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희대학교의 조성균 교수입니다.
자신을 소개한다는 것이 살짝이 부끄러운 일이지만 개인적인 삶의 과정을 기록화 하기 위해 정리하여 남깁니다.
아주 개인적인 공간이니 이해해 주시길 바랍니다.
학력
경희대학교 태권도학과 & 행정학과 (체육학사 & 행정학사)
경희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체육학석사-스포츠매니지먼트)
한국체육대학교 이학박사 (스포츠경영학-스포츠마케팅)
중국 상해체육대학교 교육학박사 (스포츠인문학-스포츠문화인류학)
중국 광서사범대학 방문학자(교환교수) 2023.09.01 ~ 2024.08.31
연구분야
스포츠경영학, 스포츠마케팅, 스포츠인문학, 스포츠문화인류학
주요경력
경희대학교 체육대학 태권도학과장(2019.08.01 ~ 2023.8.30)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교수(2014. 09. 01 ~ 2019.08.30)
경희대학교 체육대학 태권도학과 교수(2019.09.01 ~ 현재)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태권도학전공 주임교수(2017.04.03 ~ 2019.08.30)
전) 영산대학교 태권도학과 학과장(2004.3 ~ 2014.8)
전) 영산대학교 태권도대학원 책임교수
국민체육진흥공단 기금평가 위원(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문화재청 문화재 전문위원(2016.05.01-2018.04.30, 2018.05.01~2020.04.30, 2020.05.01~2022.04.30, 2022.05.01~2024.04.30)
문화체육관광부 전통무예진흥위원회 위원(2020.05.20~2022.05.20)
국립문화재연구소 자문위원(2007)
문화재청 예능보유자 발표회 모니터링 심사위원(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한국교육재단 이사장(2017. 08.15 ~ 현재)
국제무예학회 회장 (President of International Society of Martial Art) (International Journal of Martial Arts)(2013.01.01 ~ 현재)
전) 한국무예학회 회장(2010-2021.6.30)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이사(2004~) 및 편집위원, 부회장(2023~)
한국사회체육학회 이사, 상임이사(2020 ~ 현재)
전) 한국체육교육학회 이사 및 편집위원
전) 한국체육철학회 이사
전) 한국체육사학회 이사
한국스포츠인류학회 이사(2014-2019), 부회장(2020~현재)
한국자전거산업학회 이사(2013 - 현재)
전) 한국대학태권도연맹 대의원
국기원 지도자 연수 교과개발 위원(2010)
국기원 사회과학 객원연구원(2010. 02.05 - 2011.12.31)
국기원 연구년 파견(2010. 9 - 2011. 8)
국기원 특별위원회 미래전략위원회 위원(2011.03.01 - 2012.02.29)
국기원연구소 운영위원회 위원(2012.08.27 - 2013.12.31)
국기원 세계태권도지도자포럼 집행위원회 위원(2013.04.04 - 2013.12.31)
국기원연구소 국기원태권도 편집위원(2014.03.21-2016.12.30, 2023. 01.01 ~ 현재)
국기원 태권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추진단(2022.07.01 ~ 2022.12.30, 2023.01.01~12.30)
포천세계대학태권도선수권대회 선수촌장(2012)
세계무술연맹 세계철인무사대회 조직위원장(2012)
충주세계무술축제 프로그래머(2012)
충북생활체육택견연합회장(2008-2013)
한국택견협회 이사(2006-2010, 2013-현재)
아시아태권도연맹 대학분과 부위원장(2019.11.03~2020.11.02, 2020.11.03 ~ 2021.11.02)
전) 경기도태권도협회 도장교육 분과위원회 수석부위원장
경기도태권도협회 스포츠공정위원회 위원장(2019 ~2020)
경기도체육회 법인설립준비위원회(2020. 12.30 ~ 2021. 05. 30)
제45기 WFK PAS 청년봉사단 에티오피아 하람베 대학교 단장(2021,11,20)
한국대학궁도연맹 경기•인천 지부장 (2021.01.01~2022.12.30)
용인시태권도협회 스포츠공정위원회 위원(2022.01.14~2024.12.30)
자격증
Dr. Dr. Prof. CHO, SUNGKYUN
Ph.D(Sport Marketing)
Ed. D(Sport Culture Anthropology)
태권도 사범자격증(국기원)
태권도 겨루기 심판자격증(대한태권도협회)
태권도 겨루기 국제심판 자격증(세계태권도연맹)
태권도 3급 생활체육자격증(문화관광부)
태권도 2급 경기지도자자격증(문화체육부)
태권도 2급 심판자격증(국민생활체육전국태권도연합회)
태권도 3급 격파심판자격증(대한태권도협회, 2024. 12. 27)
태권도 품새 2급 지도자자격증(국민생활체육전국태권도연합회)
태권체조 2급 지도자자격증(국민생활체육전국태권도연합회)
태권도 격파 2급 지도자자격증(국민생활체육전국태권도연합회)
태권도 종합시범 2급 지도자자격증(국민생활체육전국태권도연합회)
보디빌딩 3급 생활체육자격증(문화관광부)
배드민턴 2급 사회체육지도자 자격증(한국사회체육진흥회)
테니스 2급 사회체육지도자 자격증(한국사회체육진흥회)
스포츠마사지사 1급 자격증(한국사회체육진흥회)
카이로프락틱사 2급 자격증 (한국사회체육진흥회)
택견 국가전수자(예능보유자, 인간문화재)
택견 국가이수자(예능보유자, 인간문화재)
문화예술교육사 2급 자격증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평생교육사 2급 자격증 (교육부장관)
요트조정면허(해양경찰청)
동력수상레저기구조정면허 1급(해양경찰청)
해기사 면허증(해양항만청)
응급처치법강사(적십자)
수상인명구조 자격증(라이프 가드)
수상인명구조 강사자격증(해양경찰청 인준)
핀수영지도자자격증 3급(대한수중*핀수영협회)
핀수영 심판자격증 3급(대한수중*핀수영협회)
핀수영 심판자격증 2급(대한수중*핀수영협회)
핀수영 국제심판자격증(세계수중연맹)
수중 경기지도자 2급자격증(문화체육관광부)
수중 3급 생활체육지도자자격증(문화체육관광부)
수영지도자자격증 3급(대한수영연맹)
수영심판자격증 3급(대한수영연맹)
윈드서핑지도자자격증 3급(한국윈드서핑협회)
수상스키 경기지도자 2급(문화체육관광부)
수상스키 3급 지도자자격증(대한수상스키*웨이크보드회)
스킨스쿠버 3급 심판자격증(국민생활체육전국스킨스쿠버연합회)
CMAS OPEN WATER SCUBA DIVER
CMAS ADVANCED SCUBA DIVER
CMAS RESCUE DIVER
CMAS DIVE MASTER
CMAS LEVEL 1 FREEDIVER
CMAS LEVEL 2 FREEDIVER
CMAS 프리다이빙 3급 심판자격증
PADI RESCUE SCUBA DIVER
PADI DIVE MASTER # 267378
PADI OWSI Instructor # 267378
PADI E.F.R Instructor # OWSI-267378
PADI Care for Children w/AED Instructor # OWSI-267378
PADI Deep Diver Specialty Instructor
PADI EANx Specialty Instructor(Enriched Air Instructor)
PADI Emergency Oxygen Provider Specialty Instructor
PADI Equipment Specialist Instructor
PADI Peak Performance Buoyancy Instructor
SI SCUBA MI Instructor # Ins-54510
SI SKINSWIMMING Trainer # TR-10-185
SI SKINDIVING Instructor # Ins-10-171
연구분야
스포츠경영학, 스포츠마케팅, 스포츠인문학, 스포츠문화인류학
논문 및 저서
1. 1999. 태권도체육관의 효율적 경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분석. 한국체육학회.
