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ppler angle
질문: 60도 정도의 입사각에서 PV 속도는 50.4 이고, 30도 정도의 입사각에서는 68.8 인데, 어느 쪽을 값으로 취해야 합니까? 다른 동맥 (예:CCA)에서 측정할 때 60도 정도의 입사각이므로, ICA에서도 60도 되게 맞추어서 측정해야 합니까?

한병인 원장님
각도을 보정할 때 혈류의 방향을 정확하게 교정을 해주면 어떤 각도라도 상관은 없습니다. 그렇지만 보정도 검사자가 하는 것이므로 항상 눈대중만큼의 오차는 생기겠지요. 눈대중만큼의 오차가 어디서나 생긴다고 가정을 하면 가능하면 예각에서 측정한 값이 오차가 적을 것입니다.
선생님께서 보내주신 이미지에서 같은 혈관내에서 혈류속도가 차이가 나는 것은 아마도 각도 조정에서 생긴 오차로 인한 차이겠지요.
60도보다는 30도에서 생기는 오차가 훨씬 오차의 범위가 작습니다.
가능하면 예각에서 측정한 것이 정확하겠지요.
첫 번째 60도의 경우는 duplex image내에서 진짜 혈류의 방향을 가름하기가 어렵습니다.(이미지내의 aliasing effect가 약간만 발생하게 셋팅을 조정을 하시면 가장 빠른 혈류의 흐름이 존재하는 곳의 대략적인 윤각을 주어서 혈류방향을 가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혈관의 굴곡이 심한곳에서요.)
30도의 경우는 값이 다 틀려봐야 30도 이내의 오차 즉 15%정도 밖에 생기질 않습니다.
따라서 30도가 더 정확하다고 할 수 있고 duplex의 b mode 영상에서도 혈관의 주행방향이 좀 더 길게 보여서 판단하기도 쉽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이성익드림.
질문: carotid sono 에서 혈관 내부에 longitudinal 하게 moderately high signal로 나타나는 artifact가 무엇입니까?
답변: Prof 이: longitudinal image의 혈관내에 echogenic hazziness한 것을 reverberation의 artifact로 설명한 것을 보았습니다.
slice thickness artifact정도로 설명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차원적인 이미지에 삼차원적으로 발생하는 echo들은 다 모아나서 깨끗하게 보여하는 하는 혈관들이 잔뜩 구름이 낀것 같은 느낌.... axial image의 경우는 rarefaction/ side lobe에 의한 artifact가 같이 관여 할수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 ㅅ 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