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모리 산성 (포천시)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고모산 꼭대기를 둘러싸는 산성이다. 이곳에서는 포천에서 서울 쪽으로 침
입하는 적을 통제할 수 있어 성을 쌓았을 것으로 보인다. 면적은 약 87,938㎡이며 내성과 외성으로
나뉘어 있으며 성의 둘레는 내성이 약 967m, 외성이 약 240m이고 남북으로 긴 직사각형이다.
성벽은 대개 흙으로 쌓았지만, 흙과 돌을 함께 사용해 쌓았을 것으로 보이는 흔적이 발견되었다.
성 안에서 출토된 유물은 경질무문토기와 3~5세기 백제 토기가 주류이며 성 안에서 출토된 유출
로 성의 축성 시기와 축성 방법을 짐작할 수 있는 백제의 산성이다.
고봉산성 (고양시)
<고봉산 풍경>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석성동 평야지대에 있는 고봉산 9부능선에 축조된 테뫼식 석축 산성이며
남북이 긴 동쪽과 남쪽 성벽 일부가 노출되어 있다.
주로 30 - 40cm 크기의 장방형의 돌을 사용하여 바르게 층을 쌓았으며 일부분에는 쐐기돌을 사용
한 흔적도 있다.
성의 남서쪽에는 치성이 남아있으며 성의 폭은 약 10m 가량이며 바깥 쪽으로는 15 - 20m 크기의
반원형 평탄지가 조성되어 있다. 성의 주변의 경질 토기와 기와의 특징으로 봐서 통일신라시대의 성
으로 추측된다.
고성산보루 (연천군)
경기도 연천군 왕징면 무등리(無等里) 산12 주변의 해발 150m의 고성산(高城山) 정상부에 있는
보루(堡壘)이다.
조선시대의 자료를 포함하여 일제시대 조사 보고서에도 전혀 보고되지 않았던 새로운 유적으로 1
995년 《향토사료집》에 처음으로 보고되었으며, 조사 결과 고려시대 이전의 봉수대로 추정된다.
형태는 돌로 지어진 원모양이며 내부 바닥에 사각형에 가까운 깊이 1.8m 정도의 함몰부가 형성되
어 있고 조롱박 자루모양의 좁은 통로가 개설되어 있다. 둘레는 약 30m 이고 전체적으로 완만한 경
사를 이루고 있다. 군사 시설물에 의하여 중심부의 상당 부분이 훼손되었다.
출토 유물로는 황살색의 연질(軟質)인 토기조각이 있는데 전체적인 특징을 고려할 때 고구려토기
로 추정된다.
고장산보루군 (양주시)
경기도 양주시 덕계동 고장산에 있는 삼국 시대의 보루로 적을 방어하기 위해 전략적 요새지를 중
심으로 흙과 돌 등의 재료를 견고하게 쌓은 구축물로 제1보루와 제2보루로 구성되어 있다.
백제 시대 것으로 보이는 갈색 연질 토기 조각들이 나오고 있어 삼국 시대의 보루로 보고 있다.
한강 유역의 쟁탈과 관련하여 당시 양주 지역은 중요한 관문이었으므로 적을 방어하기 위한 성과
보루 등의 군사 시설이 필요하였고, 이에 따라 고장산에 보루를 설치하게 되었다. 쪽 봉우리 정상부
와 고장산 주봉 정상부에 각각 제1보루와 제2보루가 자리한다. 제2보루는 제1보루와 북쪽으로 250
m 정도 떨어져 있다. 제1보루에서는 북동쪽 방향의 독바위 보루와 북서~남동 방향의 청담천을 볼
수 있다.
양주시의 고장산은 천보산맥 회암분지 중간에 해당하며, 전략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뻗어 있다. 따
라서 고장산 보루군은 적의 이동을 살피고 방어 공격에 유용한 위치에 있었다.
보루의 둘레는 약 21m 정도로 소형의 석축 보루이다.
분은 토사에 덮여 있으며, 부분적으로 30~40㎝ 정도 활석(滑石)이 나와 있다. 제1보루에서 회청색
경질 토기 조각 약간이 확인되었다. 제2보루의 원토층 일부에서는 삼국 시대 토기로 여겨지는 갈색
연질 토기 조각이 발견되었다.
산 보루군은 삼국 시대 전략적 요충지였던 양주 지역의 방어 체계를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유적이
다.
광동리보루 (연천군)
<광동리의 산>
경기도 연천군 미산면 광동리(廣洞里)에 있는 높이 179m인 봉화재 정상에 있는 보루(堡壘)이다. 6
·25전쟁 이후 군부대가 진지(陣地)를 지으면서 유적 주변의 많은 석재(石材)를 옮겨가 현재는 아무
런 흔적도 남아있지 않아서 축조시기를 알 수가 없다.
광주산성성 (광주시)
자료미수집
국사봉보루 (남양주시)
도 남양주시 별내면(別內面) 수락산(水落山)의 동쪽 지봉인 해발 331m인 국사봉의 정상부에 있는
보루성으로, 전체 둘레는 103m 정도이고 형태는 긴 타원형이다. 동벽은 높이 10m정도로 노출된 암
벽을 그대로 활용하고 있으며, 현재 서쪽부분과 남동쪽에 석축(石築) 성벽의 일부가 남아있다. 서쪽
부분의 성벽은 높이 50cm, 길이 5m 정도이며, 35~45cm의 깬돌을 쌓아 만들었기 때문에 열이 고르
지 못하다.
쪽의 성벽은 현재 4단이 남아 있으며 높이 60cm, 길이 420cm정도로 한쪽면만 다듬은 화강암을
이용하였다.
짧은 목 항아리와 눌러 찍은 무늬토기 등 신라시대 토기류가 주로 발견되어, 신라시대 성으로 추정
된다.
흙을 빚어 맞든 말의 조각이 발견된 것을 미루어 무속신앙과 관련된 지역임을 추측할 수 있다.
국수봉산성 (광주시)
시 초월읍 지월리 일대의 국수봉 정상부(206m)를 둘러싸고 있는 테뫼식 산성과 산성 주변의 초기
철기시대 유물 분포지로 구성되어 있다.
의 잔존 둘레는 약 250m 정도이며, 나머지 구간의 석축들은 대부분 유실되었다. 산성의 내부에는
저수조, 망루, 봉수터[烽燧址] 등이 조사되었다. 저수조는 깊이가 약 50㎝이고, 폭은 250㎝이며, 깬
돌[割石]을 5단 정도 쌓아올려서 조성하였다. 그리고 망루와 봉수터는 산성의 서쪽 끝부문에 위치
하고 있다.
산성은 망루와 봉수지에서 북쪽으로 광주시내와 남한산성 일대가 한 눈에 들어오며, 광주시내와
경안천을 전망할 수 있는 지형과 지세를 갖추고 있다. 국수봉산성은 잔존 규모를 감안할 때 그렇게
많은 수의 군대가 주둔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추지 못하였다.
유적에서 조사된 초기철기시대의 유물은 국수봉산성의 남쪽 출입구 능선에서 등산로를 따라 약 1
00m 지점에서 수습되었다. 이곳에서 조사된 유물은 쇠뿔모양손잡이[牛角形把手] 1점과 토기조각
3점이 수습되었다.
봉 유적에서 수습된 초기철기시대 유물은 한강 지류인 경안천을 중심으로 한 광주시 일대에서 확
인되었다. 이러한 사실을 통해서 이 유적이 초기백제 성장 거점의 배후 지역에 대한 문화적 성격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고고학적 자료를 제공한다고 평가된다.
군자산성 (시흥시)
경기도 시흥시 군자동(君子洞)에 있는 삼국시대~조선시대의 산성(山城)으로 해발 187m의 군자산
(君子山) 정상부에 있다. 머리띠식으로 둘러 쌓은 석축이며, 현재 대부분이 흙으로 덮여 있어 그 흔
적이 뚜렷하지 않다.
문화유적총람(文化遺蹟總攬)등의 문헌에 관련 기록이 남아 있으며, 관련 기록으로 보아 삼국시대
에서 조선시대까지 사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능선의 비탈면에 높이 1.5m, 길이 10m 정도의 석
축 일부가 남아있다. 삼국시대의 것으로 판단되는 기와 조각과 회청색 경질의 토기 조각, 백제의 타
날문이 시문된 토기류 등이 채집되었다.
금강산성 (안성시)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연내동길 금광산성은 금광산 8부 능선에서 정상에 걸쳐 총연장 2km, 높이 1
∼3m, 폭 4m로 축조된 토석잡축의 원추형토성이다. 능선을 따라 정상에 이르는 요소 요소에는 토치
카형의 토성흔적이 역연하며 이 성이 방어용 군사요새임을 실감케 한다. 산성의 정상에 오르면 정동
향으로 금광면 옥정리와 금광·마둔 저수지가 눈 아래 들어오고, 동남향 10km 지점에는 임진왜란때
의병장 홍계남이 활약하던 서운산성, 서북방면 5km 지점에는 비봉산성이 펼쳐져 있다.
서운·비봉의 두 산성과 기각지세를 이루는 이 산성은 옛부터 삼남을 방어하는 전략적 요충이자 한
성방어의 전초기지로서 그 위치의 중요성이 강조되어 왔다. 예컨데 이인좌의 반란군이 이 산성에 매
복하고 있던 도순무사 오명항 의관에 의해 이 부근에서 대패한 사실도 그러한 예라 할 것이다. 금광
산성의 축조연대에 대해서는 아군직 정설이 없다.
조선 인조 14년(1636) 병자호란때 남하하는 청군을 막기위해 쌓았다는 설과 영조 4년(1728) 이인
좌의 반란군을 토벌하기 위해 도순무사 오명항이 주민을 동원해 쌓았다는 두 설이 있으나 확실하지
않다. 현재 산정부 동남 방향 1,000m 부분은, 능선에 따라 경사가 심한 곳은 10m의 석축으로, 나머
지 부분은 흙으로 쌓았음이 확인될 뿐이다.
기산리보루 (양주시)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기산리 보루(基山里堡壘)는꾀꼬리봉 고갯마루 턱에서 서쪽 능선 2.5㎞에 위
치하는 높이 530m의 봉우리 정상부에 있다.
보루, 혹은 보루성은 적의 이동 상황 등을 관찰하기에 용이하도록 주변보다 높은 구릉, 산의 정상
부에 위치하고 있다. .
보루의 평면 형태는 타원형이며, 전체 둘레는 약 63.5m로 적은 규모이다. 성 내부 북쪽에는 집수
시설로 추정되는 구덩이가 있다. 성벽은 산의 정상부 둘레를 돌로 쌓았는데, 폭 3~4m 정도이고, 성
벽의 안쪽은 그보다 2~3m 정도 높게 축조하였다. 성벽의 기단은 암반 위에 그대로 쌓았으며, 윗단
과 아래 단은 성벽 표면석과 뒤채움돌을 맞물려 쌓았다. 이 때문에 기산리 보루는 신라계 성으로 추
정되고 있다. 현재 남아있는 동쪽의 성벽은 길이 13m, 높이 4m이다. 성 서쪽에도 길이 4m, 높이 1
m의 석축이 있다.
기산리 보루에서는 삼국~고려 시대의 경질 토기와 기와편 등이 일부 발견된다. 인근에는 기산저수
지가 자리하고 있다.
삼국 시대 신라·고구려·백제의 각축장이었던 양주 일대에 세워진 기산리 보루는 적들의 움직임을
관찰하고 공격을 수행하기 수월한 입지 조건을 갖고있었다 하겠다.
남한산성 (광주시)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산성리 흔히 북한산성(北漢山城)과 함께 조선의 도성인 한양의 방어를
위하여 쌓은 산성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의 발굴조사 결과, 8세기 중반에 조성된 성벽과 건
물터 등이 확인되어, 신라 주장성(晝長城)의 옛터였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조선시대 남한산성은 주봉인 해발 497.9m의 청량산을 중심으로 북쪽으로는 연주봉(467.6m), 동
쪽으로는 망월봉(502m)과 벌봉(515m), 남쪽으로도 여러 봉우리를 연결하여 성벽을 쌓았다. 성벽의
바깥쪽은 경사가 급한데 비해 안쪽은 경사가 완만하여, 방어에 유리하면서도 적의 접근은 어려운 편
이다. 봉암성(蜂巖城), 한봉성(漢峰城), 신남성(新南城) 등 3개의 외성과 5개의 옹성도 함께 연결되
어 견고한 방어망을 구축하였다. 성벽과 성 안에는 많은 시설물과 건물이 있었지만, 지금은 동·서·남
문루와 장대(將臺)·돈대(墩臺)·보(堡)·누(壘)·암문·우물 등의 방어 시설과 관청, 군사훈련 시설 등이
남아 있다.
남한산성의 역사·문화적 가치가 높게 인정되어 2014년 6월 카타르 도하에서 개최된 유네스코 총
회에서 세계문화유산으로 신규 등재되었다.
농성 (평택시)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안정리 마을의 북쪽 논 가운데 있는 성으로, 흙으로 쌓았다.
전체 모습은 타원형으로 둘레는 약 300m이고 높이는 4m 내·외이며, 동쪽과 서쪽에 문터가 있다.
무너진 곳의 단면을 보면 붉은색의 고운 찰흙을 층층이 다져 쌓은 흔적이 있다.
성을 쌓은 이유는 삼국시대에 도적 때문에 쌓았다는 이야기를 비롯하여 신라 말기 중국에서 건너
온 평택임씨의 시조인 임팔급이 축조하여 생활 근거지로 삼았다는 설이 있다.
그리고 고려시대에 서해안으로 침입하는 왜구를 막기 위해 쌓았다는 설과 임진왜란 때 왜적을 막
기 위해 쌓았다는 설이 전한다.
이 성은 평지에 만든 소규모의 성으로 이런 흙으로 쌓은 성곽들은 대부분 초기 국가의 형성단계에
서 나타나는 형태인데, 이 지역의 토착 세력 집단들이 그들의 근거지로 축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당성 산성 (화성시)
경기 화성시 서신면 상안리의 계곡을 둘러 쌓은 포곡식 산성으로 남북으로 길다란 네모에 가까운
형태를 하고 있다.
현재는 동문·남문·북문 터와 우물터, 건물터가 남아있으며, 성의 내벽은 흙으로 쌓고, 외벽은 돌로
쌓았다.
