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2. 김중청의 생애
3. 17세기 퇴계학파의 분화와 월천계의 동향
4. 김중청의 학문연원과 교유관계
5. 김중청의 활동과월천계 내 위상
(註)
1) 박현규,[김중청(金中淸)의 조천록(朝天錄)과 부정적인 허균(許筠) 모습,[열상고전연구] 22,2005.
2) 김세현(金世顯),[구전 김중청공을통해 본 임진란과 복구활동],[봉화지역의 임란사연구],2016,10,12,발표논문.
3) 김중청(金中淸),[구전선생문집(苟全先生文集)],1,2,한국역대문집총서(韓國歷代文集叢書) 2245,2246,1997,
(김중청(金中淸),[구전선생문집(苟全先生文集)],
구전선생문집국역중간추진위원회(苟全先生文集國譯重刊推進委員會),1999.
김중청(金中淸),[구전선생문집(苟全先生文集)],영인표점(影印標點),한국문집총간 속(韓國文集叢刊續) 14
민족문화추진회, 2006.
김중청(金中淸),[조천록(朝天錄)],임기중편,[연행록전집(燕行錄全集)],12,23,동국대학교출판부,2001.
김중청(金中淸),[구전선생강원일록(苟全先生講院日錄)],후손가.
4) 이 부분은 [구전집] 수록 [연보]와 [행장] 을 중심으로 작성하였다.
5) 최은주,[보물은 오직 청백뿐,안동보백당 김께행 종가],예문서원,2013.
6) [계암록],<1607,8,11>,<1607,8,18>,
7) [계암록],<1607,8,19>,
8) [계암록],<1607,11,10>,
9) [구전집],별집,[조천록],<식(識(이광정(李光庭)>.“조천사적(朝天事蹟)유일록유문견사건(有日錄有聞見事件)
사건역일록야(事件亦日錄也)입경지후(入境之後)치상어사건(致詳於事件)
이일록지서상견사건(而日錄只書詳見事件)필수참고이건이후가구기상(必須參考二件而後可究其詳)
이구편이록(而俱編二錄)역사중복(亦似重複)첩망기참(輒忘其僭)참구사실(參究事實)통위일록(通爲一錄)
이의주이전전용일록(而義州以前全用日錄)입경이후즉이사건위주이문부일록(入境以後則以事件爲主而間附日錄)
지기문자상애(至其文字相碍)불면수개(不免脩改)여신자개여자(如臣字改余字)
서선배휘자개이별호(書先輩諱字改以別號)개위지일록즉부득편용사건예야(盖謂之日錄則不得便用事件例也)
기간역불무산번취약거용종편자(其間亦不無刪煩取約去冗從便者)극지망외(極知妄猥)
이유부득불연자(而有不得不然者)람자서지(覽者恕之)광정근서(光庭謹書)”
10)[구전집],별집,[조천록],[문견사건말단헌설(聞見事件末端獻說)],
내용은 사신(使臣)과 서장관(書狀官)의 엄정선발할 것,
군관(軍官).자제(子弟).역관(譯官)의 모람(冒濫)과 동행(同行)에 제한할것,
물품과 비용은 등록(謄錄)에 의하도록 할 것,
사신단의 내,외부 출입에 대해제한할 것 등 사행 기간 동안 느꼈던 점을 조목별로 지적하고 있다.
말미에는 1812년에 강필효(姜必孝:1764~1848)가 쓴 [말단헌설발(末端獻說跋)]이 있다.
11) 경북 봉화군 명호면 풍호리 여포마을의 구전종택(苟全宗宅)에 정면 3간,측면 3칸의 8작 지붕건물로 이루어진
구미당(九未堂)이 있다.[연보]에서는구미당의 당호가
자미구(慈未具:자애로움을 갖추지 못하고),
배미전(配未全:배우자도 온전히 못하며),
교미박(交未博:교유도 넓히지 못하고),
서미독(書未讀:책도 제대로 읽지 못했고),
학미취(學未就:학문도 성취하지 못했고),
도미수(道未修:도도 제대로 닦지 못하고),
거미정(居未定:거처도 안정되지 못하고),
사미신(仕未信:벼슬살이도 신임받지 못했고),
방미지(謗未止:비방도 그치지 않는다).의 선생께서 아홉 가지 일을 못한 것을 이르는말이라고 적고 있다.
