 정사각형, 정육각형을 기본으로 하였고, 각 문자의 형태적 특징을 감안하여 가장 적절한 한 가지 다각형을 선택하여 제작하였다(Fig. 1).
Fig. 1. 기본유니트 샘플(한 ‧ 中 ‧ も)
Ⅲ-2-2. 기본패턴 및 응용패턴
기본패턴 구성은 한 가지의 기본유니트를 모티브로 평행이동, 반사(경상), 회전, 미끄러짐 반사 등 4가지 변환을 통해서 제작하였다(Fig. 2).
또한 응용패턴은 두 가지 기본유니트를 접목시킨 문자패턴을 의미하는 것으로 변환은 기본패턴과 동일하게 적용하였다(Fig. 3).
단, 응용패턴은 대칭의 변환 방법에 따라서 다양한 베리에이션이 가능하지만 여기서는 다루지 않기로 하였다.
(나)
(中)
(も)
Fig. 2. 기본패턴 샘플
(한+韓)
Fig. 3. 응용패턴 샘플
Ⅲ-2-3. 시제품
문자패턴의 3차원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시제품을 제작하였다(사용 프로그램, Tex Pro 9.0). 시제품은 의류를 비롯하여 가방류 등 일상생활에서 접촉이 많은 제품을 선정하였다(Fig. 4).
(한)
(我)
(も)
Fig. 4. 문자패턴을 이용한 시제품 일부
Ⅳ. 문자패턴의 이미지 조사
Ⅳ-1. 조사 개요
Ⅳ-1-1. 목적
조사의 목적은 문자패턴을 적용한 시제품이 아시아권의 사람들에게 호감을 주는가에 대해 객관적으로 평가하는데 있다. 여기서는 한국인, 중국인, 일본인을 아시아 문화권을 대표하는 사람으로 가정하고, 이들에게 호감을 주면서 감각적으로 만족을 줄 수 있는가를 평가척도를 통해서 검토한다.
결과적으로 긍정적인 결과가 도출된다면 테셀레이션이라는 수리적 수법과 접목된 문자패턴은 아시아권 문화 확산을 위한 디자인으로 그 가치를 인정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Ⅳ-1-2. 조사대상 및 방법
조사용 샘플은 Table. 2와 같이 사람들이 일상에서 흔히 사용하는 의류와 가방류 등으로 15가지 시제품을 제작하여 조사자극으로 사용하였다.
단, 색채는 패턴의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지각요소이지만, 본 조사에서는 색채에 의한 감성효과를 최소화하고 문자패턴에 의한 형태적 인상효과 만을 파악하기 위해서 모든 샘플은 무채색계열로 제작하여 조사에 사용하였다.
Table 2. 조사용 자극
조사샘플 |
문자 | |
의류 A |
S_1 |
한 |
S_2 |
中 | |
S_3 |
か | |
S_4 |
나 | |
S_5 |
我 | |
S_6 |
も | |
의류 B |
S_7 |
한 |
S_8 |
中 | |
S_9 |
か | |
S_10 |
나 | |
S_11 |
我 | |
S_12 |
も | |
가방류 A |
S_13 |
한 |
가방류 B |
S_14 |
我 |
가방류 C |
S_15 |
한+韓 |
조사내용은 사람들이 시제품의 문자패턴을 통해 다른 문자, 다른 문화를 이해하고 긍정적으로 수용하려고 하는가? 또한 문화적 이질감을 허물고, 문화적 공감대를 형성하는가? 에 초점을 맞추어 Table 3과같이 6항목의 평가어를 척도로 활용하였다.
Table 3. 평가척도
문항 |
평가어 |
의도 |
Q_1 |
참신성 |
독창적이고 새로운 느낌이 드는 문자패턴인가? |
Q_2 |
지역성 |
동양적, 또는 아시아적 느낌이 드는 문자패턴인가? |
Q_3 |
친근감 |
문자의 의미나 내용과 상관없이 친근감이 드는 문자패턴인가? |
Q_4 |
현대성 |
현대적 트렌드에 맞는 문자패턴인가? |
Q_5 |
흥미성 |
구매를 자극할 정도로 흥미로운 문자패턴인가? |
Q_6 |
세계성 |
세계인에게 어필할 수 있는 문자패턴인가? |
일반적으로 평가어는 문자패턴의 이미지를 해석할 수 있는 척도로 사전조사를 통해 형용사 수집 및 요인분석을 통해서 추출하여야 하나, 본 연구에서는 수많은 선행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평가어를 선정하였다.
