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절 기 |
일 자 |
내 용 |
주요 세시풍속 |
입춘(立春) |
2월4일 또는 5일 |
봄의 시작 |
설빔, 차례, 성묘, 세배, 복조리, 횡수막이, 쥐불놀이, 토정비결보기, 널뛰기, 윷놀이, 연날리기, 오곡밥 먹기, 달불이, 안택고사, 부럼 깨물기, 귀밝이술, 더위 팔기, 용알뜨기, 개보름 쇠기, 달맞이, 줄다리기, 석전, 답교, 볏가릿대 세우기 |
우수(雨水) |
2월18일 또는 19일 |
봄비 내리고 싹이 틈 | |
경칩(驚蟄) |
3월5일 또는 6일 |
개구리 겨울잠에서
깨어남
|
영등할머니, 볏가릿대 허물기, 머슴날, 콩볶기, 좀생이 보기. |
춘분(春分) |
3월20일 또는 21일 |
낮이 길어짐 | |
청명(淸明) |
4월4일 또는 5일 |
봄 농사준비 |
한식 묘제, 삼짇날,화전놀이, 장담그기. |
곡우(穀雨) |
4월20일 또는 21일 |
농사비가 내림 | |
입하(立夏) |
5월5일 또는 6일 |
여름의 시작 |
초파일, 연등,등띄우기, 줄불놀이. |
소만(小滿) |
5월21일 또는 22일 |
본격적인 농사시작 | |
망종(芒種) |
6월5일 또는 6일 |
씨 뿌리기 시작 |
산맥이, 단오, 단오부채, 쑥호랑이, 천중부적, 단오치장,
창포, 그네뛰기, 씨름, 봉숭아물 들이기. |
하지(夏至) |
6월21일 또는 22일 |
낮이 연중가장 긴 시기 | |
소서(小暑) |
7월7일 또는 8일 |
더위의 시작 |
유두천신, 삼복, 천렵. |
대서(大暑) |
7월22일 또는 23일 |
더위가 가장 심함 | |
입추(立秋) |
8월7일 또는 8일 |
가을의 시작 |
칠석고사, 백중날, 백중놀이,호미씻이, 우란분재, 두레길쌈. |
처서(處暑) |
8월23일 또는 24일 |
더위가 식고
일교차가 큼 | |
백로(白露) |
9월7일 또는 8일 |
이슬 내리기 시작 |
벌초, 추석차례, 거북놀이,소멕이놀이, 근친, 강강술래. |
추분(秋分) |
9월23일 또는 24일 |
밤이 길어짐 | |
한로(寒露) |
10월8일 또는 9일 |
찬이슬 내리기 시작 |
중양절, 중양제사. |
상강(霜降) |
10월23일 또는24일 |
서리 내리기 시작 | |
입동(立冬) |
11월7일 또는 8일 |
겨울 시작 |
말날, 시제, 성주고사. |
소설(小雪) |
11월22일 또는23일 |
얼음이 얼기 시작 | |
대설(大雪) |
12월7일 또는 8일 |
겨울 큰 눈이 옴 |
동지, 동지고사, 동지차례. |
동지(冬至) |
12월21일 또는22일 |
밤이 가장 긴 시기 | |
소한(小寒) |
1월5일 또는 6일 |
가장 추운 때 |
납일, 제석, 묵은세배, 나례, 수세. |
대한(大寒) |
1월20일 또는21일 |
겨울 큰 추위 |
입춘(立春)
입춘 전날은 절분으로 불리며 철의 마지막이라는 의미로 '해넘이'라고도 불리면서 이 날밤 콩을 방이나 문에 뿌려 마귀를 쫓고 새해를 맞이한다. 특히 입춘 날에는 "입춘대길" 등의 입춘 방을 문에 붙이고, 입춘절식이라 해서 고유의 절기 때 먹는 음식인 절식으로 입춘 날에 먹는 햇나물 무침이 있다.
입춘 기간에는 동풍이 불어 언 땅이 녹고, 동면 벌레가 움직이기 시작하며, 어류가 얼음 밑을 다닌다고 한다.
우수(雨水)
봄을 알리는 단비가 내려 대지를 적시고 겨우내 얼었던 대지가 녹아 물이 많아진다는 의미로 우수라고 한다. 우수 경칩에 대동강 물이 풀린다라는 옛말이 전해온다.
