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富)의 가속적증가법칙(加速的增加法則)
옛날 가난한 집으로 시집온 며느리가 하루는 들판에 나가 짚단을 몇 묶음 주워와 남편에게 식구 수대로 망태기를 삼아달라고 부탁했다.
식구는 시아버지, 시어머니, 남편과 자기, 그리고 두 시동생과 시누이 한 명으로 총 7명이었다.
그래서 신랑은 다음날, 그 짚으로 망태기 7개를 삼아주었다.
그날 저녁, 며느리는 家族들을 불러 모아 망태기를 하나씩 나누어 주면서 이런 부탁을 했다.
내일부터 누구든 나갈 때는 이 망태기를 들고 나가고, 들어올 때는 부러진 나뭇가지도 좋고 떨어진 낙엽도 좋고, 심지어 잡초(雜草)나 돌멩이도 좋으니 꼭 이 망태기를 채워 오라는 부탁을 했다.
家族들은 雜草나 돌멩이를 가져와도 좋다고 하니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라 생각하고 그러기로 約束했다.
다음날 시아버지는 냇가에 버려진 찌꺼기들을 망태기에 가득 담아 왔고, 시어머니는 길가에 있는 雜草들을 잔득 뜯어왔고, 남편은 뒷동산에서 부러진 나뭇가지들을 가득 주워왔고,
자기는 들에가 민들레를 가득 뜯어왔고, 그런 제안에 불만이 많았던 두 시동생은 한 번 골탕 먹어보라는 듯 길에 차고 넘치는 잔돌들을 가득 담아왔고, 시누이는 헝겊조각들을 주워왔다.
며느리는 약속(約束)을 지켜줘서 너무 고맙다면서 깍듯이 인사를 한 후, 태울 수 있는 찌꺼기와 나뭇가지와 헝겊조각들은 부엌으로 가져가 땔감으로 쓰고,
자기가 가지고 온 민들레는 다듬어 반찬을 하고 시어머니가 가져온 풀들은 앞마당에 쌓아 거름을 만들고 시동생들이 가져온 돌멩이는 뒷마당 구석에 모아 놓았다.
그런 식으로 며칠이 지난 뒤, 하루는 며느리가 들에 나가 벼이삭을 주워와 빻아서 쌀밥을 해 먹었다.
모처럼 쌀밥을 배부르게 먹은 식구들은 어차피 가져오는 것이라면 이렇게 뭔가 보탬이 되는 것을 가져 오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 결과 다음날 시아버지는 수확이 끝난 여러 밭을 다니며 캐가고 남은 감자이삭을 주워 왔고 남편은 산에 가서 떨어진 밤을 가득 주워왔고,
자기는 산머루를 가득 따왔고 시동생들은 냇가에서 붕어를 가득 잡아왔고 시누이는 냉이를 가득 뜯어왔다.
그래서 그런 것들을 잘 다듬고 정리하여 상을 차리니 단번에 풍성한 식탁이 되었다.
풍성한 식탁에 신이난 식구들은 갈수록 쓸 만한 것들을 가져오기 시작했다.
뒷산에 가서 도라지를 캐오고 먼 강으로 나가 큰 물고기들을 잡아오고 논밭을 다니면서 버려진 벼이삭, 감자이삭, 고구마줄기들을 주워왔다.
한편 며느리는 시동생들이 골탕먹어보라며 며칠 동안 가져온 잔돌들을 뒷마당 구석에 쌓아올려,
작은 성황단을 만들고 새벽마다 정화수 한 그릇을 떠놓고 家族들의 무사안녕과 成功을 빌고 또 빌었다.
이를 지켜본 식구들은 며느리의 정성에 感動하여 그때부터 한푼이라도 돈 되는 물건들을 가져오기 시작했다.
시아버지는 고철을 주워와 팔았고 시어머니는 산나물을 뜯어와 팔았고 남편은 나무를 해다가 팔았고 시동생들과 시누이는 부잣집에 품팔이를 나섰다.
가난에 찌들어 모든 의욕을 상실하고 죽지 못해 살아가던 집에 어느덧, 希望이 부풀고 의욕이 불 타 올랐다.
한푼 두푼 돈이 생기자 식구들은 더욱 열심히 돈 되는 일을 하게되었고, 그러자 財産은 하루가 다르게 불어나기 始作했다.
그런 일이 계속되자 드디어 돈이 돈을 버는 가속력의 法則이 현실화되어 불과 5년 만에 동네에서도 소문난 富者가 되었다.
絶望은 絶望을 부르고 希望은 希望을 부르는 法이다.
世上을 살아본 사람들이라면 이런 삶의 이치를 모를 사람이 없을 것이다.
이 며느리의 예는 希望이 希望을 낳는 삶의 法則을 단적으로 증명하고 있다.
장사를 해 본 사람이라면 빈손으로 100만원을 모으기는 힘들어도 100만원으로 천만원을 모으기는 쉽고 천만원으로 1억을 모으기는 더 쉽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칠팔십 정도 나이든 어른들은 어린 시절 어느 집 며느리가 밥을 할 때마다 한 술씩 쌀을 떠내 작은 항아리에 모았다가...
그걸 팔아 병아리 한마리를 사고 그 병아리를 키워 어미닭이 된 후 알을 낳자 이번에는 알을 팔아 다시 병아리 10마리를 사는 식으로 財産을 불려 富者가 되었다는 민담들을 자주 듣고 자랐을 것이다.
