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를 찾으려면 가장 좋은 방법은 선대를 다 알아서 족보의 체계도조견표
(體系圖早見表) 를 보고 찾아가는 방법입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옛날에는 선대를 아는 것이 상식이었으나 지 금은 특별한 지식이 되어 일부의 분들만 가능하고 보통은 힘듭 니다. 우선은 찾으려는 나나, 아버지, 할아버지의 항렬자와 족보에 기 록된 이름을 알아야 하며, 조상이 어느 지역에 살았고, 그 지방 에 시조로부터 어떤 후손들이 살았던 가를 알면 보다 찾기가 쉽 습니다. 무작정 자신과 아버지, 할아버지 이름만을 이용해 뿌리를 찾으 려면 족보를 일일이 다 뒤져야 하므로 굉장한 노력과 시간이 필 요합니다. 어른들께 선대에 대하여 듣지 못하신 분들은 다음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 첫 째: 호주의 사망으로 분가 되기 전의 호적원부 로 60년대 후 반에서 70년대 초반에 태어나신 현재의 30대 연령에서는 아버 지, 할아버지, 증조부, 혹은 고조부까지도 기록이 나와있을 "제 적등본"이나 호주의 변동으로 현재의 호주 이내의 본적지. 부모 의 성명. 호주. 생년월일. 출생지. 성별. 본관. 상벌 등의 가족기 록이 등재된 호적등본을 본적지 혹은 원적지에서 발급 받습니 다. 둘 째: 선대 "묘소" 소재지 및 증조부 이상이 사시던 고향 주소 (집성촌)를 확인 하고 혹시 선대의 묘소에 선대가 기록된 비문이 있으면 선대의 이름을 확인 합니다. 셋 째: 대종중 혹은 지역문중 ,족보도서관 , 족보 보관 도서관 등을 직접방문 또는 족보를 가지고 있는 종친과 연락하여 문의, 확인합니다. *.뿌리를 모르는 경우는 각 가계의 상황에 따라 다음과 같이 크게 몇 가지로 분류해 볼 수 있습니다. 1). 6·25사변 등의 혼란으로 족보가 소실되고 그 후에 족보수보에 참여하지 않은 경우 2). 둘째 아들 이하 자손이 고향을 떠나 분가· 이주(移住)하여 일 가 친척과 떨어져 살면서 부친이 선대 가계의 내력이나 원 적지, 부친의 고향을 알려 주지 않고 돌아가신 경우. =>자신의 호적이나 외갓집 족보를 참고하면 항렬이 어느 정 도 접근되며 도움이 된다. 3). 출생관계가 사생아 등으로 비정상적인 경우 =>성씨는 있어도 다른 종친들과 본관이나 항렬이 맞지 않는 경우에 해당하며 구전(口傳)이외에는 별로 도움될 만한 자료가 없다. 4). 한 말 신분제 폐지로 인한 중인 이하 천민 출신의 후손인 경우 =>본관이나 성씨는 있어도 다른 종친들과 항렬이 맞지 않는 경우에 해당하여 찾기가 어렵다고 보아야 한다. 5). 선대의 경제사정이 곤궁하여 족보에 참여하지 아니하거나, 종친들과 연락되지 않는 곳에서 독자로 몇 대 내려온 경우. =>외가 및 처가를 역추적하거나 선조의 묘소의 석물(비석)에 기록이 남겨져 있을 경우만 어느 정도 가능성 있다 6). 양자로 입양되었거나 고아(他姓)를 입적한 경우. => 같은 안씨 사이에 입양된 경우 무관심 또는 생가와 멀리 떨어진 경우에 해당 하며 보통 가까운 촌수에서 입적이 이루어지 므로 양가나 친가를 찾으면 선대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타 성 을 양자로 입적한 경우는 불가능 하다.
첨언: 1)
어떤 사정에 의하여 자기 자신이 어렵게 자라면서 본인의 이름이 항렬에 의하지 아니한 이름으로 호적에 등재되어 있고, 근친의 파보 수단 작성시 누락되그나, 항렬에 의한 추가 초기명이 올려지지 않그나, 생년월일이 상이한 경우 가 있을 수 있을 것입니다. 파보를 작성 시에는 일반적인 호적부상의 이름을 초기명으로 하고 족 보상의 이름을 작명하여 올려서 항열을 남기기도합니다. . 또한, 2세의 이름을 작명시 항열에 의하지 않고 지었을 시와 파보 수단시 누락하면 불가능할 수 있습 니다.