예를 들어, 장수경(2000, 2002)은 한국전통문양의 감성이미지 구조를 ‘고급성’, ‘단순성’, ‘흥미성(쾌활성)’, ‘현대성’ 등 네 개의 차원으로 설명하고 있고, 박현태(2004)는 앞으로 세계시장에서 가격경쟁 외에 경쟁자들 보다 앞서려면 부가가치로 승부해야 한다며, 특히 ‘글로벌 욕구에 부응’하면서 ‘한국만의 문화적 특성’을 가미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또한 문수란(2006)은 한국적 문양의 심미적 요소측정을 위해, ‘단순’, ‘균형’, ‘율동’, ‘통일’, ‘독특성’, ‘시대성’, ‘전형성’, ‘비례’ 등 8가지 요소를 심미성요소로 추출하고 있다. 한편, 近江源太郎는 디자인 착상과정에서 사용되는 디자이너의 3가지 평가기준으로 하모니(Harmony), 액센트(Accent), 유니크(Uniqueness) 등을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선행연구의 결과에서 나타난 공통인자를 토대로 평가어를 추출하였다. 즉 앞에서 언급한 독특성 및 유니크 등의 요인을 ‘참신성’으로 규정하고 독창적이고 새로운 느낌이 드는 문자패턴인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삼았다. 또한 한국만의 문화적 특성, 전형성 등의 요인을 ‘지역성’으로 규정하고 동양적 또는 아시아적 이미지를 줄 수 있는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삼았고, 현대성 및 시대성 등의 요인을 ‘현대성’으로 정의하고 현대적 트렌드로 어필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삼았고, 흥미성, 쾌활성, 율동 등의 요인을 ‘흥미성’으로 구매를 자극할 정도로 흥미로운 문자패턴인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삼았다. 나아가 고급성, 글로벌 요구 부응이라는 측면에서 ‘세계성’을 평가어로 구성하였으며, 여기에 문자패턴 역시 하나의 캐릭터라는 관점에서 문자의 의미나 내용에 상관없이 친근감을 주는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친근감’을 추가하여, 총 6개의 평가어로 척도를 구성하였다.
조사방법은 조사원과 일대일 대면조사를 통해 이루어 졌고, 피험자에게는 각각의 평가어 마다 제시된 15개의 샘플을 보면서 5단계 평가법을 적용해 평가하도록 했다. 피험자는 한국(남10, 여20) 및 중국(남15, 여15)대학생 각각 30명이며, 일본학생 12명(남4, 여 8)으로 총 72명이 참가했다. 조사기간은 ‘08. 7월부터 8월까지 두 달간이었고, 한 사람당 15분정도 소요되었다.
