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중해”가 “발해”라!!!
글쓴이 : 최두환
2006.07.07 21:29
우리는 모두 발해가 동경 117도-125도, 산동반도와 료동반도 사이에 있는 바다로 알고 있다. 지금까지 모든 력사의 전개가 이런 틀에서 한 치도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벗어나보려고도 생각도 하지 않는 것 같다.
정말 발해가 한반도 서북쪽, 중국대륙 료녕성 남쪽에 있는 것이 맞는가?
아마도 이런 문제를 제기하면 비웃을 것이다. 생각을 넓혀보자는 의미에서 다음의 사실을 보자.
중국사라는 것으로 편재된《중국정사 25사》속의〈북사(北史)>(권97 열전85)의 서역(西域)편에 이런 내용이 있다.
이미 중앙아시아에 있는 박트리아가 대하(大夏)이고, 대월씨국(大月氏國)이라고 설명한 바가 있다. 그런데 그 대월씨국[去代1만4500리]이 위의 책에서는 사차현(莎車縣: 去代1만3000리)에서 1500리(=567km)에 있다고 했다. 지리적 위치를 거리의 단위로써 명확히 표시해놓아져 있다는 말이다.
그리고 소월씨국(小月氏國)은 감숙성 서부와 신강성 북동부사이에 있는 것으로 지금까지 설명되어 있지만, 위의 책에서는 “그 흉노들의 조상들이 살았던 곳인데, 소월씨국[去代1만6600리]은 사차현에서 3600리(=1360.8km)에 있다고 했다.
이것은 매우 다른 의미를 가진다. 이것은 소월씨국이 대월씨국의 동쪽에 있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서쪽에 있으며, 그것도 거리가 무려 3600리나 멀리 떨어져 있다. 이 정도의 거리는 신강성 사차현에서 서쪽으로 이란의 동부 마샤드(Mashard)까지가 된다. 그래서 대월씨국과 소월씨국과의 사이의 거리는 무려 2100리(=793.8km)나 된다.
우리가 페르시아라고들 말하고 있는 파사국(波斯國)은 옛날에 조지국(條支國)이며, 신강성 서부의 사차현에서 1만1228리(=4244.18km)라 했다.
그렇다면 이 지역은 페르시아만의 북쪽 중앙아시아의 서부지역이 된다. 이 지역에는 파르티아가 있는 안식국(安息國: 去代2만1500리)이 있고, 여기에는 조선에서 그토록 많이 생산된다는 “안식향(安息香)”이 생산되는 원산지이다.
이 안식국은 총령(蔥嶺: 파미르 고원)의 서쪽에 있고, 대월씨국의 서북쪽, 사차현에서 3600리(=1360.8km)에 있으니, 우리는 더더욱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왜냐하면 바로 여기서부터 문제의 “발해(渤海)”라는 말이 나오기 때문이다.
조지국(條支國: 去代2만9400리)이 안식국 서쪽 7900리(=2986.2km)에 있고, 거기서 서쪽으로 “대진국[大秦國 :일명 려헌(黎軒) 代縣에서 거리 3만9400리]이 있는데, 바로 그 근처에 바다가 있으며, 그것이 곧 발해이다. 그래서 그 동쪽(동양) 서쪽(서양)은 발해와 더불어 서로 바라보이며, 대개 자연스레 간심을 갖는 곳이다.”[大秦國一名黎軒,...去代三萬九千四百里. 其海滂出, 猶渤海也, 而東西與渤海相望, 蓋自然之理.]
이곳은 신강성 사차현에서 2만6400리(=9979.2km)가 되며, 그곳에 발해가 있다는 이 표현은 동양과 서양이 만나는 어름임을 알 수 있으며, 그것은 곧 아시아와 유럽의 경계를 이루는 곳이며, 로마와 터키가 있는 지역, 지중해가 있고, 흑해가 있는 지역이다. 바로 이런 바다가 바로 발해인 것이다.
이런 지역이 <중국사> 또는 <조선사>에서 말하는 서역국(西域國)의 지리적 위치이다. 공간을 한반도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조선사는 력사가 아니다.
여기서 또 다른 문제가 제기된다. 그것은 “대진국”의 지리적 위치이다.
그것이 어디이겠는가?
지금까지 거리를 많이도 밝혀놓았다. 대진국은 신강성 사차현에서 9979.2km이다. 조지국에서도 3780km이다. 이 정도의 거리는 실제로 직선거리로 재어보면 천산산맥이 있는 신강성 사차현에서 유럽의 끝까지나 된다.
그렇다면 그 “대진국”이 어디인가?
그것은《구당서》(권198 열전 148 西域)에 보면, “拂菻國一名大秦”[불림국은 다른 이름으로 대진국이다]고 했다. 이 불림(拂菻: Fulin)이 “동로마[東羅馬, Easr Rome]”이다. 어떤 사람은 그냥 “로마”라고도 말한다.