12) 삼전실(三全室) 현판은 현재 구미당 건물에 같이 있다.아마도 원래의 구미당에 별도의 한 공간을 추가로
마련한 다음 선생께서 주로 기거하면서 그 정침의 이름을 삼전실이라고 한것으로 보인다.
13) 광해군대 선유사 시기의 역할에 대해 인조반정 이후 비판적인 평가가 있다.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권176,광해군 14년 4월을유(20) 및 [계암일록],1622,5,28.
14) 권오영,[월천 조목의 언행과학문성향],[국학연구] 28,2015.
15) 서정문,[퇴계집의 초간과 월천서애 시비],[북악사론]3,1993,[조선중기의 문집편간과문파형성]2006,12-48쪽
16) 월천 조목과 서애 류성용이 동문 수학한 사이지만 학문에서부터 정치적 성향과세대관계에 이르기까지
기본적으로 차이가 있다는 입장에서 그 차이점을 드러내는 연구가 일반적이다.
서정문,[퇴계집의 초간과 월천서애 시비],[북악사론],3,1993.
이수건,[서에 류성용의 학문과학맥][한국의 철학[ 23,경북대 퇴계연구소,1995.
정만조,[월천 조목과 예안 지방의퇴계학맥],[한국의 철학[, 28,경북대 퇴계연구소,2000.
설석규,[한국국학진흥원 소장 필사본 월천선생문집 해제],[국학연구] 5,2004.
17)[월천집],[부록].<월천신도비명>.
18) 김응조,[학사집], 권5,[잡저],<서애변무록>.
19) 우인수,[조선후기 도산서원 원장의 구성과 그 특징],<퇴계학과 유교문화> 53,2013,97쪽.
20) 김형수,[17세기 초 월천학단과예안지역사회의 재건],[민족문화연구],65,2014,306~307쪽.
21)[유원록],1582.
22)[계암일록],1608,11,3.
23) 김령은 김중청과 이립이용수사에 출입하는 것에 대해
“저들이 바야흐로 죄망에 걸려 있으면서 버젓이 모여드니,아주 해괴하고 경악할 일이다.”는
여론을 전하고 있다.[계암일록],1608,11,28.
24) 서애계와 갈등을 빚은 내용을 거론하고 있는 김택용(金澤龍:1547~1627)의 [월천언행록],정온(鄭蘊)의
[월천신도비명] 등의 수록 여부로 서애계와 갈등을 빚으면서 실제 문집의간행은 1666년경 예안에서
목판본으로 간행되었다.양측의합의에 의해 일부 직접적인 문제가 되는 구절이 있는 내용은 삭제되고
6권 3책에 연보와 제문이 수록된부록 1책이 추가되어 모두 4책으로 간행되었다.
그 뒤 일부 부분이 수정되어 개간본이 간행되었다.한편 12권 7책의 필사본이광명실에 수장되어 있는데
목판 간행 이전의 교정용 필사본으로 간주되고 있다.(설석규,해제,[월천선생문집],2004.
25) 조목의 도산서원 종향 논의 전말은 이상현,[월천조목의도산서원 종향논의-17세기 영남사족 동향의 일단
[북악사론],8,2001 참조.
26)[계암일록],1609,1,12.
27)[계암일록],1610,5,10.
28)[계암일록],1611,1,6.
29) [조성당일기],1612,1,5.
30) [계암일록],1612,2,11.
31)[계암일록],1612,2,8.<1612,2,213.
32)[계암일록],1612,2,11.
33)[계암일록],1613,4,28.
34)[계암일록],1613,6,26.<1613,8,5
35)[계암일록],1613,8,5.
36)[계암일록],1614,1,18.
37)[계암일록],1614,2,4.
38)[계암일록],1614,9,7.
39)[계암일록],1614,9,7.
40)[계암일록],1614,11,4.
41)[계암일록],1615,3,26.
