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념처[四念處]
1. 신념처[身念處] ;
나의 몸은 더러운 것으로서 執着할 것이 못된다고 보는 것이다.
2. 수념처[受念處] ;
어떠한 느낌을 받아도 그것을 모든 괴로움의 근원으로 본다.
3. 심념처[心念處] ;
나의 마음은 머물러 있지 않고 항상 끊임없이 변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4. 법념처[法念處] ;
모든것은 원인과 조건에 의하여 성립되는 것이므로
하나로서 영원히 머무는 것이 아님을 나타낸다.
사정근[四正勤]
사정단[四正斷]또는 사정승[四正勝]이라고도 하는데
① 미생악령불생[未生惡令不生]:
아직 생기지 않은 惡은 미리 방지하고
② 기생악령영치[已生惡令永斷]:
이미 생긴 惡은 아주 끊어버리며
③ 미생선령생[未生善令生]:
아직 생기지 않은 善은 생기도록 하고
④ 기생선령증장[已生善令增長]:
이미 생긴 善은 더욱 증대시킴을 말한다
위의 사념처 다음에 닦는 법으로서 [善法]을 더욱 자라게 하 고
[惡法]은 멀리 여의려고 부지런히 수행하는 네 가지 법이 다
이 사정근이 권장되면 반드시 악을 버리고 선을 지향할 수 있으며
한 걸음 한 걸음 망상에 집착된 습기에서 벗어나 정도에 접근할 수 있는 것이다
사신족[四神足 또는 四如意足]
①욕신족[欲神足];
禪定을 얻고자 願하는 일
②근신족[勤神足];
더욱 더 禪定하는 일
③심신족[心神足];
마음을 올바로 유지하는 일
④관신족[觀神足];
지혜에 의해서 생각하는 일
이 네 가지 禪定을 體得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네 가지 조건 이라고 한다
오근[五根]
오근은 오신근[五信根]이라고도 합니다
根이란 능력을 뜻 한다
이것은 번뇌를 여의고 성도[聖道]에 이끌어 가는 다섯 가지의 근본으로
신근 정진근 염근 정근 혜근을 말한다
信 이 제일 먼저 두어진 것은 불교의 실천 수도가 信으로서 출 발점으로 삼기 때문이다
①신근[信根]; 목적에 대한 신념과 성취의 확신을 말한다
②정진근[精進根]; 권선징악[勸善懲惡]의 노력을 말한다
③염근[念根]; 탐욕과 근심 걱정을 항복 받는 것을 말한다
④정근[定根]; 욕심과 악을 버리는 것을 말한다
⑤혜근[慧根]; 거짓을 거짓으로 진리를 진리로 보는 것과 같이 진리를 바로 이해하는 것을 말한다
오력[五力]
오력은 오신력[五信力]이라고도 한다
이것도 성도[聖道]를 발생하게 하는
신력 정진력 염력 정력 혜력을 말한다
이 오력은 앞의 오근에서 나타난 힘이며 작용이다
①신력[信力];
여래에 대해 청정한 믿음[淨信]을 갖고 물러 나지 아니함이다
②정진력[精進力];
선을 짓고 악을 패하기에 부지런 하는 것 이다
③염력[念力];
사상[思想]을 바로 갖고 나쁜 생각을 버리는 것이다
④정력[定力];
선정[禪定]을 닦아 어지러운 생각을 없게 하 는 것이다
⑤혜력[慧力];
지혜를 닦아 불교의 진리인 사성제[四聖諦]를 깨닫는 것이다
칠각지[七覺支]
七覺分, 七覺意 이라고도 하는데 보리의 도를 잘 도와가는 부분이란 뜻이다.
1. 택법각지[澤法覺支] :
지혜의 힘으로 모든 법의 善惡 正邪를 잘 가려내어
선과 정은 취하고 악과 사는 버리는 것을 말한다.
2. 정진각지[精進覺支] :
쓸데없는 것을 버리고 수행의 바른 길을 따라
일심으로 정진하여 나아가는 것을 말한다.
3. 희각지[喜覺支] :
일심으로 끊임없이 정진하므로 그 결과 참된 도의 기쁨을 얻는 것을 말한다.
4. 제각지[除覺支] :
참된 도의 기쁨을 얻는데 그치지 않고
모든 그릇된 소견이나 번뇌를 끊어버리고(除) 능히 참되고 거짓됨을 알아서
바른 선법을 계속 길러 나가는 것을 말한다.
5. 사각지[捨覺支] :
마음이 모든 경계에 평등하여 즐겁고 기쁜 모든 感受 作用이 없고
지내는 일을 추억하는 일이 없는 것을 말한다.
6. 정각지[定覺支] :
고요히 정에 들어 있어서 번뇌망상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말한다.
7. 념각지[念覺支] :
정과 혜가 평등하여 일심이 늘 명료한 경지를 말한다.
이상의 것 중에서 만일 마음이 혼침하면 택법각지 정진각지 희각지로써 마음을 일깨우고,
만일 마음이 들뜨면 제각지 사각지 정각지로 그 들뜬 마음을 가라 앉힌다고 한다.
팔정도[八正道]
고를 떠나 열반에 이르기 위한 불교의 실천 수행으로서의 여덟가지 바른 길이다
1.정견[正見]:
일체 중생의 존재와 사물에 관해 바르게 관찰하고
제법의 실상을 있는 그대로 열심히 볼 것을 요구하는
견화의 정화와 관찰의 정화를 말한다
2.정사[正思]:
탐애와 번뇌에 얽매여서 일이 없이 밝은 지혜로서
사성제의 이치를 바르게 생각하는 것이다
올바른 사유의 생활을 말한다
3.정어[正語]:
거짓말 허망된 말 악한 말 등을 하지 말고
의로운 말 진리를 드러내는 말을 하는 언어 생활의 정화를 말한다
4.정업[正業]:
몸과 입과 뜻[身 口 薏]의 3업[三業]을 늘 정화하여
악업을 짓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5.정명[正命]:
바른 생활 즉 생활하는 방법을 말한다
정당하고 올바른 생업으로서 생활하라는 것이다
생업이 정당하지 않는가에 문제가 된다
6.정정진[正精進]:
부처님의 가르침에 따라 악을 방지하고
선을 실천하는 생활이 이루어지도록 바르게 노력하는 것이다
바른 생활과 수행을 게을리 하지 않고
항상 용맹스럽게 나아가는 것을 말한다
7.정념[正念]:
"염"은 전념 불망의 뜻으로서
부질없는 욕망과 사념을 버리고 항상 바른 마음 바른 기억으로서
거룩한 법을 실천수행 해 나가는 것이다
8.정정[正定]:
산란한 모든 것을 여윈 몸과 마음의 바른 안정을 말한다
곧 신심의 일체화로서 몸과 마음이 항상 고요한 일경성의 상태에 있게 하는 것이다
카페 게시글
불교 이야기
사념처, 사정근, 사신족,오근,오력, 칠각지,팔정도
山木
추천 0
조회 356
20.02.07 06:43
댓글 1
다음검색
첫댓글 37조도품에서의 4념처,4정근,4신족,5근,5력,7각지,8정도의 각 요목에 대한 설명으로 돕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