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눈의 구조와 생리
안구 --> 안와의 전반부에 위치, 지방 및 결체조직으로 둘러싸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 그 앞부분만 공기에 노출
눈은 크게 안구와 눈 부속기관으로 나눈다. 안구는 외막, 중막, 내막 및 안 내용물로 이루어진다.
외막 --> 앞쪽 1/6을 차지하는 투명한 각막과 뒤쪽 5/6을 차지하는 흰색의 공막으로 구성
중막 --> 외막의 내면에 있는 혈관성 조직(포도막). 홍채, 모양체, 맥락막으로 구성
내막 -->안구의 가장 안쪽에 있는 막.(망막)
@망막 -->시각에 가장 중요한 구실을 하는 투명한 신경조직.(뇌와 연결 되어 있음)
*안 내용물에는 수정체, 유리체, 방수가 있다.
*눈 부속기간에는 안와, 눈꺼풀, 결막, 눈물기관, 외안근, 신경 및 혈관조직으로 이루어져 있다.
눈은 시각정보를 수집하여 뇌로 전달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눈이 올바른 정보를 수집하여 시신경을 통해 뇌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모든 기능을 올바르게 수행하여야 한다.
1) 상이 정확히 망막에 맺도록 조절이 이루어져야 한다. 먼 곳을 볼 때와 가까운 곳을 볼 때, 조절에 의하여 정확히 상이 맺히도록 하는 역할을 하여야만 한다.
2) 빛이 적당한 정도로 눈에 들어가도록 동공의 수축과 확대가 적절히 이루어져야 한다.
3)시선이 정확히 물체에 맞도록 안구가 움직여야 한다. 좌우상하로 두 눈이 같이 움직일 수있어야하고, 가까이 있는 물체를 보기위해서는 두 눈이 동시에 안쪽으로 모여야 하고 먼 물체를 볼 때 두 눈이 벌어져야 한다.
안구(eyeball)
안구는 구형으로 각막의 중앙을 전극이라 하고, 공막 후면의 중앙을 후극이라 하며, 이 양극을 잇는 가상의 선을 안축이라 한다.성인에서 안축의 길이는 평균24mm이며 안구의용적은 약 6,5cc이다.
외막(outer coat)
-외막은 안구의 가장 겉면을 이루는 무혈관성 섬유층이다.
@각막(cornea)
각막은 안구의 외막 중 앞쪽 1/6을 차지하는 투명한 무혈관 조직으로서 각막윤부에서 공막과 연결된다. 각막은 안구를 보호하는 방패 막과 광선을 굴절시켜 망막에 도달시키는 창으로서의 역할을 하며,그 굴절력은 +43Dptr의 렌즈와 같다. 각막이 투명한 것은 그 구조가 균일하고, 혈관이 없으며, 조직이 상대적으로 건조하기 때문이다.
각막의 영양공급은 각막윤부의 풍부한 혈관 망과 방수, 눈물에서 받으며 산소는 대부분 대기로부터 각막 표면을 통하여 공급된다.
@공막(sclera)
공막은 안구 뒷부분 5/6을 차지하는 치밀한 섬유조직으로 희고 단단하며 앞쪽에서는 각막, 뒤쪽에서는 신신경의 초와 연결되어 있다. 두께는 직근 부착부위가 약 0.3mm로 가장 얇고 가장 두꺼운 곳은 시신경 주위로서 1mm이다. 시신경이 안구 속으로 들어가는 곳에서는 공막이 얇아지고 많은 작은 구멍이 뚫어져 체 같은 모양을 이루는데 이 사이를 시신경섬유가 통과 한다. 공막의 외벽은 상공막이라는 미세한 탄력성 조직의 얇은 층으로 덮여 있고, 여기에는 공막의 영양을 공급하는 많은 혈관이 있다.
중막(middle coat)
중막은 혈관성 조직으로 포도막이라 하며 많은 색소를 함유 한다. 홍채, 모양체와 맥락막으로 구성 되어있으며 각막과 공막에 의해 보호되며 망막에 영양을 공급한다.
@홍채(iris)
홍채는 모양체의 앞쪽 연장으로서 포도막의 가장 앞부분에 있다.홍채에는 동공이 있는데 눈에 빛을 조절 하는 조리개 역할을 한다. 홍채는 각막과 수정체 사이에 위치하여 각막후면과의 사이에 전방을 만들고 수정체 전면과의 사이에 후방을 형성한다. 홍채의 조직학적 구조는 앞쪽부터 전경계층, 간질, 산대근, 후상피층, 의 순으로 되어 있다. 홍채의 혈액 공급은 모양체에 형성된 대홍채동맥륜으로부터 홍채 간질로 뻗어 나오는 방사상의작은 혈관들에 의해 공급된다.