Ⅳ-2. 조사 결과
조사결과는 15개의 샘플에 대한 국가별 평균점수를 계산하여 Table 4와같이 6항목의 평가어별로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Table 4. 조사결과
구분 |
참신성 |
지역성 | ||||
한국 |
중국 |
일본 |
한국 |
중국 |
일본 | |
S_1 |
3.6 |
3.3 |
3.7 |
4.1 |
3.4 |
3.6 |
S_2 |
3.2 |
3.6 |
3.5 |
3.1 |
3.4 |
3.7 |
S_3 |
3.3 |
3.0 |
3.2 |
3.0 |
3.3 |
3.3 |
S_4 |
3.6 |
3.4 |
3.6 |
3.4 |
3.3 |
3.5 |
S_5 |
3.6 |
3.3 |
3.8 |
3.8 |
3.5 |
3.8 |
S_6 |
3.2 |
3.0 |
3.5 |
3.2 |
3.1 |
3.6 |
S_7 |
3.8 |
3.2 |
3.3 |
4.1 |
3.3 |
3.5 |
S_8 |
3.7 |
3.4 |
3.5 |
3.3 |
3.6 |
3.6 |
S_9 |
3.1 |
3.3 |
3.2 |
3.3 |
3.3 |
3.3 |
S_10 |
3.4 |
3.3 |
3.3 |
3.4 |
3.2 |
3.3 |
S_11 |
3.8 |
3.1 |
3.6 |
3.4 |
3.1 |
3.6 |
S_12 |
3.5 |
2.9 |
3.5 |
3.6 |
3.2 |
3.8 |
S_13 |
3.6 |
3.4 |
3.2 |
3.7 |
3.5 |
3.5 |
S_14 |
3.7 |
3.5 |
3.5 |
3.8 |
3.6 |
3.6 |
S_15 |
3.3 |
3.7 |
3.3 |
3.5 |
3.4 |
3.3 |
평균 |
3.49 |
3.29 |
3.45 |
3.51 |
3.35 |
3.53 |
구분 |
친근감 |
현대성 | ||||
한국 |
중국 |
일본 |
한국 |
중국 |
일본 | |
S_1 |
3.6 |
3.3 |
3.5 |
3.7 |
3.4 |
3.5 |
S_2 |
3.0 |
3.8 |
3.5 |
3.8 |
3.1 |
3.5 |
S_3 |
2.9 |
2.9 |
3.3 |
3.5 |
2.9 |
3.4 |
S_4 |
3.4 |
3.4 |
3.3 |
3.7 |
3.1 |
3.3 |
S_5 |
3.1 |
3.5 |
3.8 |
3.3 |
3.1 |
3.4 |
S_6 |
2.9 |
3.2 |
3.8 |
3.4 |
2.9 |
3.5 |
S_7 |
3.4 |
3.3 |
3.2 |
3.6 |
3.3 |
3.5 |
S_8 |
3.3 |
3.6 |
3.5 |
3.7 |
3.3 |
3.5 |
S_9 |
3.4 |
3.4 |
3.3 |
3.4 |
2.9 |
3.1 |
S_10 |
3.5 |
3.7 |
3.3 |
3.7 |
3.0 |
3.2 |
S_11 |
3.4 |
2.9 |
3.5 |
3.6 |
2.6 |
3.6 |
S_12 |
3.4 |
3.3 |
3.6 |
3.6 |
2.9 |
3.3 |
S_13 |
3.6 |
3.5 |
3.2 |
3.6 |
3.2 |
3.5 |
S_14 |
3.5 |
3.4 |
3.5 |
3.7 |
3.2 |
3.1 |
S_15 |
3.8 |
3.5 |
3.2 |
3.6 |
3.5 |
3.5 |
평균 |
3.35 |
3.38 |
3.43 |
3.59 |
3.09 |
3.39 |
구분 |
흥미성 |
세계성 | ||||
한국 |
중국 |
일본 |
한국 |
중국 |
일본 | |
S_1 |
3.5 |
3.3 |
3.5 |
3.7 |
3.4 |
3.5 |
S_2 |
3.4 |
3.0 |
3.3 |
3.3 |
3.0 |
3.5 |
S_3 |
2.9 |
2.7 |
3.3 |
3.4 |
2.9 |
3.3 |
S_4 |
3.4 |
3.2 |
3.4 |
3.5 |
3.0 |
3.4 |
S_5 |
3.1 |
2.8 |
3.5 |
3.4 |
2.8 |
3.6 |
S_6 |
2.9 |
2.7 |
3.5 |
3.2 |
2.9 |
3.5 |
S_7 |
3.4 |
3.1 |
3.4 |
3.6 |
3.4 |
3.4 |
S_8 |
3.5 |
3.4 |
3.4 |
3.3 |
3.4 |
3.4 |
S_9 |
2.9 |
3.2 |
3.2 |
3.2 |
3.1 |
3.3 |
S_10 |
3.4 |
3.0 |
3.2 |
3.3 |
3.1 |
3.3 |
S_11 |
3.4 |
2.9 |
3.5 |
3.6 |
2.9 |
3.6 |
S_12 |
3.2 |
2.7 |
3.6 |
3.3 |
3.0 |
3.5 |
S_13 |
3.5 |
3.1 |
3.5 |
3.6 |
3.3 |
3.5 |
S_14 |
3.5 |
3.2 |
3.5 |
3.6 |
3.3 |
3.6 |
S_15 |
3.4 |
3.5 |
3.4 |
3.6 |
3.5 |
3.6 |
평균 |
3.29 |
3.05 |
3.41 |
3.44 |
3.13 |
3.47 |