42)[구전집],권6,<제문>,창해서원존덕사봉안제문(昌海書院尊德祠奉安祭文),
월천선생부향존덕사제문(月川先生袝享尊德祠祭文),
[구전집],<연보>,사십사년병진 선생오십일세(四十四年丙辰 先生五十一歲).
43)[계암일록],1617,9,8.“청이풍(晴而風) 오후이계김진사득연장과(午後伊溪金進士得妍丈過)
이려강원장(以廬江院長)왕봉화(徃奉化)관김중청배창해서원봉안제이회야(觀金中淸輩昌海書院奉安祭而回也)
제일회자(祭日會者)
예안즉금경이유도이지형김숙정득이상적류시원등기이십인
(禮安則琴憬李有道李之馨金琡鄭得李尙迪柳時元等幾二十人)
영주즉이숭도급기이자김여엽여욱급송성제인범십여인(榮州則李崇道及其二子金汝燁汝煜及宋姓諸凡十餘人)
안동삼사인솔개명불문자(安東三四人率皆名不聞者)풍기역연(豊基亦然)예천김석견(醴泉金錫堅)
기여개봉현급내성인야(其餘皆奉縣及奈城人也)내성권상현역왕의(奈城權尙賢亦徃矣)차회자(此會者)
개중청지당여(皆中淸之黨與)불연개협종혹여진(不然皆脅從或旅進)
이기중역유중무소주추세외화이부지자(而其中亦有中無所主趨勢畏禍而赴之者)근경사자(近憬士子)
초호위유식유문자(稍號爲有識有聞者)개불왕의(皆不徃矣)부이선생서원(夫以先生書院)영안예삼읍(榮安禮三邑)
자석고유(自昔固有)이기타추건자(而其他追建者)혹우선생(或于先生)유평일지록(有平日之綠)
혹출어흠모이치성(或出於欽慕而致誠)지약창해(至若昌海)중청본의부재선생(中淸本意不在先生)
지재어기사월천(只在於其師月川)이려인심불복(而慮人心不服)차선생빙자(借先生憑藉)이귀중월천(而歸重月川)
월천수명종사(月川雖名從祀)기실주야(其實主也)(중략)차기서원(且其書院)창어십년전(創於十年前)
사론개운청야(士論皆 云淸也)구자이서원(搆自已書院)중간경변고(中間經變故)구불취(久不就)
지시내령기흉억언(至是乃逞其胸臆焉)”창해서원이건립이 쉽지 않았던 과정을 거쳤음은 김령이 서원을 10여년
전에 창설되었는데 유림 여론이 김중청이 자기 서원을 짓는다고 여겼으며,중간에진행시키지 않다가 이제 그
속마음을 드러내었다고 적고 있다.
44) [구전집],[구전선생문집서(苟全先生文集序:이광정(李光庭)],“외고조구전선생(外高祖苟全先生)
사숙도산지문인(私淑陶山之門人)개상왕래소고월천한강삼선생지문(盖甞往來嘯皐月川寒岡三先生之門)
일시지론선생자(一時之論先生者)위경학정수(謂經學精邃)전발어천옹(傳鉢於川翁)문장오건(文章奧健)
승해어고노(承楷於皐老)이예학순수즉습훈어사수야(而禮學純粹則襲訓於泗水也)”
45)[한서]의수학시기에 대해 연보[구전집(연보)]에서는 회산유감시(檜山有感詩)
자주운소고박선생유간원좌천(自註云嘯皐朴先生由諫院左遷)
내리차부여종학한서우아내(來莅此府余從學漢書于衙內)시을유춘야(時乙酉春也),회산유감시에 자신이 주를
달기를 소고 박선생이 사간원에서 좌천되어 이 부에 부임하여 왔을 때 내가현의 관아 안에서 [한서]를
배웠는데 그 때가 바로 을유년(1585)봄이었다.”라고 적고있다.
그런데 소고 선생은 계미년(1583) 5월공조참의를 사직하고 고향으로 왔다가 7월 사간원 대사간이 되었다.
따라서[한서]의 수학 시기는 소고 선생이 창원부사로 있었던 때인 20살 무렵에배운 것으로 보인다.
