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tivities of Daily Living : ADL
1.ADL 과 I-ADL
▶ ADL : 자신의 몸을 관리하기 위한 기본적 일상생활활동 = 기본적 기술요구
▶ I-ADL :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활동으로 복장, 선택적으로 수행가능
일상생활활동과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
Activities of daily living : ADL |
Inst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 IADL |
? 목욕/샤워 |
? 타인 관리하기 |
? 대?소변 관리 |
? 애완동물 기르기 |
? 옷 입기 |
? 자녀양육 |
? 먹기 |
? 의사소통 기구사용 |
? 음식 가져가기 |
? 지역사회 이동 |
? 기능적인 이동 |
? 재정관리 |
? 개인용품관리 |
? 건강관리 및 유지 |
? 개인위생 및 몸단장 |
? 가정 확립 및 관리 |
? 성생활 |
? 식사준비 및 설거지 |
? 수면/휴식 |
? 안전조치 및 긴급 상황 대처 |
? 화장실 위생 |
? 쇼핑 |
2.수행영역 평가
?Top-down approach : 고위중추가 하위중추를 조절하는 방식
⇒환자의 작업력과 흥미를 이해하기 위한 평가과제 사용
?Bottom-up approach : 특정한 수행구성 요소에서 문제를 찾아내는데 초점을 맞춤.
3.평가와 훈련 시 고려사항
① 신체적(Strength, ROM, Coordination, Sensation, Balance)
② 지각 + 인지기능
③ 환경적
④ 제정적
4.평가도구
Activities of daily living : ADL 평가도구 |
①Modified Barthel Index (FIM) |
목적 |
? 신체적 손상과 관련된 장애를 측정하고자 개발되었으며(1993) 의료 재활시스템에서 많이 활용됨
? 일상생활능력을 평가하는 기존 도구보다 의사소통과 인지기능측면에서 포괄적인 내용을 담고 있음. |
평가대상 |
? 성인 |
구성 |
? FIM평가용지 |
방법 |
? 직접적인 관찰과 면담을 통해 과제 수행을 위해 필요한 도움의 양, 형태를 기준으로 점수를 결정 |
②Modified Barthel Index (MBI) |
목적 |
? Mahoney 와 Barthel(1965)이 만성질환자의 일상생활자립도를 알아보기 위해 개발한 평가도구로 1989년 민감도를 높여 개정. |
대상 |
? 만성질환자 |
구성 |
? MBI 평가기록지 |
평가방법 |
?직접적인 관찰과 면접
?의존정도를 평가
-완전독립, 약간의 도움, 중간정도의 도움, 많은 도움, 완전의존
-점수배점을 중요도에 따라 설정.
?평가항목
-10개 항목을 다섯 단계로 평가하며 총점은 100점임. |
③Kenny Self-care Eval!uation |
목적 |
?병원에 입원한 노인환자를 평가하기 위하여 개발된 도구 |
대상자 |
?노인환자 |
평가방법 |
?17개의 항목을 6영역(Bed mobility, transfer, locomotion, dressing, personal hygiene, feeding)
?각 항목별 점수는 0~4점
-0은 의존적
-4는 독립적임 |
④Katz index of ADL |
목적 |
?다발성 경화증, 고관절 골절, 뇌졸중 등의 환자들을 기초로 하여 개발 |
구성 |
?총 6 영역(dressing, feeding, bathing, going to toilet, transferring, continence)으로 구성 |
⑤척수 독립성 지수Ⅲ (Spinal cord independence measureⅢ :SCIMⅢ) |
목적 |
?척수손상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 평가 |
구성 |
?SCIMⅢ 평가기록지 |
평가방법 |
?직접적인 관찰과 면접을 통해 측정함
?평가항목
-척수손상 환자에게 중요한 17가지 항목을 평가하며 기능의 중요성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함. |
Inst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 IADL 평가도구 |
⑥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 (AMPS) |
목적 |
?기본적?수단적 일상생활의 수행 시 어려움을 유발하는 운동과 처리기술을 파악함
?일상생활활동의 자립도를 예측 |
대상 |
?3세 이상 모든 대상자
?질환과 진단명에 관계없이 적용 가능함 |
구성 |
?AMPS에서 수행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한 공간, 도구, 재료
?AMPS 평가용지
?AMPS 컴퓨터 점수화를 위한 소프트웨어 |
⑦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캐나다 작업수행측정 : COPM) |
목적 |
?작업수행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클라이언트의 우선순위를 결정
-작업수행의 중요도, 수행도, 만족도 평가
?치료를 통한 클라이언트의 작업수행에 대한 인식 변화를 측정함 |
대상 |
?모든 질환, 모든 연령대(아동의 경우 내담자)의 클라이언트에게 적용 가능 |
구성 |
?COPM 평가용지, 중요도?수행도?만족도 평가 척도표 |
평가방법 |
?4단계의 평가 과정 : 현재의 문제결정/우선순위(중요도)결정/점수화/재평가