2. 1999. 한국스포츠정책에 의한 국가이미지 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
3. 1999. Olympism 확산을 위한 태권도 교육프로그램의 활용. 안동과학대학논문집.
4. 2000. How the Communication in Taekwondo DoJang Influence the Workability of Organization. The 2000 Seoul International Sport Science Congress.
5. 2000. 태권도 체육관 종사자의 업무태도가 직무만족 및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세계태권도학회지.
6. 2000. 태권도 체육관의 효율적 경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분석. 경기도체육학회지.
7. 2000. 라이프스타일 특성에 따른 상업 스포츠센터 마케팅 전략. 경기도체육학회지.
8. 2000. 국제 스포츠외교 참여자를 통한 한국이미지 분석. 경기도체육학회지.
9. 2000. 태권도 체육관 지도자의 직장내 커뮤니케이션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10. 2000. 스포츠스타를 통한 광고속성이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11. 2000. 스포츠 유명인을 통한 광고가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12. 2001. A Strategy of Marketing for the Management for Taekwondo Center. The 2001. Seoul International Sport Science Congress.
13. 2001. Effect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the Taekwondo Master's Official Environment. The 2001 Seoul International Sport Science Congress.
14. 2001. Radical spirit inside about the Taekgyeon Term.The 2001 Seoul International Sport Science Congress.
15. 2001. 태권도 경기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과학회지.
16. 2001. 웹사이트 분석을 통한 지방무술축제의 촉진 전략. 한국체육학회.
17. 2001. 유명스포츠인의 광고가 기업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18. 2002. 태권도 지도자의 직무환경과 조직유효성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19. 2002. 태권도장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마케팅 믹스. 한국체육과학회지.
20. 2002. 스포츠 스타를 이용한 기업광고의 커뮤니케이션 효과.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21. 2004. 골프샾의 가치지각과 품질지각이 구매후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2. 2004. 태권도장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마케팅믹스 전략(Ⅱ). 한국체육과학회지.
23. 2004. 프로야구구단의 마케팅활동에 따른 관람동기요인과 관람제약요인의 관계. 스포츠산업·경영학회.
24. 2004. Importance of Anti-Terrorism Management for Large-Scaled Sports Events. 2004 International Sport Science Congress.
25. 2004. 스포츠용품 웹싸이트 실시간 광고추천 시스템 설계. 제85회 전국체육대회 기념 제42회 한국체육학회 학술발표회.
26. 2004. 태권도선수와 유도선수의 경쟁불안이 경기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27. 2004. 스포츠산업의 현장. 국민체육진흥공단.
28. 2005. Development Plan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Sports Activity Programs of Senior Welfare Center.p.114, 2005 International Sport Science Congress.
29. 2005. An Effect of Local Communication Following the Locality of the Professional Team Organization. p.355. 2005 International Sport Science Congress.
30. 2005. 택견 지도자의 교육적 신념이 인지적 갈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14권 2호. p.255-265.
31. 2005. 跆拳道學: 회고와 전망. 상아기획.
32. 2005. 태권도학과 교수들의 교육과정 편성 및 개선에 대한 인식. 제86회 전국체육대회 기념 제43회 한국체육학회 학술발표회.
33. 2005. 스포츠광고의 스포츠성과 신체적 매력이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14권 2호.p.433-443.
34. 2005. 태권도학회의 변천과정 및 학술활동을 통한 발전방안 모색. 한국스포츠리서치.
35. 2005. 무술, 중국을 보는 또 하나의 窓. 국립민속박물관
36. 2005. 성장기 아동의 인성발달을 위한 태권도 수련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37. 2006. 스포츠광고 모델유형과 속성이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38. 2006. 택견지도자의 지도유형이 갈등유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39. 2006. A srudy on the Amendment of Taekwondo Game Rule Applicable at the Beijing Olympic in 2008. 한국체육학회지.
40. 2006. 프로농구구단의 마케팅 활동이 재관람의도 및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제17권 제5호(통권 98호). p. 1091-1100
41. 2006. 태권도 경기방식 변화에 따른 선수들과 비 선수들의 동향분석. 한국체육학회지.
42. 2006. 태권도 경기기술 유형 및 모형 탐색. 한국스포츠리서치. 17권 5호. p. 551-564.
43. 2006. 프로스포츠 이미지 분석 및 이미지 포지셔닝 전략. (사)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44. 2006. 도가사상이 중국 전통체육 양생학에 미친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제45권 제6호. p. 1-11.
45. 2006. 민속지학적 관점에 의한 택견의 전수형태와 현대적 의의. 한국체육사학회지. 제18호. p. 51-67.
46. 2006. 태권도 지도자와 택견 지도자의 교육철학이 갈등유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제18권 제1호. p. 429-438.
47. 2007. 세계태권도품새대회 발전방안 모색을 위한 참가선수들의 대회 인지조사. 한국체육과학회지. 제16권 1호. p. 29-35.
48. 2007. Influence of the Motivation of College Student for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ies on Their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2007 International Sport Science Congress.
49. 2007. 태권도 공연 '점프' 관람후 태권도 인지도가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제88회 전국체육대회 기념 제45회 한국체육학회 학술발표회. 한국체육학회.
50. 2007. 대학생의 스포츠 관여도가 스포츠 용품 브랜드 인지도 및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제18권 5호(통권 104호). p. 315-326.
51. 2007. 한중 무술(무기) 종류와 형태의 비교 연구. 한구무예학회, 제1권 1호, p. 177-220.
52. 2007. 무도 체육관 마케팅 요인(4P) 분석을 통한 포지셔닝 전략. 한국무예학회, 제1권 1호, p. 139-154.
53. 2007. 무술간 동질성 분석을 통한 택견의 표적마케팅 전략 연구. 한국무예학회, 제1권 1호, p. 1-17.
54. 2007. 중요무형문화재 택견. 국립문화재연구소.
55. 조성균(2008). 현대 택견의 논쟁거리: 송덕기와 신한승의 갈등과 해소. 한국체육사학회. 제13권 1호, p. 31-47.
