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 다음카페-말글살이연구 http://cafe.daum.net/slll
(검색 2006.5.10)
[방언학 참고문헌]
▶ 1998년 - 2003년(단행본은 모두)
▶ 국회 도서관 검색
▶ 단행본
제주발전연구원 편(2002), 제주국제자유도시 외국어 서비스 강화에 따른 국어와 제주방언 보존방안 연구 : 국어와 영어의 이중언어 사용전략 탐색을 중심으로, 제주발전연구원
김웅배(2002), 전남방언연구, 박이정
남기탁 외편저(2002), 방언, 국학자료원
장일영 편(2002), 진주지역방언집 : 7200여 어휘수록, 금호출판사
김성렬(2001), 국어방언연구, 국학자료원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편(2001), 경남 방언 연구, 한국문화사
김덕호(2001), 경북방언의 지리언어학, 月印
이상규 편(2000), 경북방언사전, 태학사 2000
이태영(2000), (이태영 교수가 쓴)전라도 방언과 문화 이야기, 신아출판사
전철웅(1999), 忠北 方言의 單語 變遷史, 보고사
신기상(1989), 동부경남방언의 고저장단 연구,월인
김공칠(1999), 耽羅語 硏究 : 濟州方言의 源流, 한국문화사
성낙수(2000), 우리말 방언학, 한국문화사
한영목(1999), 충남 방언의 연구와 자료, 이회문화사
김철웅(1998), 忠北方言의 歷史的 硏究 : 語形 및 音韻 變化를 중심으로, 보고사
최명옥(1998), 한국어 方言硏究의 실제, 태학사
배주채(1998), 고흥방언 음운론, 태학사
김인기 편저(1998), 江陵方言叢覽, 한림출판사
이기갑 외(1997) 전남방언사전, 전라남도
김영배(1997), 平安方言硏究 : 資料篇, 太學社
김영배(1997), 平安方言硏究, 太學社
이상규 외저(1996), 내일을 위한 방언 연구, 경북대학교출판부
최전승 편저(1995), 한국어方言史연구,태학사
韓國方言資料集, Ⅸ : 濟州道篇 / 韓國精神文化硏究院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5
韓國方言資料集, Ⅰ : 京畿道篇 / 韓國精神文化硏究院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5
韓國方言資料集, Ⅷ : 慶尙南道篇 / 韓國精神文化硏究院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3
성낙수(1992), 제주도 방언의 통사론적 연구, 계명문화사
김영배(1992), 南北韓의 方言 硏究 : 그 現況과 課題, 경운출판사
김병제(1991), 방언사전, 대제각
韓國方言資料集, Ⅵ:全羅南道篇 / 韓國精神文化硏究院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1
최학근(1991), 國語方言硏究, 명문당
김웅배(1991), 전라남도 방언연구, 학고방
韓國方言資料集, Ⅱ:江原道篇 / 韓國精神文化硏究院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0
韓國方言資料集, Ⅳ:忠淸南道編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0
황대화(1990), 동해안 방언 연구: 함북, 함남, 강원도의 일부 방언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사
소강춘(1989), 방언분화의 음운론적 연구, 한신문화사
韓國方言資料集, Ⅶ / 韓國精神文化硏究院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9
박병식(1988), スサノオの來た道 : ソンダル博士の方言講座 ; 出雲編, 每日新聞社
박용후(1988), 濟州方言硏究 : 資料篇, 高大民族文化硏究所 出版部
강정희(1988), 제주방언연구, 한남대학교 출판부
박창배(1988), 安東方言의 疑問法 終結語尾:安東郡 北後面을 中心으로, 國民大學校 國語國文學硏究會
韓國方言資料集, Ⅲ,Ⅴ, 韓國精神文化硏究院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7
서정목(1987), 국어 의문문 연구 : 慶南方言과 中世國語의 WH-현상을 중심으로, 塔出版社
김형규(1986), 韓國方言硏究, 서울大學校 出版部
김태균 편저(1986), 咸北方言辭典, 京畿大學校 出版局
정연찬(1986), 慶尙道方言聲調硏究, 塔出版社
이숭녕(1985), 濟州島方言의 形態論的 硏究, 塔出版社
鷄林類事 「高麗方言」 硏究, 姜信沆 著 成均館大學校出版部 1980
國語學硏究選書, 1, 3-5, 金完鎭, 李秉根 共編 塔出版社 1978
平安方言의 音韻體系硏究, 金英培 著 東國大學校出版部 1977
國語學論文選, 6, 7, 10, 李基文 外編 民衆書館 1977
濟州島方言의 定動詞語尾硏究, 玄平孝 著 ; 東國大學校韓國學硏究所 編 亞細亞出版社 1976
韓國語聲調의 分析的硏究 : 15世紀聲調와 方言聲調와의 對照, 文孝根 著 世宗出版公社 1974
朝鮮語方言の硏究 : 前篇 資料篇, 亞細亞文化社 編 同文社 1973대
國語方言硏究, 崔鶴根 著 서울大學校出版部 1968
方言記事示例, 朱介凡 編 志成出版社 1963
全羅南道方言硏究 : 言語, 崔鶴根 著 韓國硏究院 1962 MF MF008381 103호 유
スラング․古語․方言, H. Spies 著 ; 眞鍋義雄, 石坂一雄 共譯 硏究社 1960 427 S755sJ
시골말 캐기 잡책 : 方言 採集 手帖, 최현배 편 정음사 1957
(標準語引)分類方言辭典, 東條操 編 東京堂 1955 R
全國方言辭典, 東條操 編 東京堂 1954 R
朝鮮古語方言辭典, 丁泰鎭, 金炳濟 共著 一成堂書店 1948
濟州島方言集, 石宙明 著 서울신문社 1947
平安南北道の方言, 京城帝國大學 編 京城帝國大學 1929
南部朝鮮の方言, 小倉進平 著 朝鮮史學會 1924
▶석,박사
고성익(2003), 18세기 후기 경기 방언의 모음체계 연구:통시적 관점에서, 서울대 대학원 석사논문.
