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려태조 후 손 |
의흥박씨 대종친회 |
회의 자료
1. 종친회 현판식
일시: 2005년 2월 5일(토) 오전 11시
장소: 제천시 명동 237 전통찌게마을(대표 박 병 관)
2. 족보 제작에 관한 협의 및 토론
가. 족보 제작 추진내용
1) 족보제작사 방문 협의
가) 일시: 2005년 1월 21일(금)
나) 장소: 대전광역시 동구 중동47-4
회 향 사
다) 참석자: 박 달 수 회장 박 병 열 부회장
박 동 수 총무 박 도 수 이사
박 병 은
라) 회향사측과의 협의사항
① 권당 면수-1,500면까지 가능하며
우리 집안의 경우 약 1,000면정도예상
② 족보 제작 형태
◎ 활자크기- 5호 (기존 족보 4호에서 축소)
◎ 족보의 크기- “대, 중”중에서 중으로함(기존족보)
◎ 표지- 진곤색
◎ 족보기록 형식- 쌍서형(한자, 한글 병기)
◎ 총 부수-500질 예상(여분 처리 협의)
◎ 족보의 여백(행단) 기존 5행에서 6행(협의사항)
◎ 가격- 1,500면/권 기준 500권에 35,000천원 예상
◎ 구족보 복사본과 원고지는 우송
나. 족보 제작에 관한 협의사항
1) 집안대표자 지정-각 소종별, 대표자 지정(8촌이내
당내간 대표자를 지정하여 신속하
고 원만하게 진행코저 함)
가) 대표자 교육 및 명부 작성
① 대표자 교육- 족보 편찬과정, 원고지 작성법 교육
교육방법: 일괄교육, 개별접촉, 전화답변
② 대표자 명부작성- 주소, 성명 전화번호 기입
③ 대표자 임무- 족보 원고작성 교육, 확인, 검사 및 오 탈
자 수정, 수단, 수금
2) 족보 제작위원 결성
가) 각 파별 대표로 지정
나) 자료의 취합, 편집, 확인, 오탈자 수정 및 교정
다) 수단 결정(징수 납부) 원고지 배부시 수단납부
3) 수금 및 지출
가) 수납구좌 개설 및 취급자 지정
나) 명하전(어른8,000원 아이5,000원) 사전 대표에게
다) 수단 받을때(복사 원고지 배부시)
라) 자금 지출-족보제작에 필요한 자금 지출
◎임대료, 수당, 비품,사무용품, 출장비등 협의 기타잡비
4) 족보 제작시 참고사항
가) 구 족보에서 오자(誤字), 탈자(脫字) 수정- 복사된 구족보에 서 오, 탈자된 부분에 붉은 원을 그리고 그 옆공간에 수정함
나) 구 족보 발행후 사망하였거나 출생, 또는 구 족보에서 누락되 었을때- 배부한 원고지에 좌측 상단에 구 족보에 기재된 해당 면 수를 기재하고 삽입할 내용을 적는다.(별지 참조)
다) 돌림자(행렬) 표기방법(구 족보 서문 68면 참조)
19세- ○善. 20세- 永○. 21세- ○秀. 22세- 炳(然)○.
23세- ○在. 24세- 鎭○. 25세- ○源. 26세- 榮○
5) 기타 토의사항
가) 각종장부 및 부속명세서 비치
나) 임시 사무실 설치여부-제천 송학 금성 등 분사무실 설치여부
다) 족보지급시 명세장부 비치
◎도서관외 기타 수급처
◎ 개인지급관계(수금 기록 여부 기제)
참고 사항
1. 족보의 간행과정
☆ 족보를 간행하고자 계획을 세우면 먼저 족보편찬위원회를 구성하여 종친들의 분포사항을 파악하고, 이를 널리 알려 일가의 호응을 얻어야 한다.
☆ 편찬위원회의 구성이 끝나면 편집에 관한 모든사항을 논의 결정하여 지방조직을 통하여 收單(수단= 명단을 받음)을 하고 원고를 정리하여 출판사에 의뢰하여 간행하게 된다.
2. 족보의 형태
☆ 각 족보마다 그 형태를 달리하고있어 定說((정설)로 내세우기는 어려우나 대략 행용줄보라 일컫는 縱譜(종보)와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橫間譜(횡간보)가 있다.