56. 정영훈, 조성균(2008). 전통학습과 또래 학습에 의한 태권도 수련생의 교육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무예학회, 무예연구, 2(1), pp.27-47.
57. 문경환, 조성균, 김종경(2008). 태권도장의 서비스 공정성과 고객만족, 관계 마케팅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47(4), pp.225-236.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7(4), 225-236.)
58. Oh, chul-hee, Yoo, Dong-hyun, Cho, sung-kyun(2008). A research about effect of recognition with referee's judgment at taekwondo rank competition on players' psychological status and performance. 2007 Seoul International Sport Science Congress. Sept. 18-20, pp.126.
59. 오철희, 조성균, 전익기(2008). 이종격투기와 태권도의 이미지 속성 비교 연구. 제89회 전국체육대회 기념 및 제46회 한국체육학회 학술발표회, 10월 8-9, pp.159.
60. 곽정현, 전익기, 조성균(2009). 태권도학과 교과과정에 대한 교수들의 인식도 분석. 한국무예학회, 무예연구, 3(1), pp.27-39.
61. Song, jeong-myeong, Lee, jae-don, Cho, sung-kyun(2009). Effect of the Degree of Participation among Participant of Maritime Leisure Sports on the Wellness Index. 2009 International Sport Science Congress. Aug. 19-21, pp.277.
62. 송정명, 전익기, 조성균(2009). 프로야구 관람객들의 경험적 소비특성에 따른 감정이 재경험의도에 미치는 영향. 제90회 전국체육대회 기념 제47회 한국체육학회 학술발표회, 10월 16-17, pp.277.
63. 조성균, 정재성, 이재돈(2010). 포박자(抱朴子)에 나타난 갈홍(葛洪)의 양생사상과 신체관 그리고 체육학적 의의. 한국체육학회지, 49(2). 3월, p. 11-20.
64. 이재돈, 조성균, 김종경(2010). 미국의 한인 태권도 관장과 피고용 사범 간의 노사갈등 해소방안 모색.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23(1), 3월, p. 163-183.
65. 유동현, 김종경, 조성균(2010). Delphi AHP를 활용한 태권도 시범단의 방향성 제시를 위한 중요요인 분석. 한국무예학회, 4(1), 4월, p. 63-80.
66. 유동현, 김종경, 조성균(2010). 태권도시범 격파 프로그램에 따른 선호유형분석. 한국무예학회, 4(1), 4월, p. 121-138.
67. 조성균, 김호(2010). 프로야구 관람객의 라이센싱 상품 마케팅 믹스와 구매의도의 인과관계.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5(1), 5월, p. 73-83.
68. 김종경, 조성균, 김호, 이재돈(2010). 한중일 무예의 의인화 이미지와 대학생의 자아 이미지의 일치성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5(1), 5월, p. 99-110.
69. 조성균, 김종경, 이재돈(2010). 태권도장의 서비스 공정성, 공중관계성, 구매의도의 인과관계. 한국체육학회지, 49(4), 7월, p. 271-280.
70. 조성균, 김종경, 이재돈(2010). 해양스포츠 참여자의 참여동기, 여가몰입 및 여가지속의 인과관계.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15(4), 8월, p. 51-62.
71. 조성균, 남도희, 차명환(2010). 이승만의 택견 인식과 최홍희의 태권도 명칭에 관련된 역사적 개연성 연구 -이승만의 구한말 청년활동 기간을 중심으로-. 대한무도학회지, 12(2), 8월, p. 15-26.
72. 조성균, 김종경, 이재돈(2010). 대학체육 발표수업에서의 동료평가 활용사례 연구.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5(2), 8월, p. 211-223.
73. 조성균, 김종경, 유동현(2010). 대학생의 프로스포츠 의인화 이미지와 자아 이미지의 일치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5(2), 8월, p. 179-193.
74. 조성균, 남도희, 이재돈(2010). 문헌에 보이는 전통무예 택견의 역사성과 정체성(1910-1958년을 중심으로). 한국체육철학회지, 18(3), 9월, p. 19-44.
75. 조성균, 김종경, 이재돈(2010). 대학 태권도 선수의 태권도복 구매결정요인, 선택권, 브랜드퍼스낼리티와 브랜드동일시의 인과관계.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15(5), 10월, p. 49-61.
76. 유동현, 조성균, 김종경(2010). 대학생 태권도 겨루기 동아리 활동의 참여동기, 스포츠몰입, 여가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무예학회지, 무예연구, 4(2), 10월, p. 15-33.
77. 류성돈, 조성균, 김종경, 차명환(2010). 태권도장의 공중관계성이 서비스품질 평가에 이치는 영향. 한국무예학회, 무예연구, 4(2), 10월, p. 35-57.
78. 이선희, 조성균, 이재돈(2010). Effect of Exercise Program on Self-efficacy and social Adjustment for Senior Citizens.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2호, 11월, p. 639-651.
79. 조성균, 유동현(2011). 오프라인 사회인 태권도 겨루기 동호회 참여관찰을 통한 성인 수련층의 활성화 방향성 제고. 한국체육과학회지, 20(1), 2월, p. 165-175.
80. 조성균, 김종경, 이재돈(2011). 태권도 도장 및 체육관의 표기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철학회지, 19(1), 3월, p. 145-161.
81. 조성균. 김종경. 이재돈(2011). 스포츠 클라이밍대회 관람자의 유인요인과 재관람요인의 관계에서 심리적요인과 지각된 가치의 매개효과. 한국체육학회지, 50(4), 181-190. 7월.
82.김종경, 조성균, 이재돈(2011). 요트대회 관람자의 관람결정요인이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지각된 가치의 조절효과.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16(4), 47-59. 8월.
83.조성균(2011). 무예의 터득과 체득 구조의 동양적 접근. 한국체육철학회지, 19(3), 1-17. 9월
84. 조성균, 김종경, 김홍석(2011). 태권도장의 공중관계성, 지역커뮤니케이션, 지역자산가치의 인과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0(3), 393-405. 10월 31일.
85. 조성균, 김종경, 김홍석(2011).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추구편익, 여가몰입, 여가만족의 인과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0(3), 87-97. 10월 31일.
86. 유동현, 이안호, 조성균(2011). 대학교 태권도 시범단원들의 인식하고 있는 태권도 시범의 매력요인 변화 탐구. 무예연구, 한국무예학회, 5(2), 27-37. 10월 30일.
87. 송선영, 조성균, 곽정현(2011). 태권체조 지도자의 지도유형이 즐거움인식 및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 무예연구, 한국무예학회, 5(2), 93-115. 10월 30일.
88.조성균, 유동현, 김홍석(2011). 태권도 시범 수업을 통한 태권도 겨루기 선수들의 인식변화. 한국체육과학회지, 20(6), 159-168. 12월 30일.
89. 조성균(2011). 프로야구 관중의 자아이미지와 브랜드이미지 일치성이 지각된 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업연상의 조절효과.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16(6), 15-27. 12월 30일.