46)[구전집] 권6,[제문],<소고선생사묘(嘯皐先生祠廟)>,[행장],<소고박선생행장(嘯皐朴先生行狀)>,
47)[소고집(嘯皐集)],[부록(附錄)] 下,<기문록(記聞錄)>,“선생역사삼조(先生歷事三朝)
당을사기묘지세(當乙巳己卯之歲)군소양화(羣少釀禍)호상경알(互相傾軋)청반진신지가(淸班縉紳之家)
진입어망타지중(盡入於網打之中)이선생독면참화자(而先生獨免慘禍者)
개일생청신근칙지력야(蓋一生淸愼謹飭之力也)문인김중청일록(門人金中淸日錄)”
48)[구전집],[연보].
49)[구전집],[연보],“삼십삼년을사(三十三年乙巳) 선생사십세(先生四十歲)정월시질천상(正月侍疾川上)
동문보월천선생병독(同門報月川先生病篤)절영의왕시(節迎醫往侍)월천집수일상(月川執手日常)
이거원부득원원위한(以居遠不得源源爲恨)금병차사의내하(今病且死矣奈何)기견애중여차(其見愛重如此)
이이월천병유(已而月川病愈)”
50)[구전집],권6,[제문],<창해서원존덕사봉안제문 사액문암(昌海書院尊德祠奉安祭文 賜額文巖)>,
[월천선생부향존덕사제문(月川先生祔享尊德祠祭文).
51)[구전집],권6,[제문],<제한강선생문(祭寒岡先生文)>,“오호(嗚呼)방국욕췌(邦國欲瘁)선생병의(先生病矣)
도맥장추(道脉將墜)선생서의(先生逝矣)규혼미재(叫&333;未再)숙부윤기(孰扶倫紀)취정무지(就正無地)
애아후학(哀我後學)사빈황량(泗濱荒凉)매원적막(梅園寂寞)지경명의(持敬明義)평생착력(平生着力)
방휘분류(發揮分類)수교부공(垂敎膚公)호의지자(豪毅之資)영수지용(英粹之容)이의난적(已矣難覿)
시천몽몽(視天夢夢)소자급문(小子及門)삼천지후(三千之後)재현사재(宰縣四載)포몽순유(飽蒙諄誘)”
52)[구전집],[발(跋:김시찬(金是瓚)),“만우출신안(晩又出新安)종유태무허월(從遊殆無虛月)
자처공문지유로(自處孔門之游路)”
53)[구전집],권6,[제문],<제회곡선생문(祭晦谷先生文)>에서 소자와 선생으로 관계를 표시하였다.
“곡아소자 오호선생(哭我小子 嗚呼先生)”
54) [구전집],권6,[제문],<용산서원회곡선생봉안문 사액주계(龍山書院晦谷先生奉安文 賜額周溪)>,
[회곡선생상향제문(晦谷先生常享祭文)].
55)[구전집],[구전선생문집서(苟全先生文集序:이광정(李光庭)],
“당시우복여헌사계석담소암계암제현(當時愚伏旅軒沙溪石潭踈庵溪巖諸賢)무불추선생위외우(無不推先生爲畏友)
즉선생지견중어일시가지야(則先生之見重於一時可知也)”
56)[부경별장],한국국학진흥원,2004,1904년 김형상이 쓴제첩후기에 따르면 김형상은 구전의 후손인
김낙진(金洛鎭)의 요청에 따라 상하 2질의 책을3책으로 분책하여 장정하였다.
57)[구전집],<부록>,[연행증유(燕行贈遺)],임숙영의서문과 이광정의 발문을 제외한 <시장(詩章)>조에
심희수(沈喜壽),이호민(李好閔),류근(柳根),이시발(李時發),김상용(金尙容),김상헌(金尙憲),김용(金涌),
차천로(車天輅),이순민(李舜民),이준(李埈),조우인(曺友仁),김영(金坽),김봉조(金奉祖),이경의(李景義),
이명한(李明漢),권래(權來),김계종(金繼宗),김광혁(金光爀),김시주(金是柱),이홍중(李弘重),이지형(李之馨),
박수서(朴守緖) 등이 수록되어있다.문집으로 간행하면서 [부경별장]의 내용을 축약하였다.