우리 순흥안씨는 크게는15개의 파가 있다고합니다만, 그 중에서 본인의 파를 찾으면 파보에 의하여 찾기가 쉽지만 그렇지 못할경우 상기의 내용에 따라 이곳 저곳을 직접 찾아다니며 지인을 만들고 찾는다는 일념에 전념하여야 될것으로 첨언합니다.
조사하는 동안 막다른 길에 들어서더라도 당황하지 마십시오. 이러한 상황은 자주 일어납니다.
이 경우에는 잠시 쉬었다가 나중에 새로운 마음으로 다시 시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른 길로 가서 막다른 길을 우회하십시오.
예를 들어, 할아버지의 부모에 관한 정보를 찾으려는 경우 할아버지의 부모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당신의 출생 기록을 찾아보십시오.
예를 들어, 조상이 비석에 아버지의 이름이 기재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할아버지의 배우자 기록을 찾아보십시오.
할아버지가 함께한 사람(배위) 및 자녀의출가(女子의출계)남아 있는 사람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배우자나 출가한 여식이 다른가문의 족보에서 찾을수가 있습니다.
과거의 족보에는 사시던곳(거주지,세거지)을 묘소의 실제지역을 근거로 거주한것으로하여 족보상단에 각지역을 표시하여 동명이인이나 찾기에 도움주었습니다.
그러나 현재근세에 들어와서는 그의미가 잦은이주 이사나 종중선산의 부족등등으로 타지역묘소로이장등 보다그의미가축소되 그가치가 적기는하나 뿌리를찾는 하나큰 역활이됩니다.
인구조사의 기록은 같은 주소지에 살았던 사람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아시는 바와 같이 계보 조사를 위해 많은 종류의 유용한 기록이 있으며 대개 관련된 사람을 검색하거나 새 아이디어를 시도하여 필요한 사람에 대한 정보를 찾을 수 있습니다.
물론 위에서 언급하지아니한 국가보존문서 예를들어 동서강목(과거급제자목록)이나, 국가기록원(인명검색)등등....... 수많은 기록물을 인터넷검색 하는것은 기본입니다. 인명검색은 본래 성씨를붙여 한자로검색하고 다음은 성을빼고(과거 고문서에는 돌아가신분의 성함앞에는 휘`諱'자나 생`生'자를 붙이고 성씨는 표기하지않는것이 예의엿으며 그로인해 근세에는 동명이인으로 자주혼선을 빚기도합니다)
호적등본과 호족원부(구청발행분 가장윗대까지나온 호적원부,재적등본)필요
[제적등본] 호주의 사망으로 분가 되기 전의 호적원부(* 현재의 30대 년령에서 부. 조부. 증조부. 고조부까지 나온다.)
[ 호적등본] 호주의 변동으로 현재의 호주 이내의 가족이 등재된 호적부(* 본적지. 부모의 성명. 호주. 생년월일. 출생지. 성별. 본관. 상벌 등이 기재되어 있다)
가까운 친척(큰댁)의 호적원부나 재적등본을 부탁하여 참고함이 큰도움이된다.
다음은 자'字'와 호`號'를 검색합니다. 다음은 우리들이 쉽게 놓치기쉬운부분중 출가한자녀(女) 입니다.
과거 `남존여비' `출가외인'등 여성은 족보에 이름이 없는것으로만 알고있으나 그나아주신 부친이나 조부까지의 기록(본관및이름)이 더자세히 나와있음을 알게됩니다. 이것이 더자세하고 아주귀중한 자료입니다.
출가한 가문(타성씨)의 족보에는 그기록(배위`配')이 나와있을수 있기에 중요자료입니다.
과거 이름의 항렬자(行列字돌림자)는 같은 성씨종족간의 이름의 중복방지와 그세(世)를 파악하고 각파(派)의 종중 세사와관련되었습니다.
현대에는 그방법이 조금은달리하여 변형하여사용됩니다. 그러나 이항렬(돌림자)가 조상이름찾기의 최초 기본사항입니다.
저희 순흥안씨만해도 많은 계파(派)가 존제함으로 그범위를 줄여 빠르게 찾을수 있겠습니다.
가장 확실한 방법은 대종회나 종친회 사무실을 찾아가셔서 조상의 내력을 알아보시거나.....
누군가 소장하고 있을 집안의 가첩(족보)을 수소문하셔서 알아보심이 가장 확실히 알 수 있는 조상찾기 방법입니다.
개인적으로 문의하고 싶으시면 카페지기(안정의)에게 언제든지 연락주세요..... H.P : 018-228-0927
카페 게시글
조상찾기방법
나의뿌리찾기방법-조상찾기방법 1
북마크
번역하기
공유하기
기능 더보기
다음검색
첫댓글 공공파도 있으신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