이 지역은 처음에는 백제의 영역이었다가 한때 고구려의 영토로 당성군이라 하였으나 신라가 이
지역을 점령하게 되자 당항성이라 하고, 바다를 건너 중국과 통하는 길목의 역할을 하던 곳이다.
성벽은 쌓은 벽이 무너져 마치 흙과 돌을 합쳐서 쌓은 것처럼 보이지만, 흙성의 성벽을 돌로 쌓아
올린 흔적이 남벽 쪽에 약간 남아있다.
당성이 있는 남양지역은 지금은 화성시이지만 신라 경덕왕 때는 당은군으로서, 중국과의 교통로로
서 중요한 구실을 하였으며, 신라 후기에는 이곳에 당성진을 설치해서 청해진과 함께 신라 해군의
근거지로 중요시되었던 곳이다.
이곳은 당항성과 관련되는 가장 중요한 유적의 하나로 손꼽히고 있다.
당포성(연천군)
경기 연천군 미산면 동이리의 당포성은 현재 전곡읍의 서북쪽 임진강 북안과 그 지류에 형성된
천연 절벽을 이용하여 축조한 평지성이다. 서쪽 부분이 뾰족한 모양인 삼각형 형태로 이러한 구조
때문에 가로막아 쌓은 동쪽 성벽은 매우 높게 구축되어 있으며 단애지대를 따라 구축된 남 · 북 성벽
은 낮게 축조되었다.
성의 전체적인 형태가 주변에 위치한 은대리성이나 호로고루와 매우 흡사하며 특히 축조방식은 호
로고루와 매우 밀접하다. 서쪽 끝에서 동벽까지의 길이가 200m이며, 동벽의 길이는 50m, 전체둘레
는 약 450m정도이다. 현재 잔존 성벽은 동벽 6m, 단면 기저부 39m정도이며 성내부로의 출입 때문
에 동벽의 남단은 성벽이 일부 파괴되어 출입로가 만들어졌고, 북단의 경우에는 참호 건설로 인하여
파괴되어 있는 상태이다.
연천당포성은 연천호로고루, 연천은대리성과 함께 임진강과 한탄강이 지류와 만나 형성하는 삼각
형의 대지위에 조성된 독특한 강안평지성으로 임진강이 국경하천역할을 했던 삼국시대와 밀접한 관
련이 있고 학술적으로 가치가 높은 귀중한 문화유적이며 부근에서 고구려 토기 일부가 발견되는 등
고구려를 중심으로 한 삼국시대 성으로 추측된다.
대모 산성 (양주시)
경기 양주시 어둔동, 백석읍 방성리일대 대모산성은 양주산성이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해발 212m
의 대모산 정상에 있다. 분지형을 이루고 있는 대모산의 산꼭대기를 돌아가면서 돌로 성을 쌓은 테
뫼식 산성이다.
이곳은 수락산 봉수대와 연결되는 교통의 요지이자 양주를 포함한 여러 지역을 방어할 수 있는 전
략적 요충지이다.
5세기 중엽까지 백제의 영역이었다가, 고구려 장수왕의 남하정책으로 6세기 중엽까지 고구려에 속
하였고, 그 이후에는 신라 땅이 되었다. 이런 지정학적인 위치를 중심으로 살펴볼 때 양주 대모산성
은 삼국시대에 만들어진 ‘매초성’으로 추정된다.
타원형을 이룬 성벽의 둘레는 1,400m 쯤 되며, 북쪽의 문터로 짐작되는 곳에는 성벽이 잘 남아 있
지만 다른 곳은 대부분 무너졌다. 현재 성벽의 높이는 4∼5m 안팎이나, 너비는 주변의 지세에 따라
가파른 남쪽은 6m, 완만한 북서쪽은 8m쯤 된다. 50°정도의 각도로 경사지게 들여쌓기를 하였는데,
이러한 방식은 삼국시대에서 고려시대까지 주로 이용된 것이다.
성 내부에는 건물터로 추정되는 평지가 여러 곳 있으며, 지표에는 둥근 주춧돌 여러 개가 노출되
어 있고 또 주변에는 많은 토기조각과 기와조각이 흩어져 있다.
대전리산성 (연천군)
경기도 연천군 청산면 청산면 대전리(大田里)와 장탄리(長灘里)의 경계 지점에 있는 해발 138m 성
재산의 산기슭에 있는 산성(山城)이다.
《조선보물고적조사자료》에 처음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신라가 삼국통일 과정에서 당(唐)과의 결
정적인 전투를 벌인 매초성으로 비정(批正)되기도 한다.
현재 성의 위치는 뚜렷하지 않으나, 주변의 산봉우리를 중심으로 둘러쌓았으며 둘레는 약 700m이
다. 성벽은 군사 시설로 인하여 대부분 훼손된 상태이나 북쪽 면은 완전하게 남아 있다.
채집 유물로는 남쪽 최정상부의 비탈에서 다량의 격자무늬가 주로 새겨진 회색, 적갈색의 기와조
각과 비교적 소량의 도장무늬토기조각을 비롯하여 회청색 경질(硬質)토기조각 등 신라토기류가 발
견되고 있다.
덕목리성 (평택시)
경기 평택시 현덕면 원덕목 동성(東城)과 서성(西城)으로 나눠져 있는 평지(平地) 토축성이다.
마을에서는 동성(東城)을 중심으로 성 안쪽 마을을 '성안(城內)', 성 바깥쪽 마을을 '성밖(城外)'라
고 불렀다. 또한 성터 주변의 자연지명들도 관터, 사창, 나라땅으로 불리는 것으로 보아 이 마을이
통일신라시대 수성군(水城郡)의 4영현 가운데 하나였던 광덕현의 치소(治所)였을 가능성이 크다.
성안(城內)마을 방향으로 가는 길을 중심으로 동성(東城)과 서성(西城)이 약 60m 간격을 두고 나
란히 서 있다. 서성(西城)은 대부분 훼손·유실되었지만 북벽과 동벽, 서벽의 일부가 남아 있어 예전
의 모습을 짐작할 수 있다.
반면에 동성(東城)은 마을이 들어서 있어 성벽의 일부 외에는 예전 모습을 확인하기 어렵다. 일제
가 작성한 조선고적조사자료, 문화유적총람 등의 기록을 종합해 볼 때, 전체 성벽의 둘레는 약 250~
300m 정도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성은 동서로 길고 남북이 좁은 형태로 삭토(削土)한 후 다져쌓기를 한 평지성(平地城)이다. 흙의 재
질은 황토흙이며 토층(土層)에서 토기 조각들과 숯이 발견되었다. 서성(西城)의 북벽에서는 성문지
(城門址)가 확인되었다.
축성 시기는 출토된 토기류나 기와류, 자기류 등을 토대로 다양하게 제기되나 삼국시대에서 고려
전기 사이에 축성되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
이 지역은 신라시대에 대당(大唐) 교통로가 위치하였고 고려 말기에는 왜구의 노략질이 극심해 산
성(山城)이 많이 축성된 곳이다. 그러나 이 성은 규모가 작고 평지성인 점과 옛 광덕현의 치소(治所)
로 추정되는 원덕목에 위치한 점을 고려할 때 광덕현의 읍성(邑城)으로 축성된 것으로 여겨진다.
덕진산성 (파주시)
경기 파주시 군내면 정자리에 있으며 내성과 외성으로 나누어져 있다. 내성은 최고봉인 해발 65m
봉우리를 중심으로 산 능선을 따라 돌며 구축되어 있다.
내성의 전체 모양은 표주박 형태를 하고 있다.
외성에는 두개의 문지가 완연하게 남아있고 성가퀴로 추정되는 부분이 두군데 있다. 외성과 내성
사이에는 곡저부가 형성되어 있고 완경사를 이루며 강변으로 연결되어 배를 접안할 수 있었을 것으
로 보인다.
삼국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유의 ㄱ자 형태를 하고 있다.
덕포진 (김포시)
경기도 김포시 대곶면 신안리 조선시대 진영으로, 이곳은 서울로 통하는 바닷길의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대였던 곳이다. 처음 세운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조선 현종 7년(1666)에 강화에 포함되었다.
높직한 평지에 세운 포대인 돈대와 대포를 쏘는 포대, 그리고 포를 쏠 때 필요한 불씨를 보관하고
포병을 지휘하는 파수청이 있다. 돈대는 중요한 전략지에 있기 때문에 병인양요 때는 프랑스함대와,
신미양요 때는 미국 함대와 싸웠다."
도덕산보루 (광명시)
경기도 광명시 광명동, 철산동, 하안동 일대에 걸쳐 있는 도덕산에 세 개의 보루가 위치하고 있다.
둘레 700m 정도의 토석축(土石築)으로 생각하고 있었지만 도덕산 일대에는 뚜렷한 성곽의 흔적이
확인되지 않아 삼국시대 후기의 백제 유적과 함께 성지나 봉수가 있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도덕산 능선의 세 곳의 봉우리 정상부에 보루 성격을 지닌 소규모의 군사 요새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도덕산 보루군이라 하였다.
도덕산 보루(1)은 도덕산의 가장 북쪽에 솟은 봉우리[183m]의 정상부 일대에 위치하고 있다. 둘
레는 150m 정도이며, 면적은 약 991.7㎡인데, 뚜렷한 성곽의 흔적이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200
3년 조사 때 기와 1점과 약간의 토기편이 수습되었다.
도덕산 보루(2)는 도덕산 정상부[198m] 일대에 위치하고 있다. 둘레는 약 150m이며, 면적은 약 9
91.7㎡로 도덕산 보루(1)과 거의 유사한 형태이다. 2003년 조사 때 백제 한성기(漢城期)의 유물로
추정되는 토기편들이 다량으로 수습되었다.
도덕산 보루(3)은 도덕산의 남쪽 봉우리[128m]에 위치하고 있다. 뚜렷하게 평탄지를 조상한 흔적
이 없고 유물이 수습되지 않았지만, 보루 유적이 축조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광명시 도덕산은 한강의 강서 일대에 해당되며, 동쪽으로 한강의 주요 지류 하천인 안양천이 흐르
고 있으며, 이를 따라서 경기도 중서부 지방의 남북을 연결하는 주요 교통로가 지나가고 있다. 따라
서 도덕산 보루군은 한강 유역의 강서 남안 일대와 안양천로를 따라서 경기도 중부 일대로 진입하려
는 적을 차단하고, 교통로를 통제하기 위한 목적에서 백제가 한성기에 축조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도덕산성 (광명시)
경기도 광명시 도덕산(道德山) 일대에서 성의 흔적이 발견되어 도덕산성이라고 했지만 더 많은
연구와 조사를 통해서 도덕산 보루로 그 명칭이 바뀌었다.
도락산보루 (양주시)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가납리~백석읍 방성리 도락산에 있는 삼국 시대의 보루로 고구려에게는 양
주 지역이 중요한 관문의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적을 방어하기 위한 성과 보루 등 군사 시설이 필요
하였다. 이와 같은 이유로 불곡산 일원의 보루가 잘 조망되고, 양주시 광적면 일대의 움직임이 한눈
에 들어와 적의 이동을 살피고 방어 공격에 유용한 자리에 도락산 보루(道樂山堡壘)를 건립하게 되
었다. 도락산 보루에서는 고구려계 토기편이 주류를 이루는 가운데 삼국~조선 시대 유물까지 다양
하게 수습되고 있다. 따라서 도락산 보루는 고구려의 축조물로 추정되나 이후에도 계속 군사적으로
중요한 구실을 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도락산에서는 총 4기의 보루가 발견되었다.
제1보루의 평면 형태는 원형으로 직경이 10.7m이며, 20~30㎝ 정도 크기의 판석을 축조하였다.
전체 둘레는 33m, 높이는 3m가량이다.
제2보루는 평면 형태가 동~서 장축 방향을 가진 장타원형으로, 전체 둘레는 170m 정도이다. 내벽
둘레는 150m, 장축은 67m, 단축은 18m이다. 자연 경사면을 포함할 때 전체 높이는 4~5m이며, 석
축 부분은 2m 내외이다. 내부는 높이에 따라 3단으로 구분하였는데, 최정상부의 첫째 단에는 협축
형태로 쌓은 석축 구조물과 배수로가 있다. 두 번째 단에는 주거 시설이 있었을 것으로 보이는데, 짚
단이 섞인 소토가 다량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셋째 단은 음습한 지대로 지름 5m, 깊이 1m 정도 구덩
이의 집수 시설이 있었다. 성 내부에서는 상당량의 고구려 토기편이 확인되며, 건물 벽체로 추정되
는 소토 덩어리도 발견되었다. 성벽의 축조방법이나 유물의 출토양상을 통해 볼 때 도락산 보루군에
서 중심이 되는 보루인 것으로 추정한다.
제3보루는 타원형에 가까운 평면 형태이며, 전체 둘레는 20m, 직경은 5m, 높이는 3m가량이다. 석
축은 크기 20~30㎝ 정도의 할석을 사용하였다. 보루의 서쪽과 남쪽이 훼손되어 있으나 성내부에 해
당하는 북서쪽 평탄지대에서 다량의 고구려 토기편과 건물의 벽제 파편으로 추정되는 짚이 섞인 붉
은 색 소토 덩어리가 확인되어 고구려 보루로 추정된다.
제4보루는 방형의 평면 형태이며, 규모는 가로가 9.5m, 세로가 9.7m이다. 장방형 또는 판석형 할
석재를 10~12단 쌓아 1~1.5m로 축조하였다. 내부에는 진지 구축으로 인한 원형 함몰이 생겼으며,
북벽을 제외하고는 석축이 비교적 양호하다. 여타 보루들과 형태적으로 차이가 있어 고구려 방어시
설이었는지에 대해 논란의 여지가 있다. 제 4보루에서 능선을 따라 남동쪽으로 42m 아래 지점에,
노출된 암반에 기둥 홈이 파여있다. 이는 보루로 진입하는 길목에 차단용 목책을 설치하거나 출입구
를 만들었던 시설로 추정한다.