@모양체(ciliary body)
모양체는 맥락막의 앞쪽 끝부터 홍채근부까지 걸쳐 있는 직삼각형 모양의 조직으로서 평활근과 혈관으로 구성되어 있다.운동신경은 동안신경의 분지인 단모양체신경으로부터 나온 부교감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맥락막(choroid)
맥락막은 망막과 공막 사이에 위치하는 혈관으로 이루어진 막으로서 시신경유두연에서부터 시작하여 망막의 주변부 끈인 거상연에서 모양체로 바뀐다. 기능은 망막의 바깥1/3부분의 대사를 주관하고 공막을 통하여 들어오는 광선을 차단하는 역할이다.
내막(inner coat)
망막은 안구 후방2/3의 맥락막 내면을 덮고 있는 투명한 신경조직이다. 망막은 조직적 구조로는 바깥쪽에서부터 안쪽으로 10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추체와 간체는 감각신경 망막의 광감작 요소역할을 한다. 추체는 중심와에 집중되어 있으며 색을 감지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고 간체는 망막주변부에 밀집되어 있고 움직임을 감지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망막의 특수 부위는에는 황반, 시신경, 거상연등이 있는데 황반은 시신경유두의 약3mm외측 약간 아래에 타원형의 함몰부가 있는 부위를 말하며, 시신경 유두는 시신경 섬유로만 구성 되있으며, 사상판, 맥락막과 밀착 되어 있다. 그리고 거상연은 망막의 앞쪽 끝부분으로서 부분적으로 톱니와 같은모양으로 시세포가 존재하지 않는다.
4.안내용물
@수정체(lens)
수정체은 양면이 볼록한 원반 모양의 혈관이 없는 무색투명한 구조로서 두께는4mm,직경은9mm약 20디옵터의 굴절력을 갖고 있다. 수정체의 구조는 수정체낭, 전면상피, 수정체섬유로 구성 되어있으며, 약 65%의 수분과 35%의 단백질로 구성되여 있고, 수정체의 영양공급은 방수와 유리체에서 영양공급을 받는다. 수정체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황색을 띠게 되는데 이 때문에 청색과 자색빛의 양은 감소하게 된다.
@모양체소대(zonule of Zinn)
모양체소대 섬유는 모양체와 수정체 적돕부를 연결하는 섬유속으로서 조절에 관여한다.
@유리체(vitreous body)
유리체는 안구에서 가장큰 용적을 가진 구조물로서 안구의 중심부에 투명한 젤 상태로 있다. 유리체가 투명도를 유지하는 것은 혈관조직이 없기 때문인데 영양공급은 인접한 모양체,맥락막 망막에서 영양공급을 받는다.
@방수(aqueous humor)
방수의 주된 기능은 각막을 광학적으로 적당한 형태 갖게 하며, 안압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망막, 맥락막, 공막을 부드럽게 접촉되게 하고, 혈관이 없는 수정체와 각막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모양체(방수) --> 후방 --> 동공 --> 전방 --> 전방각 섬유주, 쉴렘관 --> 방수정맥
기능생리(functional physiology of the eye)
@조절(accommodation)
수정체 전면의 굴절력을 증가시켜 근거리 물체의 상이 망막에 정확히 맺혀지게 하는 과정을 말한다. 굴절력의 증가는 모양체근이 수축하여 모양체소대가 이완되면 이에따라수정체가
두꺼워지면서 전면 중심만곡이 증가하기 때문에 일어난다.
@굴절면(refractive surface)
각막의 전면이 주된 굴절력이다. 각막의 굴절력은 43디옵터 정도이다. 굴절력을 19~33디옵터까지 변화시킬 수 있다.
@굴절이상(refractive error)
굴절이상은 두 가지 요소에 의해서 결정된다.
1)각막과 수정체의 굴절력(정상안의 굴절력52~63디옵터)
2)안축의 길이(22~27mm)
*안축의 길이와 눈의 전반부의 굴절력 간의 불일치는 굴절이상을 초래 한다.
@안압(intraocular pressure)
안압은 안구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대기압보다 높아야한다. 정상안압은 주기대기압보다 높은 10~20mmHg이다. 정상적으로 하루중 2~5mmH변동이 있을 수 있다.