90. 김민호, 조성균, 김홍석(2012). 한․중 수교 이후 경기우슈의 한국 형성과정과 보급현황. 한국체육과학회지, 21(1), 65-74. 2월 28일.
91. 조성균(2012). 중국무술에서 보이는 양생학. 한국체육과학회지. 21(2), 3-14. 4월 30일
92. 조성균(2012). 충주무술축제의 축제이미지가 지역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축제관여도의 조절효과.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17(2), 65-78. 4월 30일.
93. Udo Moenig, Sungkyun Cho & Hyeongseok Song(2012). The Modifications of Protective Gear, Rules and Regulations During Taekwondo's Evolution – From its Obscure Origins to the Olympic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History of Sport, 20(9),1-19. 14 Jun. SSCI and A&HCI 6월
94. 유동현, 조성균, 전정우(2012), 전자호구 공정성과 적합성 및 지속적 사용에 대한 대학지도자와 선수들의 인식 탐색. 한국체육과학회지, 21(3), 263-274. 6월 30일.
95. 조성균, 전정우(2012). 스포츠브랜드의 브랜드선택권, 브랜드가치, 브랜드신뢰, 브랜드충성도의 인과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1(4), 591-605. 8월 31일.
96. Sungkyun Cho, Udo Moenig, Dohee Nam(2012). The available evidence regarding taekkyon and its portrayal as a "traditional korean martial art". Acta koreana, Vol. 15, No. 2, December, 341-368. A&HCI and SCOPUS 12월
97. 육우용, 전익기, 조성균(2013). 중국 근대이후 무술명가(名家)에 관한 문헌적 연구 -영춘권 대가 엽문의 무술철학과 사상을 중심으로-. 한국체육과학회지, 22(2), 21-30. 4월 30일.
98. Moenig Udo, Sungkyun CHO, Song, HyeongSeok(2013). The Modifications of Protective Gear, Rule and Regulations During Taekwondo's Evolution. The 4th International Symposium for Taekwondo Studies, WTF(World Taekwondo Federation), 7월 16일, Mexico. Proceeding
99. 유동현, 조성균(2014). 태권도 시범 수련을 통한 지도자의 지도력이 태권도 도장 교육 프로그램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3(1), 147-160. 2월 28일
100. 조성균, 이재돈(2014). 무예 관련 기록(記錄)의 기록(記錄) 사례. 무예연구, 한국무예학회지, 8(1), 39-54. 4월 30일
101. Udo MOENIG, Sungkyun CHO, and Taek-Yong KWAK(2014). Some Evidence of Taekwondo’s Roots in Karate: An Analysis of the Technical Content of Early ‘Taekwondo’ Literature. UNESCO, Korea Journal. Vol. 54, No. 2, June, A&HCI 6월
102. 육우용, 조성균, 전익기(2014). 근대시기 중국무술의 전개과정과 그 의미: 무술의 학교체육 교과과정 도입을 중심으로. 한국체육사학회지, 19(4), 139-155. 12월 30일
103. 쳔샤오이, 조성균(2015). 연대별로 살펴본 한국 스포츠산업 발달사. 제11회 동북아세아 체육, 스포츠사학회 국제학술대회. 354. 8월 11일-14일.
104. 송현수, 조성균(2016). 태권도장 인성미디어 교육을 통한 공감능력과 또래관계, 셀프리더십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5(30), 277-287. 5월 30일
105. 김현민, 조성균(2016). 개선된 도로교통법에 대한 태권도장 지도자와 소비자의 관념 탐색. 한국체육정책학회지, 14(3), 69-83. 8월30일
106. 조성균, 곽정현(2016). 수원 화성 활터 동장대(東將臺)의 활쏘기 문화와 무예사적 의의. 한국체육사학회지, 21(3), 1-12. 9월30일
107. 조성균, 곽정현(2016). 한국 활터 문화의 형성과 세시풍속. 대한무도학회지, 18(3), 1-16. 9월30일
108. 천샤오이, 조성균(2016). The Effect of International STUDENT' Ego-Resilience to Acculturation and Cchievement Motivation through Participation in Sport Activities. The 28th International Sport Science Congress. Sport Science Goes beyond the Horizen. Hanyang University ERICA. 2016.08.25
109. 김동찬, 조성균(2016). The Effect of Soldiers' Taekwondo Training Satisfactions to Acculturative Stress and Life Satisfation in South Korea. The 28th International Sport Science Congress. Sport Science Goes beyond the Horizen. Hanyang University ERICA. 2016.08.25
110. 정이랑, 김동찬, 조성균(2016). 수상스포츠 참여 대학생들의 수상스포츠 리조트 서비스품질이 지각된 체험가치와 플로우 경험에 미치는 영향. 제97회 전국체육대회기념 제54회 한국체육학회 학술발표회. 선문대학교 아산캠퍼스. 2106.10.08
111. 유동현, 조성균(2016). 해외 자원봉사 활동을 통한 태권도 전공대학생들의 해외진출에 대한 인식탐구. 한국체육과학회지, 25(6), 109-120. 2016.12.30
112. 곽정현, 조성균(2016). 태권도학의 발전을 위한 2세대 태권도학과의 역할. 한국체육과학회지, 25(6), 13-24. 2016.12.30
113. 곽정현, 조성균(2016). 태권도정신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한국체육철학회지, 24(4), 263-286. 2016.12.30
114. 정이랑, 조성균(2017). 해양스포츠 참여 대학생들의 리조트 서비스품질이 지각된 체험가치와 플로우 경험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지, 25(1), 71-77. 2월
115. 조성균, 최천(2017). 비정규직 스포츠지도자들의 고용불안에 따른 일과 삶의 균형 및 직무태도의 구조적 관계. 한국체육과학회, 26(1), 489-504. 2월
116. 남도희, 조성균(2017). 공인된 전쟁놀이 석전(石戰)과 관련된 세시풍속 연구. 한국무예학회, 무예연구, 11(1), 1-25. 2월
117. 조성균, 최천(2017). SNS이용 대학생의 스포츠제품 정보에 대한 심리적 거리감, 애착 및 참여행동의 인과관계. 한국체육과학회, 26(1), 679-692. 2월
118. 김동화, 조성균(2017). 태권도지도자의 지식공유가 혁신행동 및 도장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국기원 태권도연구, 8(1), 87-106. 3월
119. Kuak, Jung-Hyun, Cho, Sung-Kyun(2017). Orientation of Taekwondo Education as a Cultivation of Human Nature for 21st Century. International Journal of Martial Arts, 3, 1-14. 4월
120. 김동찬, 조성균(2017). 재한외국인 태권도 수련생들의 수련만족이 문화적응 스트레스 및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68, 337-346. 5월
121. Kim, Hyeon-Min, Cho, Sung-Kyun(2017). The Effect of Parent's Intrinsic Participation Motivation to Children's Behavioral Change and Decision of Education Continuity in Sports Institutes. The 29th International Sport Science Congress, KAHPERD, p. 131. 22~23 June.
