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사 지내는 순서
제사의 진행순서와 예법은 가문과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이 내용을 참고 하여 가문과 지역에서 행하여 지는 순서와 예법에 맞게 제사를 진행하면 될 것입니다
1.영신(迎神)
먼저 대문을 열어 놓는다. 제상의 뒤쪽(북쪽)에 병풍을 치고 제상 위에 제수를 진설한다. 지방을 써 붙이고 제사의 준비를 마친다. 예전에는, 출주(出主)라 하여 사당에서 신주(神主)를 모셔 내오는 의식이 있었다.
2.분향강신(焚香降神)
영혼의 강림을 청하는 의식이다. 제주(祭主)가 신위 앞으로 나아가 꿇어 앉아 향로에 향을 피운다. 집사(執事)가 제상에서 잔을 들어 제주에게 건네주고 잔에 술을 조금 따른다. 제주는 두 손으로 잔을 들고 향불 위에서 세 번 돌린 다음, 모사 그릇에 조금씩 세 번 붓는다. 빈 잔을 집사에게 다시 건너 주고 일어나서 두 번 절한다. 집사는 빈 잔을 제자리에 놓는다. 향을 피우는 것은 하늘에 계신 신에게 알리기 위함이고, 모사에 술을 따르는 것은 땅아래 계신 신에게 알리기 위함이다.
3.참신(參神)
고인의 신위에 인사하는 절차로서 참사자(參祀者) 모두 신위를 향하여 두 번 절한다. 신주를 모시고 올리는 제사일 때는 참신을 먼저 하고 지방을 모셨을 경우에는 강신을 먼저 한다. 미리 제찬을 진설하지 않고 참신 뒤에 진찬(進饌)이라 하여 제찬을 올리기도 한다. 진찬때는 주인이 육(肉,고기) 어(魚,생선) 갱(羹,국)을 올리고 주부가 면(麵,국수) 편(餠,떡) 메(飯,밥)를 올린다.
4.초헌(初獻)
제주가 첫번째 술잔을 올리는 의식이다. 제주가 신위 앞으로 나아가 꿇어 앉아 분향한다. 집사가 술잔을 내려 제주에게 주고 술을 가득 붓는다. 제주는 오른손으로 잔을 들어 향불 위에 세 번 돌리고 모사 그릇에 조금씩 세 번 부은 다음 두 손으로 받들어 집사에게 준다. 집사는 잔을 받아서 메 그릇과 갱 그릇 사이의 앞쪽에 놓고 제물 위에 젓가락을 놓는다. 제주는 두 번 절한다. 잔은 합설(合設,고인의 내외분을 함께 모시는 것)인 경우 고위(考位,남자) 앞에 먼저 올리고 비위(여자) 앞에 올린다. 집안에 따라서는 술을 올린 뒤 메 그릇의 뚜껑을 연다.
5.독축(讀祝)
축문 읽는 것을 독축이라 한다. 초헌이 끝나고 참사자가 모두 꿇어 앉으면 축관은 제주 좌측에 앉아 천천히 정중하게 읽는다. 축문은 제주가 읽어도 무관하다. 독축이 끝나면 참사자 모두 일어나서 재배하는데 초헌의 끝이다. 과거에는 독축 뒤에 곡을 했다.
6.아헌(亞獻)
두번째 잔을 올리는 의식이다. 주부가 올리는 것이 관례이나 주부가 올리기 어려운 경우에는 제주의 다음가는 근친자인 남자가 초헌 때와 같은 순서에 따라 올리기도 한다. 이때 모사에는 술을 따르지 않는다. 주부는 네 번 절한다.
7.종헌(終獻)
세번째 술잔을 올리는 의식이다. 아헌자 다음가는 근친자가 올리는 게 원칙이나 참가자 중 고인과의 정분을 고려하여 잔을 올리게 하기도 한다. 아헌 때와 같은 방법으로 한다. 잔은 7부쯤 부어서 올린다.
8.첨작(添酌)
종헌이 끝나고 조금 있다가 제주가 신위 앞으로 나아가 꿇어 앉으면 집사는 술주전자를 들어 신위 앞의 술잔에 세 번 첨작하여 술잔을 가득 채운다. 집안에 따라서는 집사로부터 새로운 술잔에 술을 조금 따르게 한 다음 집사는 다시 이것을 받아, 신위 앞의 술잔에 세 번으로 나누어 첨작 하는 경우도 있다.
9.삽시정저(揷匙正箸)
좌측부터 조부, 조모 순으로 메 그릇의 뚜껑을 열고 숟가락을 밥 위의 중앙에 꽂는 의식이다. 이때 수저 바닥(안쪽)이 동쪽으로 가게 한다. 젓가락은 시접 위에 손잡이가 왼쪽을 보게 놓는다. 제주는 두 번, 주부는 네 번 절한다.
10.합문(闔門)
영위(靈位)께서 식사하는 시간을 갖게 하는 의식이다. 참사자가 모두 잠시 밖으로 나가고 문을 닫고 몇 분 동안 조용히 기다린다. 대청마루에 제상을 차렸으면 뜰 아래로 내려가 읍(揖,상견례때 하는 절)한 자세로 잠시 기다린다. 단칸방의 경우 제자리에 업드려서 몇 분 동안 있다가 일어선다.
11.계문(啓門)
계문이란 문을 여는 것을 말한다. 축관(祝官)이 세 번 헛기침을 한 후 방문을 열며 들어 가면 참사자가 모두 뒤따라 들어간다.