조사결과에서 보면, 참신성의 평균치는 한국(3.49), 일본(3.45), 중국(3.29) 순으로 나타나 참신한 이미지는 보통이상으로 나타났다. 지역성의 경우, 일본(3.53), 한국(3.51), 중국(3.35) 순으로 나타났고, 친근감의 경우는 일본(3.43), 중국(3.38), 한국(3.35) 순으로 나타났다. 현대성의 경우는 한국(3.59), 일본(3.39), 중국(3.09) 순으로 나타났고, 흥미성의 경우는 일본(3.41), 한국(3.29), 중국(3.05) 순, 세계성의 경우는 일본(3.47), 한국(3.44), 중국(3.13) 순 등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6항목의 모든 평가어에서 보통이상의 점수를 얻어 문자패턴은 국가 구분 없이 전반적으로 호감을 줄 수 있는 이미지임을 시사했다. 국가별로는 한국과 일본이 비교적 높고, 중국은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경우, 참신성과 현대성에서 일본의 경우, 지역성, 친근감, 흥미성, 세계성 등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하고 있다.
자극으로 제시된 샘플패턴은 총 15개로서 1번부터 6번까지는 의류 A를 기반으로 ‘한’, ‘中’, ‘か’, ‘나’, ‘我’, ‘も’ 등의 문자패턴으로 구성되었고, 7번부터 12번까지는 의류 B를 기반으로 ‘한’, ‘中’, ‘か’, ‘나’, ‘我’, ‘も’ 등의 문자패턴이 구성되었다. 또한 13번부터 15번까지는 가방류 3가지에 각각 ‘한’, ‘我’, ‘한+韓’ 의 문자패턴을 적용시킨 시제품들이었다.
그러나 이들 15개의 시제품에 대한 점수에서는 Table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제품의 유형이나 국가차이에 따른 유의한 편차를 찾아볼 수 없었다. 다만, 평가어에 따라서는 국가별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점에 비중을 두고 아래 고찰에서 세부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Ⅳ-3. 고찰
조사결과, 6개 항목의 평가어에 대한 평균치는 모두 보통(3점)이상으로 나타나 한‧중‧일 문자를 이용한 문자패턴이 문화 확산에 기여할 수 있는 시각적 특성을 어느 정도 갖추고 있다는 것을 시사했다. 고찰은 이점을 보다 명확하게 밝히고, 나아가 문자패턴의 디자인개선을 통한 효과적인 문화소통의 힌트를 도출하기 위해 ‘평가척도’에 초점을 맞춘 분석과 문자패턴의 모티브라고 할 수 있는 ‘문자의 차이’에 따른 특이점 도출에 초점을 맞춘 분석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Ⅳ-3-1. 평가척도에 준거한 특징분석
먼저, 문자패턴의 이미지평가에 있어 국가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는 그러한 차이점에 대한 분석을 통해 문자패턴이 갖는 이미지의 국가별 특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문자패턴에 대한 이미지평가는 6개의 평가어에 함축되어 있는데, Fig. 5와 같이 참신성과 현대성에 있어서는 한국피험자는 중국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하고 있어, 문자패턴은 한국과 일본에서는 비교적 독창적이며 현대적인 것으로 평가받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Fig. 5. 참신성(상)과 현대성(하)에 대한 국가별 점수 차이
또한 Fig. 6을 보면, 흥미성과 세계성에서는 일본이 한국이나 중국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평가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중‧일 언어로 제작된 문자패턴이 갖는 흥미성 및 세계성에 대한 일본피험자의 평가는 기존의 전통문양이 갖추지 못했던 특징으로 이는 향후 지역적 한계를 초월하여 세계로 발신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내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Fig. 6. 흥미성(상)과 세계성(하)에 대한 국가별 점수차이
한편, 한국과 중국 피험자의 경우, 평가어에 대한 남녀 간 차이를 보이고 있어 흥미롭다. 한국의 경우, 참신성(Fig. 7참조), 지역성, 흥미성, 세계성 등에서 남성피험자가 여성에 비해 높은 점수를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자패턴에 대한 남성의 선호도가 높은 것은 흥미로운 결과라고 생각되며, 이것은 패턴디자인에 있어서 성별 차이를 고려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중국의 경우 한국과는 반대로 대부분 여성피험자가 높은 점수를 주고 있고, 그 중에서도 한국의 남성피험자에게 인기가 낮았던 친근감과 지역성에 있어서 남녀차이를 뚜렷이 보이면서 가장 높은 점수를 주고 있다(Fig. 7참조).
