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극한기상 재해(풍수해) 대응훈련
|
시스템 훈련
|
- 시도, 시군구 재난관리시스템을 활용, 표준행동절차·매뉴얼 이행훈련 |
- 중앙관리단에서 부여하는 메시지에 따라 훈련 진행 |
- 중앙부처와 지자체 중심으로 현장훈련과 연계된 시스템 훈련실시 |
- 시·군·구별 지역특성에 맞는 재난유형을 선정, 시스템 훈련 |
※ 도시⇒침수, 농촌⇒하천범람·제방붕괴, 산간⇒산사태 등
|
현장훈련
|
- 피해 규모가 큰 사례를 적용하여 현장훈련지역을 자치단체별 선정 |
- 시스템 훈련과 연계하여 풍수해 대응훈련을 실시하되 하천 |
- 실제상황을 가정하여 상황전파, 주민대피, 유관기관 공조·협력, |
구조 활동, 복구장비 및 인력동원, 응급구호, 자원봉사활동 등 실시 |
|
테러·화재 대응훈련
|
시스템 훈련
|
- 지자체별 선정된 훈련대상에 대하여 부여되는 메시지에 따라 훈련 |
- 재난상황과 조치내용을 유관기관 간 협의하여 공동 대처능력 제고 |
- 재난상황에 맞는 안전관리계획 및 위기대응매뉴얼의 실효성 검증
|
현장훈련
|
- 훈련대상에 적합한 실제상황을 설정하여 형식을 배제한 훈련 |
- 테러, 화생방, 폭발, 붕괴, 화재 등 복합재난 발생에 대응한 훈련 |
- 훈련참여 유관기관 간 공조체제를 구축하고, 총력 합동대응태세 구축 |
|
지진·지진해일 대응훈련
|
시스템 훈련
|
- 전국적으로 기상청에서 일정규모 지진발생상황 메시지 부여 |
- 부산, 강원 등 8개 시·도에 지진·해일 발생 메시지 부여(현장훈련 연계) |
- 중앙부처, 지자체별 지진(해일)발생 및 2차 피해 시스템 훈련 실시
|
현장훈련
|
- 민방위훈련과 연계하여 재난위험 경보발령(5. 4. 11:00) |
- 중앙·지방 연계한 재난대비체계 가동 및 국민행동요령 홍보 |
- 화재, 폭발, 붕괴 등 지진 2차 피해에 대한 재난종합훈련 |
|
목조문화재 재난대응 훈련
|
시스템 훈련
|
- 국보·보물 목조 문화재를 대상으로 시·도별 시스템 훈련 |
- 문화재청, 소방방재청, 지자체 합동으로 문화재 관련
재난 대응훈련 메시지를 개발하여 훈련 상황부여
|
현장훈련
|
- 국보·보물 목조문화재 중심으로 현장훈련 대상 선정 |
- 관리자 중심의 초기대응훈련 중점 실시, 소화시설 확인 |
|
교정·보호·출입국시설 재난대응훈련
|
시스템 훈련
|
- ‘07년 여수 출입국관리소 화재를 모델로 훈련메시지 개발 |
- 법무부 출입국·교정·보호시설과 지자체간 대응협력체계 구축 |
- 중앙·각 시설·지자체를 연계한 시스템 훈련 실시
|
현장훈련
|
- 전국의 출입국, 교정·보호 시설에 대한 실제상황 현장훈련 실시 |
- 시설의 관리자·직원에 대한 초동조치능력 배양 및 협조체제구축 |
|
교육현장(유·초·중·고등학교)의 안전교육 및 대피훈련
|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전국 1만9천여 학교대상 훈련
|
재난위험경보(5.4일 11:00)에 따라 화재·지진 대피훈련 실시
|
대피훈련 1시간 전 재난 및 안전관련 교육(영상) 실시
|
학생교육을 위하여 교사들은 안전교육 자료를 사전 습득
|
식중독, 전염병, 실험실 안전 등 학생안전교육 병행실시 |
|
작업장 등 산업재난 대응훈련
|
고용노동부에서 전국 지방노동청 대상 훈련 메시지 개발
|
소방방재청, 지자체, 지방노동청 협력체계 구축 및 메시지 내용 검토
|
대규모 업체, 작업장 중 현장훈련 지역 선정, 지자체 합동훈련
|
탄광 갱도 붕괴에 따른 유관기관 합동 인명구조훈련 |
|
방사능 누출 재난 대응훈련
|
시스템 훈련
|
- 교육과학기술부에서 훈련 메시지 개발 |
- 교육과학기술부, 훈련대상, 지자체합동으로 시스템훈련 실시
|
현장훈련
|
- 대전방사능방재센터에 대한 사고수습훈련 |
- 방사능 누출을 가상한 피해범위 산정 및 주민대피계획 수립 |
- 관계 전문가와 지자체가 참여한 종합적 대응훈련 실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