현현주(2003), 베를린 방언의 특성과 음성변이 연구, 서강대 대학원 석사논문.
방지영(2003), 주방언의 애정사 연구, 동국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박원묵(2003), 배우의 방언 구사 및 방언 교정에 관한 연구 :경남 거창 지역 방언을 중심으로, 동국대 문화예술대학원 석사논문
전혜숙(2003), 강원도 동해안 방언의 사회언어학적 연구, 한국외국어대 대학원 박사논문
이동명(2003), 경남 방언 영어 차용어 성조 연구, 영남대 대학원 석사논문
이윤형(2002), 말소리 단어재인시 운율특성의 역할 :서울방언과 대구방언의 비교, 고려대 대학원 석사논문
고현정(2002), 대구 방언 악센트의 표준어화 현상에 관한 고찰 :일본어 학습자를 위한 조사 및 분석, 영남대 대학원 석사논문
김장종(2002), 이천방언의 상대경어법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이천 청소년의 '-ㄹ(ㄴ)거'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과정
김봉국(2002), 강원도 남부지역 방언의 음운론, 서울대 대학원 박사논문
김영진(2002), 방언 은사에 대한 연구, 한세대 신학대학원 석사논문
강민영(2002), 안동방언의 종결어미 연구, 경북대 대학원 석사논문
홍기옥(2002), 이상화 시에 나타난 경북방언 분석, 경북대 대학원 석사논문
홍성원(2002), 방언은사에 대한 성서적 이해, 삼육대 신학전문대학원 석사논문
박 찬(2002), 백석 시 연구 :저항의식과 방언을 중심으로, 동국대 문화예술대학원 석사논문 이윤구(2001), 무주방언 종결어미의 언어지리학적 연구, 대구대 대학원 박사논문
김상현(2001), 나로도 방언의 어업 용어 연구, 순천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김대성(2001), 서울말과 경상도 방언 화자의 영어 억양 분석, 한국교원대 대학원 석사논문
최진선(2001), 전라북도 방언 화자와 서울 화자의 영어 억양의 비교, 중앙대 대학원 석사논문
김은진(2001), 백석 시어를 통해 본 다원적인 삶의 기획 :방언 사용을 중심으로, 동국대 대학원 석사논문
김주선(2001), 국어교육으로서 방언교육 연구, 전북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이영옥(2001), 중국 연변방언의 음운론적 연구, 강원대 대학원 석사논문
문순덕(2000), 제주 방언의 부정 표현 연구, 제주대 대학원 박사논문
강남국(2000), 제주 방언의 명령 화행 연구 제주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김귀화(2000), 남해방언의 언어분화, 신라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노재환(2000),혼불에 반영된 전라방언 연구, 전북대 교육대학원 석사과정
이승현(2000), 한국어 방언의 문미억양 연구 :대구 방언과 광주 방언의 문말 억양 비교, 경북대 대학원 석사논문
조기동(2000), 고린도전서 14장의 방언은사 연구, 침례신학대 목회대학원 석사논문
박승철(2000), 16세기 남부방언의 음운과 관련된 몇 가지 문제 :壙, , 구개음화를 중심으로,전주대 대학원 석사논문
최승기(2000), 속초 청호동의 방언 연구 :함경남도 북청출신을 중심으로, 강릉대 대학원 석사논문
김세진(2000), 창원 방언과 성주 방언 성조의 비교, 충남대 대학원 석사논문
최윤경(1999), 현대 표준중국어의 방언어휘 연구, 성균관대 대학원 석사논문
조순일(1999), 楊平 方言의 相對敬語法에 대한 社會言語學的 硏究, 仁荷大 敎育大學院 석사논문
박진석(1999), 태백 방언 연구, 江陵大 敎育大學院 석사논문
白岩美穗(1999), 경북 방언 명사의 운율 연구, 高麗大 大學院 석사논문
김은주(1999), 한국의 중부․동남․서남지방의 일본어학습자의 발음에 관한 연구 : 일본 동경 방언과 비교하여, 東國大 大學院 석사논문
김나영(1999), 독일 방언 사용에 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韓神大 大學院 석사논문
박성민(1999), 경상방언 외래어의 성조론적 분석, 啓明大 敎育大學院 석사논문
강경구(1999), 방언 은사에 대한 연구, 長老會神學大 敎役大學院 석사논문
이은주(1999), 일본어계 외래어의 액센트에 관한 고찰 :대구방언 화자의 액센트교육의 관점에서, 啓明大 敎育大學院 석사논문
이개영(1999), 태백산맥(조정래)에 나타나는 방언 어휘 관용 표현, 順天大 敎育大學院 석사논문
문해정(1999), 현대 오순절주의의 성령 세례와 방언운동에 대한 비판적 연구, 三育大 神學大學院 석사논문
김찬규(1999), 성령의 은사와 방언에 대한 고찰, 高神大 神學大學院 석사논문
金美辰(1998), 濟州道 方言의 ㅎ다 硏究, 濟州大 大學院 석사논문
우창현(1998), 濟州 方言의 相 硏究, 西江大 大學院 박사논문
동승희(1998), 부산 방언 억양과 표준어 억양 비교 연구, 釜山大 敎育大學院 석사논문
柳志春(1998), 강릉 방언의 청자대우법 연구, 江陵大 敎育大學院 석사논문
장정희(1998), 미국영어의 방언 고찰, 中央大 敎育大學院 석사논문
김옥영(1998), 강릉 방언의 음운론적 연구, 江陵大 大學院 석사논문
신홍예(1998), 중국 심양지역의 평안북도 방언에 대한 음운론적 연구, 同德女大 大學院 석사논문
鄭眞淑(1998), 제주 방언을 활용한 관광상품 브랜드의 포장이미지 표현을 위한 연구 : 관광팬시용품을 중심으로, 漢陽大 産業經營大學院 석사논문
金貞熙(1998), 周邦彦의 <淸眞詞> 硏究, 高麗大 大學院 박사논문
김민수(1998), 방언을 사용한 헤드라인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釜山大 大學院 석사논문
유운목(1998), 제천방언의 상대경어법 연구, 世明大 敎育大學院 석사논문
문숙영(1998), 제주도 방언의 시상형태에 대한 연구, 서울大 大學院 석사논문
崔日萬(1998), 사도행전에 나타난 방언 이해, 湖西大 聯合神學大學院 석사논문
▶ [정기간행물]
두길수 외저(2003), 북한 방언 검색 프로그램 개발, 『학술발표논문집』 제30권 제1호(B) (2003. 봄), 한국정보과학회.