경칩(驚蟄)
이 무렵은 날씨가 따뜻해져 초목의 싹이 돋고 동면하던 동물이 깨어 꿈틀 대기 시작한다는 의미에서 명칭이 정해졌다. 이 때의 풍속에는 개구리 정충이 몸을 보(保)한다고 해서 개구리 알을 잡아먹고, 흙일을 하면 탈이 없다 해서 담을 쌓거나 벽을 바르는 일을 하고, 이 날 보리 싹의 성장상태로 보리농사의 풍흉을 점쳤다고 한다.
춘분(春分)
춘분 기간에는 제비가 날아오고, 우레소리가 들리며, 그 해 처음으로 번개가 친다고 한다
청명(淸明)
날씨를 이야기할 때 '청명하다'는 말을 사용하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말고 깨끗한 기후의 시기다.
보통 중국 제나라의 개자추라는 인물에서 유래된 한식날이 이 날을 전후해서 있어 "한식에 죽으나 청명에 죽으나" 라는 속담도 있다.
곡우(穀雨)
의미는 봄비가 내려 백곡이 윤택 해진다는 것이고 농가에서는 못자리를 마련하고 한 해 농사의 준비가 시작된다.
입하(立夏)
여름에 들어섰다고 하여 입하라 한다. 옛날 중국에서는 입하 15일간을 5일씩 3후로 세분하여, ①청개구리가 울고, ②지렁이가 땅에서 나오며, ③왕과(王瓜:쥐참외)가 나온다고 하였다. 음력에서는 보통 4, 5, 6월의 석 달을 여름이라고 하지만 이것은 너무 엉성한 구분이고, 엄격히 입하 이후 입추 전날까지를 여름이라고 규정짓는다.
소만(小滿)
의미는 만물이 점차 생장하여 가득 찬다는 뜻으로 날씨가 여름에 들어서 모내기가 시작되고 보리 수확을 시작한다. 소만 기간에 씀바귀가 뻗어 나오고, 냉이가 누렇게 죽어가며, 보리가 익는다고 한다.
망종(芒種)
의미는 까끄라기 종자를 뿌려야 할 적당한 시기라는 뜻이고 모내기나 보리 베기가 완성되는 시기다. 망종 기간에는 까마귀가 나타나고, 왜가리가 울기 시작하며, 지빠귀가 울음을 멈춘다고 한다.
하지(夏至)
이 날은 낮의 길이가 1년 중 가장 긴 날이 되는데, 이는 지구 표면이 받는 열량이 가장 많아진다는 것으로 이 열량이 계속 쌓여 하지 이후에 더욱 더워져 삼복 시기에 가장 덥게 된다.
소서(小暑)
날씨는 더위와 함께 장마 전선의 정체로 습도가 높아 장마철이 시작된다.
대서(大暑)
대개 중복 시기와 비슷해서 폭염의 더위가 심한 시기이면서도 장마로 인해 많은 비를 내리기도 한다.
입추(立秋)
입추 기간에는 서늘한 바람이 불어오고, 이슬이 진하게 내리며, 귀뚜라미가 운다.
처서(處暑)
의미는 더위가 물러간다는 뜻으로, 처서 기간에는 매가 새를 잡아 늘어놓고, 천지가 쓸쓸해지며, 논벼가 익는다고 한다.
백로(白露)
이 시기는 밤에 기온이 내려가 대기 중의 수증기가 엉겨 이슬이 되어 풀잎에 맺힌다.
백로 기간에는 기러기가 날아오고, 제비가 돌아가며, 뭇 새들이 먹이를 저장한다.
추분(秋分)
이 시기는 추수기가 시작되고 백곡이 풍성한 때로서, 우레 소리가 그치고, 동면할 벌레가 구멍 창을 막고, 땅 위의 물이 마르기 시작한다고 한다.
한로(寒露)
이슬이 찬 공기를 만나 서리가 되며, 단풍이 짙어지고 여름새와 겨울새의 교체시기에 해당하며 오곡백과를 수확한다. 한로 기간에는 기러기가 모여들고, 참새가 줄어들고 조개가 나돌며, 국화꽃이 노랗게 피어난다고 한다.
상강(霜降)
이 시기는 맑은 날씨가 계속되며 밤에는 기온이 매우 낮아져 수증기가 지표에 엉겨 서리가 내린다. 상강 기간에는 승냥이가 산짐승을 잡고, 초목이 누렇게 변하고, 동면하는 벌레가 모두 땅 속으로 숨는다고 한다.
