言語必愼 언어필신 하고) 말은 반드시 삼가하고
말씀언 말씀어 반드시필 삼가할신
居處必恭 (거처필공 하라) 거처는 반드시 공손히 하라
살거 곳처 반드시필 공손할공
始習文字 (시습문자 에는) 비로소 글자를 읽힐 때에는
비로소시 읽힐습 글월문 글자자
字劃楷正 (자획해정 하라) 글자를 바르게 쓰라
글자자 그을획 본받을해 바를정
父母之年 (부모지년 은) 부모님의 나이는
아비부 어미모 갈지 나이년
不可不知 (불가부지 니라) 가히 알지않으면 아니되니라
아니불 옳을가 아니부 알지
飮食雖惡 (음식수악 이라도) 음식이 비록 좋지 않을지라도
마실음 먹을식 비록수 악할악
與之必食 (여지필식 하라) 주시면 반드시 먹어야 하니라
더불여 갈지 반드시필 먹을식
衣服雖惡 (의복수악 이라도) 의복이 비록 좋지 않을지라도
옷의 옷복 비록수 악할악
與之必着 (여지필착 히라) 주시면 반드시 입어야 하니라
더불여 갈지 반드시필 입을착
衣服帶鞋 (의복대혜 는) 의복과 혁대와 신발은
옷의 옷복 혁띠대 신발헤
勿失勿裂 (물실물열 이라) 잃어버리지 말고 찢지도 말지니라
말물 잃을실 말물 찢을열
寒不敢襲 (한불감습 하고) 춥다고 껴입지 말고
찰한 아니불 감히감 엄습할습
暑勿蹇裳 (서물건상 이라) 덥다고 치마를 걷어올리지 말지니라
더울서 말물 걷어올릴건 치마상
夏則扇枕 (하즉선침 하고)여름에는 부모님께베개머리에부채질해드리고
여름하 곧즉 부채선 베개침
冬則溫被 (동즉온피 하라) 겨울에는 따뜻하게 입혀드려야 하니라
겨울동 곧즉 따뜻할온 입을피
侍坐親側 (시좌친측 에는) 어버이 곁에 모시고 앉을 때에는
모실시 앉을좌 어버이친 곁측
進退必恭 (진퇴필공 하라) 나아가고 물러가기를 공손히 하라
다할진 물러갈퇴 반드시필 공손할공
膝前勿坐 (슬전물좌 하고) 어른 무릎 앞에 앉지 말며
무릎슬 앞전 말물 앉을좌
親面勿仰 (친면물앙 이라) 어버이 얼굴을 똑바로 쳐다보지 말라
어버이친 낯면 말물 우러를앙
父母臥命 (부모와명 하시면) 부모님이 누워서 명하시면
아비부 어미모 누울와 명령명
俯首聽之 (부수청지 니라) 머리를 숙이고 들을 것이요
구부릴부 머리수 들을청 갈지
居處靖靜 (거처정정 하며) 거처는 평안하고 고요히 하며
살거 곳처 편안할정 고요할정
步履安詳 (보리안상 하라) 걸음은 편안하고 자세히 하라
거름보 밟을리 편안안 자세할상
飽食暖衣 (포식난의 하며) 배불리 먹고 따뜻이 입으며
배부를포 먹을식 따뜻할난 옷의
逸居無敎 (일거무교 면) 편히 살면서 가르치지 않으면
편안할일 살거 없을무 가르칠교
卽近禽獸 (즉근금수 니) 곧 금수에 가까이 될 것이니
곧즉 가까울근 새금 짐승수
聖人憂之 (성인우지 니라) 성인은 그것을 걱정하시니라
성인성 사람인 근심우 갈지
愛親敬兄 (애친경형 은) 어버이를 사랑하고 형을 공경함은
사랑애 어버이친 공경경 맏형
良知良能 (양지양능 이라) 타고난 앎이요 타고난 능력이니라
어질양 알지 어질양 능할능
口勿雜談 (구물잡담 이며) 입으로는 잡담을 하지 말 것이며
입구 말물 섞일잡 말씀담
手勿雜戱 (수물잡희 라) 손으로는 잡된 장난을 하지 말라
손수 말물 섞일잡 놀희
寢則連衾 (침즉연금 하고) 잘 때에는 이불을 연대서 자고
잠잘침 곧즉 이을련 이불금
食則同案 (식즉동안 이라) 먹을 때에는 밥상을 함께 하라
먹을식 곧즉 한가지동 밥상안
借人前籍 (차인전적 에는) 남의 책을 빌려 오거든
빌릴차 사람인 앞전 책적
勿毁必完 (물훼필완 하라) 헐지 말고 반드시 온전하게 해야 한다
말물 헐훼 반드시필 완전할완
兄無衣服 (형무의복 이면) 형에게 의복이 없으면
맏형 없을무 옷의 옷복
弟必獻之 (제필헌지 하고) 동생은 반드시 드려야 하고
아우제 반드시필 드릴헌 갈지
弟無飮食 (제무음식 이면) 동생이 먹을 것이 없으면
아우제 없을무 마실음 먹을식
兄必與之 (형필여지 니라) 형은 마땅히 주어야 한다
맏형 반드시필 줄여 갈지
兄飢弟飽 (형기제포 면) 형이 굶는데 동생만 배부르다면
맏형 주릴기 아우제 배부를포
禽獸之遂 (금수지수 니라) 금수가 할 짓이라
새금 짐승수 갈지 따를수
飮食親前 (음식친전 은) 어버이 앞에서 음식을 먹을 때에는
마실음 먹을식 어버이친 앞전
勿出器聲 (물출기성 이라) 그릇 소리를 내지 말며
말물 날출 그릇기 소리성
居必擇隣 (거필택린 하고) 거처는 반드시 이웃을 가려 하고
살거 반드시필 가릴택 이웃린
就必有德 (취필유덕 이라) 나아감에는 유덕한 이에게 가라
나아갈취 바드시필 있을유 큰덕
父母衣服 (부모의복 은) 부모님의 의복은
아비부 어미모 옷의 옷복
勿踰勿踐 (물유물천 이라) 넘지도 말고 밟지도 말라
말물 넘을유 말물 밟을천
書机書硯 (서궤서연 은) 책상과 벼루는
글서 책상궤 글서 벼루연
自경其面 (자경기면 이라) 그 바닥을 정면으로 하라
스스로자 기울경 그기 낯면
전페이지 裹(쌀 과) 覆(덮을 부) 盥(씻을 관)
이글을 배우고 또 한문 천자문 추구집 명심보감 효경 등을 배운
장남(이강복)이 로스쿨 대학원에 원서를 제출했습니다...기원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