박종덕(2003), 15세기의 경상도 방언의 모음체계 연구, 『겨레어문학』 제30집 겨레어문학회.
위평량(2003), 방언(方言)의 어원(語源) :전남방언을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통권65호, 한국국어교육학회.
문순덕(2003), 제주방언 반말체 첨사의 담화기능, 『영주어문』영주어문학회.
姜英子(2002), 漢語方言地域滲透的兩種途徑, 『中國語文論譯叢刊』제9집, 中國語文論譯學會.
우윤식(2002), 성 방언의 보편성에 관한 연구『 外大論叢』 제25집, 釜山外國語大學校.
문성숙(2002), 제주국제자유도시와 제주방언 보존 정책, 『교육과학연구 백록논총』 제4권 제2호, 제주대학 교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안귀남(2002), 안동방언 연구의 성과와 방향, 『안동어문학 제7집, 안동어문학회.
박수자(2002), 경상 방언 초등학습자의 받아쓰기 검사 활용 방안, 『한국초등국어교육』 제21집,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문효식(2002), 방언에 대한 신학적 평가 『국제신학』 제4권,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출판부.
김영태 評(2002), 20세기 국어 방언학의 결정체 :「방언학 사전」, 방언연구회 編著 <書評> 『시학과언어학』제4호, 시학과언어학회.
최전승(2002), 19세기 후기 전라방언의 특질 몇 가지에 대한 대조적 고찰 :중간본《여사서 언해》를 중심으로 『韓民族語文學』 제41집, 韓民族語文學會.
위평량(2002), 『토지』의 방언적 성격 『韓國言語文學』 제49집, 한국언어문학회
강정희(2002), 제주방언 공간 명사의 문법화 현상 :부사 '하끔, 하썰, 고쌔'의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韓國言語文學』 제49집, 한국언어문학회.
김경숙(2002), 방언 연구의 최근 동향과 과제 :영국, 북미, 일본을 중심으로, 『어문론총』 제37호, 경북어문학회.
張曉曼(2002), 兒化韻與威海方言語法草探, 『中語中文學』, 韓國中語中文學會.
한영목(2002), 충남 방언 '-벼'와 '-깨미' 구문 연구, 『語文硏究』제40권, 語文硏究學會
김차균(2002), 밀양 방언과 안동 방언 성조의 비교, 『배달말 통권』 제31호 배달말학회.
정원수(2002), 황해도 방언 어휘의 몇 가지 특성, 『인문학연구』 제29권 제2호 통권60호, 忠南大學校人文科學硏究所.
전혜숙(2002), 강릉방언의 성격과 특징 『民族文化論叢』 제25집, 嶺南大學校民族文化硏究所.
유종호(2002), 시와 방언, 『새국어생활』 제12권 제4호, 국립국어연구원.
이윤구(2002), 개신파의 방향과 방언 분화의 양상 :무주 방언의 종결어미를 중심으로, 『우리말글』 제26집, 우리말글학회.
韓東完(2002), 濟州方言 聽者 敬語法의 형태 원리, 『語文硏究』 30권 3호 통권115호, 韓國語文敎育硏究會.
이문규(2002), 대구방언과 안동방언의 성조 비교 연구, 『어문학』제77호, 한국어문학회.
오종갑(2002), 25 'i+∂'의 음운론적 변화와 영남방언 :'e>,i/i+-' 규칙의 설정과 그 전개 양상을 중심으로, 『어문학』 제77호, 한국어문학회.
신희삼(2002), 방언 영역의 교재 구성에 관하여, 『國語敎育學硏究』제14집, 國語敎育學會.
이경희(2002), 서울 방언과 부산 방언의 마찰음에 대한 음향학적 특성 비교, 『음성과학』 제9권 제3호, 한국음성과학회.
최영숙(2002), 일본어 유악센트 방언과 무악센트 방언의 통사적 애매성의 해소와 운율적 특징, 『음성과학』 제9권 제3호, 한국음성과학회.
牟廷烈(2002), 漢語方言 중의 文白異讀, 『중국어문학논집』제21호, 中國語文學硏究會.
