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3장 예수 사랑하심은

1. 바르트 신학의 요점은「예수 사랑」
20세기의 최대 신학자 칼 바르트(Karl Barth, 1886-1968)가 시카고신학대학에서 은퇴강연을 마쳤다.
그러자 학장이 학생들에게 말하였다.
“박사님은 매우 피곤하셔서 학생들의 질문을 다 받을 수가 없으니 내가 대신하여 딱 한 가지만 질문하겠습니다.”
그리고는 바르트를 향하여 이렇게 질문을 하였다.
“박사님, 바르트 신학의 요점을 말씀해주십시오.”
이 질문은 수만 페이지의 복잡한 내용의 책을 저술한 그에게 엄청난 질문이었다.
그러자 학생들은, 20세기 최대의 신학자가 들려주는 바르트 신학의 핵심을 적으려고 필기 준비를 하고서 귀를 기울였다.
바르트는 조용히 눈을 감고 잠시 생각하더니, 미소를 지으며 학생들을 향해 이렇게 말을 하였다.
“내가 들은 신학적 핵심 중에서 가장 위대한 것은 바로 이것입니다.
Jesus Loves me this I know, For the Bible tells me so.”
그리고 그는 노래를 불렀다.
Jesus Loves me this I know,
For the Bible tells me so;
Little ones to Him belong,
They are weak but He is strong.
Yes, Jesus Loves me!
Yes, Jesus Loves me!
Yes, Jesus Loves me!
The Bible tells me so.
역시 바르트는 위대하다. 수만 페이지나 되는 자기의 글을 이 노래로 요약을 하다니….
이 어린이 찬송에는 신학의 모든 주제가 다 포함되어 있다.
우리 찬송을 중심으로 단어를 간추리면 이렇다.
①예수, ②사랑, ③거룩함, ④약한 우리, ⑤강한 예수 ⑥성경 ⑦죄, ⑧사죄, ⑨천국, ⑩구원, ⑪함께 계심, ⑫영생
구구절절이 모두 신학용어인데, 어린이를 위해 아주 쉽게 풀어 썼다.
이런 신학의 모든 주제가 쉬운 말로 씌어 있고, 쉽게 노래로 배울 수 있고 누구나 외울 수가 있으니, 바르트는 이 노래보다 신학의 요점을 더 잘 알려주는 어떤 것도 발견할 수 없었다고 말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선교사들은, 선교지에 가서, 맨 처음에 이 노래만 가르치고 가사를 설명해 주면, 성경의 골자를 다 알려 줄 수 있기 때문에 가는 데마다 이 찬송을 제일 먼저 가르려주는 것이다.
이 노래는 미국의 여류소설가 안나 워너(Anna Warner, 1824-1915) 양과 그의 언니 수잔 워너(Susan Warner, 1819-1885)의 합작 소설 'Say and Seal, 1859' 에 나오는 노래, 'Jesus Loves me' 를 윌리엄 브래드버리(William Bradbury, 1816-1868)가 후렴을 추가하여 작곡한 것이다. 자매가 쓴 ?소설 중의 노래」인 것이다.
내용인즉 너무 애처롭다.
작사자 안나 워너 양
소설의 주인공은 모두 주일학교 선생들이다.
존 엔디콧 린든(John Endecott Linden) 선생은, 병든 자기 반 어린이 자니 팩스(Johnny Fax)를 문병 간다.
다 죽어 가는 어린이는 선생님에게 노래를 불러달라고 간청을 한다.
선생은 그를 안고 노래를 부른다.
그 노래가 'Jesus Loves me' 인 것이다.2) 4-5절을 원어로 보면 눈물이 난다.
<4절>
Jesus loves me, Loves me still, 예수 나를 사랑해
Close beside me all the way; 항상 곁에 계셔요
I love Him and when I die, 내가 세상 떠나면
He will take me home on High. 천국 데려가셔요
<5절>
Jesus loves me! He who died 나를 위해 죽은 주
Heaven's gate to open wide; 문 열고 기다리셔
He will wash away my sin, ‘네 죄 다 씻었으니
Let His little child come in. 어서 오라’ 하셔요
이 노래를 들으며 어린 그의 제자 자니는, 평안히 숨을 거두고 하늘나라로 떠나간다.