이처럼 10원으로 100원 만들 궁리를 하고, 100원으로 1,000원을 만들 궁리는 하는 사람들은 틀림없이 富者가 된다.
티끌모아 태산이라는 말은 이를 두고 하는 말일 것이다.
위에 예로든 며느리의 發想은 우리들에게 많은 敎訓을 주고 있다.
지금 우리 국가와 국민들은 財産이 가속적으로 불어나는 이런 며느리 같은 생각으로 하루를 보내고 있는가?
아니면 있는 돈을 야금야금 까먹고 빈둥거리는 베짱이 같은 하루를 보내고 있는가?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고 했다.
내가 지성을 다해 나를 도우지 않는다면 그런 希望없는 나를 누가 도와 주겠는가?
구름이 모이면 틀림없이 비가 되듯..
富者 될 行動이 모이면 틀림없이 富者가 될 것이다.
우리 모두 富者가 되는 그날까지, 부의 가속적 증가법칙을 믿고 쉼없이 끝없이 도전(挑戰)해 보자.
언젠가는, 꿈이 이루어질 날이 올 것이다.

❤��삶의 역설(逆說)��
날아오르는 연줄을 끊으면 더 높이 날 줄 알았다.
그러나 땅바닥으로 추락(墜落)하고 말았다.
철조망을 없애면 가축들이 더 자유롭게 살 줄 알았다.
그러나 사나운 짐승에게 잡아먹히고 말았다.
관심(關心)을 없애면 다툼이 없어질 줄 알았다.
그러나 다툼이 없으니 남남이 되고 말았다.
간섭을 없애면 편하게 살 줄 알았다. 그러나 외로움이 뒤쫓아 왔다.
바라는 게 없으면 자족할 줄 알았다.
그러나 삶에 활력(活力)을 주는 열정(熱情)도 사라지고 말았다.
불행(不幸)을 없애면 행복 할 줄 알았다.
그러나 무엇이 행복(幸福) 인지도 깨닫지 못하고 말았다.
편안(便安)을 추구(追求) 하면 권태(倦怠)가 오고
편리(便利)를 추구(追求) 하면 나태(懶怠)가 온다.
나를 불편하게 하던 것들이 실은 내게 필요한 것들이다.
얼마나 오래 살지는 선택할 수 없지만 보람 있게 살지는
선택(選擇)할 수 있다.
얼굴의 모양은 선택할 수 없지만 표정은 조정할 수 있다.
주어지는 환경(環境)은 선택(選擇)할 수 없어도 내 마음
과 자세(姿勢)는 선택(選擇)할 수 있다.
그러므로 결국 행복(幸福)도 선택이고 불행(不幸)도 나의
선택(選擇)인 것이다.
사람의 마음이 즐거우면 종일 걸어도 힘들지 않지만
마음속에 근심이 있으면 불과 십리를 걸어도 싫증이 난다.
인생의 행로(行路)도 이와 마찬가지다.
늘 명랑(明朗)하고 유쾌(愉快)한 마음으로 그대의 인생(人生)을 걸으세요..����
옮겨온 글 입니다.
삶의 길에서 바라본 세상
삶의 길에서 성실하고 좋은 삶을 엮어가며 살고 싶지만 세상은 때론 우리의 생각과 정반대로 갈 때가 많다. 그것은 자연의 순리라고 할 수도 있지만 당신을 실험하는 세상의 가르침으로 좋게 받아드려라. 그 가르침에서 이겨내야만 진리의 길을 갈 수 있다
마음은 미래에 있고 삶은 늘 조급하고 위급한 길을 걷고 있지만 살아가는 일이 고통과 시름이 있다하여 오늘의 삶을 미워하여서는 아니 된다. 삶을 사랑하며 살아라. 삶은 사랑이고 사랑은 삶인 것이다 우리들의 내일은 시원한 바람과 향기로운 꽃으로 물든 그런 천국이어야 한다.
나의 삶을 위하여 오늘도 열심히 살아가는 길이 미래를 여는 행복의 길일 것이다. 성실의 삶을 몸에 익혀라 성실은 많은 행복을 가져다주는 밑거름인 것이다. 세상을 흔들림 없이 살고 싶지만 사람을 미워하고 시기하고 악하게 만드는 것이 세상의 얼굴인 것. 그것을 다 상대하고 살다보면 내 몸과 내 정신이 병들어 자신의 삶이 위태해진다
대충 보다는 인내와 명철한 판단으로 대처를 잘 해야 한다. 버릴 것은 버리고 잡을 것은 잡으라는 말일 것이다. 꽃은 열흘 아름답지 않고 사람은 평생 한결 같을수 없다 그것은 저마다의 욕심과 악업을 쌓으며 인간은 살고 있기 때문이다. 그 의미의 정도야 어찌될지 모르지만, 좋은 글과 좋은 생각으로 마음의 크기와 생각을 넓히려 정진하고 또 정진해야 할 것이다.
사람에게는 저마다의 특징과 향기가 있듯 좋은 품성을 가지려 애쓰고 좋은 마음으로 살아간다면 그 삶의 열매는 찬란하게 빛날 것이다. 항상 뒤를 돌아보며 삶의 길을 모색하고 어제의 실수를 반성하는 자세로 내일을 아름답게 만들 줄 아는 현명한 사람이 되었으면 좋겠다....
좋은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