122. Chen, Xiaoyi, 조성균(2017). 태권도 전공자들의 전공만족, 학습지속의향, 진로목표지향성, 취업준비역량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제98회 전국체육대회기념 제55회 한국체육학회 학술발표회, p. 209. 10월 19-20일.
123. Chen, Xiaoyi, 조성균(2017). 태권도 전공자들의 전공만족, 학습지속의향, 진로목표지향성, 취업준비역량의 관계.국기원 태권도연구, 8(4), 213-230. 12월
124. Chen, Xiaoyi, 조성균(2018). 태권도장의 SNS 품질특성과 도장 브랜드 자산, 지속의도 및 추천의도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7(2). 639-651. 4월
125. 송현수, Chen, Xiaoyi, 조성균(2018). 스포츠 활동 참여를 통한 외국인 유학생의 자아탄력성이 문화적응발달 및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지, 26(1), 73-79. 6월
126. 조성균, 곽정현(2018). 조선시대 무과제도와 활쏘기 문화의 성쇠. 한국무예학회, 무예연구, 12(1), 1-22. 2월
127. 박인준, 조성균(2018). 태권도 문화콘텐츠로서 융합 프로그램의 패러다임 인식과 실천의 내러티브 연구. 한국무예학회, 무예연구, 12(1), 43-63. 2월
128. 박인준, 조성균(2018). 비치태권도를 통한 태권도 사회현상 해석. 한국무예학회, 무예연구, 12(2), 1-24. 5월
129. Park, In-jun, Fenf, Bei, Cho, Sung-kyun(2018). An Analysis Coverage on Unpopular Sports Games Using Big Data - Focusing on the 2018 Pyeongchang Olympic Curling Event. The 30th International Sport Science Congress, In Commemoration of the 1988 Seoul Olympic Games, p. 158. 11~12 October.
130. Kim, Dong-chan, Cho, Sung-kyun(2018). Structural Relationship of Leisure, Conspicuous Consumption, and Brand Loyalty of the Golf Participants. The 30th International Sport Science Congress, In Commemoration of the 1988 Seoul Olympic Games, p. 220. 11~12 October.
131. Ma, Xiao-rui, Kang, Ae-ryeong(2018). The Effect Chinese Taekwondo Instructors' Perceived Taekwondo Uniform Brand Personality to Brand Attitude and Brand Loyalty. The 30th International Sport Science Congress, In Commemoration of the 1988 Seoul Olympic Games, p. 221. 11~12 October.
132. 조성균, 구본호(2019). 물 밖에서 하는 수영기구를 이용한 입영학습 효과. 한국체육교육학회, 23(4), 189-198. 2월
133. 양명모, 조성균(2019). 디자인 사고 방법을 활용한 태권도원 문화콘텐츠 구축 방안. 한국무예학회, 무예연구, 13(1), 97-115. 2월
134. 박인준, 김현민, 마효예, 조성균(2019). 태권도 경기 품새의 사회현상 규명을 위한 질적연구. 한국무예학회, 무예연구, 13(1), 53-81. 2월
135. 정이랑, 조성균(2019). 스포츠웨어의 선택속성에 따른 의복추구혜택, 소비가치 및 제품 동일시와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8(2), 601-614. 4월
136. 박인준, 조성균(2019). 빅데이터를 활용한 비인기 스포츠 종목에 대한 언론보도 분석. -2018 평창올림픽 컬링 종목을 중심으로-. 한국체육과학회지, 28(2), 121-132. 4월
137. Chen, xiaoyi, 김현민, 송현수, 조성균(2019). IPA를 활용한 중국 태권도장 서비스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무예학회, 무예연구, 13(3), 223-240.
138. 강애령, 김현민, 조성균(2019). 태권도전공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진로지지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및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제100회 전국체육대회기념 제57회 한국체육학회 학술대회. 한국체육학회. 10월
139. 박인준, 조성균(2019). 배드민턴 대회 체험이 관람 즐거움, 만족도,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체험경제이론을 중심으로-. 제100회 전국체육대회기념 제57회 한국체육학회 학술대회. 한국체육학회. 10월
140. 정상원, 조성균(2019). 태권도를 통한 해외 봉사활동은 우리에게 어떠한 가치가 있는가. 한국무예학회, 무예연구, 13(4), 85-111.
141. 이창주, 조성균(2019). 태권도장에서 고객관계관리(CRM) 요인이 고객만족, 장기지향성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예학회, 무예연구, 13(4), 295~318.
142. Dongchan Kim, Sungkyun Cho(2019). Influence of Training Satisfaction on Acculturative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Taekwondo Trainees in the U.S. Army in the Republic of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Martial Arts, 6(1) 1-14.
143. Hyunmin Kim, Sungkyun Cho(2019). The Effects of Parent’s Intrinsic Participation Motivation to Children’s Behavioral Change and Decision of Education Continuity in Sports Institutes. International Journal of Martial Arts, 6(1) 15-30.
144. 강애령, 김현민, 조성균(2020). 태권도전공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진로지지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및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80, 285-296.
145. 김상록, 조성균(2020). 학부모가 인식한 태권도의 긍정적 노스첼지어가 관여도, 충성도,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예학회, 무예연구, 14(2), 245-266.
146. 송현수, 조성균(2020). 태권도 지도자의 성격특성과 감성지능, 감정노동, 경영성과의 구조적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9(6), 595-612.
147. 박인준, 조성균(2020). 배드민턴 관람이 관람즐거움, 만족도,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Pine & Gilmore의 체험경제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체육과학회지, 29(6), 401-421.
148. 임미화, 조성균(2021). 태권도사범으로서의 삶과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무예학회, 무예연구, 15(1), 67-92.
149. 강애령, 조성균(2021). 학생운동선수의 스마트폰 의존성이 사이버불링 피해경험과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 한국체육학회지, 60(2), 147-162.
150. ZHOU,WEINAN, 조성균(2021). 중국무술 미종권(迷宗拳) 무술가 곽원갑(藿元甲)에 관한 연구 - 정무체조회(精武體操會)를 중심으로 -. 한국무예학회, 무예연구, 15(2), 1-20.
151. ZHOU,WEINAN, 조성균(2021). 중국 태권도 지도자의 셀프리더십이 혁신행동, 역할만족 및 직업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코칭능력개발지, 23(2), 186-198.
152. MA XIAORUI, 조성균(2021). 필라테스 트레이닝 스튜디오의 서비스 스케이프, 서비스 가치, 스포츠 관여도 및 장기 지향성의 관계. 코칭능력개발지, 23(4), 137-148.
153. ZHOU,WEINAN, 조성균(2021). COVID-19 상황에서 실내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여가제약, 여가제약협상, 여가만족 및 행동지속의도의 구조적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30(6), 179-195.