오홍일(2002), 목포․무안 지방의 방언을 찾아서, 『새국어생활』 제12권 제3호, 국립국어연구원
우창현(2002), 제주 방언 '-암시-'와 중앙어 '-고 있-'과의 상관성 :제주 방언 '-암시-'를 중심으로, 『시학과언어학』 제3호, 시학과언어학회.
김차균(2002), 안동방언과 밀양방언 성조 비교,『語文硏究』제39권, 語文硏究學會.
김정태(2002), 충남천안방언의 움라우트에 대하여, 『우리말글』제25집, 우리말글학회.
김차균(2002), 창원 방언과 안동 방언 성조의 비교, 『우리말글』 제25집 우리말글학회.
송현선(2002), 연사의 언어배경에 따른 中-韓 통역 지도 방안 연구 :방언 지역의 연사를 중심으로, 『국제회의 통역과 번역』 제4권 제1호, 한국국제회의통역학회.
고영진(2002), 제주도 방언의 상대높임법의 형태론, 『한글』 제256호, 한글학회.
이병운(2002), 방언의 월 끝 억양의 유형, 『음성과학』 제9권 제2호, 한국음성과학회.
김현기, 이은영, 홍기환(2002), 파워스펙트럼 및 후두내시경을 이용한 方言 音聲의 實驗的 硏究 :경상방언 및 전라방언을 중심으로, 『음성과학』 제9권 제2호, 한국음성과학회.
전혜숙(2002), 강릉방언 선어말어미의 구조 연구, 『人文學硏究』 제5집, 관동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이경희(2002), 경남 방언의 경음화와 유성화 현상에 대한 음성학적 고찰 :마찰음 /ㅅ/와 /ㅆ/를 대상으로, 『한글』 제255호, 한글학회
박영배(2002), 영어방언연구 序說, 『語文學論叢』 제21권, 國民大學校語文學硏究所.
李周行(2002), 서울 방언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 제107호,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고창근(2002), 제주도 방언 보조용언 '-어 불다'에 대하여, 『영주어문』 제4집, 영주어문학회.
문순덕(2002), 제주 방언 보조조사의 담화 기능, 『영주어문』 제4집, 영주어문학회.
김 철(2002), 신약의 방언의 은사에 관한 연구, 『진리논단』 제7호, 천안대학교.
이상규(2002), 문학방언(Literary Dialect) 연구의 가능성과 그 방향, 『韓民族語文學』제39호, 韓民族語文學會.
이동화(2001), 영남방언 음운론의 특성과 전망, 『韓民族語文學』 제39집, 韓民族語文學會.
채서영(2001), 서울말 2인칭 대명사 <너 복수형>에 나타난 변화와 영어 방언의 <you 복수형> 변이현상, 사회언어학 제9권 제1호, 한국사회언어학회.
홍석준(2001), 현대 말레이시아에서의 방언 사용과 문화적 정체성 :클란탄 말레이 방언(Kelantanese Malay dialect)의 사례, 『사회언어학』 제9권 제2호, 한국사회언어학회.
전철웅(2001), 忠北方言의 語彙音韻論 序說,3, 『開新語文硏究』 제18집, 開新語文學會.
조성문(2001), 문경방언의 어휘․음운적 특징, 『한민족문화연구』제9집, 한민족문화학회.
구희산(2001), 지역 방언 화자에 따른 영어 모음의 발음 연구, 『음성과학』 제8권 제4호, 한국음성과학회.
강경희 評(2001), 자연과 교신하는 자의 방언 :「누구도 마침표를 찍지 못한다」, 정일근 著 <書評>, 『현대시』 통권144호, 한국문연
이호영,김희영(2001), 부산 방언에서의 받침규칙의 실현 양상, 『言語治療硏究』제10권 제1호, 韓國言語治療學會.
김영선(2001), 부산 방언의 음운론적 연구, 『동남어문논집』 제12집, 동남어문학회.
조일규(2001), 평택 방언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5집, 평택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이윤구(2001), 방언 조사의 과정과 방법 :언어지리학적인 연구를 중심으로,『나랏말쌈』 제16호, 대구대학교사범대학국어교육과.
이상규(2001), 한국어 어휘지도 제작과 방언차이에 대한 해석, 『어문론총』 제35집, 경북어문학회.
李相揆(2001), 尙火 詩와 方言, 『울산어문논집』 제15집, 울산대학교국어국문학과.
朴德洙(2001), 現代日本語方言の諸相 :ム-ドの「ようだ」を中心に, 『論文集』제26집, 光州保健大學.
고광모(2001), 중부 방언과 남부 방언의 '-소/오'계 어미들의 역사 :명령법을 중심으로, 『한글』 제253호, 한글학회.
김차균(2001), 고성 방언과 성주 방언 성조의 비교, 『한글』 제253호, 한글학회.
강영봉 評 (2001) 탐라어의 기원․계통에 관한 연구서 : 「濟州方言의 源流 : 耽羅語 硏究」, 김공칠 著 <書評>, 『제주도연구』 제19집, 제주학회.
고재환 評(2001), 제주 방언의 실상을 살필 수 있는 지침서 : 「제주의 언어 1․2」, 강영봉 著 <書評>, 『제주도연구』 제19집, 제주학회.
이명원(2001), 4․3과 제주방언의 의미작용 :현기영의 「순이삼촌」을 중심으로, 『제주도연구』 제19집, 제주학회.
김차균(2001), 고성 방언과 성주 방언 풀이씨 성조의 비교, 『語文硏究』제36권, 語文硏究學會.