12.헌다(獻茶)
헌다란 차를 올린다는 뜻이다. 갱(국그릇)을 내리고 숭늉을 올려 숟가락으로 메를 세 번 떠서 숭늉에 말고 수저를 숭늉 그릇에 놓는다. 이때 참사자 모두 읍한 자세로 잠시 동안 꿇어 앉아 있다가 제주의 기침소리를 따라 고개를 든다.
13.철시복반(撤匙復飯)
숭늉그릇에 놓인 수저를 거두고 메 그릇의 뚜껑을 덮는 것을 말한다.
14.사신(辭神)
고인의 영혼을 전송하는 절차로서 참사자가 신위 앞에 두 번 절한뒤 지방과 축문을 향로 위에서 불사른다. 지방은 축관이 모셔 내온다. 신주는 사당으로 모신다. 이로써 제사를 올리는 의식 절차는 모두 끝난다.
15.철상(撤床)
제상위의 모든 제수를 집사가 물리는데 뒤에서부터 차례대로 한다.
16.음복(飮福)
참사자가 한자리에 앉아 제수를 나누어 먹는데 이를 음복이라 한다. 음복을 끝내기 전에는 제복을 벗거나 담배를 피워서는 안된다.
▶ 제사 순서의 의미와 그 내용
1. 조상모심을 강신(降神)이러고 한다.
조상을 모심에
(제주) 향을 피운다
(집사) 제주에게 술을 따라준다.
(제주) 술을 모사그릇에 조금씩 세 번 붓는다.
(제주) 두 번 절한다.
2. 문안인사를 참신(參神)이라고 한다
조상에 대한 인사는 참석자 전원 제사 참가자 모두 합동으로 두 번 절한다.
3. 첫잔드림을 초헌(初獻)이라고 한다
(제주) 향을 피운다.
(집사) 남자조상 잔을 제주에게 주고 술을 가득 부어준다.
(제주) 모사그릇에 조금씩 세 번 붓는다.
(제주) 7부 정도 남은 술을 집사에게 준다.
(집사) 술잔을 밥과 국 사이에 놓고 젖가락을 음식 위에 놓는다.
(제주) 두 번 절한다.
4. 축문읽기를 독축(讀祝)이라고 한다.
(전원) 모두 꿇어앉는다.
(제주) 축문을 읽는다.
(전원) 두 번 절한다.
이 때에 상 앞 오른편에서 읽으면 우독축, 왼편에서 읽으면 좌독축이라고 한다.
5. 둘째 잔 드림을 아헌(亞獻)이라고 한다.
둘째 잔 드릴 사람을 미리 선정한다.
첫 잔 드림의 절차와 동일 (단, 모사그릇에 술 따르는 절차 생략한다.)
6. 끝 잔 드림을 종헌(終獻)이라고 한다.
첫잔드림의 절차와 동일 (단, 모사그릇에 술 따르는 절차 생략. 술은 7부로 따른다.)
7. 식사권유하는 의식을 유식(侑食)이라고 한다.
조상의 음식 드심에
(제주) 술 주전자를 들고 남자조상의 잔과 여자조상의 잔에 술을 가득 따른다.
(제주부인) 메(밥) 뚜껑을 열고 숟가락을 메 한가운데 꽂는다.
(제주부인) 젖 가락은 손잡이가 서쪽으로 향하게 놓는다.
(제주/제주부인) 같이 두 번 절한다.
예전에는 식사권유 후 조상께서 편히 식사를 하시라는 의미로 문 밖에 나가
잠시 기다린 다음 숭늉을 올렸다. 요즘은 집 구조상 참사자들이 잠시 무릎을
꿇고 대기한 후 숭늉을 올리기도 한다.
8. 숭늉 올림을 헌다 / 獻茶라고 한다.
(제주) 국을 물리고 숭늉을 올린다.
(제주) 밥을 숭늉에 세 숫가락 말아 놓고 젖가락을 고른다.
9. 작별인사를 사신(辭神-조상을 보내드림)이라고 한다.
(전원) 제사 참사자 모두 합동으로 두 번 절한다.
10. 축문과 지방소각을 납주(納主)라고 한다.
(제주) 향 앞에서 지방과 축문을 소각하여 재는 향로에 담는다.
11. 음복(飮福)과 제상정리를 철상(撤床)이라고 한다.
참사자 전원은 제사상 위의 음식물을 맛봄으로서 음복을 하며 안쪽에 있는
음식부터 차례로 음식을 내린다.
제사 지내는 옳바른 순서
차례상
- 차례상 차리는 법
- 1열
- 시접, 잔반, 메(밥) - 떡국은 우측, 술잔은 좌측.
- 2열
- 어동육서(魚東肉西)
지방 쓰는 법
지방을 쓸 때에는 반드시 몸을 청결하게 하고 정성을 들여 쓰되 제사가 드는날 저녁 흰백지 위에 붓으로 쓴다. 크기는 폭 6cm 정도 길이는 22cm정도 크기로 한다.
1. 지방의 규격은 폭이 6cm 정도 길이가 22cm 정도가 좋으며 주로 한지(창호 지종류)를 사용한다.
2. 고위(考位..할아버지위)를 왼편에 쓰고 비위( 位...할머니위)를 오른쪽에 쓴 다. 한분만 돌아가셨을 경우에는 돌아가신분만 중앙에 쓴다.
3. 아내의 지방에는 顯(현)자를 故(고)자로 고쳐 쓰고 동생이하 비유(卑幼)에 는 亡(망)자로 고쳐 쓴다.
4. 자식의 지방에 미혼시에는 수재(秀才)라 쓰고 기혼일 경우에는 학생(學生) 이라 쓴다.
5. 생전에 벼슬을 했을 경우 學生(학생)대신 벼슬의 직급인 理事官 혹은 道知 事 등의 직위를 쓴다.
축문 쓰는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