①문제결정 : 인터뷰를 통해 자기관리, 생산적 활동, 여가 영역에서 해보고 싶었거나 해 볼 필요가 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질문 하고 기록
②중요도 평점 : 평점카드를 제시하고 클라이언트가 언급한 활동이 얼마나중요한지를 1부터 10까지 고르도록 함
③점수화 : 위 평점을 바탕으로 가장 중요한 5가지 문제를 확인하여 순서대로 기입하고 각 문제에 대한 현재 수행정도와 만족도를 평점카드를 이용하여 고르도록 함
④재평가 : 이후, 수행도와 만족도의 변화를 재평가 시 점수에서 초기 평가 점수를 감산하여 산출함
?반구조화된 면담 방법으로 실시
?소요시간 : 약 30분 소요 |
⑧Kohlman eval!ution of living sklls (KELS) 3rd edition |
목적/구성 |
?linda kohlman thomas에 의해제작, 면접과 환자의 수행 능력을 모두 관찰하여 평가
?정신과에 단기간 입원한 청소년 및 성인 입원환자를 위해 제작되었으나 현재 정신지체, 노인, 뇌손상, 인지손상 환자에게 널리 사용
?5영역(self-care. safety and health, memory management, transpotaion and telephone, work and leisure)의 17개 항목으로 기본적 일상생활과 지역사회 이용능력으로 구성 |
⑨Kitchen Task assessment(KTA) |
목적/구성/대상자 |
?KTA는 Baum 등에 의해 개발된 평가도구로 부엌에서 일어나는 과제를 통하여 조직화능력, 계획능력, 판단기술 등을 평가
?간단한 음식 만들기를 통하여 6개의 하위영역인 시작, 조직력, 수행능력, 적절한 순서, 판단과 안전, 완성 능력을 평가
?평가소요 시간은 약15분 정도
?치매를 동반한 노인에게 적당 |
5.levels of independence
?Independent : 정상적이거나 거의 정상적인 속도에서 보조도구를 사용하거나 또는 사용하 지 않고 도움 없이 활동들을 수행
?Supervised : 혼자 수행할 수 있으나 안전을 위해 누군가를 필요로 함
?Minimal assistance : 감독?감시 또는 20%이하 신체적 도움 필요 (80%혼자 수행 가능)
?Moderate assistance : 감독?감시 또는 20-50%이하 신체적 도움 필요 (50%혼자 수행 가능)
?Maximal assistance : 감독?감시 또는 50-80%이하 신체적 도움 필요 (20%혼자 수행 가 능)
?Dependent : 거의 독립적으로 수행하지 못하거나 활동의 한 단계 또는 두 단계를 수행하여 정밀한 도구와 기구를 포함. 80%이상 신체적 도움 필요
6. I-ADL
?Home management assessment : 퇴원 전
-목적 : 살고 있는 환경에서 최대 독립성을 알아보기 위함
?Home assessment : 퇴원 후
- 가정평가는 생활환경에서 환자 최대의 독립성을 촉진시키기 위하 여 수행
?Changes
①집 출입구에 경사로 또는 레일 설치
②작은 양탄자, 필요 없는 가구, 장식품 제거 ⇒ 걸려 넘어지거나 다치지 않게 하기 위함
③문턱제거
④화장실과 욕조 주위에 안전을 위한 손잡이 설치
⑤ 의자차가 다닐 수 있도록 가구 재배치
⑥주방 찬장(수납장)의 재정리
⑦옷장의 옷걸이 낮추기
?Financial management 재정관리 : cognitive and perceptual ⇒ 정확한 인지, 지각기능 평가 (가계부)
?Community mobility 지역사회 이동성
-지역사회에서 피로감 없이 이동하기 위한 지구력을 가지고 있는지 아닌지
-가정환경 안에서 필요로 하는 보행기, 지팡이, 목발 또는 의자차를 사용하는 기술과 이 동을 독립적으로 할 수 있는지 없는지
-인지적 기술은 환자에게 지리적 ?지남력 요구
? Health management & maintenance
-Medications ⇒ "약관리"
-의학적 상태를 이해하는 환자의 능력과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결정을 내리는 것이 포함
7.ADL 과 I-ADL
?독립성의 가능성을 기초로 적합한 장 ?단기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
?자기관리 활동 훈련 = 식사하기, 신변처리, 대 ?소변 조절, 이동 기술, 대 ?소변 처리, 옷 벗기/입기 , 목욕하기
?치료사는 환자에게 활동을 수행할 때의 가능한 방법과 도움을 줄 수 있는 보조도구의 사 용에 관하여 설명
-간단 ? 복잡하게 (훈련시킴)
간단 : 식사
복작 : 목욕하기 등
?일상생활활동을 가르치는 방법
-“backward chaining” : 치료사는 환자가 과정의 마지막 단계까지 도달하도록 도움
-치료사는 수행되는 과제와 과제 수행에서 사용될 수 있는 특별한 방법과 보조도구에 대하여 친숙해야 함
? 일상생활활동 수행의 진전기록
-환자의 능력과 현재의 독립정도에서의 변화를 요약, 환자에 대한 앞으로의 목표 또한 추정하여 요약
?보조적기술 및 적용가능 도구
-환자의 기능적인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 변형된 아이템, 도구, 시스템 제품 등
?신체적 손상의 종류
①제한된 ROM & 근력을 가진 사람을 위한 ADL
②협응운동 실조증을 가진 사람을 위한ADL
③편마비 또는 한쪽 상지만 사용 가능한 사람을 위한ADL
④하지마비를 가진 사람을 위한ADL
⑤사지마비를 가진 사람을 위한ADL
⑥약시를 가진 사람을 위한AD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