제1보루에는 현재 팔각정이 세워져 있어 유적이 훼손되었으나 삼국 시대 유물로 보이는 많은 토기
편이 흩어져 있다. 제2보루 대부분은 토사에 묻혀 있으나 부분적으로는 석축이 노출되어 있다. 유물
로는 고구려계 토기가 주류를 이루는 가운데 고려 및 조선 시대 기와편도 나오고 있다. 제3보루는
서쪽과 남쪽 부분이 훼손되어 있으며, 토사에 덮여 있다. 토기편이 확인되는데, 고구려계 유물인 적
갈색 니질 토기편이 많이 나온다. 제4보루는 기단석으로 대형 석재를 사용하여 석축이 비교적 양호
하게 남아 있지만 유물은 확인되지 않는다.
독바위보루 (양주시)
경기도 양주시 옥정동 높이 181m의 독바위 정상부에 있으며 평면 형태는 소봉 정상부를 중심으로
동쪽으로 길게 타원형을 이루고 있다. 북쪽과 서쪽은 자연 암벽 경사면을 이용하였고, 성벽 높이는
2~3m 정도이다. 둘레는 알 수 없다.
성 내부에는 벽체 일부로 추정되는 붉은색 소토 덩어리가 있어 성내 건물 터가 있었음을 말해 준
다.
독바위 보루는 삼국 시대의 것으로 보이는 토기 조각이 발견되어 삼국 시대의 보루로 추정된다. 한
강 유역의 쟁탈과 관련하여 양주 지역은 중요한 관문의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적을 방어하기 위한
성과 보루 등의 군사 시설이 발달하였고, 독바위 보루 또한 이러한 목적으로 축조되었다.
성벽은 토사에 덮여 있으며, 독바위 보루 정상부에서 삼국 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완형에 가까운
적갈색 연질 토기호와 흑색 마연된 토기 항아리가 수습되었다.
독바위 보루는 천보산 보루(天寶山堡壘)·불곡산 보루(佛谷山堡壘)·도락산 보루(道樂山堡壘) 등과
연결되고 사방 조망이 좋은 곳에 위치하고 있다. 독바위 보루를 통해 삼국 시대 양주를 중심으로 적
을 막으려 하였던 방어 체계를 엿볼 수 있다.
독산성 (오산시)
경기 오산시 지곶동에 있으며 임진왜란 때인 1593년(선조 26) 권율(權慄)이 왜적을 물리쳤던 산
성으로 축성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기록에 의하면 원래 백제가 쌓았던 성이며, 통일신라와 고
려를 거쳐 임진왜란 때까지 계속 이용되었던 곳으로, 도성의 문호와 관련된 전략상의 요충지이다.
1593년 7월에 전라도관찰사 겸 순변사였던 권율이 근왕병(勤王兵:왕을 가까이에서 지키는 군사)
2만 명을 모집하여 북상하다가 이 성에 진을 치고 왜적을 물리쳤던 곳으로 유명하다. 이듬해 9월 11
일부터 14일까지 불과 4일만에 백성이 합심하여 수축을 하였다. 이와 같은 독산성의 예는 이웃에 모
범을 보여 금지산성(衿之山城)에서도 군량을 모으고 병사를 훈련시켰으며, 이어 월계산성(月溪山城)
과 파사성(婆娑城)으로까지 퍼졌다.
임진왜란이 끝나고 이 성의 중요성이 강조되자 1602년(선조 35) 변응성(邊應星)이 수축하고, 179
6년(정조 20) 수원성의 축조와 함께 개축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재 성에는 석축 약 400m가 남아 있고 4개의 성문이 있다.
독성산성 (오산시)
경기 오산시 지곶동의 독산성은 다른 이름으로 독성산성이라고도 한다.
선조 26년(1593) 임진왜란 중에 권율 장군이 전라도로부터 병사 2만여 명을 이끌고 이 곳에 주둔
하여 왜병 수만 명을 무찌르고 성을 지킴으로써 적의 진로를 차단했던 곳이다.
독산성이 언제 만들어졌는지 분명하지는 않으나 원래 백제가 쌓은 성일 것으로 추측되며, 통일신
라시대나 고려시대에도 군사상 요충지로 쓰였을 것이다.
선조 27년(1594) 백성들이 산성을 쌓고, 임진왜란이 끝난 선조 35년(1602)에 당시 부사 변응성이
다시 보수하고, 그후 정조 16년(1792)과 20년(1796)에도 다시 공사했다.
성 둘레는 3,240m이고 문도 4개이지만 성 안에 물이 부족한 것이 큰 결점이었다. 이런 결점때문에
이 곳에는 세마대의 전설이 있는데, 권율 장군이 산위로 흰 말을 끌어다가 흰 쌀로 말을 씻기는 시늉
을 해 보이므로 왜군이 성안에 물이 풍부한 것으로 속아서 물러났다는 이야기가 전해오고 있다.
동성산성 (김포시)
경기도 김포시 하성면 원산리, 석탄리, 태산리
두루봉보루 (연천군)
<반정리의 풍경>
경기도 연천군 장남면 반정리(伴程里)에 있는 두루봉이라 불리는 산 정상부에 있는 보루(堡壘)이
다. 유적은 돌출된 봉우리의 정상부를 이용하여 긴 타원형으로 조성되었고 전체 둘레는 약 50m 정
도이다.
정상부에 군부대가 지은 교통호(交通壕)가 있고 안쪽의 단면에서 고구려토기조각과 기왓조각 등이
발견되고있다.
발견된 유물로 미루어 보아 규모가 작은 기와집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삼국시대에 기
와가 귀중한 건축 자재였음을 고려하면 특이한 경우로 보이며 삼국시대의 성일 것이다.
마진산성 (남양주시)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진중리에 있으며 임진왜란 당시 변응성(邊應星) 장군의 전적지로, 말로 진
을 쳤기 때문에 마진산성이라는 이름이 붙여진 것이라 한다.
또한 이곳에 청동으로 만든 말이 있었다고도 전해진다.
채집된 유물로는 조선시대 회백질의 연질토기 조각들과 조선시대에 가장 흔한 청해파문(靑海波紋)
이 새겨진 기와가 주를 이룬다. 청해파문은 목조 건물이 불에 약하므로 기와에 파도무늬를 새겨 넣
어 물의 기운으로 불을 누른다는 생각을 반영한 것으로 조선시대의 산성이다.
망이산성(안성시)
경기 안성시 일죽면 금산리,이천군 율면 산양리에 걸쳐 있으며 중부지역을 가로지르는 차령산맥
가운데에 있는 이 산성은 망이산(지금의 마이산) 정상에서 능선과 골짜기를 걸쳐 쌓은 것으로, 안쪽
의 내성과 바깥쪽의 외성으로 이루어진 2중성이다.
산 정상을 둘러싼 내성은 흙으로 쌓은 것으로 백제 때 축조된 것이다.
현재 밝혀진 길이는 250m쯤 되며, 북쪽에 문터로 짐작되는 자리가 있다. 내성 안에는 직사각형의
봉수대터가 남아있는데, 이곳에서 남쪽을 보면 산세는 거의 절벽으로 되어 험준하나 뒤쪽인 북쪽은
낮은 평원이 넓게 전개된다. 따라서 이 성은 남쪽의 적을 대비하여 쌓았음을 알 수 있다. 북문터 부
근에는 샘이 있으며, 그 주위로 기와와 자기조각이 흩어져 있다.
북쪽으로 낮은 평원을 이룬 외곽 봉우리들의 능선을 따라 약 3㎞ 주위에 둘러 쌓은 외성은 돌로 쌓
은 것으로, 통일신라 후기에 축조한 것이다. 외성에서는 3군데 걸쳐 문터가 확인되었으며, 산등성이
윗부분에는 공격에 유리하도록 성벽의 일부를 바깥으로 돌출시켜 쌓은 치성도 5곳 발견되었다.
이 산성은 발굴조사 결과 청동기시대 후기부터 조선시대에 걸치는 유물이 발견되어 망이산성의 성
격과 역할의 이해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 또한 조선시대에는 죽산현의 봉수대로서 영남과 중부 내륙
의 봉수를 받아서 도성으로 올린 봉수대 유적으로도 중요성을 지니고 있었음도 확인되었다.
멱절산토성 (고양시)
고양시 일산 서구 대화동의 멱절산에 백제 시기에 조성된 산성을 발견하였다. 서울 송파구에 있는
몽촌토성의 방식과 일치하는 것으로 백제 초기의 토성터임이 확인되었고 2001년부터 1,500여점의
유물을 찾는 든 아직도 발굴, 연구 중에 있다
모락 산성 (의왕시)
경기도 의왕시 오전동과 내손동 일대에 걸쳐 있는 모락산성은 지표조사 결과 자연지형을 최대한으
로 이용해 석축 또는 토석을 혼합하여 축조된 878m의 테뫼식 산성으로 내부시설은 문지, 망대지,
치성, 건물터등이 확인되었다.
유물로는 백제계의 호, 옹, 완 등의 토기편류가 주로 채집되어 한성백제기에 초축된 성으로 확인
되었다. 백제 석축성곽 축조의 시원양식을 밝힐 수 있는 중요한 성곽이다.
목내산성 (안산시)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목내동에 있으며 정확한 구조 및 축조 연대를 알 수는 없지만 삼국시대 이후
서해안의 경비를 담당하는 기능을 가진 성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목내산성은 목내동을 중심으로 주위의 산 능선을 따라 쌓았는데, 목내동과 초지동 사이의 표고 40
~73m 야산의 능선, 목내동과 성곡동 사이에 표고 48~93.8m의 산 능선, 그리고 목내동 입구에 위
치한 성안[표고 87m] 등을 연결하는 자연적인 지형을 이용하여 축조하였다.
높이는 2~3m, 폭은 위쪽이 2m, 아래쪽이 5m 정도 남아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현재는 성벽의 흔적을 찾을 수 없고, 도로 건설로 인한 능선의 절단면에 성벽으로 보이는 2
m 높이의 토축만이 남아 있다. 산성을 따라 삼국시대의 토기편과 통일신라시대의 인화문 토기편, 고
려·조선시대의 와편과 토기·자기·청동 유물 등이 출토되었다.
무등리보루 (연천군)
경기도 연천군 왕징면 무등리(無等里) 일대의 해발 100m 내외의 작은 봉우리인 장대봉에 있는 보
루(堡壘)이다.
보루(堡壘)는 장대봉 정상부를 머리띠식으로 둘러가며 쌓았다. 형태는 긴타원형이며 전체 둘레는
168.4m이다. 성 정상부에는 산불 감시 초소가 설치되어 있으며 성벽 외곽에는 군용 참호(塹壕)가
파여 있는데, 이 과정에서 동벽과 북벽이 상당 부분 훼손되었다.
많은 양의 기와조각이 출토되었는데, 대부분 전형적인 고구려 기와조각으로 적갈색을 띠고 있는
것이 많다. 또한 적갈색이나 흑회색의 연질토기로 고구려토기의 특징을 보여주는 비교적 소량의 토
기조각도 발견된다. 이로 보아 고구려시대의 산성으로 보이며, 고구려의 국경을 방어하는 주요한 성
의 하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무성 산성 (평택시)
경기 평택시 청북면 옥길리 테뫼식산성으로 성벽은 토축, 내부 시설로 문지 등의 시설이 확인되었
으며, 출토유물로는 백제 토기부터 고려시대 토기, 기와 등이 출토되었다.
고대부터 중세에 이르기까지 아산만 일대의 방어 및 통치와 관련하여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여 줄
뿐만아니라 토성축조 방식과 활용문제에 있어 직접적인 자료로서 역사적 가치가 크며 삼국시대에
만들어진 성이다.
무한성 (안성시)
경기도 안성시 양성면 방신리에 성은 산정(山頂) 고원지에 둥글게 쌓은 석성(石城)으로서 이러한
산성은 고대(古代)에 많이 축성(築城)해온 형태이다.
이성은 일명 무양성(無陽城)이라고도 불려오는데,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與地勝覽)에 '양성현
고적조(古蹟條)와 성지조(城池條)에의 남쪽 12리 지점에 있으며, 석축이고 둘레는 1천 305척(尺)이
며 성안에 못 하나가 있다'고 하였다.
광무(光武) 3면(1899) 간행된 양성읍지(陽城邑誌)에도 '무한성 남단(南端) 아래 고성(古城)이 있어
속칭 옛 고을터가 완영하다'고 기록되어 전하고 있다.
성은 산의 정상부에 쌓은 테뫼식 산성으로 일부 파손되기도 하였지만 성벽이 비교적 잘 남아있다.
또한 산성 내에 건물지의 흔적과 기와편이 발견되고 있다. 이 산성의 축성 시기는 구체적으로 전하
지는 않지만 출토되는 유물들로 보아 삼국시대에 쌓은 것으로 추정된다.
문수산성 (김포시)
경기 김포시 월곶면 포내리에 있으며 갑곶진과 함께 강화의 입구를 지키던 조선시대의 성이다.
조선 시대 숙종 20년(1694)에 돌을 이용해 쌓은 석축산성으로 순조 12년(1812)에 고쳐 쌓았다.
잘 다듬어진 돌로 견고하게 쌓았고, 그 위에 몸을 숨기기 위한 방어시설인 여장을 둘렀다.
당시의 성문은 취예류·공해루 등 3개의 문루와 비밀통로인 암문 3개가 있었다. 이 중 취예루는 갑
곶진과 마주보는 해안에 있었으며 육지로 나오는 관문의 역할을 하였다. 현재 해안 쪽의 성벽과 문
루는 없어지고 마을이 되었으며 산등성이를 연결한 성벽만 남아있다.
고종 3년(1866) 병인양요 때 프랑스군과 치열한 전투를 치른 곳이다.
반월산성 (포천시)
경기 포천시 군내면 구읍리에 있는 산성이 있는 자리로 길이는 1,08포천시 군내면에 있는 산성이
있는 자리로 길이는 1,080m이다.
산성은 후고구려를 세운 궁예가 쌓았다고 그 지방에서 전해지나, 조사결과 고구려 때 쌓은 성이다.
여러 가지 책에 고성(古城), 산성, 반월산성 등으로 기록하고 있는데 『대동지지』를 통하여 광해
군 10년(1618)에 고쳐 쌓고, 인조 1년(1623)부터 사용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밖에 『연
려실기술』, 『포천군읍지』, 『견성지』에서도 돌로 쌓았다는 기록과 함께 여러 가지 당시 성에 관
한 기록을 찾을 수 있다.