이승재(2001), 고대의 '방언'과 그 유사 지칭어, 『새국어생활』제11권 제3호, 국립국어연구원.
박종희(2001), 전북방언 모음조화의 불투명성『論文集』, 圓光大學校大學院.
崔明玉(2001), 방언 자료의 수집과 정리, 『새국어생활』, 국립국어연구원.
진연희外著(2001), 南濟州郡 大靜邑 武陵里 :方言, 『國文學報』, 濟州大學校人文大學國語國文學科.
김영수外著(2001), 北濟州郡 翰京面 楮旨里 :方言, 『國文學報』, 濟州大學校人文大學國語國文學科.
오종현外著(2001), 南濟州郡 安德面 沙溪里 :方言, 『國文學報』, 濟州大學校人文大學國語國文學科.
강재혁外著(2001), 南濟州郡 城山邑 三達里 :方言, 『國文學報』, 濟州大學校人文大學國語國文學科.
한만보外著(2001), 北濟州郡 翰京面 龍水里 :方言/ 『國文學報』, 濟州大學校人文大學國語國文學科.
이문규 著(2001), 경북 방언 의문문의 성조 연구 『한글』, 한글학회.
손명기 著(2001), 성별을 중심으로 한 대전 사회방언 연구 :어휘편, 『대전어문학』 대전대학교국어국문학회.
고광모 著(2001), 77 일부 방언들의 주체 높임법에 나타나는 '-겨-'의 역사,2 :선어말 어미 '-어겨-'의 형성과 '-겨-'의 분포 변화 『언어학』, 한국언어학회.
朱星一(2001), 明代 官話의 性質과 基礎方言 小考, 『中國文學硏究』, 韓國中文學會.
김웅배(2001), 금당도 방언의 어휘자료, 『島嶼文化』, 목포대학교도서문화연구소.
李相揆(2001), 陸史 詩에 나타난 安東方言, 『어문학』, 한국어문학회
최명옥․김옥화(2001) 전북방언 연구, 『어문학』, 한국어문학회
한영목(2001), 충남 방언의 격조사, 『語文硏究』, 語文硏究學會
정영미(2001), 경남 방언 화자를 위한 발음 교육, 『국어과교육』, 부산교육대학 국어교육연구회.
최대성(2001), 경음화의 일반적 양상과 방언에서의 실제 발화에 대한 고찰, 『도솔어문』 단국대학교 어문학부 한국어문학전공.
강정희(2001), 제주방언의 '-아/-어지다' 구문 연구, 『韓南語文學』, 韓南大學校國語國文學會.
고창근(2001), 제주도 방언 '나다','지다'에 대하여, 『白鹿語文』, 白鹿語文學會.
오창명(2001), 제주 방언 사전에 대한 국어학적 접근, 『白鹿語文』, 白鹿語文學會.
김지홍(2001), 제주 방언 대우법 연구의 몇 가지 문제, 『白鹿語文』, 白鹿語文學會.
문순덕(2001), 제주 방언 이중 부정문의 통사 구조에 대하여, 『영주어문』, 영주어문학회.
김차균(2001), 담양 방언의 운율, 『한글』, 한글학회
김기호外著(2000), 한국어 방언 음성 데이터베이스의 설계․구축 및 응용 방안 연구, 『한국어학』 통권 제11호, 한국어학회.
김용화(2000), 고대 노브고로드 방언에 나타난 숫자들의 쓰임에 관하여, 『人文學志』제20집, 忠北大學校人文學硏究所.
유윤종(2000), 구약성서 히브리어 변이의 구성요인들과 지역 방언과의 관계에 관하여, 구약논단, 한국구약학회.
조성문(2000), 최적성이론에 의한 자음군 단순화 현상의 방언 차이 분석, 『사회언어학』제8권 제1호, 한국사회언어학회.
최명옥(2000), 경남방언의 분화론, 『배달말』통권 제27호, 배달말학회.
姜政男(2000), 韓國語のソウル方言の發話における母音の短母音化現象,『韓日語文論集』제4집, 韓日日語日文學會.
김승호(2000), 경상도 방언의 어휘 조사,2, 『동남어문논집』통권 제11집, 동남어문학회.
정민영(2000), 「충북지역 방언의 특징과 하위문화권」에 대하여, 『忠北學』제2호, 忠北學硏究所.
박경래(2000), 충청북도 방언의 특징과 하위방언권, 『忠北學』제2호, 忠北學硏究所.
한진건(2000), 육진방언과 중세음의 관계에 대하여, 『韓國學論集』제34집, 漢陽大學校韓國學硏究所.
郭忠求(2000), 六鎭方言의 現狀과 硏究 課題,『韓國學論集』제34집, 漢陽大學校韓國學硏究所.
김정대(2000), 음운면에서 본 경남 방언의 구획, 『人文論叢』제13집, (2000.12) pp.97-114 慶南大學校人文科學硏究所 041.1 ㅇ984 유
이근열(2000), 경남 방언의 /ㅅ/과 /ㅆ/의 비변별 현상, 『우리말연구』제10집, 우리말학회. 최전승(2000), 詩語와 方言 :'기룹다'와 '하냥'의 방언 형태론과 의미론, 『國語文學』, 국얼문학회.
김중서 著(2000), 방언형 비교 재구 5-t(h)∂l계, 『새국어교육』, 한국국어교육학회.
鈴木潤 著(2000), 병역과 방언사용에 관한 사회언어학적 일 고찰,『대전어문학』 대전대학교 국어문학회.
