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절기와 세시풍속 - 선림원 절기학교
소설 小雪
24절기 중 스무번째 절기, 첫 눈이 내리고 첫 얼음이 언다. 입동(立冬)과 대설(大雪) 사이에 드는 겨울 절기. 음력으로는 10월, 양력으로 11월 22일경이다. 살얼음이 잡히고 땅이 얼기 시작하며 첫눈이 내려 겨울 기분이 든다. 산간지방에는 눈이 제법내리기도 하는데, 하지만 아직은 따뜻한 햇볕이 간간히 비추어 소춘(小春) 이라고도 한다. |
《소설(小雪)의 유래》
소설(小雪)은 입동(立冬)과 대설(大雪) 사이에 들며, 음력으로 10월, 양력으로 11월 22일경, 태양의 황경이 240°에 오는 때이며, 입동(立冬)절기 뒤 15일째 날로, 호박과 무를 썰어 말리는 등 입동(立冬)에 하지못한 겨울채비를 마저 한다. 소설절기 15일간을 5일씩 끊어서 소설 3후(候)로 나누는데, 초후(初候)에는 무지개가 걷혀서 나타나지 않고, 중후(中候)에는 천기(天氣)가 올라가고 지기(地氣)가 내리며, 말후(末候)에는 폐색되어 겨울이 된다고 하였다. 소설 무렵 심하게 부는 바람을 손돌바람이라 하는데 외출을 삼가고 특히 뱃길을 조심한다.
《소설(小雪) 절기의 풍습》
김장 · 시래기말리기 · 무말랭이 · 호박썰어말리기 · 목화손보기· 소먹이 볏짚 준비하기
소설에는 입동에 하지 못한 겨울나기 준비를 마저 하는데 첫 눈이 올정도의 추위가 시작되기는 하였으나 아직 본격적인 추위가 시작되지는 않았으므로 김장을 담그고 시래기를 엮어 말리고 무와 호박을 썰어 말리고 목화를 손보아 겨울옷을 준비하고 겨우내 소에게 먹일 볏짚을 썰어 둔다. 또 한 겨울을 대비하여 방고래와 구들을 손보고 문풍지를 바르고 곳간의 쥐구멍을 막는 등 본격적인 겨울에 대비한다. 조선 후기 정학유(丁學游)가 지은[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중 "10월령"(음력)에 '시월은 맹동이라 입동 소설 절기로다. 나뭇잎 떨어지고 고니 소리 높이 난다. 남은 일 생각하여 집안 일 마저 하세. 무우 배추 캐어 들여 김장을 하오리라. 앞냇물에 정히 씻어 염담을 맞게 하소. 방고래 구두질과 바람벽 맥질하기 창호도 발라 놓고 귀구멍도 막으리라. 수숫대로 텃울 하고 외양간에 떼적 치고 깍짓동 묶어 세고 파동시 쌓아 두소. 우리집 부녀들아 겨울옷 지었느냐 술 빚고 단자하고 강신날 가까웠다. 꿀 꺾어 단자하고 메밀 앗아 국수하소. 소 잡고 돝 잡으니 음식이 풍비하다"라고 하여 입동과 소설절기를 노래하기도 하였다.
《소설(小雪) 속담》
초순의 홑바지가 하순의 솜바지로 바뀐다. 소설절기에 본격적인 추위가 시작된다는 뜻이다. 간간히 비추던 따뜻한 햇볕도 소설절기 후반으로 가면서 차고 강한 바람이 불면서 완연한 겨울날씨를 보인다.
소설 추위는 빚을 내서라도 한다. 소설에 날씨가 추워야 보리농사가 잘 된다는 뜻이다. 대개 소설 즈음에는 바람이 심하게 불고 날씨도 추워진다. 이날 부는 바람을 손돌바람, 추위를 손돌추위라고 하며, 뱃사람들은 소설 무렵에는 배를 잘 띄우려 하지 않는다. 이와 관련해 강화도 지역에 손돌바람과 관련된 전설이 전한다.
《소설(小雪) 절기의 올바른 섭생법》
『동의보감(東醫寶鑑)』에 이르기를 "冬三月, 此謂閉藏, 水冰地坼 無擾乎陽, 早臥晩起, 必待日光, 使志若伏若匿, 若有私意, 若已有得, 去寒就溫, 無泄皮膚, 使氣亟奪, 此冬氣之應, 養藏之道也. 逆之則傷腎, 春爲痿厥 奉生者少."이라 하였다.
"겨울, 석달 이를 일러 폐장(閉藏)이라 한다. 물이 얼고 땅이 갈라진다. 양기(陽氣)를 어지럽히지 말아야 하고, 일찍 잠자리에 들고 늦게 일어나되 해가 비칠 때를 기다려서 일어나며, 뜻을 품되 지(志)가 엎드린 듯, 숨어있는 듯하게 하여 사사로운 생각이 있는 것 같이 이미 이룬 듯이 한다. 추운 곳을 피하고 따뜻한 것을 취하며, 자주 씻는 일을 삼가하여 기(氣)를 자주 빼앗기지 않게 하여야 한다. 이것이 겨울철에 응(應)하여 장기(藏氣)를 기르는 방법이다. 이를 거스르면 신장(腎)을 상(傷)하여 봄에 위(痿)되어 몸이 저리고, 생기(生氣)를 봉(奉)함이 적어진다."는 뜻이다.