현재 성의 옛 자취를 엿볼 수 있는 시설물로는 남쪽과 북쪽의 문터, 성벽 바깥쪽에 사각형 모양으
로 덧붙여 만든 치성 4개소, 건물터 6곳, 배수시설이었던 수구터, 장수의 지휘대였던 장대터, 적의
동정을 살피기 위해 세웠던 망대터 등이 있다.
별망산성 (안산시)
. 경기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에 있으며조선 초기 남양만을 거쳐 해안으로 침입하는 왜적을 막기 위
하여 바닷가에 있는 두 곳의 얕은 산봉우리를 서로 연결하여 돌로 쌓아 만든 해안산성이다.
왜구의 침입이 잦은 해안 지역에 만호부가 설치되었다는 기록과 연관하여, 이곳에 수군 만호영이
있었으나 갯벌이 밀려 배의 출입이 어려워지자 인천의 영종포로 영을 옮겼다가, 바다가 다시 깊어져
배의 출입이 가능해지자 다시 군영을 두었다는 기록이 있다.
성의 크기는 둘레 1040m, 높이 1.2∼2.1m라는 옛기록이 있지만, 한국전쟁 때 대부분 파괴되었던
것을 1988년 복원하였다. 현재 크기는 길이 225m, 높이 1.45m이다. 성벽의 바깥은 돌을 수직에 가
깝도록 쌓았고 안쪽은 완만하게 흙을 다져 놓은 상태이다. 평지 쪽에는 군영지로 보이는 터가 남아
있으며, 성 가운데에서 청자와 도자기 조각들이 출토되며 조선시대에 만들었다.
이 성의 이웃에는 목내리산성, 군자산성이 있어 함께 남양만을 방어하는 서해안의 요충지였음을
알 수 있다.
보가산성(연천군)
경기도 연천군 신서면(新西面), 포천군 관인면(官仁面), 강원도 철원군의 경계 지점험준한 지형을
갖추고 있는 보개산에 있어 일명 '보개산성'으로도 불린다. 현재 상당 부분 훼손되기는 했으나 부분
적으로 성벽이 잘 남아 있다. 둘레 4km 정도이며 평면 형태는 뾰족한 고구마 같은 모습이다.
성벽은 자연석을 다듬어서 포개쌓기 방식으로 쌓았다.
성 안쪽 일부에 평탄한 곳이 조성되어 있어 건물이 있었던 것으로 판단되며, 다량의 기왓조각이 흩
어져 있다. 기왓조각은 회청색의 경질(硬質)이며 생선뼈무늬, 복합무늬, 민무늬 등이 새겨져 있다.
성 안에서도 이동하기 어려운 험준한 곳에 지어졌다는 점에서 다른 성과 차이가 있으며, 이로 보아
영역 확장과 지배를 위한 성이라기보다는 피난성일 것으로 판단된다. 입지·유래·축성 방법 등을 고
려할 때 고려 초기의 성으로 추정된다.
보개산성 (용인시)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마성리 산 78 둘레가 1,650m로 평면은 불규칙한 마름모꼴이다. 성
벽은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암반과 할석을 이용하여 대부분 내탁(內托)하여 축조하였는데, 보
개산 동쪽과 남쪽 두 면만을 석축하고 경사가 가파른 서쪽은 자연 암반을 이용하였다. 또한 문터의
문구부 석재 외에는 암반에서 떼어낸 석재를 가공하지 않았고, 성벽의 너비와 높이는 고려시대에 흔
히 나타나는 축조법에 따라 제작했다.
북성산성 (여주시)
경기도 여주시 능서면 신지리(新池里)에 있는 산성으로 신지리성지(新池里城址)이라고도 한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등 조선시대의 지리지·읍지 대부분에 ‘유고성지(有古城址)’
라고 기록되어 있어 고려 말과 조선 초기에는 폐성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1942년에 〈조선보물고적조사자료(朝鮮寶物古蹟調査資科)〉를 편찬할 때 조사가 이루어졌고 이
후 부분적으로 조사가 진행되었다.
석축식 산성으로, 능서면 신지리와 여주읍 월송리 경계의 북성산(275m) 정상부에 있다. 통일신라
시대에 축조되어 고려시대까지 이용한 성곽으로 추정된다. 남북 방향으로 긴 장타원형에 남고북저
(南高北低), 동고서저(東高西低)의 형태를 하고 있다. 전체 길이는 약 1,150m이지만 대부분의 성벽
은 붕괴되었고 길이 10m가 남아 있다. 현재는 성벽을 따라 군 참호가 조성되었다. 성 안에는 치성 4
개소, 건물터 3개소, 우물터 1개소 등이 확인되었다. 북서쪽 평탄지에 있는 타원형 우물터는 남북길
이 3.8m, 동서길이 2.7m이다.
북한산성 (고양시)
경기 고양시 덕양구 북한동서울 은평구,성북구에 겹쳐진 백제가 수도를 하남 위례성으로 정했을
때 도성을 지키던 북방의 성이다.
백제 개로왕 5년(132)에 세워진 곳으로, 11세기 초 거란의 침입이 있을 때 현종이 고려 태조의 관
을 이곳으로 옮겨 오기도 했다. 고려 고종 19년(1232)에 몽고군과의 격전이 있었고, 우왕 13년(138
7)에 성을 다시 고쳐지었다. 조선시대에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도성 외곽을 고쳐짓자는 의견이
일어나 숙종 37년(1711) 왕명으로 토성을 석성으로 고쳐지었다.
성의 규모는 대서문, 동서문, 북문 등 13개의 성문과 불을 피우던 곳으로 동장대, 남장대, 북장대가
있었다. 성내에는 중흥사를 비롯한 12개의 사찰과 99개의 우물, 26개의 작은 저수지, 그리고 8개의
창고가 있었다. 현재 북한산성에는 삼국시대의 토성이 약간 남아 있기는 하나 대개 조선 숙종 때 쌓
은 것으로 여장은 허물어 졌고, 대서문과 장대지·우물터·건물터로 생각되는 방어시설 일부가 남아있
다.
이 지역은 고구려, 백제, 신라가 서로 차지하기 위해 쟁탈전을 벌였던 곳이며, 조선시대에는 도성
을 지키는 중요한 곳이었으며 삼국시대의 성이다.
비파산성 (평택시)
경기 평택시 안중면 용성리와 덕우리 사이의 비파산(해발 102.2m)에 있는 흙으로 쌓은 산성이다.
비파산 정상부와 여기에서 남쪽으로 뻗은 봉우리를 지나 남동쪽으로 용성리 뒷골까지 내려왔다가
다시 비파산 정상부로 올라가는 포곡식 산성이다. 성벽의 전체 길이는 1,622m이며 남북 길이 375
m, 동서 길이 499m이다. 시설물로는 문지 5개소, 치성 4개소, 건물지 14개소, 음료유구 5개소 등이
다.
이곳은 동쪽에 차령산맥이 지나고 사방으로 잘 조망되는 지역으로 고려말 왜구의 침입이 빈번해지
자 군사적 중요성이 커졌다. 삼국시대에 이에 이 산성을 쌓았으며 고려 말에 크게 중수되어 주변의
무성산성, 자미산성, 용성리성, 장길마을성과 함께 연계하여 군사적 방어체계를 구축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서운산성 (안성시)
경기 안성시 서운면 북산리 차령산맥의 주된 봉우리인 서운산의 봉우리 2개를 연결하여 마치 말안
장 모양으로 쌓은 토성인 서원산성은 ‘북산리성터’라고 부르기도 한다. 남벽 일부를 제외하고 비교
적 성벽이 잘 남아있으며, 성벽 안쪽에는 도랑을 판 흔적도 있다.
성 의 둘레는 620m이고, 흙을 쌓은 곳은 450m 가량 되는데, 흙은 능선을 따라 깎아서 다졌으며 가
파른 자연지세를 최대한 이용하였다. 성안에는 전투시 지휘하던 곳으로 이용된 장수바위가 있고, 북
쪽과 남쪽에 성문터가 있는데 주로 남쪽으로 출입을 하였던 것 같다. 성안에서는 우물터, 절터, 돌부
처, 작은 동굴, 토기조각들이 발견되었으며, 이곳에서 출토되는 유물로 보아 삼국시대에 만들어진
성으로 생각된다.
이 산성은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동한 홍계남 장군이 북쪽으로 올라오는 왜적을 방어하기 위
하여 쌓았다고 알려져 있다.
그렇지만 성안에서 발견된 유물로 볼 때 삼국시대에 처음 쌓아서 고려와 조선시대에 걸쳐 이용되
어 오다가 임진왜란 때 이곳에서 왜적을 물리치자 널리 알려진 것으로 보인다.
석성산성 (용인시)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유방동, 역북동, 삼가동과 기흥구 구성동과 중동, 포곡읍 마성리에 접해있는
석성산(해발 472m) 정상부에 위치해 있다. 석성산성은 용인의 진산(眞山)으로 일컬어지기도 하는
석성산 정상부에 위치해 있으며 보개산성으로도 불린다.
석성산성은 기본 형태가 온전히 남아있지 않아 주의 깊게 살펴보지 않으면 알아차리지 못하고 지
나치기 쉽다. 그러나 용인 지역에서 규모가 큰 편인 산성으로 인근의 할미산성에 비해 훨씬 규모가
크다.
석성산성에 대한 기록은 세종실록부터 나타나며, 조선 이전 시기부터 산성으로 경영되다가 조선
초기인 15세기에 군사시설인 봉수가 설치되어 운영된 것으로 보인다. 이후 15세기 말부터 퇴락하기
시작하였으나 임진왜란병자호란 때 잠깐 다시 운영된 것으로 추정된다. 석성산성은 성내에 산포하
는 유물의 현황으로 보아 삼국시대부터 꾸준히 성으로 사용된 것으로 보이며 교통로의 요충이었기
때문에 봉수가 마련되어 있었던 것으로 알려진다.
설봉산성 (이천시)
경기 이천시 사음동의 설봉산은 이천의 진산으로, 이 산의 7∼8부 능선, 속칭 칼바위를 중심으로
한 약 3만여 평에 달하는 고원지대가 바로 옛 산성터이다.
계곡을 감싸안고 쌓은 포곡식 산성으로, 성벽은 대부분 흙으로 쌓았으나 돌로 쌓은 석축도 군데군
데 있다. 석축은 대부분 무너져 내렸거나 매몰되고 있는데, 아직도 정상 아래 부분에는 3∼10m의
석축의 흔적이 뚜렷한 형태로 남아 있는 곳도 있다.
이 일대에서는 석축·석편·토기편은 물론, 건물터 임을 알리는 정면 9m, 측면 6.30m의 인공 주춧돌
9개가 정연히 배치되어 있어, 이 곳이 웅장한 규모의 삼국시대 산성터 임을 알려 준다. 정상 밑 서쪽
능선 평평한 부분에는 주춧돌이 원형대로 남아 있어 장대지로 추정되며, 군기를 꽂았던 홈을 판 바
위와 돌싸움에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이는 돌무더기도 3곳 남아 있다. 또 산성의 필수요건인 우물터
2곳, 수구와 인접한 북문의 흔적도 남아 있다.
축성연대는 대략 고구려가 백제를 쳐서 한강 이남을 점유하고 이 곳에 처음으로 남천현을 설치한
고구려 장수왕 63년(475)이 신라와 백제세력이 이 곳을 다시 수복하려는 것을 막기 위해 신라 진흥
왕 12년(551)에 고구려군이 쌓은 성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산의 정상에 서면 주변 지역이 한눈에 들어와, 삼국시대부터 치열한 세력 다툼이 있었던 중요한 군
사적 요충지대의 역할을 하였던 성으로 여겨진다.
설성산성 (이천시)
경기 이천시 장호원읍 선읍리의 설성산 봉우리와 그 아래의 큰 계곡을 포함한 험준한 산의 지형을
이용하여 쌓은 산성이다.
지금까지 성의 자취가 비교적 분명하게 남아있어 성 전체의 윤곽을 알아 볼 수 있는데, 성의 둘레
약 1㎞, 폭 5m, 높이 4∼5m이다. 성은 바깥을 향해 경사지게 쌓고 안쪽으로 돌을 메우는 방식으로
쌓았는데, 매우 견고하여 발달된 성쌓기임을 알 수 있다.
성벽은 대부분 돌로 쌓았지만 동쪽 능선에는 흙과 돌을 섞어 쌓은 곳도 있다. 설성산 정상 바로 밑
에 건물터의 흔적이 남아 있어 기와조각과 토기조각들이 출토되었으며, 성 안에는 도랑을 판 흔적도
있고, 동·서·북쪽에 문터의 흔적이 있다.
이 성은 신라 내물왕(재위 356∼402) 때 왜적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쌓았다고 전하며, 성을 쌓을
때 성이 쌓여질 자리로만 띠를 두른 듯 흰 눈이 내려있어 그 자취를 따라 성을 쌓았기 때문에 ‘설성’
이라 이름했다고 한다.
고구려와 신라가 이 지역을 다스릴 때 계속 보완하여 쌓은 것으로 추정된다.
성령산성 (연천군)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동막리(東幕里) 성령산(城嶺山)에 있는 산성(山城)이다. 세 개의 봉우리를
포함하고 있는데, 그 중 서쪽에 있는 봉우리가 가장 높으며 이 봉우리 일대를 '성령' 또는 '성재'라 부
른다. 성령은 광주산맥의 한 부분으로 깊은 산속의 으슥한 골짜기 형태라 이곳에 지은 산성은 전투
를 위한 목적보다는 적이 공격하기 힘든 지역에 주민들을 대피시킬 목적으로 쌓은 피난성이었을 것
으로 판단된다.
주변 절벽이 있는 곳에는 돌을 쌓지 않고 자연 그대로를 방어벽으로 이용하였으며, 계곡이나 절벽
과 절벽 사이에만 돌로 성벽을 쌓았다. 성벽의 전체 둘레는 약 740m이며 잘 다듬어 지지 않은 직사
각형의 작고 큰 돌을 섞어 쌓았다. 현재 남아 있는 성벽은 높이가 1.5~2.5m 정도이나 아래로 많은
돌들이 무너져 내린 것으로 보아 원래 성벽의 높이는 더 높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중간 부분과 남쪽 부분에 넓은 평지가 펼쳐져 있어 내부의 면적이 넓은 편이고 우물이 있었던 것으
로 보이며, 주로 동남쪽 부분에서 기와나 토기 등이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이 곳에 건물들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성태산성 (안산시)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일동과 팔곡일동 일대에 걸쳐 있는 산성은 신라가 한강 하류까지 세력을 넓
히던 6세기 중반에서 후반경에 축조되어 통일신라 때까지사용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해안가의
주요 지점과 주요 교통로에 산성들이 주로 위치해 있는데, 경기도 안산 일대는 중국과의 무역을 위
한 교통의 요지이자 고구려·백제·신라가 서로 인접하여 접전을 치른 곳으로 전략적 중요한 곳이어서
산성을 축조한 것이라 추정된다.