58)[계암일록],1608,4,15.
59)[계암일록],1608,8,5.1608,8,11.
60)[구전집],<부록>,[연행증유(燕行贈遺)],[서(序)임숙영(任叔英)],
61)[구전집],권5,[잡저],<발(跋)>,[서부경별장첩후(書赴京別章帖後)],
“제견기중(第見其中)혹유장황어졸자(或有張皇於拙者)지가이불우지사(至加以不虞之辭)
시역면이계이(是亦勉而戒耳)인이진지(引而進之)치이격지(耻而激之)비면계여이하(非勉戒余而何)”
62) 안동의 정사신(鄭士信)이 조목의 배향에 대해 반대하는 여론을 조성하였다는 혐으로 사헌부의 탄핵을 받았다.
[광해군일기],권74,광해군 6년 1월(4일).김령은 이 논박도 실은 김중청의 힘이었다고 보고 있다.
[계암일록],1614,2,4.
63) 대북정권의 월천 종향에 대한 지원과 예안내 대북새력에 대해서는 다음의 논문을참조.
이상현,[월천 조목의 도산서원 종향논의],[북악사론] 8,2001.
박현순,[16-17세기 예안현 사족사회 연구],서울대 박사학위논문,2005.
김성우,[광해군대 정치 지형의 변동과 경상도 예안 사족들의 대응],(역사학보),226,2015.
64)[계암일록],1615,7,12.“시시영남상도지위시배자(是時嶺南上道之爲輩者)청개잠급초두배(淸愷埁及草頭輩)
내기괴(乃其魁)우유박수서군종(又有朴守緖群從)위지표리(爲之表裡)서위예랑(緖爲禮郞)득배청직(得拜淸職)
여안담수신의립김우익배(如安聃壽辛義立金友益輩)부족도야(不足道也)”
65) 인조반정 후 지역사회에서 훼가출향(毁家黜鄕)되거나 삭적(削籍)된 이들은지역 단위에서 가장 적극적인
대북 지지세력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계암일록].
3월 28일 영주(榮州):이강(李茳),이장(李藏),이영구(李榮久),금대아(琴大雅),이잠(李埁),이광계(李光啓),
이광열(李光烈),[오여온(吳汝穩)김여엽(金汝燁)].
3월 29일 안동(安東).
4월 3일 예안(禮安):손우(孫祐),[오윤(吳奫)오여강(吳汝杠)윤동창(尹東昌)윤동노(尹東老)이홍익(李弘益)].
4월 5일 풍기(豊基):서신(徐兟),남자신(南自新),이모(李慕).
4월 6일 온계:서긍(徐兢).
66) 이시기의일기 기록으로 [강원일록]이 남아 있다.
67) [강원일록],1616,1,25.
68) 예안 사족사회의 위계질서를 북인정권에 대한 태도와 결부한 김성우의 연구에서는 친북인 강경파로
간주하고있다. (김성우.앞의 논문,139쪽)
69) [계암일록],1628,11,5.
70) [인조실록],권23,인조 8년 9월 계묘(27).
71) [계암일록],1630,3,15.