김연강(2000), 경남 방언 청자대우법 연구의 흐름과 방향, 『語文論集』경남대학교문과대학국어국문학과.
성희제(2000), 충남방언 움라우트현상의 유형 연구, 『어문학』, 한국어문학회.
전철웅(2000), 忠北方言의 語彙音韻論 序說 2 ,『語文論叢』, 忠北大學校外國語敎育院.
황문환(2000),『新傳煮取焰소方諺解』에 대한 국어학적 고찰, 『藏書閣』한국정신문화연구원.
윤지희, 김해정(2000), 경상북도 영덕 방언의 특징, 동국어문학, 동국대학교사범대학국어교육과.
김정대(2000), 경남 방언의 언어지리학적 성격 : 어법․어휘면을 중심으로, 『敎育理論과實踐』, 경남대학교교육문제연구소.
오창명(2000), 제주도 방언 연구 동향과 과제, 『耽羅文化』, 濟州大學校耽羅文化硏究所.
김동윤(2000), 제주도방언의 문학적 활용 방안, 『耽羅文化』, 濟州大學校耽羅文化硏究所.
문순덕(2000), 제주 방언의 보조용언 연구, 『耽羅文化』, 濟州大學校耽羅文化硏究所.
정승철(2000), 제주 방언의 음운론, 『耽羅文化』, 濟州大學校耽羅文化硏究所.
김혜숙(2000), 매체 언어의 국어 교육적 수용의 필요성과 방언에 대하여 : 특히 국어 지식 영역(문법 교육)에 광고 언어를 적용하기 위하여, 『東岳 語文論集』, 東岳語文學會.
김차균 外 (2000), 영남 방언과 호남 방언의 운율 비교 : 대화체 월의 운율을 중심으로, 『語文硏究』, 語文硏究學會.
오길용(2000), 漢語 방언의 발전과 吳越語의 형성 : 春秋시기를 중심으로, 『中國人文科學』, 中國人文學會.
이기갑(2000), 국어 방언의 조사 체계, 『언어학』, 한국언어학회.
김차균 外(2000) 영남 방언과 호남 방언의 운율 비교 : 음운론적인 구의 성조형을 중심으로, 『언어학』, 한국언어학회.
최전승(2000), 19세기 후기 전라방언의 처소격 조사 부류의 특질과 변화의 방향, 우리말글, 우리말글학회.
정원수(2000), 경북 예천 방언의 문장 성조 분석, 『우리말글』, 우리말글학회.
고광모(2000), 일부 방언들의 주체 높임법에 나타나는 '-겨-'의 역사 1 : 과거 시제 어미 '-어겼-'의 형성, 『한글』, 한글학회.
오종갑(2000), 영남 하위 방언의 모음 음운 현상 대조 : 포항,상주,산청,양산 지역어를 중심으로, 『한글』, 한글학회.
김차균(2000), 창원 방언과 담양 방언의 표현 기능의 장음절화 비교, 『한밭한글』, 한글학회 대전지회.
이기갑(2000), 동북방언과 육진방언의 상대높임법, 『목포어문학』, 목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고광모(2000), 전라 방언의 과거시제 선어말 어미 '-어겼-'의 완성 과정과 그 연대, 『목포어문학』목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김정대(2000), 언어지리학적 관점으로 본 경남 방언의 특성, 『慶南文化硏究』, 慶尙大學校慶南文化硏究所.
한영목(2000), 보조 용언 -번지다,-쌓다와 충남 방언, 『한글』, 한글학회.
崔潤鉉(2000), 北漢江,南漢江 流域의 方言, 『語文硏究』, 韓國語文敎育硏究會.
강순경(2000), 경상 방언 후설 모음의 융합현상, 『東西文化硏究』, 弘益大學校人文科學硏究所.
김용각(2000), 일본 九州方言의 음절구조 실태와 변화, 『日語日文學』, 대한일어일문학회.
박경래(2000), 단양 방언의 음운에 대한 세대별 비교 고찰, 『開新語文硏究』, 개신어문학회.
김승호(2000), 경상도 방언의 어휘 조사 1, 『부산한글』, 한글학회부산지회.
박성현(2000), 신화,방언주의,미적 형식주의 : 백 석論, 겨레어문학, 겨레어문학회.
宋喆儀․兪弼在(2000), 서울 방언의 국어학적 연구, 『서울학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오종갑(2000), 영남 하위방언의 자음 음운현상 대조 : 포항,상주,산청,양산 지역어를 중심으로, 『어문학』, 한국어문학회.
이문규(2000), 성조 방언의 운율 유형, 『문학과언어』, 文學과言語學會.
한영목(2000), 충남 방언의 보조 용언과 상, 『語文硏究』, 語文硏究學會.
문병우(2000), 경남 방언 〔-예〕에 관한 연구, 『경상어문』, 경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경상어문학회.
강희숙(2000), 전설모음화의 발달과 방언 분화 : 전남방언을 중심으로, 『韓國言語文學』, 한국언어문학회.
문순덕(2000), 제주도 방언 시다의 문법화 현상, 『영주어문』, 영주어문학회.
전봉관(2000), 백석 시의 방언과 그 미학적 의미, 『韓國學報』, 일지사.
김웅배(2000), 압해도 방언의 어휘자료, 『島嶼文化』, 목포대학교도서문화연구소.
김주원(2000), 영남 방언 성조의 특성과 그 발달, 『어문학』, 한국어문학회.
정인상(2000), 통영 방언의 활용어미, 人文學志, 忠北大學校人文學硏究所.