성태산성은 해발 160.7m의 성태산 정상부를 에워싼 전형적인 테뫼식 산성으로, 북서-남동 방향
으로 약간 긴 장타원형의 형태를 띠고 있다. 성의 총 길이는 372m이며, 성의 내부 면적은 8,400㎡
로 협소한 편이다. 성벽은 높이가 6.5m 이상, 폭은 4.5m 정도로 추정한다. 산비탈을 ‘L자’형으로 파
낸 뒤 성벽을 쌓고 뒷채움석을 채워 넣는 방식으로 축조된 내탁식(內托式) 공법을 사용하였다.
안산 인근의 서해는 신라 진흥왕 이후 중요한 대외 무역 기지가 있던 지역일 가능성이 높은 곳이
다. 따라서 성태산성은 신라가 이 지역까지 세력을 넓히는 과정에서 안산 일대의 해안 방어를 위하
여 축성하였음을 짐작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신라시대의 유적이다.
소래산보루 (양주시)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선암리 소래산에 있는 성으로 양주 지역은 한강 유역의 쟁탈과 관련하여 중
요한 관문으로서 적을 방어하기 위한 성과 보루 등의 군사 시설이 발달하였다.
현재 소래산 보루 대부분이 파괴되어 형태를 정확히 알 수 없다. 다만 석축에 사용되었을 석재들이
노출되어 있어 보루의 존재를 알게 해 준다. 유물로 주변 흙 속에서 고구려 계통의 갈색 연질 토기편
들이 발견되고 있다.
소래산 보루는 온전히 보존되어 있지 않아 전모를 파악할 수 없으나, 임진강 유역까지의 정찰이나
주변 교통로 등에 대한 감시가 원활한 곳에 세워져 있어, 삼국 시대 양주를 중심으로한 방어 체계를
엿볼 수 있다.
수석리보루 (남양주시)
경기 남양주시 수석동의 토성은 ‘토미제’라 부르는 한강 옆의 낮은 산꼭대기에 있는 보루로, 한
강을 건너는 나루를 지키기에 알맞은 곳에 있다.
이곳에서는 주위의 아차산, 이성산, 남한산, 천마산, 수락산과 마을 앞의 나루터가 한눈에 들어온
다. 이러한 지세는 이곳이 성을 만들 당시 한강을 중심으로 한 전략적 요충지대임을 알게 한다.
반달모양의 보루 전체 둘레가 145m이며, 높이 4∼5m의 성벽은 흙을 다져 쌓은 부분도 있지만 대
부분 높은 곳을 깎아서 만들었다. 안에는 봉화를 올렸던 장소로 짐작되는 곳이 있으며, 삼국시대
의 회청색 경질토기 조각들이 발견됨으로써 성을 쌓은 시기를 짐작할 수 있다.
지정학적인 위치에서 볼 때 수석리 보루는 삼국시대에 한강을 중심으로 한 군사적인 요충지로 사
용되다가 조선시대에는 봉화를 올리는 통신기능을 지녔던 곳으로 추정된다. 수석리 토성 또는 수석
산성으로 불리어졌으나 근래에 성이 아니고 보루임이 밝혀졌다.
수원고읍성 (화성시)
경기 화성시 태안읍 안녕리에 위치하며 읍성이란 군이나 현의 주민을 보호하고, 군사적·행정적인
기능을 함께하는 성을 말한다.
고려 때 수원에 읍성으로 쌓았으며, 조선 정조 13년(1789)에 사도세자의 무덤을 이곳으로 옮기면
서 새로운 성을 쌓을 때까지 사용되었던 곳이다.
본래 낮은 산능성을 이용하여 계곡 아래의 평지까지 에워 싼 형태였으나, 성터의 대부분이 무너지
고 남아 있는 부분은 길이가 540m 안팎이다. 흙을 다져 쌓은 것으로 보이는 성벽은 윗부분이 2∼2.
5m이고 높이는 4∼5m이며, 동문터와 서문터로 추정되는 부분도 있다. 옛 기록에 의하면 성의 둘레
가 1200m쯤 되며 성안에는 2곳의 우물이 있었다고 하는데, 현재의 성벽을 자연지형에 따라 복원하
여 보면 3,500m쯤 되어 큰 차이가 난다.
결국 이 성은 고려시대에 만들어져 조선시대까지 읍성의 기능을 하다가 행정조직상의 정비와 무덤
의 이장에 따라 너무 좁아지자 사용이 중단된 것으로 보인다.
수안산성 (김포시)
경기 김포시 대곶면 율생리에 있는 수안산성은 경기도 김포 대곶면의 수안산 꼭대기를 돌아가며
돌로 쌓은 길쭉한 성으로 현재 남아 있는 둘레는 685m 정도 된다.
이곳은 지리적으로 강화도와 마주보고 있는데, 바다를 향한 남서쪽에 건물터가 모여 있고, 서로 왕
래가 가능한 포구가 성 바로 아래에 있는 전략의 요충지이다. 서쪽에서 문터가 발견되었으며, 성벽
바깥으로 튀어나오게 쌓은 치성의 흔적도 발견되었다. 성 안 곳곳에서는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
지 이르는 토기조각이 발견되고 있다.
또한 성 안에는 수안산 봉수터가 있는데, 남쪽으로는 김포 백석산 봉수에 응하고, 바다 건너 강화
대모산 봉수에 응하였다는 옛 기록이 있다. 이와 같이 수안산성은 봉수터의 기능도 함께 가진 성으
로 강화도와 육지를 연결시켜주며 조선시대에까지 이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수원화성 (수원시)
수원 시내 한복판을 광범위하게 점하고 있던 원래의 성은 지금의 수원에서 남쪽으로 약 8㎞ 떨어
진 화성군(현: 화성시) 태안면 송산리의 화산(花山) 아래 있었으나 임진왜란(1592)을 맞아 무참히
허물어져버렸다. 정조는 양주군 배봉산에 있던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을 이곳으로 이장하면서 수원
읍과 민가들을 옮기지 않을 수 없었다. 그래서 팔달산 아래 지금의 수원으로 옮기고 읍명을 화성(華
城)이라 했다.
이곳에 정조 18년(1794) 2월에 성을 축조하기 시작하여 2년 6개월 만에 완공을 이룬 수원화성은
그 시대에 동원할 수 있는 모든 능력과 기술을 집약시켰던 것이다.
성을 축성하기 위해 남인의 영수이자 정조 개혁정치의 참모였던 번암 채제공이 성역의 총 지휘를
맡고, 다산 정약용이 축성의 모든 과정을 계획·감독했으며 정약용의 발명품인 활차와 거중기가 매우
쓸모 있게 사용되었다고 한다.
성벽의 전체 둘레가 8.36㎞에 이른다고 되어 있으나, 실제 둘러보며 만난 수원화성의 안내판에는
5.52㎞라 되어 있다. 아마도 당초의 성 둘레에 거주지가 되면서 훼손되어 축소된것으로 사료된다.
수철성 (연천군)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양원리(兩遠里)에 해발 397m 봉의 평탄하게 조성된 정상부의 외곽을 돌아
가면서 쌓은 머리띠식 석축(石築)산성이다.성벽과 성 내부는 상당 부분 훼손된 상태이나 부분적으로
성의 외벽이 잘 남아 있는 편이다. 전체적인 평면 형태는 긴 타원형이며 전체 둘레는 대략 250m 이
다. 현재 남아있는 성벽의 가장 높은 곳은 4m 정도이고 북서쪽 부분은 대부분 무너져 남아 있는 곳
이 없다.
전형적인 삼국시대의 성을 쌓는 기법으로 지어졌으며 소규모의 성으로서 전략적 거점이나 주요 교
통로에 지어진 칠중성(七重城)의 보조성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수습되는 유물은 적으나 토기조각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데, 회색과 회청색의 경질토기류가 많고
신라토기도 수습되었으나 고구려토기나 백제토기로 추정되는 유물은 발견되지 않는다.
술천성 (여주시)
경기도 여주시 금사면 이포리(梨浦里)와 외평리(外坪里) 사이의 태봉산(183m)의 정상부에서 석축
이 확인된 것으로 알려졌다.
백제 초기의 문헌에 기록되어 있을 정도로 오래된 산성이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 따르면 AD 22년(백제 온조왕 40)과 214년(초고왕 49)에 말갈이 술천성
(述川城)을 공격하였다는 내용이 있다. 또한 신라시대에 태종무열왕이 고구려를 공격하기 위한 전초
기지로 삼기 위해 660년(태종무열왕 7)에 쌓았다는 말이 전해져 내려오며, 〈삼국사기(권1∼50)〉
에 663년 “고구려 장수 뇌음신(惱音信)이 말갈 장수 생해(生偕)와 함께 술천성을 공격하였으나 신라
가 끝내 지켜냈다”는 기록이 있다.
시루봉보루 (구리시)
아차산 20여 개의 보루 중 하나인 시루봉보루는 5세기 후반에서 6세기 중엽에 만들어져 사용됐다.
시루봉보루는 1999년부터 4차례 발굴 조사해 보루의 축조과정과 구조가 확인됐고, 각종 토기와 철
제 농공구 및 무기 등이 발굴됐으며 시루봉 보루는 고구려의 남진 정책 전초기지로 추정된다.
아차산 주변은 경기도 구리시와 서울시 광진구와 경계를 이루는 곳에 있어서 보루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신남성동돈대 (성남시)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있으며 1752년(영조 28) 광주유수(廣州留守) 이기진(李箕鎭)의
건의로 검단산 정상부에 축조한 2곳의 돈대(墩臺) 가운데 동쪽에 있는 것을 가리킨다.
검단산 정상은 동서 방향으로 3개의 봉우리가 있는데, 서쪽 봉우리가 가장 높고 중앙의 봉우리가
다음으로 높다. 신남성 동돈대는 중앙의 봉우리에 설치되었고, 서쪽 봉우리에 축조된 것은 서돈대
(西墩臺)라고 부른다. 돈대는 성을 쌓을 여건은 안 되지만 전략적 요충지에 설치하여 적의 침입이나
척후활동을 사전에 방어하고 관찰할 목적으로 쌓은 소규모 방어 시설물을 말한다.
정상부를 편평하게 다듬은 뒤 원형에 가깝게 축조하였는데, 전체 둘레는 134m, 면적은 1,381㎡이
다. 돈대는 너비 약 4.3m로 띠를 두르듯 원형으로 구축하였으며, 성벽 높이는 평균 4m 안팎으로 안
쪽에 1m 정도의 단(壇)을 조성하였다. 돈대에서는 남옹성을 비롯하여 수어장대 등 남한산성의 남쪽
부분이 한눈에 들어오지만 성 내부는 잘 보이지 않는다. 성돌은 본래 두께 40~60㎝, 너비 60~100
㎝의 대형 석재를 사용하였는데, 복원 과정에서 상당 부분 보수자재로 대체되었다.
출입구는 돈대의 서쪽에 홍예문 형식으로 구축되어 있는데, 원래의 문이 아니라 돈대 내부에 송신
탑을 건설하는 과정에서 차량이 드나들 수 있도록 확장하여 신축한 것이다. 돈대의 정상부에는 별다
른 시설이 없다. 성벽에는 돈대 내부의 물을 밖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남쪽과 북동쪽에 2개의 평거
식(平据式) 수구(水口)를 조성하였다.
신남성서돈대 (성남시)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있으며 1752년(영조 28) 광주유수(廣州留守) 이기진(李箕鎭)의
건의로 검단산 정상부에 축조한 2곳의 돈대(墩臺) 가운데 서쪽에 있는 것을 가리킨다. 검단산 정상
은 동서 방향으로 3개의 봉우리가 있는데, 서쪽 봉우리가 가장 높고 중앙의 봉우리가 다음으로 높
다. 신남성 서돈대는 가장 높은 서쪽 봉우리에 설치되었고, 중앙의 봉우리에 축조된 것은 동돈대(東
墩臺)라고 부른다. 돈대는 성을 쌓을 여건은 안 되지만 전략적 요충지에 설치하여 적의 침입이나 척
후활동을 사전에 방어하고 관찰할 목적으로 쌓은 소규모 방어 시설물을 말한다.
동돈대에서 서쪽으로 235m 떨어진 해발 532m 지점에 있다. 남한산성 동쪽의 한봉과 더불어 산성
을 방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곳으로서 병자호란 때 청나라 군인들이 이곳에 포(砲)를 설
치하고 발사하여 행궁의 기둥을 맞추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전체 둘레는 121m, 면적은 998㎡로
동돈대에 비하여 규모는 조금 작지만 시계(視界)는 더 좋다.
서쪽 부분의 성벽이 5m 정도 결실되었고 내부도 훼손되어 원형을 확인하기 어렵지만, 동쪽에 설치
된 출입구와 외곽 성벽은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다. 출입구는 동돈대와 마찬가지로 홍예석으로 구축
된 반원형의 홍예문이며, 너비와 높이는 각각 152㎝이다. 측벽은 네모반듯한 무사석(武沙石)으로 틈
없이 다듬었는데, 정교한 석재 가공기법이 화성 성벽의 축조기법과 비슷한 면을 보이는 조선시대 짐
영이며 봉화대도 있었다고 하나 지금은 흔적을 확인할 수 없다.