72) [구전집],<부록>,[제문(祭文:문인(門人)이증효(李曾孝)남형회(南亨會)박돈(朴燉)배숙전(裵淑全)등],
“하의일질(何意一疾)경지난의(竟至難醫)향무긍식(鄕無矜式)국실시구(國失蓍龜)인야귀사(人耶鬼耶)
문천막지(問天莫知)오호통재(嗚呼痛哉)오제소자(吾儕小子)행탁전당(幸托鳣堂)불아공공(不我悾悾)
유아지방(誘我知方)작성지은(作成之恩)의동야양(義同爺孃)거격유명(遽隔幽明)질업어하(質業於何)
상향실성(相向失聲)체누경하(涕淚傾河)”
73) [구전집],<부록>,[제문(祭文:이시 선우당(李蒔 善迂堂)], “조득의귀(早得依歸)계월파광(溪月波光)
학유연원(學有淵源)명천동방(名擅東方)유가위종(儒可爲宗)국가부강(國可扶綱)”
74) [구전집],<부록>,[만사], “동종하행유공현:김상용(同宗何幸有公賢:金尙容)”, “궁원원소어이락(竆源遠泝於伊洛)
분촌심교어예서(分寸深較於禮書)피장부아장부(彼丈夫我丈夫)추무전수(追武前脩)구력불임혜(懼力不任兮)
석거제:신달도(惜居諸:申達道)”, “공립천문설백중(共立川門雪白中)당시재학최칭공(當時才學最稱公)
문장여사공유배(文章餘事空流輩)도의훈성격군몽:김율(道義薰成擊羣蒙:金瑮)”,
75) 김형수는광산김씨 후조당 소장[월천선생문인록(月川先生門人錄)]과 권시중(權是中),[력정일고(櫟亭逸稿)],
<부록(附錄)>,[동문록(同門錄)]을 종합하여 32명을 동문제자로 정리하였다.
[김형수,(17세기 초 월천학단과 예안지역사회의 재건),[민족문화연구],65,2014,299~304쪽.
76) [구전집],<연보>,[구년기사 선생육십사세 유월십삼일(九年己巳 先生六十四歲 六月十三日)],
“선생문장경술(先生文章經術)구위제류소선(俱爲儕流所先)아유경제지지(雅有經濟之志)조우홍조(遭遇昏朝)
부득유소전포(不得有所展布)이개옥지후(而改玉之後)우위비어소중(又爲 飛語所中)선생관상완점(先生觀象玩占)
우유전사(優游田舍)교수생도(敎授生徒)낙이망우(樂而忘憂)
정문숙공매탄경석부득여선생동승(鄭文肅公每歎經席不得與先生同升)
김사계장생상복선생예학불가급운(金沙溪長生常服先生禮學不可及云)”
[구전집],<부록>,[행장<이광정>(行狀<李光庭>)], “정문장공매한경석불여곤동등(鄭文莊公每恨輕席不與公同登)
이김사계매복공논설예경이상의란(而金沙溪每服公論說禮經而相疑難)이위불가급운(以爲不可及云)”
77) [구전집],[발<김시찬(跋<金是瓚>)], “당시사우월조월문사(當時士友月朝月門士)첩선루지공(輒先僂指公)”
78) [계암일록],1612,2,13, “황이립배(况李笠輩)이선생도통(以先生道統)전지월천(傳之月川)
월천전지중청(月川傳之中淸)개자전일(盖自前日)이유차언(已有此言)금지소위(今之所爲)
불과여차이이(不過如此而已)심의소인지우야(甚矣小人之尤也)”
79) [계암일록],1617,8,17, “문봉화서원(聞奉化書院)장이구월초오(將以九月初五)봉안퇴계선생(奉安退溪先生)
종사월천(從祀月川)개김중청지소롱야(皆金中淸之所弄也)원장금학고(院長琴學古)
통문걸화물어각읍향교서원(通文乞貨物於各邑鄕校書院)우무리(尤無理)”
80) [계암일록],1617,9,8, “부이선생서원(夫以先生書院)영안예삼읍(榮安禮三邑)자석고유(自昔固有)
이기타추건자(而其他追建者)혹우선생(或于先生)유평일지록(有平日之綠)혹출어흠모이치성(或出於欽慕而致誠)
지약창해(至若昌海)중청본의부재선생(中淸本意不在先生)지재어기사월천(只在於其師月川)
이려인심불복(而慮人心不服)차선생빙자(借先生憑藉)이귀중월천(而歸重月川)월천수명종사(月川雖名從祀)
기실주야(其實主也)”
81) [구전선생문인록]은 별도의 책자로 고서상에서 판매된 적이 있다.
동일한 내용을적은 것이 [국역 구전성생문집]에 부록으로 수록되어 있다.
82) [반천서원승호시실기(槃泉書院陞號時實記)].
83) [반천계첩(槃泉稧帖)],[서<권상문(序<權相文>)],[국역구전선생문집],<부록>소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