154. 최종건, 조성균(2022). 무주 태권도원의 서비스스케이프가 고객경험, 고객감정반응,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예학회, 무예연구, 16(1), 123-148.
155. 박인준, 조성균(2022). 무술, 무예, 무도의 현주소와 4차산업시대에 따른 향후 발전방향 탐색. 한국무예학회, 무예연구, 16(1), 19-32.
156. 홍효진, 조성균(2022). 요가지도자의 지도유형,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긍정적 감정반응 및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매개효과. 코칭능력개발지, 24(1), 91-102.
157. ZHOU WEINAN, 조성균(2022). 대학 태권도 엘리트 선수들이 지각한 지도자의 변혁적 리더십과 경기력의 관계에서 성취목표성향과 선수만족의 병렬다중매개효과. 국기원 태권도연구, 13(1), 1-12.
158. 이루시, 윤은혜, 조성균(2022). 스포츠이벤트의 서비스품질, 참가만족, 행동의도, 스포츠이벤트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 2021 고양시-KTA 태권도장 교육산업박람회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체육학회지, 88, 57-71.
159. YAO YAO, 조성균(2022). 태권도장의 관계마케팅이 라포형성, 관계의 질, 관계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코칭능력개발지, 24(2), 68-79.
160. WU JINGE, 조성균(2022). 청말(淸末) 시기 중국 전통무술 매화권(梅花拳)이 주는 사회·문화적 의미 -의화단(義和團) 사건을 중심으로-. 한국무예학회, 무예연구, 1-22.
161. 윤은혜, 조성균(2022). 태권도장의 내부마케팅이 서비스지향성, 조직시민행동,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국기원 태권도연구, 13(2), 129-141.
162. ZHOU,WEINAN, 조성균(2022). 보호동기이론(PMT)과 계획된 행동이론(TPB)을 적용한 COVID-19 상황에서 태권도장 학부모의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국기원 태권도연구, 13(2), 75-88.
163. WU JINGE, 조성균(2022). 중국 태권도장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이 러브마크, 브랜드 에쿼티,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31(30), 375-391.
164. 이루시, 조성균(2022). 생활체육 수영참가자의 수영복 브랜드 퍼스낼러티가 브랜드 러브, 브랜드 컬트, 브랜드 에반젤리즘에 미치는 영향. 코칭능력개발지, 24(4), 138-149.
165. YAO YAO, 조성균(2022). 중국 근대 무술명가(名家) 왕자평(王子平)에 관한 연구. 한국무예학회, 무예연구, 16(3), 1-17.
166. 차윤선, LIU XIAOYI, 조성균(2022). 유도 기원설 진원윤(陳元贇)을 통한 중·일 무술교류 비교연구. 한국무예학회, 무예연구, 16(4), 23-46.
167. ZHOU WEINAN, 조성균(2022). 국제 태권도대회 엘리트 품새선수의 승부근성, 경기수행능력 및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 성장마인드셋의 조절된 매개효과. 국기원 태권도연구, 13(4), 45-58.
167. ZHOU WEINAN, 조성균(2023). 중국태권도협회의 브랜드 자산, 브랜드 신뢰, 브랜트 컬트의 관계: 서비스지향성의 조절효과. 한국사회체육학회지, 91, 21-36.
168. YAO YAO, 조성균(2023). 태권도장 내부마케팅이 조직유효성, 고객지향성 및 경영성과의 구조적 관계. 한국무예학회, 무예연구, 17(1), 107-127.
169. LIU MENGLIE(2023). 태권도 지도자의 임파워링 리더십이 팔로워십,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LMX의 매개효과. 한국무예학회, 무예연구, 17(2), 125-151.
170. ZHOU WEINAN, 조성균(2023). 브랜드 아이덴티티, 브랜드 에쿼티, 브랜드 신뢰 및 브랜드 컬트의 관계에 대한 다집단분석: 국기원과 중국태권도협회의 비교. 국기원 태권도연구. 14(2), 15-27.
171. 정종민, 조성균(2023). 태권도장의 관계유대, 긍정적 감정, 관계품질 및 관계지속성의 관계. 한국무예학회, 무예연구, 17(3), 87-117.
172. 홍윤기, 윤은혜, 조성균(2023). 태권도장 내부마케팅과 조직시민행동의 조직몰입 및 수련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예학회, 무예연구, 17(4), 107-131.
173. 김영재, 최동훈, 조성균(2023). 대학 태권도 품새 지도자의 진성리더십이 임파원먼트, 선수만족,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예학회, 무예연구, 17(4), 133-163.
174. 김영재, 조성균(2024). 태권도 품새 선수들이 지각하는 자율성지지가 자기관리, 운동열정 및 운동지속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예학회, 무예연구, 18(1), 153-180.
175. 이경혜, 조성균(2024). 태권도 겨루기선수들의 마인드셋이 운동몰입,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성취목표성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무예학회, 무예연구, 18(1), 103-130.
176. LIU MENGLEI, 조성균(2024). 대학 스포츠 선수의 감성지능과 LMX, TMX 및 선수만족의 구조적 관계. 한국코칭능력개발원, 코칭능력개발지, 26(3), 191-200.
177. 홍윤기, 조성균(2024). 태권도장 내 권력거리 성향이 직무스트레스, 조직몰입, 조직분위기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국기원 태권도연구, 15(1), 125-137.
178. 이우정, 정건하, 조성균(2024). 콘텐츠 정보특성이 경험적 가치, 정보만족,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OTT 매체를 통한 골프 영상을 중심으로. 한국골프학회, 골프연구, 18(1), 131-145.
179. 윤은혜, 조성균(2024). 학부모가 지각하는 태권도장의 브랜드증거가 브랜드신뢰,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브랜드시민행동의 조절효과. 국기원 태권도연구, 15(1), 101-114.
180. 정건하, 조성균(2024).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시청자의 미디어 접촉동기가 미디어 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 스포츠관여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체육학회지, 63(2), 463-482.
181. LIU XIAOYI, 조성균(2024). 중국 트레이닝 인플루언서 특성이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 콘텐츠 몰입의 매개효과. 한국체육과학회지, 33(2), 45-60.
182. 이태훈, 조성균(2024). 한국프로야구(KBO)관람의 관람결정요인이 관람만족 및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 심판판정인식의 조절효과. 한국사회체육학회지, 96, 65-80.
183. LIU XIAOYI, 조성균(2024). 태권도 인플루언서 특성이 브랜드 애착,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준사회적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무예학회, 무예연구, 18(2), 179-204.
184. 윤은혜, 조성균(2024). 빅데이터를 활용한 코로나 뉴노멀 시대의 태권도장 경영 트렌드 변화 연구 : 코로나-19 팬데믹 전-후 비교. 한국무예학회, 무예연구, 18(2), 63-90.
185. YAO YAO(2024). 온라인 홈트레이닝 콘텐츠 특성이 기대일치, 지각된 유용성, 운동만족 및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기대일치모델(ECM)의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코칭능력개발원, 코칭능력개발지, 26(5), 116-125.