아미리보루 (연천군)
<아미리의 풍경>
경기도 연천군 미산면 아미리 여씨동(呂氏洞)과 백학면 구미리(九尾里)의 경계를 이루는 능선 위
의 봉우리 정상에 있다. 자연석으로 정상부를 원형으로 쌓았는데, 가운데 부분에 함몰(陷沒)된 부분
이 있으며 붕괴 현상의 지속으로 석재(石材)들이 주변에 무너져 있다. 현재 남아 있는 함몰부는 6·25
전쟁 때 참호(塹壕)가 지어지면서 형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형태상 봉수터로 보기 어려운 점이 있으나, 함몰부 주변에서 발견되는 인위적으로 돌로 쌓아 만든
구조물로 보아 보루(堡壘) 형태의 시설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주변에서 유물은 전혀 발견되지
안산보루 (남양주시)
경기도 남양주시 가운동(加雲洞)의 안산(案山)은 왕숙천(王宿川) 동쪽에 있는 높이 128.8m의 낮은
구릉이다. 높지는 않지만 정상부에서 남쪽으로 수석리토성(水石里土城)과 한강유역, 서쪽으로 아차
산(峨嵯山) 일대, 북쪽으로 퇴계원 일대를 모두 바라볼 수 있는 요지이다.
보루는 전체적으로 긴 타원모양으로 산 정상부의 외곽을 둘러싼 형태이다. 성벽의 전체 둘레는 14
8.2m이며, 30~40cm정도의 다듬지 않은 깬돌을 이용하여 성을 쌓았다. 이곳에서는 대체로 선사시
대에서 청동기시대에 걸친 유물이 발견되었는데, 선사시대의 취락이 형성되었던 자리에 삼국시대의
관방시설이 설치되었음을 추측할 수 있다.
안산읍성 (안산시)
경기도 안산시 수암동에 있는 안산읍성과 관아지는 수암봉에서 서쪽으로 길게 뻗는 능선을 이용하
여 평지를 감싸도록 쌓았다. 전형적인 평지산성으로, 고려시대 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자연지세를 이용하여 쌓은 성은 직사각형 모양이고 각 모서리가 약간 둥글게 처리되었다. 성의 둘
레는 772m이고, 서쪽과 북쪽은 바깥쪽이 매우 가파른 경사를 이루고 있어 주요 방어 지역이었을 듯
하다. 성의 남쪽에 문터가 있고 북서쪽 꼭대기의 편평한 터는 장대(주변보다 높게 쌓아올린 장수의
지휘대)가 있던 자리로 여겨진다. 성의 형태로 보아 행정적 역할이 강한 전형적인 읍성으로, 이미 고
려말에 세웠다. 그렇지만 조선 초기에 왜구를 막기 위해 세웠던 서해안 지역의 여러 읍성과 같은 계
통에 속한다.
관아터는 조선 현종 10년(1669)에 이곳으로 옮긴 것으로, 관아의 시설들은 모두 파괴되고 곳곳에
흩어진 주춧돌과 기와조각들이 발견된다.
영랑산성 (안양시)
경기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의 삼성산 삼막사와 상불암 사이에 있는 해발 458m 봉우리 주변 일대
이다. 안양시의 관방유적은 영랑산성 1개소가 확인되고있는데, 이 산성에 대해서는 『신증동국여지
승람』 금천현 고적조에 “영랑성은 삼성산에 있는 석축성으로 둘레는 3,750척으로 성내에 대정이
라 불리는 못이 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조선 영조때에 각도읍지를 개수 편찬한 『여지도서』 금천현 성지조에도 “영랑성: 삼성산에 오래
된 석성터가 있으며, 언제 축성되었는지 알 수 없다. 둘레는 천칠백 오십척이며 중앙에 대정이라는
한우물이 있다.”라고 기록되었고, 금천현도에는 삼성산의 삼막사와 망월암 사이에 영랑성의 위치까
지 표시되어 있다.
또한, 1908년에 육당 최남선이 지은 『경부철도가』 8절에도 “관악산 개인경을 우러러보고 영랑
성 묵은 터 바라보면서, 잠시동안 시흥역을 거쳐 가지고 날개 있어 나는 듯 안양 이르러” 라는 구절
이 있어 근세에 이르러도 삼성산에 있던 영랑성의 존재가 알려져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삼성산 일대가 바위로 되어 있는 지형이기에 성벽은 자연암반을 성벽으로 이용하거나 암반과 암반
사이에 석재로 채우는 방식으로 성벽을 이루고 있다. 서벽과 북벽 일부에서 성벽의 면석과 뒤채움
석재의 흔적이 확인된다. 동벽과 남벽은 절벽에 가까운 암반을 방어 시설로 사용하였거나, 낮은 지
형에 계곡을 안고 있는 관계로 성벽선 자체가 유실되어진 것으로 여겨진다. 영랑성의 전체 둘레는
약 2,000m 로 추정된다.
오두산성 (파주시)
경기 파주시 탄현면 성동리의 오두산의 정상을 둘러싼 길이 620m의 백제 성이다.
경사가 가파르고 서쪽은 임진강, 남쪽은 한강, 동쪽은 농경지, 북쪽은 산으로 이어진다. 성벽은 서
쪽 부근이 잘 남아있다.
성벽 쌓기 수법을 보면 밖으로는 위로 올라가면서 돌을 안으로 들여 쌓고, 성벽 내부는 돌로 채웠
다. 이러한 성곽의 형태는 백제 성곽 연구에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된다.
광개토대왕릉비와 『삼국사기』백제본기에 나오는 관미성이 이 바로 오두산성이라는 주장이 있으
며, 김정호의 『대동여지도』에는 이곳을 관미성이라 기록해 더욱 주목 받고 있다.
오두산성 (화성시)
경기도 화성시 팔탄면 지월리(芝月里)에 있으며 우정읍 조암리(朝岩里)에서 봉담읍(峰潭邑)을 지나 수원시(水原市)로 통하는 길목에 있다.
원래 화성시 향남읍 제암리(堤岩里)의 두렁바위로부터 시작되어 오두산(해발 104.6m) 정상에서 능선을 따라 화성시 팔탄면 율암리(栗岩里) 뒷산을 거쳐 서미산(鼠尾山)에까지 연결되었다 한다.
오두산의 북쪽 부분에 토성을 쌓았는데, 서쪽 경사면은 안과 밖에 돌을 담처럼 쌓고 그 안에 돌을
넣는 내외협축(內外夾築) 방식을 이용하였다.
동쪽 경사면은 성벽을 쌓지 않고 흙을 깎아 성 내부의 사용 면적을 넓혔다. 정상부의 가장 짧은 부
분의 너비는 30m 정도이다. 토성의 벽은 지월리(芝月里)를 마치 초승달 모양으로 휘감아 둘러싼 모
습이다.
출토된 유물로는 돌화살촉, 돌칼, 토기조각 등이 있으며, 산성의 기슭에서 청자조각이 출토되는 무
덤이 발견되었으며 발견된 유물로 보아 고려시대 이후에 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파주시와 화성시는 거리가 멀어 접경지도 아닌데 상의 이름과 성이 있는 산이름이 같게 조사되었으므로 계속 조사>
옥녀봉산성 (연천군)
경기도 연천군 군남면 옥계리(玉溪里)와 삼곶리(三串里) 경계에 있는 옥녀봉 정상부에 머리띠 식
으로 돌로 쌓은 성이다. 성을 쌓은 방식으로 보아 6세기 이후 신라가 지은 것으로 보이며 고려시대
에는 읍성(邑城)과 대피를 위한 성으로도 이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성벽은 자연 지형을 적절히 이용해 정상을 중심으로 지어졌는데, 현재 완전한 형태로 남아있는 곳
은 없으나 석재(石材)가 무너져 내린 퇴적층이 전 구간에서 확인된다. 성의 전체 둘레는 약 650m이
며 성벽의 원래 높이는 5~7m였을 것으로 보인다.
신라시대의 것으로 보이는 선조문(線條文)기와조각과 각종 경질(硬質)토기조각이 수습되었으며
이 외의 수습된 유물은 삼국~조선시대까지 다양하다.
용성리성 (평택시)
경기 평택시 안중읍 용성리 455번지 외 28필지 비파산성으로부터 남쪽으로 1km 떨어진 토축형의
방형 성지(城址)이다.
문지, 치성이 있고 경작지 등의 조성으로 삭평된 일부 구간을 제외하고 성벽이 비교적 잘 남아 있
고 고려시대 이후의 유물이 출토된다. 규모가 작고 능선으로 연결되어 있어 비파산성과 연계된 방어
시설로 추정된다.
우정리보루 (연천군)
경기도 연천군 미산면 우정리(牛井里)에서 '매봉' 또는 '백제장대봉' 등으로 불리는 산 정상에 머리
띠식으로 쌓은 산성(山城)이다.
6·25전쟁 당시 주둔했던 중공군들이 성벽을 쌓는 데 사용되었던 돌들을 군사 목적으로 쓰기 위해
다른 곳으로 옮겨 현재는 석축(石築)이 확인되지 않는다. 전체 둘레는 약 250m 정도이며 정상부 편
평한 부분의 넓이는 약 1,000평이다.
최근 정상부에 개설한 교통호(交通壕)의 단면에서 격자무늬와 사선무늬가 새겨진 회청색 경질(硬
質)토기조각이 약간 수습되었으며, 정상부 주변에서는 고구려 토기조각이 발견되었다. 유적은 지정
학적인 위치로 보아 삼국시대의 고구려 보루(堡壘)일 것으로 추정된다.
원적산성 (여주시)
경기도 여주시 금사면 주록리(走鹿里)와 금사면 주록리와 이천시 백사면 경사리(京沙里) 사이의
원적산에 있어 ‘원적산토성지’라고도 한다.
조선 후기의 〈여지도서(輿地圖書〉〈대동지지(大東地志〉〈이천부읍지〉 등에 공민왕이 축조했
으며 4.5~6.7km에 이르는 대규모의 산성이었으나 폐성하였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원적산의
정상부에서 능선을 따라 자리 잡고 있으며, 적극적인 방어를 위한 산성이라기보다는 고려시대에 피
난용 산성으로 축조한 것으로 추정된다.
월롱산성 (파주시)
경기 파주시 월롱면 덕은리와 탄현면 금승리 그리고 금촌 야동동에 걸쳐 우뚝 솟아 있는 해발 246
m의 월롱산은 예로부터 신산으로 알려져 있다.
월롱산 내령은 크게 두 개의 봉우리로 나누어져 있는데 월롱면 덕은리와 야동동 쪽을 '파주 월롱
산'이라 하고 탄현면 금승리 쪽을 '교하 월롱산'이라 부르기도 한다. 월롱산 서쪽에 월롱산과 해발 높
이가 비슷한 기간봉이 있으며 이 곳에는 측량에 이용된 기가 꽂혀 있어 깃대봉으로 부르기도 한다.
월롱산 정상에 오르면 사방으로 파주 일대를 모두 조망할 수 있어 월롱산은 천연 요새와 같은 곳이
다. 산 정상에는 체육시설이 들어서 있고 등산객들이 수시로 월롱산을 찾고 있어 월롱산은 주민들의
체육및 휴식 공간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동안 문헌적으로 월롱산성이 존재하고 있음은 보고되었으
나 구체적인 산성의 규모와 실체에 대한 조사가 없었다.
그런데 월롱산성이 임진강과 한강 하구 지역을 통제하던 초기 백제의 주성 역할을 담당했던 성으
로 밝혀졌다. 월롱산성은 동서남북이 벽으로 구성되어 있다. 성의 외벽은 거의 20m 이상이 절벽인
자연 지형을 이용하였고, 내벽은 대부분 정연한 석축은 보이지 않고 일부 석재들이 노출되어 있다.
문지는 동문지, 서남문지, 서북문지, 북문지가 확인되며 동문지와 북문지를 제외한 서남문지와 서
북문지는 자연암반을 계단 모양으로 깎아 내면을 조상한 것으로 확인된다.
은대리성 (연천군)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은대리에 있으며 연천 호로고루, 연천 당포성과 함께 임진강과 한탄강이 지
류와 만나 형성하는 삼각형의 대지 위에 조성된 독특한 강안평지성(江岸平地城)으로 내성과 외성의
이중구조로 되어 있으며, 남한지역에서 확인되는 중요한 고구려성 중의 하나이다.
은대리성의 평면은 삼각형이며 남벽과 북벽의 일부는 강변의 자연단애를 이용하였으며 동쪽 평탄
지에만 지상성벽을 구축하였다. 동벽은 외성과 내성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외성의 전체규
모는 1,069m이고 내성의 둘레는 230m이다.
성벽은 호로고루나 당포성에 비하여 성벽의 높이도 낮고 견고함도 떨어지지만 기본적인 성벽의
구조는 거의 동일하다.
호로고루나 당포성은 7세기 후반 신라에 의한 점유 및 동벽 바깥에 석축성벽을 덧붙여 쌓은 흔적
이 확인되지만 은대리성은 후대 사용흔적이 확인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고구려 이후에 폐기된 것으
로 추정된다.
터는 남벽에 인접한 외성 중앙부에 위치해 있는데 건물의 외곽담장 축조에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
이는 석재가 사방에 3m 폭으로 무너져 있다. 담장의 내부공간은 동서 60m, 남북 30m 정도로 대규
모 건물이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여기에서 출토된 유물은 대부분 고구려 토기편이며 소량의 철제 유물이 출토되었다. 확인된 토기
중 완형복원이 가능한 토기는 검은색을 띠고 있으며 두 개의 가로날 손잡이가 달리고 외반된 구연에
평저 바닥을 갖춘 전형적인 고구려 토기 항아리이다. 특이한 것은 토기의 어깨면에 음각 물결무늬와
점열문이 찍혀 있다. 이러한 문양 형태는 다른 토기편에서도 확인되는데 인접한 고성산 보루와 호로
고루의 목책단계, 몽촌토성 등에서 확인되는 고구려 토기와 유사한 것으로 미루어 비교적 이른 시기
의 고구려 토기에 해당한다.
고구려군의 남진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유적으로 성내에서 출토되는 유물의 양상을 고려
할 때 6세기 중엽고구려가 신라와 백제의 연합군에게 한강유역을 빼앗긴 이후 임진강 유역으로 후
퇴를 하였는데 이때 한탄강변에 있었던 은대리성은 더 신라의 영역에 속하게 되었으며 이후 전략적
가치의 상실로 인하여 폐성이 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육계토성(파주시)
경기 파주시 적성면 주월리에 있는 육계토성은 임진강 유역의 남한에 위치하고 있는 유일한 백제
의 평지토성이다.