이 소설은 미국 문학사상, 스토우 부인의 ?톰 아저씨 오두막」 'Uncle Tom's Cabin' 에 이은, 최대의 걸작이라는 평가이다.
찬송가 작가 부래드버리는 여기 후렴을 붙여 작곡하고, 곡명을 'Jesus Loves me' 라고 하였는데, 지금은 이 곡명보다는 'China' 라는 곡명으로 통한다.
그 이유는 중국에 가 있던 침례교 선교사들이 “중국 어린이들이 예수 사랑하심은」을 제일 좋아한다.” 고 보고를 해 왔기 때문에, 1956년 침례교 찬송가 개편 때 곡명을 'China' 라고 바꾼 데서 기인되었으며, 우리 찬송가 411장에도 그렇게 표기되어 있다.
2. 【에피소드】「万不錯人諸無事」
1949년, 모택동(毛澤東)이 중국을 공산화한 이래, 그리스도인들을 심하게 핍박하자, 서방 세계에 중국 그리스도인들의 소식은 거의 끊겨버렸다.
그런데 1972년 미국의 여러 사람들이 이상한 글을 중국사람에게서 전해 받았다.
거기에는 한자로 '万不錯人諸无事' 라고만 적혀 있었다.
영어로는 'this I know people' 인데, 중국어「예수 사랑하심은」첫마디「萬不錯人」(매사에 틀림없는 사람)이다.
삼엄한 공산체제의 공안원들도 만사에 틀림없는 사람들은 모두 무사합니다」란 뜻으로 해석하고 넌센스 메시지로 알고 웃으며 통과시켰던 것이다.
그러나 미국 크리스천들은 안나 워너의 어린이 찬송 '耶?愛我, 万不錯' 'Jesus Loves me this I know' 를 부르는 그리스도인들이 모두 무사하다는 뜻으로 금새 알았다는 것이다.
중국교회는 심한 박해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1993년 통계를 보면, 놀랍게도 150만 명에서 8천만 명으로 급성장을 하였던 것이다.
3. 각국의「예수 사랑하심은」
국제화시대이니 세계 주요국가의 ?예수 사랑하심은」을 소개하는 것도 재미있겠다.
웹에서 퍼온 것이다.
French: "Jesus loves me"
Jesus m'aime! Ce je sais
Parce-que la Bible m'a dit
Les petits uns a lui apartiennent
Ils sont faibles mais Il est fort!
Oui, Jesus m'aime
Oui, Jesus m'aime
Oui, Jesus m'aime
La Bible m'a dit.
German: "Jesus loves me"
Jesus liebt mich wissen wir,
Denn die Bibel sagt es mir.
Kleine Kinder, die sind sein
Er ist stark und sie sind rein.
Refrain:
Ja, Jesus liebt mich,
Ja, Jesus liebt mich,
Ja, Jesus liebt mich,
Die Bibel sagt es mir.
Greek (Biblical): "Jesus loves me"
Ho Iaesous me agapa
Hoti graphae kaerussei
Paidia eisin auto
Asthenouoi dunatai
Refrain;
Nai Iaesous agapa
Nai Iaesous agapa
Nai Iaesous agapa
Hae graphae kaerussei.
Russian: Chorus of "Jesus loves me"
Lyoo-beet Ee-ee-soos.
Lyoo-beet Ee-ee-soos.
Lyoo-beet Ee-ee-soos.
E-to tvyer-do snah-yoo yah.
Spanish: "Jesus loves me"
Cristo me ama, bien lo se,
Su Palabra me hace ver,
Que los ninos son de aquel,
Quien es nuestro amigo fiel.
Chorus:
Cristo me ama,
Cristo me ama,
Cristo me ama,
La Biblia dice as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