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덩 ~ | 덩 ~ | 쿵 ~ | 따 쿵 |
당악 (뛸 때 ) 진 가락, 자진모리 (기본장단) 약간 빠르게
덩 | 덩 | 덩 | 따 쿵 | 덩 | 덩 | 덩 | 따 쿵 |
당악 (뛸 때 ) 진 가락, 자진모리 (가락장단)
덩 | 따 쿵 | 덩 | 따 쿵 |
덩 따 | 쿵 따 | 덩 | 따 쿵 |
덩 | 따다다 | 덩 | 따 쿵 |
더 덩 | 더 덩 | 덩 | 따 쿵 |
상산거리 (절하거나 잔 올릴 때)
덩 ~ | 쿵 ~ | 따 ~ | 쿵 ~ | 따르르 | 르르르 | 쿵 ~ | ~ |
별상거리 (장군 거성이나, 장군사슬)
덩 ~ | 따 따 | 덩 ~ | 따 쿵 | 덩 ~ | 따 따 | 덩 ~ | 따 쿵 |
타 령 (대감타령, 대신타령, 신장타령, 창부타령, 등)
덩 ~ | 덩 ~ | 쿵 ~ | 따다다 | 덩 ~ | 덩 ~ | 쿵 ~ | 따 쿵 |
노래가락 (가락 장단)
덩 ~ | 따 ~ | 쿵 ~ | 따 ~ | 쿵 ~ | 덩 ~ | 따 ~ | 쿵 ~ |
만수받이 (불사, 칠성, 재석, 등) (선창, 후창)
덩 ~ | 덩 | 쿵 | 따 쿵 | 덩 ~ | 덩 | 쿵 | 따 쿵 |
휘모리 (산 바라)
덩 ~ | 덩 ~ | 쿵 ~ | 따 쿵 | 덩 ~ | 덩 ~ | 쿵 ~ | 따 쿵 |
염불타령 장단
덩 ~ | 따 ~ | 쿵 | 따따 | 쿵 | 따따 | 쿵 | 따따 |
부정 장단
덩 ~ | 따 쿵 | 덩 ~ | 따 쿵 | 덩 ~ | 따 쿵 | 덩 ~ | 따 쿵 |
이음세 장단
덩 | 쿵 | 덩 | 쿵 | 덩 | 쿵 | 덩 | 쿵 |
이북 빠른 장구
쿵 | 따따 | 쿵따 | 쿵따 | 쿵 | 따따 | 쿵따 | 쿵따 |
굿거리 2
덩 ~ | 따 | 쿵 | 따 따 | 덩 ~ | 따 | 쿵 | 따 |
자진모리
덩 | 덩 | 덩 따 | 쿵 따 | 덩 | 덩 | 쿵 따 | 쿵 따 |
덩 | 따 | 쿵 | 따 | 쿵 | 따 | 쿵 | 따 |
덩 | 따 | 쿵 | 따 따 | 쿵 | 따 | 쿵 | 따 |
휘모리
덩 | 덩 | 쿵 | 따 쿵 | 덩 | 따 다 | 쿵 | 따 쿵 |
쿵 따 | 쿵 따 | 쿵 따 | 쿵 따 | 따 | 쿵 | 쿵 | 따 쿵 |
따 쿵 | 쿵 따 | 쿵 따 | 쿵 따 | 따 쿵 | 쿵 따 | 쿵 따 | 쿵 따 |
별달거리
덩 | 덩 | 쿵 | 따 쿵 | 쿵 따 | 쿵 따 | 쿵 | 따 쿵 |
쿵 | 따 쿵 | 쿵 | 따 쿵 | 쿵 따 | 쿵 따 | 쿵 | 따 쿵 |
장구의 박자
덩은 양쪽을 같이 치는 것이 덩이다.
쿵은 왼쪽 궁채를 한번 치는 것이 쿵이다.
따는 오른쪽 채편을 한번 치는 것이 따이다.
위의 박자는 무속 굿거리에서 사용되는 장단들이다.
장구장단의 기초를 배우고 나면 손가락에 굳은살이 박히도록 연습을 해야한다.
무엇이든 미치도록 최선을 다하지 않으면 최고가 될 수가 없는 것이다.
첫댓글 가르침을 주셔서 감사합니다._()_
감사합니다.
항상 편안한 나날이 되십시요!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장구는 무속제자라면 누구나 꼭 배워야 하는 과정입니다.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