이곳은 임진강이 사행곡류하여 북쪽으로 돌출해 있는 만곡부로 임진강을 건너는 주요도하지점의
하나인 가야울과 서쪽의 두지나루를 조망하고 제어할 수 있는 곳으로 도하하는 적을 방어하는 전초
기지의 역할을 수행한 것으로 여겨진다.
성내ㆍ외부는 대부분 논과 밭 등의 경작지로 이용되고 있으며 성내부에 예전 군부대 건물이 그대
로 방치되어있다.
발굴조사 결과 주거지,구덩이 유구등과 토기류,철기류,장신구류 등 초백제시대의 유물이 다량으로
출토되었다.
은대리성 (연천군)
경기 연천군 전곡읍 은대리있는 이 성의 기록은 거의 남아있지 않으며, 1995년도에 발간된 연천
군사료집에 의해서 처음 알려지게 되었다. 그 후 1995년부터 2003년사이 지표조사 및 발굴조사가
이루어지면서 고구려 토기 일부가 발견되는 등 고구려를 중심으로 한 삼국시대 성으로 추측된다.
은대리성은 한탄강 장진천의 합류지점에 형성된 삼각형의 하안단구 위에 축조된 성으로 한탄강과
합류하는 곳이 삼각형의 꼭지점을 이루고 이곳에서 동쪽으로 가면서 점차 넓어지는 형태이다. 남벽
과 북벽은 각각 단애를 활용하여 성벽을 축조하였지만 동벽은 동쪽에 형성된 개활지를 가로질러 축
조되었다. 크게 내성과 외성으로 나누어지는데 외성은 현재 길이 약 60m정도 동벽이 형태를 유지하
고 있으며, 남벽은 한탄강에 접하여 50~60m정도의 수직단애에 축조되었고 북벽도 15~20m정도의
단애가 급경사를 이루는 지역에 축조되었다.
외성의 전체 규모는 동서 400m, 남북 130m, 총길이 1,005m 정도이고, 현재 동벽에는 남쪽과 북
쪽에서 성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진입로가 개설되어 있다.
내성의 총길이는 230m이며 외성과 유사한 삼각형의 평면형태로 축조되었고 내부 시설물로는 문
지 3개소, 대형건물지 1개소, 치성 2개소가 확인되었다.
연천은대리성은 연천호로고루, 연천당포성과 함께 임진강과 한탄강이 지류와 만나 형성하는 삼각
형의 대지위에 조성된 독특한 강안평지성으로 임진강이 국경하천역할을 했던 삼국시대와 밀접한 관
련이 있고 학술적으로 가치가 높은 귀중한 문화유적이다.
이성산성 (하남시)
경기 하남시 춘궁동에 있는 이성산성은 남한산성이 있는 청량산에서 북쪽방향으로 내려오는 줄기
와 만나 길게 맥을 형성하는 금암산의 줄기에 접해 있으며, 남쪽은 평야를 둘러싸고 있는 높은 산들
이 있으나 북쪽은 작은 구릉만 있어 한강 주변지역을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다. 따라서 이성산성은 배
후의 평야지역을 방어하고 강북의 적으로부터 한강유역을 방어하기에 매우 유리한 입지조건을 갖춘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총길이 1,925m인 이성산성과 성내부에 대한 본격적인 발굴조사는 한양대학교박물관의 주관으로
지난 '86년부터 '99년간 7차에 걸쳐 실시되었으며, 삼국시대 건물지(8각, 9각, 장방형 등)와 부대시
설(문지, 배수구 등), 목간, 철제마 등 총 3,352점의 유물이 출토되었고, 특히 3차 발굴조사 결과 출
토된 목간 전면의 명문기록「무진년정월십이일 붕남한성도사」 중"무진년"은 603년으로 추정되고
있다.
출토된 토기들은 황룡사, 안압지 출토 토기들과 유사하여 통일신라토기로 판명되며, 신라가 5세기
중엽 한강유역을 점령한 후 축조된 것으로 역사상·학술상으로 매우 귀중한 유적으로 평가된다.
임진산성 (용인시)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풍덕천동(豊德川洞)에 있는 조선 중기의 산성(山城)이다.임진왜란(壬辰倭
亂) 당시 왜군이 쌓은 토성(土城)으로, 해발 129.2m인 임진산(壬陳山)에 있다. 1997년 경기도박물
관에 의해 조사되었다. 일제강점기시대의 자료인《조선보물고적조사자료(朝鮮寶物古蹟調査資料)》
에 최초로 기록되었다. 조사 당시 대부분 파괴되어 정확한 원형을 알 수 없으며, 3.5m 정도의 성벽
이 남아있다. 정상부에는 U자형의 저장공이 있으며, 인근에 목제 시설물이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출토 유물로는 조선시대의 화포(火砲)와 같은 무기 종류와 청동기시대의 민무늬토기류, 백제시대의
타날문(打捺文)이 시문된 토기류, 조선시대의 도자기 및 기와 등이 있다. 임진왜란(壬辰倭亂) 당시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무기가 발견된 점은 조선시대의 무기에 관한 학술적인 자료로 중요한 가치
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자미산성 (평택시)
경기 평택시 안중읍 용성리의 자미산 정상부 주위를 둘러싼 내성과 능선을 따라 이루어진 외성으
로 이루어졌으며 성내에는 문지 등의 각종 시설물이 확인되었고, 청동기시대 부터 조선시대에 이르
기까지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었으며 삼국시대의 산성일 것이다.
방조제 공사로 석재들이 유출되어 석축을 찾아 보기 힘드나 성벽하부는 매몰되어 확인되고 삼국의
격전지였던 아산만에 위치하여 역사적, 고고학적으로 중요하다.
죽주산성 (안성시)
경기 안성시 죽산면 매산리에 있으며 죽산은 충청북도 청주와 충주가 만나는 중부 내륙의 길목이
어서 일찍부터 서울로 통하는 중요한 곳으로 여겨져 왔다.
고려 고종 23년(1236) 몽고군이 죽주산성에 이르러 항복을 권유하자 죽주방호 별감 송문주 장군
이 15일 동안을 싸워 적을 물리쳤다. 장군은 일찍이 귀주성싸움에서 몽고군의 공격법을 알고 있어
대비하였으므로, 백성들이 ‘신명’이라 하였다. 조선시대에도 이 지역의 전략적 중요성이 강조되어 성
을 보수하였으며, 병자호란 때에는 진을 치기도 하였다.
현재 성의 둘레는 1688m, 높이는 2.5m 정도이며 부분적으로 수리를 많이 하였다. 남쪽 성벽의 양
쪽 끝과 동쪽 성벽의 북쪽 끝에는 방어력을 높이기 위해 성벽 바깥으로 튀어나오게 쌓은 치성이 남
아 있으며, 남문 성 바깥에 물길을 돌린 도랑의 흔적이 있다. 그리고 북문 옆에는 네모진 주춧돌과
기와 조각이 흩어져 있으며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성이다.
성 안에는 몽고 침입 때 큰 공을 세운 송문주 장군의 전공을 기리는 사당이 있다.
처인산성 (용인시)
경기도 용인시 남사면 아곡리에 있는 산성으로, 흙으로 성벽을 쌓아 올렸다. 이곳은 고려 때 처인
부곡으로 불렸던 곳으로, 고려 고종 19년(1232) 몽고의 침입 때 고려의 승장 김윤후 장군이 살리타
이 장군을 사살한 격전지이기도 하다.
야산의 끝자락인 구릉 위에 쌓은 평지성으로 오랜 세월동안 풍우에 훼손되어 흔적만이 남아 있는
데, 잔존하는 성의 길이는 약 250m 정도이다. 주변보다 높은 지형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평면은 사
다리꼴에 가까우며, 성을 쌓은 방법을 보면 높은 곳은 깎고 낮은 곳은 다졌다. 지형의 높이를 고려하
였기 때문에 성벽의 높이는 4.8∼6.3m로 차이가 난다.
이 성에서 마주 보이는 곳에 말안장같은 야산이 있는데, 여기서 살리타이가 화살을 맞고 전사하였
다는 이야기가 전해져 ‘사장터’라고 부른다.
천보산보루군 (양주시)
경기도 양주시 마전동 천보산 보루군(天寶山堡壘群)은 삼국 시대에 건립되었다. 한강 유역의 쟁탈
과 관련하여 양주 지역은 중요한 관문의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적을 방어하기 위한 성과 보루 등 군
사 시설이 발달하였고, 천보산 보루군 역시 이와 같은 목적으로 축조된 것으로 보인다.
시 마전동 일대 및 의정부시 경계에 걸쳐 있는 천보산은 높이 423~282m의 봉우리가 이어지고 있
는 산인데, 정상부부터 주위 5개 봉우리 정상에 각각 보루가 축조되어 있다.
제1보루는 개암사 뒤편에 있는 높이 299m의 소봉 정상부에 위치하고 있고,
제2보루는 제1보루에 동쪽으로 직선거리 270m 지점인 높이 336.8m의 봉우리 정상부에 자리한
다.
제3보루는 백석이고개에서 능선을 따라 북쪽으로 올라가면 만나는 높이 282m의 소봉 정상부에 있
다.
제4보루는 석문령에서 북쪽 능선을 따라 직선거리 약 1㎞ 지점인 높이 342.8m의 소봉 정상에 자리
한다.
제5보루는 회암령 투바이고개 정상에서 북쪽으로 직선거리 1.2㎞ 지점, 높이 423m의 봉우리 정상
제1보루에는 방형 석축단이 형성되어 있다. 전체 둘레는 약 40m, 높이는 약 3m이며, 1m 정도
석괴를 쌓아 석축을 조성하였다. 제2보루는 가늘고 긴 타원형이었을 것으로 보이지만 거의 파괴되
어 그 형태를 알기 어렵다. 다만 집수 시설로 여겨지는 방형 유구가 남아 있다. 제3보루는 달걀 모양
의 장타원형이며, 둘레는 88m, 장축은 34m, 단축은 24m, 성벽 높이는 2~3m 정도이다. 제4보루는
원형에 가깝게 축조되었는데, 둘레는 46m, 직경은 15x14m, 높이는 2~3m 정도이다. 제5보루는 남
북을 장축으로 하는 타원형으로서, 둘레는 120m, 장축은 41.3m, 단축은 20m, 성벽 높이 3~5m 정
도이다.
보루는 현재 많이 파괴되어 있어 명확한 형태를 알 수 없으며, 공통적으로 많은 양의 기와 조각이
발견되고 있다. 대부분 신라 계통의 토기들이 수습되는데, 다만 제2보루에서 채집된 유물은 대부분
고구려 계통 토기 조각으로 일부 백제 계통의 연질 토기 조각도 있다. 제3보루의 경우 발견되는 토
기는 대부분 신라계 토기 조각이며, 제4보루 역시 많이 파괴되어 있으나 성 내부에서 소량의 신라계
토기 조각이 발견되고 있다. 제5보루에서도 제4보루와 비슷하게 신라계 토기 조각 등이 발견되었다.
천보산보루성 (의정부시)
경기도 의정부시 자일동(自逸洞)과 양주시 만송리(晩松里) 경계의 화룡골 분지 부근에 있는 보루
성(堡壘城)이다.
성벽의 둘레는 약 88m이며 긴 타원형 모양이다. 부분적으로 성돌이 노출되어 있으나 대부분 무너
진 상태이며 높이는 약 3m 정도로 내부는 평탄하다.
출토 유물로는 회청색 경질의 토기와 회색 연질의 항아리 형태 토기 조각, 회백석으로 조성된 연질
의 기와 조각 등이 있다.
칠중성 (파주시)
경기 파주시 적성면 구읍리에 있는 칠중성은 해발 147m의 중성산 정상부와 그 남서쪽에 위치한
해발 142m의 봉우리를 연결하여 축조한 테뫼식산성으로 전체 둘레는 603m이고 남북 폭은 198m,
동서 폭은 168m이다. 전체 높이는 북동쪽이 가장 높고 서벽에 비해 동벽 부분이 현저히 낮은 형태
를 보이고 있다.
임진강 중류의 남쪽 연안에 위치하고 있어 관서지방과 한강유역을 연결하는 교통의 요지로 삼국시
대에 많은 전투가 있었다. 신라와 고구려의 전쟁이 이 성을 중심으로 시작되었고, 신라의 삼국 통일
전쟁시 나당연합군에 의한 고구려 침공 때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을 뿐만 아니라 통일 이후에는 신라
와 당나라와의 전투에서 그 역할이 매우 컸던 산성이다.
지표조사 결과 문지 3개소, 건물지 5개소, 우물지 2개소 등이 남아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칠(七)자
명의 평기와와 고구려, 백제, 신라시대의 유물이 다량으로 출토되는 등 우리나라 고대사의 많은 문
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사적·학술적으로 중요한 유적이다.
태봉산성 (용인시)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좌항리(佐恒里)에 있는 해발 309.6m인 태봉산(台峰山)의 능선을 머
리띠식으로 둘러쌓은 토성(土城)이다.
성벽은 대부분 파괴되었고 경사진면의 흙을 깍아 편축식(片築式)으로 쌓았다. 전체 둘레 212m 정
도이며 평면은 사다리꼴 형태인데, 남쪽이 북쪽보다 더 넓다. 비교적 많은 양의 백제시대 타날문(打
捺文)이 시문된 토기류가 출토된 것으로 미루어 삼국시대의 산성(山城)이며 지역의 중요한 군사적
요충지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테뫼산성 (남양주시)
<광전리의 산길>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광전리(廣田里)에 있는 옛 산성으로 해발 370.2m인 퇴뫼산의 정상부를
둘러싸고 있는 석축산성(石築山城)이다. 산성이 축조된 지역은포천지역에서 한강유역의 아차산성
(阿且山城)에 이르는 길목에 해당하여 지리적·군사적 요지이다. 전체 둘레는 625m이나 성벽이 전체
적으로 훼손되어 북서쪽의 일부만이 온전한 형태로 남아있다.
성 내부에서 동문지(東門址)와 서문지(西門址) 2개소가 발견되었다. 동문지는 정상부에서 60m 정
도 내려온 지점이고 서문지는 능선 동쪽에서 서북쪽으로 50m 떨어진 지점에 있다. 산성 내부의 평
지에 토기조각과 기왓조각들이 널리 퍼져 있는 점으로 보아 이 지점이 곧 건물터였을 것으로 추정된
다.
