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편마암은 변성 지대의 주요암석으로 평행하고 약간 불규칙한 띠를 갖는 암석으로 많은 양의 석영과 장석을 함유한다. 면을 따라서 잘 쪼개지지 않는 경향이 있다. 띠는 암석 속의 광물들이 서로 다른 비율로 존재하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어두운 색과 밝은 색 광물들이 분리되어 있으며 번갈아 나타난다.
편마암은 원래 암석의 화학적 구성, 변성시의 온도와 압력, 등의 복잡한 상호작용으로 생성된다.
편마암은 구성광물, 이론적인 형성과정, 화학조성, 원물질에 따라 화성암의 변성작용으로 형성된 정편마암, 퇴적암의 변성작용에서 생성된 준편마암, 막대 모양의 광물들을 함유한 연필편마암, 눈 모양의 석영을 함유한 안구상 편마암으로 나뉜다.
편마암 ⓒ Fokin Oleg/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편암
편마암은 중립질 또는 조립질이며, 암석기재학자들이 주성분으로 간주하는 많은 양의 석영과 장석을 함유한다. 띠는 일반적으로 각각의 띠 내의 광물들이 서로 다른 비율로 존재하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유색(어두운 색)과 무색(밝은 색) 광물들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밝고 어두운 색 띠들이 서로 교호하며 나타난다. 편마암의 광물조성은 원암의 화학조성, 변성작용의 온도와 압력, 화학성분의 첨가와 손실 등의 복잡한 상호작용의 결과이다.
편마암은 광범위한 변성대지를 덮고 있는 주요암석이다. 띠는 지표에 거의 평행하게 배열되거나(수평 경사), 급경사로 경사져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배열은 암석이 형성되는 동안 작용한 지배적인 응력에 의한 것이라고 해석되지만, 암석이 변성작용을 받기 전에 원래 있던 것일 수도 있다.
편마암은 구성광물, 이론적인 형성과정, 화학조성, 원물질에 근거해 분류할 수 있다. 정편마암은 화성암의 변성작용에 의해 형성된 것이고, 준편마암은 퇴적암의 변성작용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연필편마암은 막대 모양의 독립된 광물들 또는 분결된 광물들을 함유하고 있다. 안구상 편마암은 암석 내에 산포되어 있는 짧고 도톰한 눈 모양을 닮은 장석과 석영을 함유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변성작용의 산물로서 형성된 편마암의 감별은 용이하지만, 몇몇 1차 편마암은 점성이 크고 부분적으로 결정화된 마그마의 유동에 의해 형성되기도 한다. 일부 지역에서는 편마암이 측방으로 전형적인 화성기원의 화강암 특성을 지닌 화강암질암으로 점이된다. 이런 양상은 일부 암석학자들이, 많은 화강암체의 발달이 변성과정(화강암화작용)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하게 된 주요요인들 가운데 하나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암석의 이름 : 편마암
암석의 특징 : 검은색 줄무늬가 있으면, 약간 굴곡이 있다. 검고 흰 줄무늬가 번갈아 나타나 있다.
암석이 변성하기 전 : 화강암
알갱이의 크기 : 대체적으로 알갱이는 크다.
편마암에 줄무늬가 생긴 원인 : 편마암에는 원래 큰 점이 있었는데, 지구 내부의 암력을 받아 펴져서 줄무늬가 된 것이다.
산성용액의 반응 : 편마암은 산성용액에는 녹지 않는다.
편마암이 쓰이는 곳 : 줄무늬가 아름다워서 정원석에 사용을 한다.
편마암의 단단하기 : 편마암은 단단합니다.
편마암의 겉표면 느낌 : 거칠거칠 하고 울퉁불퉁하다.
클릭하시면 원본이미지로 볼 수 있습니다.

반상변정질 편마암(Porphyroblastic Gneiss)
출토지 : 충청북도 단양군
1. 정의 : 퇴적암(셰일) 또는 화성암이 높은 압력과 열의 작용으로 재결정작용을 받아 변성된 광역변성암
2. 형태 및 특징 : 편마구조를 가지며 무색광물이 마치 목화모양의 반정(斑晶)을 가짐
유색광물 : 흑운모, 각섬석, 휘석
무색광물 : 장석, 석영
3. 이용 : 건축재, 정원석, 축대

안구상 편마암
출토지 : 경기도 수원시
1. 정의 : 퇴적암(셰일) 또는 화성암이 높은 압력과 열의 작용을 받아 변성된 광역 변성암
2. 형태 및 특징 : 편마구조를 가지며 무색광물이 마치 눈모양의 반정을 가짐.
유색광물 : 흑운모, 각섬석, 휘석 등
무색광물 : 장석, 석영
3. 이용 : 정원석, 축대

안구상 편마암(Augen Gneiss)
출토지 : 전라남도 광양시
1. 정의 : 편마암의 일종
2. 형태 및 특징 : 안구편마암이라고도 한다. 비교적 균일한 입도의 기지 안에 렌즈 모양의 큰 결정을 가진 것이다. 대형 결정은 렌즈 모양으로 편리방향에 뻗치고 있으므로, ‘안구’라는 이름이 붙었다. 대형 결정은 석영, 사장석, 정장석 등이며, 때로는 하나의 결정이 아니라 작은 결정의 집합일 경우도 있다. 칼륨장석은 담홍색을 나타내는 미사장석이다.

호상 편마암
출토지 : 충청북도 제천시
1. 정의 : 셰일, 현무암 또는 흑운모 편암이 높은 압력과 열의 작용으로 재결정작용을 받아 변성된 광역 변성암
2. 형태 및 특징 : 뚜렷한 편마구조(유색, 무색광물이 재배열)를 가진다.
유색광물 : 흑운모, 각섬석, 휘석 등
무색광물 : 장석, 석영
3. 이용 : 정원석, 축대

화강 편마암
출토지 : 경상북도 문경시
1. 정의 : 화강암(granite)이 높은 압력과 열의 작용으로 재결정작용을 받아 변성된 광역 변성암
2. 형태 및 특징 : 편마구조를 가지며 조립질의 조직을 가진다.
유색광물 : 흑운모, 각섬석, 휘석
무색광물 : 장석, 석영
3. 이용 : 정원석, 축대

흑운모 편마암
출토지 : 경기도 용인시
1. 정의 : 원암이 높은 압력과 열의 작용으로 재결정작용을 받아 퇴적암(셰일) 또는 불연속적인 편마구조(유색광물과 무색광물 재배열)를 가지며 흑운모 다량 함유
2. 이용 : 정원석, 축대

흑운모 편마암(Biotite Gneiss)
출토지 : 충청남도 아산시
1. 정의 : 변성암의 일종으로 호상구조는 뚜렷하지만 편리가 약하고 중립~조립(화강암정도의 거칠기)인 암석의 총칭
관련사이트 : 태백석탄박물관 http://www.coalmuseum.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