@시각기전(visual mechanism)
전자기방출은 망막의 바깥쪽에 있는 광수용체 원반의 색소에 의해 흡수되는데 색소분자 모양을 변화시켜 신경자극을 일으킨다. 우리가 볼 수 있는 빛의 파장은 380~770nm이다.
@안구에 대한 빛의 작용(action of light on the eye)
파장이 다른 방사에너지의 동일 량은 동일한 시각을 일으키지 못 한다.
@암순응(dark adaptation)
어두울 때 빛을 감지하는 노력 눈의 민감도가 증가되는 것을 암순응이라 한다. 이때 동공은 확대되고, 망막은 신경-생화학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시신경 및 시로
@시신경(optic nerve)
시신경이 공막을 통과하는 부분은 시신경의 섬유들이 여러 개의 다발로 나뉘어 공막을 통과하기 때문에 공막에 작은 구멍들이 나 있어 채와 같은 모양, 이를 사상판이라 한다.
시신경초는 뇌막의 연장으로서 경막은 시신경관에서 골막과 유착되어 있고 안구에서는 공막으로 이행한다. 시신경섬유 중 80%는 시 섬유이고 20%는 동공섬유로 되어있다.
@시로(visual pathway)
시신경-시신경교차-시삭-외측슬상체-시방선-대뇌피질후두엽
눈 부속기관(ocular adnexa)
@안와(orbit)
안구가 들어 있는 뼈로서 코의 안쪽에 있으며, 앞면을 기저로 한 내외 상하의4면을 가진 피라미드 모양이지만 뒤쪽은 3개의 면으로 되어 있다. 안와를 구성하는 뼈는 7개로, 전두골, 관골, 상악골, 누골, 접형골, 사골, 구개골 이다. 좌우안와의 내벽은 서로 평행하며 내외벽은45도를 이루며 두 외벽은 직각이 된다.
@안와의 내용물
안와용적의1/5를 차지하는 안구를 비롯하여 외안근, 신경, 혈관, 눈물샘, 눈물주머니, 골막, 테논낭과 기타 지방, 결체조직 등이 있다.
@눈꺼풀(eyelid)
*눈꺼풀의 기능
1)외부의 자극으로부터 눈을 보호 한다.
2)광선의 양을 차단 혹은 제한하며 안구표면위로눈물을 분포시키는 조직으로서, 피부층, 근육층 눈꺼풀판과 결막의4층으로 구성 되어 있다.
검열 --> 눈을 뜨면 위 아랫 눈꺼풀 사이에 타원형의 공간이 생긴다.
@결막(conjunctiva)
얇고 투명한 점막으로서 눈꺼풀판과 후면과 굳게붙어있는 검결막 안구의 앞쪽 공막을 덮고 있는 구결막, 그리고 이 두 부분을 연결하는 원개결막 의 세부분으로 나눠진다.
<덧눈물샘인 크라우제샘,볼프링샘>
4.눈물기관(lacrimal apparatus)
눈물기관은 눈물을 분비하는 눈물샘과 이를 배출하는 눈물길로 구성 되어 있다. 주눈물샘은 안와 상벽 외측의 눈물샘 오목 속에 있으며 덧 눈물샘은 상, 하 원개결막에 있는 크라우제샘과 볼프링샘으로 되어 있다. 주눈물샘과 덧눈물샘에서 분비되는 눈물은 눈물점, 눈물소관, 눈물주머니, 코눈물관, 하비강으로 배출된다.
@외안근(extraoclar muscle)
외안근의 신경지배에는 제3뇌신경(동안신경)에는 내직근, 상직근, 하직근, 하사근이 있고, 제4뇌신경(활차신경)-상사근 그리고 제6뇌신경(외향신경)-외직근이 지배 하고 있다.
상사근은 안와첨의 시신경공의 바로 내측에서 시작하여 안와의 상벽과 내벽 사이를 진행하여 안와연 부근에 활차를 통과한후 후외방으로 꺾여서 상직근의 밑을 지나 안구적도뒤 상외측 공막에 부착되어있다.
하사근은 눈물 주머니 외하측에서 시작하여 후외방으로 하직근 밑을 지나서 안구후부의 외직근 밑에 부착되어 있다.
제어인대은 내직근과 외직근의 근막의 앞쪽1/3에서부터 안와의 내연과 외연으로 골막까지 부채같이 퍼진 인대를 말하며, 안구의 과도한 운동을 제어하는 구실을 한다.
록우드받침인대: 하직근과 하사근은 안구아래쪽에 밀접해있고 그 근막과 태논낭이 안와의 내외벽까지 연장 되어 그물침대모양으로 안구를 밑에서 받치고 있는 인대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