채집유물로는 삼국시대에서 통일신라시대에 이르는 토기조각과 기왓조각들이 있다. 빗금무늬를
새겨 넣은 암기와가 주를 이루며, 연꽃무늬가 있는 회청색 막새(기와)도 발견되었다. 출토유물을 보
아 삼국시대에서 통일신라시기의 산성으로 추정된다.
작은테미산보루 (양주시)
경기도 양주시 마전동 작은테미산에 있는 삼국 시대의 보루로 한강 유역의 쟁탈과 관련하여 양주
지역은 중요한 관문의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적을 방어하기 위한 성과 보루 등의 군사 시설이 발달
하였고, 이러한 목적의 일환으로 작은테미산 보루를 쌓게 되었다.
평면 형태는 원형에 가깝다. 전체 둘레는 105m, 높이는 2~3m가량이다. 성벽은 산 정상에서 3m
정도 아래로 돌아가며 쌓았다. 남쪽 진입로 부분에 석축 일부가 드러나 있으며, 남쪽 부분은 비교적
넓고 평탄하다.
남쪽 부분에 묘역이 조성되면서 성 내부의 유구가 상당히 훼손되었다. 발견된 유물로는 약간의 토
기 조각이 있는데 대략 신라~통일 신라계의 것으로 판단되며, 소토 덩어리 몇 점이 나와 건물 터가
있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작은테미산 보루는 인근의 큰테미산 보루와 연결되고 있어, 삼국 시대 양주를 중심으로 적의 움직
임을 살피고 이를 막으려 하였던 방어 체계를 엿볼 수 있다.
큰테미산보루 (양주시)
경기도 양주시 산북동 큰테미산에 있는 고구려 시대의 보루로 한강 유역의 쟁탈과 관련하여 양주
지역은 중요한 관문의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적을 방어하기 위한 성과 보루 등의 군사 시설이 발달
하였고, 이러한 목적의 일환으로 큰테미산 보루를 쌓게 되었다.
큰테미산 보루는 일반적인 고구려 보루의 특징을 보이는데, 정상부에 석축과 치(雉)가 구축되어 있
었으며, 내부에는 건물 터와 온돌 구조, 배수로, 집수 시설을 갖추고 있었으리라 본다. 특히 집수 시
설은 방형을 이루는데, 생토나 암반 위에 납작하고 긴 판석으로 덮개를 하여 만들었으며, 지붕은 갈
대나 짚 등으로 올렸을 것이라 추정하고 있다.
큰테미산 보루는 인근의 작은테미산 보루와 연결되어 있어, 삼국 시대 양주를 중심으로 적의 움직
임을 살피고 이를 막으려 하였던 방어 체계를 엿볼 수 있다.
테뫼산성 (남양주)
남양주 별내면 광전리 퇴뫼산(해발 370m)에 자리 잡은 퇴뫼산성은 알려지지 않은 산성이다.
출입구가 완벽하게 보존된 성문지 오른쪽에는 더러는 잡목에 가렸지만, 10m 이상의 성벽이 축성
당시의 모습으로 남아있다. 산성 전체둘레는 700m 남짓하며 성벽은 북쪽과 남쪽은 멸실됐지만, 동
쪽과 서북쪽의 성벽 구간은 많이 남아있다.
성벽은 바깥쪽만 돌로 쌓았고, 안쪽은 흙으로 매웠으며, 성벽높이는 3m 정도에, 치성은 5m가 넘
을 것으로 보인다. 동문지는 잘 남아 있으며 산 정상에서 동쪽으로 60m 정도 내려온 위치이며 서문
지는 서북방향 50m 거리에 있다.
산성내부 평지에서 빗금무늬를 새겨 넣은 암기와 연꽃무늬가 있는 회청색 막새(기와)도 발견되는
데 출토유물을 보아 삼국시대에서 통일신라시대의 산성으로 추정된다.
파사산성 (여주군)
경기 여주군 대신면 천서리의 파사산 정상을 중심으로 능선을 따라 쌓은 산성으로 둘레는 약 1800
m이며 성벽은 비교적 잘 남아 있다.
신라 파사왕(재위 80∼112) 때 만든 것으로 전해지며, 임진왜란 때 승려 의암이 승군을 모아 성을
늘려 쌓았다고 한다.
조선 후기에 들어서는 남한산성에 대한 비중이 증가하여 파사성에 대한 중요성이 감소하였다. 현
재는 동문이 있던 자리와 남문이 있던 터가 남아있다.
이 성은 성의 일부가 한강변에 나와있어 강 줄기를 한눈에 볼 수 있기 때문에 상대를 제압하기 매
우 좋은 요새이다.
필중산성 (파주시)
자료 미확보
할미산성 (용인시)
경기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마성리의 할미산성(노고성)은 광역지표조사와 시굴조사 결과 자연지형
을 최대한으로 이용해 판상형 석재로 축조된 길이 651m의 테뫼식 산성이다.
내부시설로는 수구지, 토광, 건물지 등이 확인되었으며, 유물로는 철제가위 등 철제류 일부와 대부
장경호, 고배 등 신라계 토기류가 주로 채집되어 신라가 한강유역 진출시기인 6세기에서 7세기초에
축조되어 한정적으로 사용한 성으로 신라의 한강유역 진출과정을 밝힐 수 있는 중요한 성곽이다.
함왕산성 (양평군)
경기 양평군 옥천면 용천리의 용문산 줄기 남서쪽의 험준한 지형을 이용하여 쌓은 성으로, ‘함공
성’ 또는 ‘함왕성’으로 불리기도 한다.
자연석으로 쌓은 성곽의 길이는 29,058척(약 8,805m)이라고 전해지나, 현재는 700m 정도 남아있
으며 성벽은 높이 1.6m 안팎이고 북·서쪽의 성곽이 잘 남아있는 편이다. 북동쪽에는 건물터로 보이
는 곳이 있으며 그 주변에 주춧돌로 보이는 큰 돌과 기와조각이 많이 발견되고 있다.
성 아래에는 성공혈이라는 큰 바위굴이 있는데 여기서 원삼국시대 함왕 주악이 탄생하였으며, 이
곳을 보호하기 위해 성을 쌓고 부근을 정복하였다고 전해지고 있다. 고려시대 몽고의 4차 침입이 있
을 때 몽고군이 쳐들어오자 사람들이 이곳으로 피신하였다는 옛 기록이 남아 있는 고려시대의 성이
다.
북동쪽의 건물터에서 서쪽을 보면 한강 건너 백병산이, 가까이는 양평읍과 옥천면이 한눈에 들어
와 지형적으로 한강을 중심으로 한 요충지였음을 알 수 있다.
행주산성 (고양시)
경기 고양시 덕양구 행주내동에 있으며 임진왜란(1592) 때 권율 장군의 행주대첩으로 널리 알려진
곳으로, 흙을 이용하여 쌓은 토축산성이다. 성을 쌓은 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삼국시대부터 있
었던 것으로 보이며, 험한 절벽을 이용하면서 펼쳐지는 넓은 평야를 포함하고 있는 것은 삼국시대
전기의 산성 형식과 같다.
산꼭대기를 둘러싼 작은 규모의 내성과 골짜기를 에워싼 외성의 2중구조를 하고 있다. 남쪽으로는
한강이 흐르고 동남쪽으로는 창릉천이 산성을 에워싸고 돌아, 자연적으로 성을 방어하는 구실을 하
고 있다. 이 지역은 삼국시대 초기에 백제의 땅이었으며, 서해안과 연결된 수로의 거점지역으로 남
북 교통의 요충지대이다.
성 안에서는 삼국시대의 토기조각을 비롯하여 통일신라시대의 유물이 많이 나오고, 물고기뼈무늬
를 새긴 기와조각도 발견되고 있어서 고려시대까지도 사용해 왔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행주대첩은 임진왜란 3대 대첩 중 하나로, 선조 26년(1593)에 왜병과의 전투에서 성 안의 부
녀자들이 치마에 돌을 날라 병사들에게 공급해 줌으로써 큰 승리를 거두었다. 당시 부녀자들의 공을
기리는 뜻에서 행주라는 지명을 따서 ‘행주치마’라고 하였다고도 한다.
이 산성은 한강 유역에 있는 다른 산성들과 함께 삼국시대 이후 중요한 방어요새의 역할을 한 곳으
로, 현재 1603년에 세운 ‘행주대첩비’가 남아 있으며, 권율 장군을 모시는 충장사가 있다.
현리산성 (가평군)
경기도 가평군 조종면 현리와 신상리 경계 지점에 있어 '가평 신상리 성지'라고도 불리지만, 산성은
현리를 중심으로 축조되어 있어 현리산성으로 칭하는 것이 타당하다.
성재산 정상부를 중심으로 8~9부 능선을 이용하여 축성한 테뫼식 석축 산성으로 해발고도는 303
~353m이다. 동벽 길이는 180m, 서벽은 96.4m, 남벽은 101.7m, 북벽은 229.83m로 전체 둘레는 6
57.93m이다. 성 안의 지형은 북서쪽에 정상부가 있어 북쪽과 서쪽이 높고 남쪽과 동쪽이 낮은 사모
봉형(고대 관리들이 쓰던 관모처럼 생긴 봉우리)이다.
성 내부는 정상부와 북벽의 돌출부 그리고 남동쪽 회절부에 형성된 평탄지를 중심으로 3개 구역으
로 구분된다.대체로 잔존 상태가 양호한 편이며 체성벽은 일부 층이 맞지 않는 곳이 있는 것으로 미
루어 후대에 개축한 것으로 보인다.
성 안에는 우물지와 신앙유구, 봉수지 등의 시설물이 확인된다. 축성 시기를 정확히 알기는 어려우
나 백제 때 처음 축성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산성에서 수습된 유물들은 삼국시대에서 조선시대까지
다양하지만, 고려의 유물이 다수를 차지하는 것으로 미루어 산성이 가장 활발하게 이용된 것은 고려
시대일 것으로 추정된다.
호로고루 (연천군)
경기도 연천군 임진강 북쪽 기슭의 현무암 단애(斷崖) 위에 있는 삼각형의 강안평지성(江岸平地
城)으로, '재미산(財尾山)' 또는 '재미성(財尾城)'이라고도 불린다.
삼국사기에서는 이 성터 부근의 임진강을 과천·호로강(瓠瀘江)·표강(瓢江)으로 일컬었으며, 대동
지지(大東地志)》 등에는 삼국통일을 전후하여 이 지역에서 고구려와 신라, 신라와 당나라 사이에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다는 기록이 많이 나온다. 그것은 이 지역이 임진갈 하류방면에서 배를 타지
않고 건널 수 있는 최초의 여울목으로서, 육로를 통해 개성 지역에서 서울 지역으로 가는 최단거리
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모두 네 차례에 걸쳐 보수한 흔적이 발견되었고 먼저 판자를 측면에 대고 성을 쌓는 초기 백제계
의 판축(版築)에 이어 판축 바깥에 돌을 쌓고 자갈로 다진 고구려계의 석축(石築), 그리고 석축 바깥
쪽 하단에 돌기단을 쌓은 신라계의 축성법이 차례로 나타나 백제, 고구려, 신라가 이 지역에서 각축
을 벌였음을 알 수 있다.
성벽의 전체둘레는 약 400여m이고, 동벽 정상부와 서쪽 끝부분에 장대(將臺)가 설치되어 있다. 성
내부에서는 원삼국·고구려·통일신라시대의 것으로 보이는 다량의 토기 조각을 비롯하여 고구려의
붉은색 기왓조각, 주목도끼, 숫돌, 방추차 등 선사시대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화성산성(수원시)
경기 수원시에 있는 성으로 서쪽으로는 팔달산을 끼고 동쪽으로는 낮은 구릉의 평지를 따라 쌓은
평산성이다.
정조는 그의 아버지 장헌세자에 대한 효심에서 화성으로 수도를 옮길 계획을 세우고, 정조 18년(1
794)에 성을 쌓기 시작하여 2년 뒤인 1796년에 완성하였다. 실학자인 유형원과 정약용이 성을 설계
하고, 거중기 등의 신기재를 이용하여 과학적이고 실용적으로 쌓았다.
성벽은 서쪽의 팔달산 정상에서 길게 이어져 내려와 산세를 살려가며 쌓았는데 크게 타원을 그리
면서 도시 중심부를 감싸는 형태를 띠고 있다. 성안의 부속시설물로는 화성행궁, 중포사, 내포사, 사
직단들이 있었으나, 현재에는 행궁의 일부인 낙남헌만 남아있다. 특히 다른 성곽에서 찾아볼 수 없
는 창룡문·장안문·화서문·팔달문의 4대문을 비롯한 각종 방어시설들과 돌과 벽돌을 섞어서 쌓은 점
이 화성의 특징이라 하겠다.
화성은 쌓은 후 약 200여년이 흐르는 동안 성곽과 시설물이 무너지기도 하고 특히 한국전쟁을 겪
으면서 파손되었는데, 1975년부터 보수, 복원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효심에서 근본이 되어 당파정치 근절과 왕도정치의 실현 그리고 국방의 요새로 활용하기 위해 쌓
은 화성은 과학적이고 합리적이며 실용적인 구조를 갖고 있어, 1997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효양산성 (이천시)
경기도 이천시 부발읍 마암리와 산촌리 경계에 위치한 효양산에 있는 토성 유적효양산(해발 178
m) 정상에 가까운 해발 140m 지점에 축조한 테뫼식 산성과, 여기서부터 서쪽으로 약 300m 지점에
있는 봉우리까지 연결하고 다시 남쪽으로 돌아서 완만한 계곡을 따라 축조한 포곡식 산성이 결합된
혼합식 산성이다. 성벽은 토축 또는 토석혼축으로 쌓은 것으로 보이며 자연 지형을 이용하여 축조하
였다. 서벽은 내벽과 외벽이 비교적 뚜렷하게 남아 있는 편이나 동벽은 대부분 붕괴되고 일부 구간
만 비교적 양호한 상태이며, 북벽도 대부분 붕괴되었다.
성문의 자취는 내성에서 1군데, 동벽에서 1군데 모두 2군데가 발견되었으나 성의 원래 규모로 볼
때 성문이 더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산성 내부에서 많은 토기 조각이 발견되었는데 연질 회색 토기
와 경질 회청색 토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삼국시대 말기에 신라군이 쌓은 신라 토성일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