이명자(2000), 현대 표준 러시아어의 음성․형태적 기반 : 동슬라브족의 방언적 특성을 중심으로, 『人文科學論集』, 淸州大學校人文科學硏究所.
백두현(1999), 영남방언의 통시적 변천, 『民族文化論叢』 제20집, 嶺南大學校民族文化硏究所.
최양규,신현정(1999), 한국어 모음지각에 대한 방언간 비교연구, 『言語治療硏究』제8권 제1호, 韓國言語治療學會.
田國祚(1999), 日本長崎方言硏究 :語彙を中心に, 『東義論集』제30집 인문․사회과학편, 東義大學校.
김경숙(1999), 《設文解字》 「讀若」에 반영된 *-n 韻尾의 方言現象, 『진리논단』제3호, 천안대학교.
최전승(1999), 원순모음화 현상의 내적 발달과 개별 방언 어휘적 특질, 『國語文學』, 국어문학회.
李鎭英(1999), 中國 方言속에 나타난 處置文의 양상, 『中國人文科學』, 中國人文學會.
嚴翼相(1999), 한국 화교 방언 : 조사 및 연구를 위한 제언, 『중국어문학논집』, 中國語文學硏究會.
김덕호(1999), ‘통합적방언 구획 방법론과 그 실제적 적용, 『어문논총』, 경북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이혁화, 김옥화(1999), 방언반 학술 답사 보고서 : 남원 방언의 특징, 『冠嶽語文硏究』, 大學校國語國文學科.
박경래(1999), 청원 방언의 경어법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 청자대우법에서의 힘과 유대를 중심으로, 『開新語文硏究』, 개신어문학회.
김태엽(1999), 영남 방언의 형태적 특성과 그 발달, 『우리말글』, 우리말글학회.
한영목(1999), 충남방언의 통사론적 연구 : 어말 어미, 『語文硏究』, 語文硏究學會.
위평랑(1999), 전남․경남 접경지 방언의 음운 : 단모음체계와 아래아(․)의 변화를 중심으로, 『湖南文化硏究』, 湖南大學校湖南文化硏究所.
오종갑(1999), 자음 탈락과 영남 방언, 『한글』, 한글학회.
김차균(1999), /나가․다/형 풀이씨의 특이 음조형에 바탕한 동남부 방언 공통 조어 가설, 『論文集』, 忠南大學校人文科學硏究所.
박종갑(1999), 영남방언의 통사․의미적 특성과 그 분포 양상 : 의문법 어미의 실현에 따른 제약을 중심으로, 『어문학』, 한국어문학회.
오종갑(1999), 경음화와 영남방언 『어문학』, 한국어문학회.
김차균(1999), 서부 전남․광주 방언의 운소 체계와 그 변천 방향 : 1960년대 말기 자료에 바탕을 두고, 『한밭한글』, 한글학회 대전지회.
鄭承喆(1999), 제주방언의 音調와 音調群, 『震檀學報』, 震檀學會.
주상대(1999), 동남방언 동사․형용사 파생의 성조, 『한국어학』, 한국어학연구회.
이기갑(1999), 국어 방언의 시상 체계 - 그 분화의 역사, 『언어학』, 한국언어학회.
김차균(1999), 변동 평성형 풀이씨의 특이 음조형과 영남-영동 방언 공통 조어 가설, 『언어학』, 한국언어학회.
오종갑(1999), 울릉도 지역의 방언에 대한 실태 조사 : 음운편 Ⅱ, 『韓民族語文學』, 韓民族語文學會.
박종갑(1999), 울릉도 지역의 방언에 대한 실태 조사 : 어휘편 Ⅱ, 『韓民族語文學』, 韓民族語文學會.
吳鍾甲, 李相揆(1999), 嶺南 方言의 音韻論的 特性과 그 展開 <討論>, 『韓民族語文學』, 韓民族語文學會.
오종갑(1999), 영남방언의 음운론적 특성과 그 전개, 『韓民族語文學』, 韓民族語文學會.
李相揆(1999), 尙火 詩에 나타난 方言과 텍스트, 『睡蓮語文論集』, 수련어문학회.
정인호(1999), 전남방언 색채어의 형성과정, 『韓國文化』, 서울大學校韓國文化硏究所.
문순덕(1999), 제주 방언 '모르다'의 부정 표현에 대하여, 『耽羅文化』, 濟州大學校耽羅文化硏究所.
장경기(1999), 부가의문문의 보편문법과 경상도 방언, 『人文論叢』, 蔚山大學校人文科學硏究所.
성낙수(1999), 경상도 방언에서의 [-어 가지고]의 접미사화 연구, 『先淸語文』, 서울大學校師範大學國語敎育科.
신동일(1999), 제주 방언을 활용한 관광상품 브랜드의 개발에 관한 연구, 『관광경영학연구』, 관광경영학회.
이경희(1999), 182 경남 방언의 불투명 현상에 대한 동정이론 분석(Ⅰ), 『牛岩語文論集』, 부산외국어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김무식(1999), 경북방언 용언의 성조형, 『문학과언어』, 文學과言語學會.
오종갑(1999), y계 이중모음의 변화와 관련된 영남방언의 특성과 그 전개, 『人文硏究』 , 嶺南大學校人文科學硏究所.
김미진(1999), 제주도 방언에서 빛깔 형용사와 '하다'의 결합 양상, 『영주어문』, 영주어문학회.
문순덕(1999), 제주 방언의 장형 부정문 소고, 『영주어문』, 영주어문학회.
김영진, 서은영(1999), 대전 사회방언의 세대별 연구, 『人文科學論文集』, 大田大學校人文科學硏究所.