186. WU JINGE, 조성균(2024). 세계태권도 한마당대회의 이벤트체험이 행동의도에 미치는영향: 이미지 및 지각된 가치의 직렬다중매개를 중심으로. 국기원 태권도연구, 15(2), 80~90.
187. 조성균, 양태경, ANNING(2024). 당랑권(螳螂拳)의 전승과 발전을 통해 본 사회문화적 함의. 한국무예학회, 무예연구, 18(3), 1-26.
188. 조성균, 양태경, LIU MENGLEI, CHO SUNGKYUN(2024).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패킹 오페라(peking opera 京劇)에서 보이는 중국 무술의 사회문화적 의미. 한국무예학회, 무예연구, 18(3), 47-72.
189. ZHANGZHI, ZHOU WEINAN, LIU MENGLEI(2024). Development Strategy of Chinese Dragon-lion Sport under the Perspective of World Intangible Heritage—Comparative Study with Taekwondo’s Heritage Application. International Society of Martial Arts, 9, 16-25.
학술발표(Proceeding Paper, Academic presentation), 2021년 이후 분리 기술
1. ZHOU,WEINAN, 조성균(2021).대학 엘리트 선수들이 지각한 지도자의 변혁적 리더십과 경기력의 관계에서 성취목표성향과 선수만족의 병렬다중매개효과. 제102회 전국체육대회기념 제59회 한국체육학회 학술대회, 한국체육학회, 224-225. 10월 8일 ~9일.
2. WU, JINGE, 조성균(2021). 청말(淸末)시기 중국 전통무술 매화권(梅花拳)이 주는 사회, 문화적 의미 - 의화단(義和團) 사건을 중심으로. 2021 한국사회체육학회 추계학술대회, 134-137. 12월 3일
3. YAOYAO, 조성균(2021). 중국 근대 민간 무술명가(名家) 왕자평(王子平)에 관한 문헌적 연구. 2021 한국사회체육학회 추계학술대회, 130-133. 12월 3일
4. 변재석, 조성균(2021). 초등학교 수련생이 인식한 태권도 재미요인이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운동열정의 매개효과. 2021 한국사회체육학회 추계학술대회, 128-129. 12월 3일
5. 홍효진, 조성균(2021). 요가지도자의 지도유형과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감정반응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2021 한국사회체육학회 추계학술대회, 123-125. 12월 3일
6. 윤은혜, 이루시, 송정명, 조성균(2021). 스포츠 이벤트 서비스 품질, 참가만족, 행동의도, 스포츠이벤트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2021 고양시-KTA 태권도장 교육산업박람회를 중심으로. 2021 한국사회체육학회 추계학술대회, 121-122. 12월 3일
7. YAO YAO, Cho Sungkyun(2022).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aekwondo Gyms’ Internal Marketing, Organizational Efficiency, Customer Orientation and Management Performance. The 34th International Sport Science Congress, in Commemoration for the 1988 Seoul Olympic games, 118-119.
8. WU JINGE, Cho Sungkyun(2022). Influencing Relationship amang Couth-Athlete Interaction Perceived by Taekwondo Athletes on Self-Efficacy, Exercise Flow and Perceived Performance. The 34th International Sport Science Congress, in Commemoration for the 1988 Seoul Olympic games, 174-175.
9. ZHOU WEINAN, Cho Sungkyun(2022). Relationship amang International Taekwondo Competition Elite Poomsae Players’ Tenacity, Athletic Performance and Perceived Performanc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Growth Mind Set. The 34th International Sport Science Congress, in Commemoration for the 1988 Seoul Olympic games, 177-178.
10. ZHOU WEINAN, 조성균(2022). 브랜드 아이엔티티, 브랜드 에쿼티, 브랜드 신뢰 및 브랜드 컬트 간의 구조모형: 국기원과 중국태권도협회의 비교. 제103회 전국체육대회 기념, 제60회 한국체육학회 학술대회, 한국체육학회, 246-247. 10월 7일~8일.
11. 홍윤기, 윤은혜, 조성균(2022). 태권도장 내부마케팅과 조직시민행동이 조직몰입 및 수련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제103회 전국체육대회 기념, 제60회 한국체육학회 학술대회, 한국체육학회, 267-268. 10월 7일~8일.
12. 윤은혜, 조성균(2022).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스포츠숏폼의 시청 동향 분석 연구. 제103회 전국체육대회 기념, 제60회 한국체육학회 학술대회, 한국체육학회, 269-270. 10월 7일~8일.
13. 김영재, ZHOU WEINAN, 조성균(2022). 대학 태권도 품새 지도장의 진성리더십이 임파워먼트, 선수만족,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제103회 전국체육대회 기념, 제60회 한국체육학회 학술대회, 한국체육학회, 298-299. 10월 7일~8일.
14. LIU MENGLEI, YAO YAO, 조성균(2022). 대학 스포츠 선수의 감성지능, LMX, TMX 및 선수만족의 구조적 관계. 2022년 대한무도학회&한국사회체육학회 통합 추계학술대회, 84-99. 11월 25일.
15. 이우정, 정건하, 조성균(2022). 골프 소비자의 브랜드 퍼스낼러티, 브랜드 동일시, 브랜드 애착, 지속적사용가능성의 관계. 2022년 대한무도학회&한국사회체육학회 통합 추계학술대회, 84-99. 11월 25일.
16. Geonha Jeong, Sungkyun Cho(2023). The Effects of Sportstoto Participation Motivation on Behavior Intention: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ports Involvement. 35th International Sport Science Congress, in Commemoration for the 1988 Seoul Olympic Games, 133-134.
17. Zhang Zhi, Zhou Weinan, Liu Menglei, Cho Sung-Kyun(2023). Development Strategy of Chinese Dragon-lion Sport under Perspective of World Intangible Heritage-Comparative Study with Taekwondo’s Heritage Application. 3RD SPORT TAEKWONDO INTERNATIONAL CONVERGENCE CONFERENCE, 198-210.
18. 정건하, 조성균(2023).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시청자의 미디어 접촉동기가 미디어 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 스포츠 관여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제104회 전국체육대회 기념 제61회 한국체육학회 학술대회발표, 230-231.
19. 이태훈, YAO YAO, 조성균(2023). 한국프로야구(KOB)관람의 관람결정요인이 관람만족 및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심판판정인식의 조절효과. 제104회 전국체육대회 기념 제61회 한국체육학회 학술대회발표, 234-235.
20. WU JINGE, 조성균(2023). 스포츠 이벤트체험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미지 및 지각된 가치의 직렬다중매개를 중심으로. 제104회 전국체육대회 기념 제61회 한국체육학회 학술대회발표, 236-237.
21. 김영재, ZHOU WEINAN, 조성균(2023). 프로축구 구단의 사회공헌활동(CSR)이 구단이미지, 구단평판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제104회 전국체육대회 기념 제61회 한국체육학회 학술대회발표, 238-239.