입동(立冬)
입동 기간에는 물이 비로서 얼고, 땅이 처음 얼며, 꿩은 드물고 조개가 잡힌다고 한다.
소설(小雪)
이 시기는 첫 겨울의 증후가 보여 눈이 내린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대설(大雪)
눈이 많이 내리는 시기라는 의미이지만 실제 추위의 계절은 동지를 지나서부터다.
동지(冬至)
동지는 24절기 중에 직접적인 풍습이 가장 많이 있는 기간이다.
동지엔 '다음 해가 되는 날(亞歲)’, 또는 ‘작은 설’이라 해서 축하 하였는데, 궁중에는 이 날을 원단(元旦:설날)과 함께 으뜸되는 축일로 여겨 군신과 왕세자가 모여 ‘회례연(會禮宴)’을 베풀고, 중국에는 예물을 갖춘 동지사(冬至使)를 파견했다. 또 지방의 관원은 왕에게 전문(箋文)을 올려 축하했다. 민가에는 붉은 팥으로 죽을 쑤고 찹쌀로 새알심을 넣고, 팥죽 국물은 역귀(疫鬼)를 쫓는다 하여 벽이나 문짝에 뿌렸다. 한편, 궁중에서는 관상감에서 만든 달력을 ‘동문지보(同文之寶)’란 어새(御璽)를 찍어 관원에게 나누어 줬는데, 이 달력은 황장력(黃粧曆)·청장력·백력 등의 구분이 있었고, 관원들은 이를 다시 친지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그 밖에 고려 ·조선 초기의 동짓날에는 어려운 백성들의 빚을 탐감해주고 함께 즐기는 풍습이 있었다.
소한(小寒)
대한이 더 춥다는 의미지만 우리나라는 소한 때가 더 추워 "대한이 소한 집에 놀러 갔다가 얼어 죽었다."는 옛말이 생겨났다.
대한(大寒)
겨울 추위의 매듭을 짓는다는 의미의 대한이지만 실제는 소한 때가 더 춥다
2. 황도와 황도12궁
천구상을 태양이 지나가는 자취로서, 실제로 태양이 움직이는 것은 아니지만 지구의 공전에 의해 나타나는 태양의 상대적인 운동으로, 1년에 걸쳐 시계 반대 방향으로 천구상의 별 자리를 지나는 것처럼 보인다. 이 길목에 30° 간격으로 놓인 12개의 별자리인 양자리, 황소자리, 쌍둥이자리, 게자리, 사자자리, 처녀자리, 천칭자리, 전갈자리, 궁수자리, 염소자리, 물병자리, 물고기자리 등을 황도 12궁이라 한다.
황도12궁. 동양명. 영문. 양력기간. 절기
|
황도12궁. 동양명. 영문. 양력기간. 절기
|
양자리 : 백양(白羊). Aries. 3.21~4.20. 춘분 황소자리 : 금우(金牛). Taurus. 4.21~5.20. 곡우 쌍둥이자리 : 음양(陰陽). Gemini. 5.21~6.21. 소만 게자리 : 거해(巨蟹). Cancer. 6.22~7.22. 하지 사자자리 : 사자(獅子)Leo. 7.23~8.22. 대서 처녀자리 : 쌍녀(雙女). Virgo. 8.23~9.22. 처서 |
천칭자리 : 천칭(天枰). Libra. 9.23~10.21. 추분 전갈자리 : 천갈(天蝎). Scropio. 10.22~11.21. 상강 궁수자리 : 인마(人馬). Sagittarius. 11.22~12.21. 소설 염소자리 : 마갈(磨褐). Capricorn. 12.22~1.19. 동지 물별자리 : 보병(寶甁). Aquarius. 1.20~2.18. 대한 물고기자리 : 쌍어(雙魚). Pisces. 2.19~3.20. 우수 |
위의 별자리별 날짜는 별자리의 탄생 자체가 정확히 구분 되어져 있던 것을 발견한 것이 아니라 목동이나 고대의 점성술사 들이 해당 계절에만 보이는 별들을 기억하기 쉽도록 그 계절의 밤 하늘에만 나타나는 별 중에 밝게 빛나는 별끼리 모아서 상징적인 형상으로 묶고, 거기에다 이야기를 만들고 전설화 한 것이므로, 문화권별로 별자리의 날짜가 조금씩 다르고, 절기 기간과도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태양과 지구의 세차운동에 따라서 시대별로도 달라서, 실제의 태양 통과 날자와 정확히 일치하는 것도 아니다. 따라서 위의 두 그림에서 보이는 별자리별 날짜는 계절별로 구분되는 대략적인 날짜임을 알아야 한다.