그렇다면 로마와 그리스가 있는 지역, 터키가 있는 서쪽에 있는 바다가 지중해이고, 터키의 북동쪽에 있는 바다가 흑해이다. 그렇다면 바로 이런 바다가 곧 “발해”인 것이며, 조선의 “서해(西海)”가 먼 옛적에는 이 지중해(地中海)를 일컬었을 것이다.
이런 지리적 해석을 하면서《중국정사 25사》의 “목차”를 보았다. 조선이라는 국명(고구려, 신라, 백제, ...)이 거의 “북적(北狄)”과 “서역(西域)”사이에 기술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지리적으로 그만큼 “조선”이 서역에 가까이 있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지 않을까?
이렇게 하여 “서역”이라는 국명을《천하도(天下圖)》에 표시된 것이 얼마나 동쪽으로, 동쪽으로 좁혀서, 좁혀서 옮겨놓았는지를 알 수 있다.
이런 사료의 맥을 찾아야《산해경》에 나오는 조선의 지리적 위치가 그나마 풀어질 수 있는 실마리가 될 수 있으며, 도대체 풀리지 않는 신화가 동양과 서양이 서로 연계성을 가지고 엮어져 있다는 것을 풀 수 있게 된다.
아! 이제 잠을 푹 좀 잘 수 있겠다.
첫댓글 산업의 수수께끼
<후한서. 서역전>에는 대진국의 사람들은 습속이 밭을 힘으로 갈고, 양잠과 뽕나무를 심는다고 하고 있다.
<위서. 서역전>과 <북사. 서역전>에도 대진국은 "토지가 오곡, 뽕나무, 마에 적합하고, 사람들은 벌레(양잠)와 밭에 힘쓴다".
이들 기록에 따르면, 대진국은 양잠이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기록으로 볼 때 대진국의 주요 산업중의 하나가 양잠이었다.
대진국이 동한 시기부터 양잠을 하였다면, 그리고 대진의 주요경제산업이었다면, 도대체 이 대진국이 로마제국이 될 수 있는가?
[출처=http://blog.daum.net/shanghaicrab/15398512]
풍속의 수수께끼
<위지. 서역전>과 <북사. 서역전>에서는 대진국의 의복, 차기가 중국과 비슷하다고 적었는데, 이 부분은 진서의 내용과 모순된다.
그런데, 위지, 북사는 모두 선비족이 주류인 국가에 대한 기록이고, 선비족은 기본적으로 흉노와 같은 북방민족이다.
이러한 점에서 그들은 자신들과 같다고 기록한 것일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렇게 보면 한족이 주체인 <진서. 사이전>에서 '호속'이라는 것은 결국 흉노의 풍속 내지는 북방민족의 풍속이라는 것으로 이해되고,
위지와 북사에서 중국의 풍속이라는 것도 결국은 북방민족의 풍속이라는 것으로 이해된다.
[출처=http://blog.daum.net/shanghaicrab/15398512]
인종의 수수께끼
<후한서. 서역전>에는 대진국 사람들이 장대평정(長大平正)하며, 중국인과 비슷하다고 적고 있다.
<진서. 사이전>에서도 대진국 사람들은 장대하여 중국인과 모습이 비슷하다고 적고 있다.
<위서. 서역전>과 <북서. 서역전>은 사람됨이 단정 장대하며, 의복, 차기가 중국과 비슷하다고 되어 있다.
이러한 내용을 보면 마치 대진국은 중국과 같은 인종으로 보인다.
[출처=http://blog.daum.net/shanghaicrab/15398512]
잘 봤습니다
<진시황은 몽골어를 하는 여진족이었다>를 쓴 중국인 학자 주학연(朱學淵)의 주장에 따르면, 대진국(大秦國)은 로마제국이 아니라고 합니다.
<위략(魏略)>에 언급된 대진국(大秦國)은 이란령 아제르바이잔 성 및 아제르바이잔 공화국 지역으로, 바로 고대 메디아-페르시아 왕조의 발상지이었다고 합니다.
중국(中國)을 통일한 진(秦)이 퉁구스계 민족의 부락이었고, 중국에서 역사적으로 남-코카서스 일대를 대진국(大秦國)으로 불렀던 점 등을 감안할 때,
메디아인은 아마 퉁구스계 민족과 관련이 있었을 것으로 그는 추정하였습니다.
[출처=앞의 책, page 331]
대진경교비(大秦景敎碑)가 중국 장안(長安) 부근에서 출토되었는데,
이는 사실 페르시아 경교(景敎)로, 당대(唐代)에 페르시아를 지칭할 때 한대(漢代)의 국명(國名)인 "대진국"(大秦國)을 그대로 원용함으로써 야기된 헤프닝이라고 합니다.
당대(唐代)에 대진경교비(大秦景敎碑)를 세웠던 기독교의 네스토리우스파 선교사가 로마 교회에 의하여 이단으로 몰려 페르시아로 피신해 근거지를 마련하였는데,
그 교리가 당대(唐代)의 중국(中國)에 전래되었다고 합니다.