22. 이우정, 정건하, 조성균(2023). 콘텐츠 정보특성이 경험적 가치, 정보만족,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OTT 매체를 통한 골프영상을 중심으로. 제104회 전국체육대회 기념 제61회 한국체육학회 학술대회발표, 248-249.
23. 임의현, 정건하, 조성균(2023). 정보시스템성공모델(IS)과 기대일치모델을 적용한 OTT 스포츠 콘텐츠의 정보시스템 품질이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제104회 전국체육대회 기념 제61회 한국체육학회 학술대회발표, 258-259.
24. 정건하, LIU XIAOYI, 조성균(2023). 스포츠 인플루언서 특성이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 콘텐츠 몰입,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라아브 커머스를 중심으로. 제104회 전국체육대회 기념 제61회 한국체육학회 학술대회발표, 260-261.
25. 홍윤기, 윤은혜, 조성균(2023). 태권도장 내 권력거리성향와 직무스트레스, 조직몰입, 조직분위기 및 이직의도와의 구조적 관계. 제 104회 전국체육대회 기념 제61회 한국체육학회 학술대회발표, 271-272.
26. WU JINGE, Cho sungkyun(2023). The Effect of Sports Event’Experience Factor on Customer Behavioral Intertion: Focused on the Serial Multiple Mediating Effect of Image and Perceived Value. China-Korea Postgraduate Academic Exchange Meeting in Physical Education, 2-3. CHINA GUANGXI GUILIN
27. Lim Euihyun, Jeong Gunha, Cho sungkyun(2023). Information System Success Model(ISSM) and Expectation Confirmation Model(ECM) are applied Effect of Information System Quality of OTT sports Contents on Continuous Use Intention. China-Korea Postgraduate Academic Exchange Meeting in Physical Education, 4-5.
28. LIU MENGLEI, CHO SUNGKYUN(2023). The Effect of Taekwondo Instructor’s Empowering Leadership on Followership and Team Effectiveness: Mediating Effect of LMX. China-Korea Postgraduate Academic Exchange Meeting in Physical Education, p6.
29. LIU XIAOYI, JEONG GEONHA, CHO SUNGKYUN(2023). The Effect of Sports influencer Characteristics Using Live Commerce on Repurchase Inten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Value of Consumers and Content Immersion. China-Korea Postgraduate Academic Exchange Meeting in Physical Education, 7-8. CHINA GUANGXI GUILIN
30. KIM YUNG-JAE, ZHOU WEINAN, CHO SUNG-KYUN(2023). The impact of professional soccer clubs’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on Club Image, Club Reputa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China-Korea Postgraduate Academic Exchange Meeting in Physical Education, 10-11.
31. YAOYAO, Cho Sungkyun(2023).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eakwondo Gyms’Internal Marketing, Organizational Efficiency, Customer Orientation and Managemen Performance. China-Korea Postgraduate Academic Exchange Meeting in Physical Education, 13-14.
32.ZHOU WEINAN, Cho Sung-Kyun(2023). Relatioship among International Taekwondo Competitong Elite Poomsae Players’Tenacity, Athletic Performance and Perceived Performanc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Growth Mind Set. China-Korea Postgraduate Academic Exchange Meeting in Physical Education, 15-16.
33.Lee TaeHun, YAO YAO, Cho SungKyun(2023). It’s a decision to watch the Korean Baseball Organization(KBO) Effect of phosphorus on viewing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Regulatory effect of recognition of judgment decisions. China-Korea Postgraduate Academic Exchange Meeting in Physical Education, 17-18.
34. Geonha Jeong, HYUNMIN JEON, Sungkyun Cho(2023). The Effects of Sportstoto Participation Motivation on Behavior Intention: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ports Involvement. China-Korea Postgraduate Academic Exchange Meeting in Physical Education, 20-21.
35. 윤은혜, 조성균(2023). 학부모가 지각한 태권도장의 브랜드증거가 브랜드신뢰,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시민행동의 조절효과. 2023년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15-16.
36. YAOYAO, 조성균(2023). 온라인 홈트레인닝 콘텐츠 특성이 기대일치, 지각된 유용성, 운동만족 및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기대일치모델(ECM)의 적용을 중심으로. 2023년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23-24.
37. 고영호, 정건하, 조성균(2023). 스포츠 기업의 ESG경영이 지각된 가치, 기업이미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2023년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25-26.
38. 이루시, 조성균(2023). 생활체육 수영 참여자의 수영용품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행동SML도간의 영향 관계: 브랜드 이미지, 만족도의 매개효과. 2023년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37-38.
39. 전현민, 조성균(2023). 프로야구경기의 관람동기가 관람만족에 미치는 영향: 액션플로우 및 집단응집력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2023년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57-58.
저서
1. 조성균외(2004). 스포츠산업의 현장. 국민체육진흥공단.
2. 조성균외(2005). 跆拳道學: 회고와 전망. 상아기획.
3. 조성균외(2005). 무술, 중국을 보는 또 하나의 창(窓). 국립민속박물관. (2005. 12. 20)
4. 조성균, 이재필(2008). 중요무형문화재 택견.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12. 30)
5. 조성균외(2011). 1급 태권도 지도자 연수 교재. 국기원.(2011. 7.6)
6. 조성균외(2012). 구조와 응급처치. 범문에듀케이션. (2012. 5. 30)
7. 조성균외(2015). WTA 정체성 확립을 위한 전통무예 연구. (2015. 7. 30) - 국기원 과제-
8. 조성균외(2016). 신개념 스포츠지도사(2급) 문제집. 대경북스. (2016.03.05)
9. 조성균외(2017). 2017 시험대비 신개념 스포츠지도사(2급) 문제집. 대경북스. (2017.01.05)
수상
1. 경희대학교 동문회장상(1996. 2)
2. 우수지도자상(경기도태권도협회)
3. 심판교육 모범지도자상(국민생활체육전국태권도연합회, 2014. 6)
4. 지도자교육 모범지도자상(국민생활체육전국태권도연합회, 2014. 6)
5. 대한체육회 체육상 표창장 장려상(심판부분)(2016.02.22)
6. 경희대학교 체육대학 총동문회 공로상(2016)
7. 경희대학교 교수의회 공로상(2019. 04.30)
8. 우수논문상(한국무예학회, 2019, 05.30)
9. 지도상(한국대학태권도연맹, 2019,09,02)
10. 우수논문상(한국무예학회, 2021. 12. 20)
11. 3th Asian University Cheerleading Championship Seoul 2021, Head Coach, Cho, sungkyun, For the 1st Place in the Elite Large Cord, Asian Universty Sports Federation
12. 학술상(한국무예학회, 2022, 12, 29)
13. 최우수지도자상(2024. 11.03), 제20회 무주 웰빙태권도 축제. 전북일보사 회장 서창훈, 무주군수 황인홍
14. 최우수연구자상(한국무예학회, 2025. 1. 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