-. 황도 12궁의 내력
서양에서는 기원전부터 별자리를 이용해 점을 보는 점성술이 있었는데, 이는 사람의 생일달의 밤하늘에 해당하는 계절에서만 볼 수 있는 대표적인 12개의 별자리와 달, 행성이 출현하는 상대적인 위치와 연관하여 개인의 운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 12개의 별자리를 천문학에서 황도 12궁이라 하는데, 그리스의 천문학자 히파르코스(B.C 160~125년)는 B.C 130년경 당시에 알고 있던 하늘의 별자리를 12등분으로 나누어 정립하였고, 지금은 지구 자전축의 회전으로 인해 황도 12궁의 별자리 위치가 많이 달라졌다. 이런 변화는 지구가 기울어진 채로 자전하는 세차운동 때문이다.
해당 계절에만 볼 수 있는 특징적인 별자리인 황도 12궁이 지나가는 황도대(黃道帶)는 황도의 남북으로 각각 약 8°의 폭을 가지고 있는 천구(天球)의 영역으로 태양ㆍ달ㆍ행성 등은 이 영역 안에서 운행되며, 황도대는 다른 별자리나 행성들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해 왔다. 특히 메소포타미아의 수메르에서 처음 쓰이기 시작할 당시 사람들에겐 해마다 12개의 별자리가 계절에 따라 번갈아 가면서 규칙적으로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발견으로 태양은 대체로 한 달에 하나의 궁(별자리)을 지나간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즉, 천구(天球)상의 태양의 궤도면은 평면을 이루지 않지만, 평면이라 생각하여 그 가상의 평면 궤도면을 황도면(黃道面)이라 하고, 그 황도면을 계절별로 지나가는 별자리 12개를 황도12궁이라 하는데, 실제로는 태양이 별자리 사이를 통과하는 것을 볼 수 없지만, 천체투영관(天體投影館, 플라네타륨 : 천체의 운행을 스크린에 영상화하여 보여주는 기계)으로 나타낼 수 있다.
태양이 지나는 길인 황도는 적도(赤道)와 23˚ 27’쯤 경사되어 있으며, 황도상의 태양이 남에서 북으로 적도를 가로지르는 점이 춘분과 추분점(春分點)으로, 행성의 궤도면은 황도와 크게 경사되어 있지 않으며, 또한 달의 달이 지나가는 길인 백도(白道)와 황도와의 경사는 5˚9’이다. 따라서 행성의 위치를 나타내는 데는 황도면과 춘분점을 기준으로 하여 황경(黃經)과 황위(黃緯)를 사용하는 일이 많다.
이렇게 황도 12궁인 월별로 태양이 지나가는 자리에 있는 별자리는 지구에서 낮이기 때문에 볼 수 없고, 그 반대쪽에 있는 별자리가 밤에 보인다.
. 황도 제1궁 양자리 Aries
양자리가 제1궁이 된 것은 황도 12궁을 정립한 시대인 B.C 100년경에는 춘분점이 양자리에 있었기 때문이었다.
양자리의 위치는 적경 3시, 북적위가 20이고 이 별자리에는 밝은 별이 없다.
황도 12궁중에 첫 번째 별자리로 태양은 3월 중순부터 4월 중순까지 이곳을 통과하는데, 양자리의 별을 밤하늘에 볼 수 있는 기간은 모든 별자리에서와 비슷하게 이로부터 대략 여섯 달이 지난 후이며, 그 기간은 9월 중순 이후이다.
양자리라 이름 붙여진 것은 이집트의 신 아멘과 같이 여겨지며, 그리스 신화에서는 황금털을 가진 양으로 여겨진다고 한다. 아타마스왕의 아들인 프릭소스는 이 양을 타고 테살리아에서 콜키스로 안전하게 달아나서 자신이 타고 간 양을 제우스에게 봉헌했는데, 제우스가 이 양을 하늘에 별자리로 만들었고 양의 황금털은 아르고선의 지도자인 이아손이 되찾았다고 전해지고 있다.