[출처=앞의 책, page 318~319]
<위략(魏略)>은 대상(隊商)들의 견문을 상당수 수록하고 있을 뿐 아니라 대진국(大秦國)의 물산(物産)에 대해서도 상세하게 소개하고 있다는 점에 그 가치가 있다고 합니다.
대진국(大秦國)에서 많이 생산되었다는 "탑전"(毾氈)은 지금도 세계적으로 명성이 자자한 "페르시아 카펫"을 말합니다.
양잠업(養蠶業)도 활발하게 이루어졌다고 하는데, 아마 로마에 공급된 "비단" 대부분이 대진국(大秦國)에서 공급되었을 것으로 그는 추정하였습니다.
이것은 동(東)-아시아의 민족이 남(南)-코카서스 지역까지 이주해갔다는 증거라고 합니다.
[출처=앞의 책, page 323)
위 본문에서...
1. 우리가 페르시아라고들 말하고 있는 파사국(波斯國)은 옛날에 조지국(條支國)이며, 신강성 서부의 사차현에서 1만1228리(=4244.18km)라 했다.
2. 조지국(條支國: 去代2만9400리)이 안식국(安息國) 서쪽 7900리(=2986.2km)에 있고, 거기서 서쪽으로 대진국[大秦國: 일명 려헌(黎軒) 代縣에서 거리 3만9400리]이 있는데, 바로 그 근처에 바다가 있으며, 그것이 곧 발해이다.
<진시황은 몽골어를 하는 여진족이었다>를 쓴 중국인 학자 주학연(朱學淵)은 조지(條支)를 여진(女眞), 여직(女直)에 관계되는 것으로 보았습니다.
조지국(條支國)은 안식국(安息國)의 서(西)쪽 7900리(=2986.2km)에 있다고 하는데...
그 거리가 대단히 멀리 떨어져 있군요... 이것을 어떻게 이해하여야 될까요???
대진국(大秦國; 로마) ← 조지국(條支國; 페르시아) ← 안식국(安息國; 파르티아)
우리는 대진국(大秦國)을 로마(Rome)라고 하지만, 바다의 서쪽에 있기 때문에 '해서국(海西國)'이라고 한다고 했다.
로마가 지중해 북쪽 해안에 있지, 바다의 서쪽[海西]라고 볼 수 없다. 이 바다[海]라는 것이 에게해(Aegean Sea)라면 몰라도. 그래도 바로 그 서쪽엔 그리스[희랍]이 있으니 뭔가 어울리지 않는다.
이 "바다"란 결코 "에게해"도, "지중해"도 아니며, 그냥 "해[太陽]"과 같은 "천자"가 있는 지역, 즉 "중국"이란 의미로 보아야 할 것이다.
[출처=http://bobjyeon.tistory.com/37]
대진(大秦)"과 같은 소리의 나라가 "大震"인데, 이것이 대조영이 나라를 세운 "발해(渤海)"의 다른 이름이다.
이 발해가 전에 언급한 바가 있듯이 곧 "Black Sea"[黑海]인 것이다.
[출처=http://bobjyeon.tistory.com/37]
바로 위의 글은 최두환 선생님이 2008년 8월 20일에 쓰신 글입니다.
제목 = "씰크 로드는 아시아 조선의 길"
[원본 출처=http://cafe.daum.net/chosunsa]
條支國 臨西海, 海水曲環其南及東北, 三面路絶, 唯西北隅通陸道. 土地暑濕, 出師子犀牛封牛孔雀大雀, 大雀其卵如壅. [후한서 권88 서역전76]
조지국은 서해에 닿았는데, 바닷물이 그 남쪽과 동북쪽을 둘러져 있어 3면으로 길이 끊어져 있고, 오로지 서북쪽 모퉁이로만 육로가 나 있다.
토지는 무덥고 습기가 많으며, 사자(獅子)·무소[犀牛]·낙타[封牛]·공작(孔雀)·타조[大雀]가 있으며, 타조는 그 알이 옹기만하다.
3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고 서북쪽만이 육로로 트인 곳은 곧 아라비아 반도 전체가 매우 적격이다.
[출처=http://bobjyeon.tistory.com/37]
바로 위의 글은 최두환 선생님이 2008년 8월 20일에 쓰신 글입니다.
제목 = "씰크 로드는 아시아 조선의 길"
[원본 출처=http://cafe.daum.net/chosunsa]
여기서는 그분이 조지국(條支國)을 "아라비아 반도"로 비정하셨습니다.
그런데, 최근에 그분은 "아라비아 반도"를 조선(朝鮮)의 제주(濟州), 고대(古代)의 차거국(車渠國)으로 비정하셨습니다.
학설(學說) 변경에는 분명하고 객관적인 이유가 있어야 합니다.
즉, 예전의 학설을 부정하는 충분한 이유가 있어야 하고, 새로운 학설을 긍정하는 이유가 분명히 있어야 합니다.
학설 변경이 타당한지의 여부를 객관적으로 살펴야 한다는 뜻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