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여행의 목적지는 아프리카입니다.>

황열(yellow fever)-감염시 20-60%의 치사율을 보이는 무서운 전염병!!!

황열(yellow fever)는 아프리카 여행시 필수예방접종에 해당!!!
-감염성이 있는 모기에 물려서 전염됨, 치명적인 바이러스성 질환(Flavivirus 속의 arbovirus의 일종)
-감염시 초기증상으로 발열, 근육통, 두통, 오한, 오심, 구토등이 발생하며 초기증상을 보인 환자중 15%는 수일후에 다시 발열이 나타나는
두번째 시기를 보이며 황달, 복통, 구토 및 출혈증상이 발생하여 두번째 시기의 증상을 보이는 환자중 50%가 발병 후 2주이내 사망하는 치명적인 질환임
-한번의 예방접종으로 10년간 100% 예방될 수 있는 전염병인 관계로 아프리카등 유행지역 여행시 반듯이 예방접종을 해야함
접종방법
-0.5cc 황열 예방접종(생백신임) 주사를 피하주사
-10년마다 추가접종
-예방접종후 10일 이후에 효과가 나타남, 따라서 아프리카 여행 10일전에는 예방접종을 해야함
예방접종시 주의 및 금기사항
-6개월 미만 영아의 경우 예방접종 금기
-임신: 접종후 3개월간 피임
-심한 알레르기 환자
-면역기능 저하자
어디서 예방접종을 해야하나?
-황열 백신은 수요자가 많지 않고 국내에서 생산이 안 되기 때문에 국가에서 일괄 관리를 하고 있으며. 따라서 인천국제공항 및 항만내 검 역소(서울, 부산, 인천)에서 예방접종 및 접종증명서 발행가능
-예방접종증명서는 접종 10일 후부터 10년까지 유효함
황열예방접종과 관련된 묻고 답하기
Q)황열예방접종과 임신과의 관계가 궁금합니다.
A)황열과 임신은 명확한 상관관계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예방접종 후 3개월 정도는 피임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태아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임신기갖중에는 접종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감염의 우려가 높은 유행지역으로 꼭 여행을 해야 하는 경우에는 최소 임신 6개월 이후에 예방접종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좋다. 이때는 감염의 위험성과 예방접종 후의 태아에 미칠 위험을 비교하여 판단해야 한다. 백신을 접종 받은 경우에는 분만 후 태아에 대한 철저한 감시가 필요하다. 따라서 가장 좋은 방법은 임산부는 황열유행지역으로 여행은 피하는것이 좋다.
Q)황열예방접종을 하면 탈모가 진행된다는데?
A)상관관계가 알려진바 없다.
Q)황열 예방접종이 간기능저하나 신장기능 장애를 가져오지 않나요?
A)안전한 소량의 황열바이러스를 이용한 생백신을 접종받는 것이므로 신장기능이나 간기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Q)당뇨나 고혈압이 있는데 황열예방접종을 해야하나요?
A)당뇨환자나 고혈압환자등 만성질환자의 경우 황열에 감염되면 더 위험해 질 수 있으므로 접종을 해야한다.
Q)감기몸살 기운이 있는데 황열예방접종을 해도 되나?
A)전신적인 발열이 없으면 예방접종도 가능하지만, 가능하면 관련 전문의사의 진찰을 받는 것이 좋다.
Q)아프리카등 여행지 현지 입국시에 황열예방접종 날짜까지 확인하는가?
A)각 국 현지의 사정이 정확히 파악되지 않고 있으며 황열 필수 국가에서는 입국거부 또는 격리 조치가 취해질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10일 이전에 맞는 것이 좋다.
Q)황열 접종을 했는데 너무 심하게 아프고 약을 먹어도 안 듣는데?
A)보통 접종 3~5일 후에 미열, 근육통, 두통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황열바이러스에 대한 항체가 형성되는 시기이므로 접종후 10일 까지도 지속될 수 있다. 하지만 접종 후 10일에는 항체가 형성되기 때문에 거의 대부분 이러한 증상이 소멸되며 그 이 후에도 증상이 계속 될 때는 전문의사의 진찰을 받는 것이 좋다.
Q)황열과 다른 예방접종을 동시에 해도 되나?
A) 생백신과 생백신은 3주 간격을 두거나 간격을 둘 수 없을 때는 동시 접종을 하는 것이 항체 형성률에 영향을 덜 미친다.
특히 콜레라의 경우는 황열예방주사와 2-3주이상의 간격을 두고 접종받을 것을 권고하고 있다.
사백신과 황열백신은 접종간격에 상관없이 투여가능하다.
-생백신 : 수두 BCG MMR 장티푸스(경구용) 소아마비(경구용) 콜레라
-사백신 : A,B형 간염 DPT 소아마비(주사용) 폐구균 일본뇌염(생백신도 있음) 인플루엔자
-황열예방접종과 상호작용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예방접종: 장티프스, 페스트, 광견병, 일본뇌염
<기타 참고할 만한 사항>
황열예방접종
○ 사전예약제(전화예약)로 운영
○ 접종일시 : 월~금(09:00~17:30) - 중식시간(12:00~13:00)
○ 접종장소 : 해외여행질병정보센터
- 인천공항여객터미널 밀레니엄홀 2층 누드엘리베이터 앞
○ 지참물 : 여권 또는 여권사본
○ 접종료 : 황열 15,000원
황열 예방접종은 전국 검역소 및 국립의료원에서 가능합니다.
○ 전국 검역소
○ 국립의료원
- 예방접종비용은 16,000원+5,000원(접종수수료)=21,000원
- 전화번호 : 02-2262-4833(4) 고객지원팀
Posted by Yourdo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