☆ 이 횡간보 방식은 5代를 1疊(첩)으로 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지면은 6칸으로 꾸미는 것이 보통이다.
☆ 그러나 사정에 따라 5칸이나 요즈음은 7-8칸 이상으로 꾸미거나그 이상으로 하는 방법도 생겨났다.
☆ 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기존의 족보가 보기에 불편하여, 현대 감각에 맞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시 되고 있는데 인터넷족보, 비디오족보, cd롬족보 등 새로운 형태의 족보가 나오고 있다.
3. 족보의 상식
☆ 世(세)와 代(대)- 始祖(시조)를 1世(세)로 하여 아래로 내려 갈 경우에는 世(세)라 하고(내림차순), 자신을 빼고 아버지를 1代 (대)로 하여 올라가며 계산하는 것을 代(대)라 한다.(오름차순)
☆ 또한 자기의 조상을 몇代祖(대조) 할아버지라고 하고, 자신은 시조 또는 어느 조상으로부터 몇世孫(세손)이라고 한다.
4. 항렬과 항렬자
☆ 항렬(=行列행렬)이란 같은 혈족사이의 世系(세계)의 위치를 분명히 하기 위한 문중율법이며, 항렬자(行列字)란 이름자 중에 한 글자를 공통적으로 사용하여 같은 혈족, 같은 세대임을 나타내는 글자로서 돌림자라고도 한다.
☆ 선조들은 자손들의 항렬자를 만드는 배합법까지를 미리 정해 놓아 후손들이 그 것을 따르도록 해 놓았다.
☆ 항렬은 그 家門(가문)과 派(파)마다 각기 다르나 대략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항렬자를 정한다.
○ 五行相生法(오행상생법)으로 쓰는 경우: 오행의 기본인 金, 水. 木, 火, 土,(금, 수, 목, 화, 토)가 포함된 글자를 변으로 하여 앞, 뒤 이름자를 번갈아 쓰는 경우인데 이를 가장 많이 따른다.
○ 그 외에 十干(십간)순으로 쓰는 경우, 十二支(십이지)순으로 쓰는 경우, 숫자를 포함시키는 경우 등이 있다.
5. 後嗣(후사)와 養子
☆ 後嗣(후사)란 뒤를 잇는다는 뜻으로, 系代(계대)를 잇는 자손을 말한다.
☆ 만약 系代(계대)를 이을 後嗣(후사)가 없는 경우에는 “无后(무후)”, “養子(양자)”로 出系(출계) 하였을 경우에는 “出后(출후)”, 庶(서=첩의 자손)로서 入嫡(입적=적자로 들어옴)되었을 경우에는 “承嫡(서자가 적자가 됨)”, 그리고 후사가 확실치 않아 확인 할 수 없을때에는 “後不傳(후부전)” 등으로 그 사유를 譜牒(보첩)의 이름자 및에 작은 글씨로 표시한다.
6. 單字(단자)란?
☆ 孫錄(손록)에 올릴 사람의 派系(파계)와 이름, 자녀이름, 생년월일, 학력, 관직, 사위와 외손, 墓所(묘소)위치 등을 기록하는데, 舊譜(구보)와 비교하여 지난번 修補(수보) 이후 출생한자, 변동사항, 誤脫字(오탈자) 확인과 사망한 분은 卒年月日(졸년월일)을 기록하고, 미혼자가 결혼했으면 배우자를 기록한다. 배우자는 성명, 생년월일, 본관 父(부)의 성함을 기록한다.
7. 족보의 구성순서
☆ 족보편찬위원회에서 의결한 譜規(보규)에 따르나 순서가 정해지지 않으면 다음 순서에 따른다.
① 序文(서문)
② 影幀과 遺蹟(영정과 유적)
③ 世系圖表(세계도표)
④ 墓所圖(묘소도)
⑤ 得姓(득성). 得貫(득관)世傳錄(세전록)과 貫鄕(관향)체명록-始祖(시조)의 발상과 득성, 득관의 유래를 서문에 상세히 기록하지만 따로 득성관과 본관의 연유를 수록하고, 시조의 故鄕(고향)인 지명이 과거에서부터 현재까지 변화해온 연혁을 연대별로 기록해두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