洪宗林(1999), 현대국어의 의문법 체계 고찰 1 : 제주방언을 중심으로, 『論文集』, 淸州敎育大學校.
강희숙(1998), '오>우' 변화와 언어적 화석 :전남방언을 중심으로, 『國語文學』제33집, 국어문학허;.
김기선(1998), 퉁구스(함니강)제어의 북부 방언 : 에왱키 지파 설렁족의 언어와 문화,
李聖揆(1998), 바르고(Bargu)方言에 대하여, 『몽골학』한국몽골학회.
김우중(1998), 카리브해 스페인어 방언 고찰, 『語文學硏究』, 大邱曉星가톨릭大學校 外國語文學硏究所.
이문규(1998), 동해안 세 방언의 성조 연구, 『문학과언어』, 文學과言語學會.
김계곤(1998), 고양시 일산 지역 방언, 『國語國文學』, 부산대학교국어국문학과.
김웅배(1998), 완도체도 방언의 어휘자료, 『島嶼文化』, 목포대학교도서문화연구소.
全廣鎭(1998), 중국어 상고음 재구(L.F.K.System)에 활용된 방언 자료에 대한 탐구, 『中國文學硏究』, 韓國中文學會.
鄭尙均(1998), 濠州英語의 特徵 : 시드니 都心方言을 中心으로, 『語學敎育』, 全南大學校語學硏究所.
김경훈(1998), 시제,상,서법의 상관관계에 대한 일고찰 : 제주 방언 時相 형태를 중심으로, 『開新語文硏究』,개신어문학회.
郭忠求(1998), 감각 용언 파생의 방언 분화, 『震檀學報』, 震檀學會.
이창덕(1998), 200 서해 5도 지방의 방언 연구, 『畿甸文化硏究』, 仁川敎育大學校畿甸文化硏究所.
이병운(1998), 중부방언,경남방언,전남방언의 억양에 대한 비교 연구, 『우리말연구』, 우리말학회.
김태엽(1998), 울릉도 지역의 방언에 대한 실태 조사 : 문법편, 『우리말글』, 우리말글학회.
박덕수(1998), 現代 日本語 方言의 諸相 : ム-ド성분인 [そうだ]를 중심으로, 『論文集』, 光州保健大學.
강정희(1998), 제주 방언의 혼성형에 대하여, 『韓南語文學』, 韓南大學校國語國文學會.
문순덕(1998), 제주방언 '말다'의 의미 기능, 『耽羅文化』, 濟州大學校耽羅文化硏究所.
洪宗林(1998), 제주방언의'ㅎ'末音 名詞에 대한 고찰, 『耽羅文化』, 濟州大學校耽羅文化硏究所.
全惠淑(1998), 江陵 方言의 形態音素論的 考察 : 세대차에 따른 변화를 중심으로, 『關東民俗學』, 관동대학교 강릉무형문화연구소.
전학석(1998), 연변 방언, 『새국어생활』, 국립국어연구원.
정승철(1998), 제주 방언의 특징에 대하여, 『새국어생활』, 국립국어연구원.
李相揆(1998), 동남 방언, 『새국어생활』, 국립국어연구원.
이기갑(1998), 서남 방언, 『새국어생활』, 국립국어연구원.
곽충구(1998), 동북 방언, 『새국어생활』, 국립국어연구원.
김영배(1998), 서북 방언, 『새국어생활』, 국립국어연구원.
박경래(1998), 중부 방언, 『새국어생활』, 국립국어연구원.
최명옥(1998), 국어의 방언 구획, 『새국어생활』, 국립국어연구원.
안귀남(1998), 안동방언의 부정법 연구, 『안동어문학』, 안동어문학회.
김차균(1998), 남북한 방언 성조의 비교, 『論文集』, 忠南大學校人文科學硏究所.
최명옥(1998), 방언, 『새국어생활』, 국립국어연구원.
이병근(1998), 석인 정태진과 방언 연구,『새국어생활』, 국립국어연구원.
오종갑(1998), 울릉도 지역의 방언에 대한 실태조사 : 음운편 Ⅰ,『韓民族語文學』, 韓民族語文學會.
김영진, 권오주(1998), 대전 사회방언의 계층별 연구, 『人文科學論文集』, 大田大學校人文科學硏究所.
동승희(1998), 부산 방언 억양과 표준어 억양 비교 연구, 『어문교육논집』, 부산대학교국어교육과.
이기갑(1998), 전남 방언의 상대높임법, 『한글』, 한글학회.
이상규(1998) 멋대로 고쳐진 이상화의 시 : 자의적으로 왜곡된 방언 원래대로 복원해야, 『 문학사상』, 문학사상사.
이기갑(1998), 전남 방언의 상대높임법, 『목포어문학』, 목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고광모(1998), 방언 사전의 표기법, 『목포어문학』, 목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이문규(1998), 대구방언의 성조 체계, 『睡蓮語文論集』, 수련어문학회.
김차균(1998), 경상도 방언 풀이씨의 특수 음조형 비교, 『睡蓮語文論集』, 수련어문학회.
김차균(1998), 삼척 방언과 울진 방언 성조의 비교, 『언어학』, 한국언어학회.
장대송 評(1998), 이성의 방언 : 「사람꽃」,고형렬 著 <書評>, 『現代詩學』, 現代詩學社.
김계곤(1998), 고양시 일산 지역 방언, 『國語國文學』, 부산대학교국어국문학과.
김우중(1998), 카리브해 스페인어 방언 고찰, 『語文學硏究』, 大邱曉星가톨릭大學校 外國語文學硏究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