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의의와 목적 : 꾸르실료란 스페인어로 그 원형은 Curo(진행, 코스)이며, ‘단기 강습회’를 말한다. 참된 그리스도교적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1949년 스페인에서 시작된 신앙 부흥 운동의 일종이다. 마요르카 섬의 후안 에르바스(Juan Hervas) 주교의 제의하에 평신도인 보닌 형제가 시작하였다.
처음 산디아고 캄포스텔라(Campostela) 광장의 성 야고보 사도 묘지 성지 순례단의 안내자를 위한 단기 강습회로 시작하였다. 그 정신은 그리스도교 생활의 핵심에 뛰어들어, 개심의 과정을 거치는 가운데 교회와 이웃을 위해 자신이 가진 이상, 순종, 사랑의 정신을 실천하고, 하느님을 중심으로 복음 삼덕의 생활화와, 주위의 그리스도화를 꾀하는 데에 있다.
1949년 마요르카 섬 성 호노라토 수도원에서 가진 훈련이 꾸르실료 운동의 시작이었다. 한국은 1966년 주한 미 평화 봉사단 캐빈 오도넬이 준비하고 필리핀 카이모 형제를 비롯한 10여 명이 서울에서 시작함으로써 오늘에 이른다.
2. 용어 : 참고로 용어 중 꾸르실리스따는 꾸르실료를 수료한 형제 자매, 데 꼴로레스는 빛 혹은 광명 속에, 울뜨레야는 몇 개 팀의 집합체, 빨랑카는 지렛대, 즉 꾸르실료 성공을 위한 영적 또는 물적 선물을 말한다.
그중에 울뜨레야는 꾸르실료에 참가한 사람(수료자)들을 한데 묶어, 유능한 평신도 사도로서 자신의 사명에 충실히 활동하도록 모임을 갖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꾸르실료 운동은 꾸르실료 그 자체보다는 이를 통하여, 지도자를 양성하고 그리스도교 생활의 쇄신과 사회의 복음화에 충실하도록 하는 데에 있다.
꾸르실료(cursillo)란 ‘복음화를 위한 단기교육’이란 뜻으로 일종의 교육과정인데 강습이나 과정과는 구별된다.
꾸르실료에는 인종, 국적, 피부색, 교육수준, 경제적 사회적 지위가 각기 다른 40여 명의 참가자들이 보통 목요일 저녁부터 일요일 저녁까지 3박 4일 동안 15개 과목의 강의를 들으면서 서로 토론하고 기도하며 형제애적인 사랑을 체험해 나간다.
꾸르실료에서 강조하는 것은 계명을 지키는 신심보다는 은총의 신심이다. 이러한 꾸르실료를 통하여 그리스도 교인으로서 신앙생활을 쇄신하고, 세상을 복음화시키려는 운동이 꾸르실료운동이다.
이 운동은 1940년대 스페인의 주교인 후안 에르바스(Juan Hervas) 주교에 의해 시작되었다. 그는 사목생활을 하는 도중 많은 지성인들이 고민하는 모습과 불우청소년들이 저지르는 비행과 범죄행위를 목격하면서 어떻게 이들의 영적인 생활을 치유할 수 있을 것인가를 깊이 연구하던 중 그들을 다시 그리스도에게로 인도하기 위해서는 특수한 교육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이에 다라 에르바스 주교는 이들을 인도할 지도자를 모집하고 ‘순례 지도자의 꾸르실료’라는 이름을 붙였다.
꾸르실료운동은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한다.
제1단계(the precursillo stage)로 환경이 다른 사람들과 교제의 기회를 마련하여, 제2단계(the 3-day exercise stage)로 그들과 함께 꾸르실료를 가지면서 그들을 하느님과 더욱 굳건히 맺게 해 줌과 동시에 그들이 유능한 평신도 사도로서 역할을 다하게끔 한다. 제3단계(the postcursillo stage)로 꾸루실료에 참가한 사람들을 묶어 주어 유능한 사도로서 자신의 사명에 충실히 활동하게 한다. 이 모임에 울트레야(ultreyas)라고 부른다.
꾸르실료운동은 꾸르실료 그 자체가 중요하다기보다는 꾸르실료를 통하여 그리스도 교인 지도자를 양성하고 그리스도 교인의 생활을 쇄신함과 동시에 사회를 복음화 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으므로 꾸르실료운동에 있어서 울트레야는 특별히 그 중요성을 가진다.
우리나라의 꾸르실료운동은 1967년 꾸르실리스타(cursillista)인 주한 미 평화 봉사단장 케빈 오노넬에 의해 처음 소개되었다. 이에 따라 혜화동본당 교우들을 중심으로 꾸르실료운동이 한국에 그 뿌리를 내리기 시작하였다. 이 후 운동은 전국적으로 확대되어 각 교구마다 꾸르실료 사무국이 설치되어 있고, 중앙에는 주교회의의 인준을 얻어 중앙협의회 사무처를 두고 있다. 꾸르실료는 사목주교위원회에서 지도 감독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