이상과 같이 문자패턴에 대한 국가별, 성별 인상차이는 의미 있는 결과라고 할 수 있고, 실제 디자인을 개발함에 있어서는 한국과 중국의 사회‧문화적 차이를 비롯해 남녀의 특징을 고려한 분석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Fig. 7. 평가어에 대한 성별 점수 차이
Ⅳ-3-2. 문자에 준거한 특징분석
문자에 준거한 특징분석은 문자의 언어적 차이(한국어, 중국어, 일본어)와 문자(기본유니트)의 크기차이, 그리고 문자의 톤 차이에서 오는 특징분석 등을 중심으로 하였다.
문자패턴의 모티브인 각국의 문자의 시각적 인상과 관련해서는 국가별 편차가 미미하여 특이점이 발견되지 않았다. 다만 상식적인 측면에서 거론될 수 있는 한글모티브가 한국피험자에게 친근감을 주거나 한자가 중국이나 일본피험자에게 약간 높은 평가를 얻는 등의 보편적 경향만이 일부 관찰되었다.
따라서 Table 4의 조사결과를 볼 때, 문자의 시각적 인상은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등 언어의 내용이나 의미에 따른 영향이라고 판단하기는 어렵고, 패턴의 형태적 특징에 의존한 평가결과라고 생각된다. 때문에 문자는 문자패턴의 시각적 인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문자라는 디자인 소재보다 테셀레이션이라는 표현수단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테셀레이션을 통해 표현된 문자패턴의 이미지는 기존의 전통문양에서는 부족했던 독특성, 시대성, 율동 등의 요건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간 및 공간을 초월한 공통 감각적 표현수단에 기반을 둔 문자패턴이 표출하는 이미지에 의한 결과라고 사료되면, 이런 점에서 문자패턴은 아시아권은 물론 세계인과도 소통할 수 있는 문화상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문자크기(기본유니트의 크기)에 따라서 약간의 차이가 발견되었다. 제시된 샘플 중 S_2(中), S_5(我), S_8(中) 등 3가지는 15개의 샘플 중 가장 큰 사이즈로 제작된 것으로 다른 샘플에 비하여 모든 평가어에 대해 비교적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본유니트의 크기가 커질수록 패턴이 주는 느낌은 강해진다는 Marian L. Davis(1980)의 주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문자패턴역시 기본유니트의 크기가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기본유니트의 윤곽선, 즉 선의 톤 변화에 따라 느껴지는 감성효과가 달라질 수 있는지 검토해 보았으나, 톤을 다운시킨 샘플 S_1(한), S_6(も), S_9(か), S_10(나), S_12(も), S_14(我), S_15(한) 등에서는 특별한 차이점을 발견할 수 없었다. 단, 흥미성에 있어서 톤이 낮은 경우가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나, 톤에 의한 이미지분석은 보다 세분화된 어프로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분석에서 테셀레이션을 이용한 문자패턴이 갖는 특징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제안된 문자패턴은 기존의 전통문양이 갖춘 문화적 특성을 내포함과 동시에, 참신성, 시대성, 흥미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나 아시아권을 넘어서 다문화 시대의 문화소통을 위한 중요한 시각이미지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문자패턴에 대한 각국의 평가차이는 패턴디자인에 있어 세부적인 접근을 시도할 경우 디자인의 가이드라인이 될 중요한 기본 자료라고 사료된다.