. 황도 제2궁 황소자리 Taurus
적경 약 4시20분, 북적위 16°이며, 황소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인 알데바란은 1등성인데, 이 별자리에는 게성운, 플레이아데스 성단, 히야데스 성단이 포함되어 있고, 황도12궁중 2번째 별자리이며, 황소자리를 밤에 볼 수 있는 기간은 11월 중순 전후이다.
동양에서는 금우궁(金牛宮)으로 부르며, 그리스 신화에서는 에우로파를 납치하기 위해 황소로 변신했던 제우스와 관련된 이야기를 갖고 있다.
. 황도 제3궁 쌍둥이자리 Gemini
적경 약 7시, 북적위가 22°이며, 이 별자리는 황도 12궁 중 가장 북쪽에 놓인 별자리로 하지점(夏至點)을 포함하고 있어서 태양은 하지를 전후해서 이곳을 통과하며, 이 별자리 역시 그 반대편에서 나타나며, 대략 10월경부터 그 다음해 5월의 밤하늘에 다소 긴 기간을 볼 수 있다.
쌍둥이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은 가스토르와 폴룩스로스 그 중 폴룩스가 더 밝다.
쌍둥이로 표현되는 유래는 이집트 점성학에서는 1쌍의 염소로, 아랍 점성학에서는 1쌍의 공작으로 표현되고 있다. 카스토르와 폴룩스로 알려져 있지만, 호루스 형제나 로물루스와 레무스라고도 불려지며, 동양에서는 음양궁(陰陽宮)으로 부른다.
. 황도 제4궁 게자리 Cancer
적경 8시 25분, 북적위 20°에 있다. 잘 알려진 프레세페 또는 벌집이라는 성단이 여기에 있다.
밤하늘에 볼 수 있는 시기는 1월 전후의 한겨울에 볼 수 있다.
이 별자리가 게로 이름 지어진 것은 레르나에 살던 바다뱀과 싸우던 헤라클레스를 깨물었다는 그리스 신화 속의 게와 관계가 있다. 헤라클레스에게 밟혀 죽은 게는 헤라클레스의 적인 헤라에 의해 하늘에 배치되는 보상을 받았다는 그리스의 신화에서 비롯됐다. 동양에서는 거해궁(巨蟹宮)이라 부른다.
. 황도 제5궁 사자자리 Leo
적경은 10시 30분이고, 북적위는 15°이며, 사자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인 레굴루스의 겉보기 등급은 1등급이다.
밤하늘에선 2월 중순 전후에서 볼 수 있으며, 태양이 이곳을 통과하는 시기는 가장 무더운 8월중순이어서 백수의 왕 사자가 이곳에 놓여 지게 되었다고도 전해지며, 이집트에서는 웅크리고 앉아 있는 사자가 피라밋을 지키는 스핑크스와 관계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그리스에서는 헤라클레스가 죽인 네메아의 사자와 관련한 전설을 갖고 있다.
. 황도 제6궁 처녀자리 Virgo
적경 13시, 남적위 2°로서, 가장 밝은 별인 스피카는 1등성이다.
대지에 봄내음이 물씬 풍겨날 무렵 겨울의 1등성들은 봄 별들의 선구자인 사자의 포효에 놀라 서쪽하늘 저 멀리 달아나 버리고, 새로운 모습의 별들이 봄의 신선함을 축복하고 있다. 이때 동쪽하늘 지평선 위로 밝은 1등성 하나가 낮게 떠서 주의를 끄는데 이 별이 바로 처녀자리의 으뜸별 스피카(Spica)이다.
이 별자리는 한 단의 밀을 운반하는 젊은 처녀로 표현하는데, 그녀는 바빌로니아·아시리아·이슈타 등의 지역에서는 풍요의 여신, 그리스의 페르세포네 등에서는 추수의 여신으로 이다.
. 황도 제7궁 천칭자리 Libra
적경은 약 15시30분이고 남적위는 15°이며, 이 별자리의 별들은 매우 희미하다. 여름이 가까워 오면서 봄철의 별자리들이 하나 둘 서쪽 하늘로 모습을 감추기 시작하는 무렵에 남쪽하늘 아래에서 봄과 여름의 갈림길에 선 작은 별자리가 천칭자리인데 원래는 전갈자리에 포함되어 있었다.