겨울은 음력 10, 11, 12월에 해당하며, 절기 상 입동(立冬.양력 10월 8일)에서 대한(大寒.양력 1월 20일경)까지이다. 10월을 맹동(孟冬)라 하며 입동(立冬)와 소설(小雪) 두 절기가 속하고, 11월을 중동(仲冬)라 하며 대설(大雪)와 동지(冬至) 두 절기가 속하고, 12월을 계동(季冬)라 하며 소한(小寒)과 대한(大寒) 두 절기가 속한다.
《소설(小雪) 절기 음식》
김장김치 · 무말랭이 · 호박곶이 · 감 · 시래기
소설절기에는 입동 무렵 담근 김장김치를 먹는다. 배추는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운동이 부족한 겨울철의 장건강을 돕는다. 또 시래기를 엮어 말리고, 무와 호박을 썰어서 말려 무말랭이와 호박곶이를 만들고 감을 따서 곶감을 만들기도 한다.
생활속의 선도수행 - "소설" 절기수행 - 겨울철 생활선도 24절기에 따라 올바르게 양생하는 법은,
절기에 따른 올바른 섭생법은 태양의 운행과 같은 주기로 생활하는 것이다. 겨울은 오행(五行) 중 수(水)에 해당하는데, 수(水)는 수렴하는 기운이 강하다. 금(金)는 인체의 오장(五臟) 중 신장(腎腸)와 방광을 관장하고, 맛으로는 짠맛이다. 겨울은 음력 10, 11, 12월에 해당하며, 입동(立冬)에서 대한(大寒) 까지이다. 음력 10월을 맹동(孟冬)라 하며 입동(立冬)와 소설(小雪) 두 절기가 속한다. 음력 11월을 중동(仲冬)라 하며 대설(大雪)과 동지(冬至) 두 절기가 속한다. 음력 12월을 계동(季冬)라 하며 소한(小寒)와 대한(大寒) 두 절기가 속한다. 겨울이 되면 천지(天地)에 수(水)의 기운이 성운(盛運)하니, 음기(陰氣)의 활동이 왕성해지고 양기(陽氣)는 위축되어 초목들의 위상이 쇠응(衰應)하여 자취를 감추기도 한다. 대부분의 동물들도 따듯한 곳으로 이주하거나 활동을 멈추고 겨울잠을 자는 칩거생활을 하게된다. 사람 또한 활동을 줄이고 새해를 대비하여 수양을 쌓는 때이다. 겨울의 절기가 주관하는 신(腎)를 건강하게 하고 가을철에 지친 폐와 대장을 편안하게 돌보며, 겨울의 수기로 약해지는 심장의 기운을 보해야 한다. 겨울철은 천지의 기운이 막혀 소통이 원활하지 않을때이니, 마치지 못한일이 없도록 마무리를 하고 활동을 자제하여 양기를 보존하며, 겨울철에 찬이슬이나 서리를 맞게되면 한사(寒邪)가 침범하여 상한(傷寒) 병에 걸리게되니 주의하여 수양을 쌓는 일에 정진하도록 한다. 따듯하거 닫혀진 곳에 거처하며 적당히 두꺼운 옷으로 몸을 보하고 지나치게 뜨겁거나 차가운 음식을 피하고 조화롭게 섭취토록 한다. 선교 수행대중의 선풍(仙風)을 숭상하는 청정수행으로 선교신앙의 향기가 세상에 널리 전해지기를 기원한다. 선교 수행자 선제(仙弟)들의 선풍(仙風)은 일심정회하는 수행의지의 발현이며 선교(仙敎) 교화선(敎化禪)의 향기이다.
_ 선교총림선림원 취정원사님 『생활선도 이야기』 중 발췌. *저작권관련, 무단사용을 금합니다. |
선림원 절기학교에서는 소설 절기를 맞이하여,
선교에서는 겨울철 24절기에 맞는 "절기체조"와 "선도공법" 수련으로 이어집니다. 선교 수행대중은 취정원사께서 교유하신 선교수행 선도(仙道) 대중포덕 "24절기 선도수행" 선교 교화선 수행은, "24절기 절기백과" 에서 24절기 표, 24절기의 유래, 24절기날짜와 입절시각, 절기체조와 수행을 상세히 공부하며 실천하도록 합니다.
#선림원 #절기학교 블로그 바로가기 >> https://seonlimwon-healingforest.tistory.com/
#선교 #仙敎 공식홈페이지 바로가기 >> https://www.seongyo.kr/
#24절기 #24절기의유래 #24절기표 #24절기달력 #24절기음식 #24절기양력음력 #24절기뜻 #24절기한자
[작성 : 민족종교 선교총본산 선교총림선림원] seongyokorea@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