셋째, 이상의 특징에서 테셀레이션은 적어도 문화를 횡단할 수 있는 보편적 표현수단이라는 점의 확인과 동시에 이의 접목은 문화적 소통과 이해, 공존에 기여하는 시각적 이미지를 창출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Ⅴ. 결론
다문화 시대의 전통적인 문화원형은 자국의 정체성을 창출하는 중요한 아이콘임과 동시에, 세계인과 소통될 수 있는 살아있는 표정으로 재구성 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번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를 디자인 소재로하여 개발한 문자패턴은 각국의 문화원형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아시아적 문화 확산을 위한 효과적인 시각이미지임을 시사했다.
3개국 72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이미지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문자패턴은 기존 전통문양이 갖춘 문화적 특성과 함께, 참신성, 시대성, 흥미성 등이 높아 문화적 이질감을 극복하고 문화소통의 효과적인 매개체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냈다.
특히, 디자인수법으로 활용한 테셀레이션은 적어도 문화를 횡단할 수 있는 보편적 수단임과 동시에 문자와 테셀레이션의 접목은 문화적 소통과 이해, 공존에 기여하는 시각적 이미지를 창출하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문자에 담긴 의미나 사상, 감정 등 내용적인 측면을 굳이 강조하지 않고도, 수리적 방법론과의 접목을 통해 세계인과 공유할 수 있는 질서 있고 아름다운 시각문화를 탄생시킬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고 싶다.
단, 시제품에 대한 이미지조사의 결과는 한정된 샘플과 소수의 피험자에 의해 이루어져 객관성 확보나 지역적 대표성을 갖기에는 다소 한계가 있다. 이점은 자극수와 빈도를 높여 신뢰성을 높일 필요가 있으며, 후속연구를 통해 보완해 가고자 한다.
또한, 이번 연구결과는 테셀레이션이라는 수법에 대한 평가의 선명도에 비해 디자인 소재인 문자에 대한 시각적 인상은 뚜렷하게 도출되지 않았다. 때문에 한국어와 중국어, 그리고 일본어 등 각국의 문화원형이 갖는 형태적 특징과 수리적 수법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데는 미약했다. 이러한 측면을 고려한 포괄적인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보다 충실한 결과가 도출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Reference
[1] 구자홍, “수리적 조형원리를 토대로 한 형태발생모델에 관한 연구”, 동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2] 문수란, “한국적 이미지의 심미적 요소에 관한 연구-전통문양을 대상으로”,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3] 박현태, “한국적 문화이미지 고양, 확대를 위한 문화상품 개발”, 디자인학연구 Vol.11 no.2, 1998.
[4] 손아란, “테셀레이션을 적용한 십장생 패턴디자인 연구”,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5] 양정숙, “포스터모더니즘과 다문화 미술 교육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6] 이정수, “초등 미술교육에서 문양의 다문화 교육 지도 방안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7] 장수경, “미국대학생이 인지하는 한국전통문양의 감성이미지”, 한국의류학회지, Vol.26 No.3/4, 2002.
[8] 장수경‧김재숙, “한국전통문양의 종류, 표현유형, 구성형식 및 적용대상에 따른 감성이미지”, 한국의류학회지, Vol.24 no.2, 2000.
[9] 조현승‧지상현‧이주현, “지각적 속성에 기초한 섬유 패턴 디자인 요소 분석체계 개발”, 한국감성과학회지, Vol.1 No.2, 1998.
[10] 하봉수, “지방자치단체 캐릭터의 표정연출에 관한 고찰”, 디자인학연구, Vol.21 no.1, 2008.
[11]小林由季ら, "化粧品・パッケージデザインの調査分析と提案", 広島国際大学.
http://www.hirokoku.jp/uk/studentPapers/iwata.pdf(2008. 10. 24)
[12]坂本晃・宮崎徹, "ソフトなイメージの竹製品開発研究", 別府産業工芸試験所.
http://www.oita-ri.go.jp/report/1999/1999_407.pdf(2008. 10. 24)
[13]三井秀樹,「美の構成学」, 中公新書, 1996.
[14]伏見康治・安野光雅・中村義作, 「美の幾何学」, 中公新書, 1994.
[15]http://members.cox.net/tessellations/index.html(2008. 10. 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