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양후공 함 규(咸 規) 기적비 - 소재지 :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 아신리 山94번지 강릉 함씨(江陵咸氏)의 원조(遠祖) 함 혁(咸 赫)은 아득한 옛날 삼한(三韓) 초 한강(漢江)을 중심으로 여러 부족(部族)이 소국(少國)을 형성할 때 용문산 서록(龍門山西麓 : 현재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 용천리 상곡)에 석성(石城)을 쌓고 웅거(雄據)한 촌장(村長)으로 세칭(世稱) 함왕주악(咸王周鍔)이라 불리웠다고 전한다. 그리하여 후손들은 양근(楊根 : 양평의 옛 지명)을 본관(本貫)으로 삼아 세계(世系)를 이어왔으며, 15세손(世孫) 신(信 : 일명 훈)이 785년(신라 원성왕 1) 김주원(金周元 : 강릉 김씨의 시조)을 따라 강릉(江陵)에서 살게 되어 본관(本貫)을 강릉(江陵)으로 개칭(改稱)하게 되었다. 그후 21세손 규(規)가 왕건(王 建)을 도와 고려 개국(高麗開國)에 공(功)을 세워 익찬개국공신(翊贊開國功臣)으로 은청광록대부(銀靑光祿大夫)·광평 시랑(廣評侍郞)을 지내고, 몽고군(蒙古軍)이 침입했을 때 대사마 대장군(大司馬大將軍)으로 출전하여 적병(敵兵)을 물리쳐 평난좌명공신(平難佐命功臣)의 호(號)를 받았으므로, 후손들이 함 규(咸 規)를 시조로 하여 계대(繼代)하여 왔다. 그러므로 모든 함씨(咸氏)는 혁(赫)을 원조로 하는 동원분파(同源分派)임이 확실하여 1936년 병자보(丙子譜) 중간(重刊) 시 합보(合譜)되었다고 한다. 함씨(咸氏)의 본관(本貫)은「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統譜)」를 비롯한 문헌(文獻)에 66본(本)까지 기록하고 있으나 양근(楊根)·강릉(江陵)을 제외한 본관(本貫)은 세거지명(世居地名)에 불과하다. 가문을 빛낸 인물(人物)로는 시조(始祖) 규(規)의 6세손 유일(有一)이 고려(高麗) 인종(仁宗) 때 서경(西京) 반란(反亂)을 평정하는데 공(功)을 세웠으며 베옷만을 입고 질그릇을 쓰며 청빈하게 살았다. 유일의 아들 순(淳)은 문장이 뛰어나 당대의 명유(名儒)인 이인로(李仁老)·오세재(吳世才)·임 춘(林 椿)·조 통(趙 通)·황보 항(皇甫抗)·이담지(李湛之) 등과 함께「강좌칠현(江左七賢)」으로 일컬어졌다. 조선조(朝鮮朝)에 와서는 승경(承慶)의 아들 부림(傅霖)이 개국삼등공신(開國三等功臣)으로 예조 의랑(禮曹義郞)에 이어 명성군(溟城君)에 봉해지고, 태종(太宗) 때 참지의정부사(參知議政府事)가 되어 동원군(東原君)으로 개봉(改封)되어 예부 상서(禮部尙書) 부열(傅說)과 함께 이름을 날렸다. 그외 성종(成宗) 때 형조 판서(刑曹判書)로 좌리공신(佐理功臣)에 녹훈(錄勳)되어 좌참찬(左參贊)에 지낸 우치(禹治)와 삼척 부사(三陟府使)를 지낸 헌(軒)이 뛰어났으며 한말(韓末)에 와서 독립운동에 몸 바친 일형(一亨)과 석은(錫殷)은 부통령(副統領)을 역임한 태영(台永)과 함께 명성을 떨쳐 가문을 더욱 빛냈다.
|
첫댓글 참 조은 자료입니다

저는 31대가 되는군여



저는 식짜돌림이라 33대가 되는건가요?
저는 36대입니닼ㅋ
함국현이요
굴쿤....참 좋은 정보가 되겠군요..!
37대보면 수.태..이렇게 있는데...남자아이이름 정할려고하는데...함x수..이렇게 짓는게 맞는건가요?
36대가 가운데 돌림이면 37대는 끝돌림이 맞구요, 36대가 끝돌림이면 37대는 가운데 돌림이 맞겠지요.^^
30세 이전 항렬표는 없는가요??족보책이 시골집에 있어서...ㅠㅠ게다가 모든 글자가 한문이어서....보기가 힘듦...
저희 할아버님이 식자 돌림이시니 33대시네요 그럼 저는 35대가 되는거네요..
전 35대군요 ㅎ
어떻게보는건지 알고싶어요 강릉함씨에여자분도 몇대손에속하냐요 궁금헤스여쭤봅니다 저에이름은 닉네임 에있는 그이름 함예리입니다 저는아직20대초반이라 한자에대해잘몰라서 몇대손인지알고싶습니다
몇세손은 여자남자 관계없구요 함예리님 성함이 집안에 돌림자 이시면 위 항렬표에 비교해보면 알수 있구요 아니면 아버지 함자를 한번 붙혀 보세요 ^^
저의 아버지이름은 함권철 입니다. 돌림자는아니라고 하십니다.
질문드립니다.
아버지 형제분들은 함,영,X 자로 "영"자 돌림입니다.
그런데 위의 항열표의 泳(헤엄칠 영) 자가 아닌 榮(영화 영)자 입니다.
이런건 왜그런지 아시나요?
"영"자가 돌림자가 아니여서 그런가요?
할아버지는 함종성 종자 돌림 아버지는 함영길의 영자 돌림 저는 함동주 의 주자 돌림입니다.
저는 39대손 저부터 친척들까지 남자들은 환자 돌림을 쓰고 있습니다. 곧 태어날 아이들도 돌림자를 써야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