이 별자리는 천칭을 들고 서 있는 여인의 모습이지만 벼의 실제 형상은 천칭만으로 되어 있고, 로마시대의 신화에 선 정의의 여신 아스트라에아로 여겨졌다.
. 황도 제8궁 전갈자리 Scorpius
적경 16시 30분, 남적위 30° 근처에 있는 별자리로서 가장 밝은 별인 안타레스는 1등성이다.
이 별자리는 태양이 지나가는 황도상에서 가장 남쪽에 위치한 별자리이나 태양이 전갈자리의 남쪽부분을 지나는 것은 아니어서 황도의 가장 남쪽 지점은 바로 옆의 사수자리(궁수자리)이다.
이 별자리를 전갈로 나타낸 것은 여신 아르테미스가 오빠인 아폴론에게 속아서 전갈의 독침으로 연인인 오리온(바다의 신 포세이돈의 아들)을 쏘아 죽였다는 그리스의 전설과 관련이 있으며, 하늘에서 전갈자리가 떠오를 때 오리온 자리가 지는 것을 이런 전설로서 기억케 했다. 또 다른 그리스 신화에는 젊고 경험 없는 아폴론의 아들 파이톤이 아버지인 태양신 아폴론의 말들을 몰 때 말들이 날뛰도록 한 것이 전갈이라고도 한다.
. 황도 제9궁 궁수자리 Sagittarius
적경 약 19시와 남적위 25°에 있으며, 우리은하에서 밀도가 가장 높은 항성운이 있는 은하계의 중심이 궁수자리에 있는데, 6월 중순 전후로 남쪽 하늘이 터진 곳에서 밤하늘을 보면 은하수가 뭉쳐져서 환하게 불이 켜져 있는 것 같다. 이게 바로 반인반마(半人半馬)의 사수(궁수)자리이다. 사수자리는 은하수의 중심부분에 자리 잡고 있기 때문에 별들의 늪이라고 할 정도로 많은 별들이 모여 있다.
. 황도 제10궁 염소자리 Capricornus
적경 약 21시, 남적위 20°에 있고 이 별자리의 별들은 어두우며, 산양좌(山羊座)라고도 한다.
염소에 달린 것으로 종종 묘사되는 물고기 꼬리에 관한 설명은 괴물 티폰을 피하기 위해 동물 모습으로 변해 물로 뛰어든 판 신에 관한 그리스 신화에서 발견된다. 물 위에 있는 반은 염소 모양이고 물 밑에 있는 나머지 반과 꼬리는 물고기 모양이라 생각했다. 태양이 이 별자리에서 가장 멀리 있는 8월 말에서 10월까지가 관측에 가장 좋은 시기이며, 중국에서는 마갈궁 (磨羯宮)이라 부른다.
. 황도 제11궁 물병자리 Aquarius
적경이 약 23시이고, 남적위 10°이며 두드러진 특징은 없고, 가장 밝은 별도 3등급밖에 안 된다.
'단지의 물을 쏟는 사람'으로 표현된 이유는 고대에 물병자리가 뜨는 시기와 중동에 비가 내려 홍수가 발생하는 시기가 일치했기 때문이며, 이 별자리를 관측하는 데 가장 좋은 시기는 태양이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9월에서 11월 사이이다. 동양에서는 보병궁(寶甁宮)이라 부른다.
. 황도 제12궁 물고기자리 Pisces
적경이 약 1시이고, 북적위는 15°이며, 물고기자리는 어두운 별들만 있어 별의 배치가 눈에 띄지 않는다. 이 별자리는 밝은 별은 없지만 태양이 황도상을 지날 때 하늘의 적도와 만나는 춘분점(thde Vernal Equinox)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오래 전부터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다.
천문학자들은 이 점을 기준으로 하여 별들의 적경(the right ascension)을 매긴다. 물고기자리의 적경이 0H인 것도 이 별자리가 춘분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춘분점은 북극성(Polaris)의 위치가 변하는 것과 같은 이유로 황도상을 따라 약 2만 6천년을 주기 변한다.
'끈으로 묶여 있는 2마리의 물고기'라는 표현은 아프로디테와 에로스가 티폰이라는 괴물을 피하기 위해 강으로 뛰어들었을 때 이들이 물고기로 변했다는, 혹은 2마리의 물고기가 이들을 안전하게 태워주었다는 그리스 신화와 관련이 있다. 중국 이름은 쌍어궁(雙魚宮)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