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상인 5계명.
1. 남의 돈으로 사업을 하지 않는다.
2. 한 가지 업종을 선택해 그 분야 최고 기업으로 키운다.
3. 장사꾼은 목에 칼이 들어와도 신용을 지킨다.
4. 자식이라도 능력이 검증되지 않으면 회사를 물려주지 않는다.
5. 기업의 궁극적인 목적은 국가경제 발전에 있다.
(조선일보 2002.10.14)
....................................................................
개성상인 開城商人
고려 ·조선시대에 앞선 상술로 하나의 세력권을 이루었던 대표적인 상인군(商人群)을 말하며 송도(松都)상인 ·송상(松商)으로도 불린다.
고려를 창건하여 개경(開京)에 도읍을 정한 왕건은 송악(松嶽) 지방의 신흥귀족의 후예로서, 그의 조상은 대대로 당(唐)나라와의 무역에 종사하여 부(富)를 축적함으로써 상당한 해상세력을 이루었다.
그 해상세력은 송악을 중심으로 패강진(浿江鎭)의 황해도 일부와 혈구진(穴口鎭)의 강화도 및 한강 하류 일대에 큰 영향력을 떨쳐, 개국 후 고려가 중국의 송(宋) ·아라비아의 다지국[大食國] 및 왜(倭)와의 무역을 일으키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이때 송악 근처 예성강 입구의 벽란도(碧瀾渡)는 국제무역항의 구실을 하였는데, 근처의 송악도 일국의 수도로서, 외국사신의 빈번한 왕래에 의한 공무역(公貿易)과 외국상인에 의한 사무역(私貿易)이 번창하여 상업도시로서도 발달하였다.
또한 개국 초부터 설치한 시전(市廛)은 국내 상거래는 물론 송나라 등 외국과의 교역도 활발하였는데, 이러한 무역과 국내 각지와의 상업활동은 주로 규모가 크고 상술이 앞선 개성상인이 맡아하였다.
개성 시전은 조선왕조가 도읍을 한양으로 옮긴 후에도, 어려운 고비를 넘기며 훤전(渠廛) ·백목전(白木廛) ·청포전(靑布廛) ·어과전(魚果廛)의 4대전과 일반 시전이 서울의 6의전(六矣廛) 등에 맞서 꾸준히 발전을 거듭하였다.
개성상인에는 조선시대에 소외당한 구왕조의 사대부 계층과 많은 지식인이 있었는데, 이들의 지식은 상업의 합리적 경영과 상술을 개발하여 나가는 데 큰 힘이 되어, 이미 서양보다 2세기나 앞서서 사개송도치부법(四介松都置簿法)이라는 독특한 복식부기를 고안하여 사용하였다.
고려시대에 무역의 전성기를 보낸 개성상인들은 조선시대에는 민간상인에 의한 무역을 금지하였으므로 큰 타격을 받았고, 시전에서도 서울상인들이 관수품과 무역상품의 조달권을 장악하였다.
그러나 개성상인은 4대 시전과 문외(門外) 백목전 등 16종에 이르는 시전이 가지고 있던 전국 상업계를 연결하는 행상(行商) 조직으로, 이를 극복하고 조선 초기부터 기반을 확고히 다져나갔다.
여기에 근면 ·성실과 높은 지식수준에 의한 상술의 개발로 서울 상인군과 쌍벽을 이루었다.
조선 중기 이후 상품 ·화폐 경제의 발달에 따라 개성은 전국 제일의 상업도시로 발전하였다.
지방에 객주(客主) ·여각(旅閣)이 생기면서 상권을 전국적으로 확대, 조직화하여 송방(松房)이라는 지점(支店)을 전국 주요 상업중심지에 설치하였으며, 지점장격인 차인(差人)을 파견하여 지방 생산품의 수집과 매매를 하였다.
송방 또는 개성상인이라는 특수한 명칭은 이때부터 전국적으로 알려졌으며, 특히 송방은 전국의 포목(布木) 상권을 장악하여 포목 가격이 그들에 의하여 좌우될 정도였다.
이들은 양태가 집산되는 강진(康津) ·해남(海南) 근해까지 진출하여 서울의 양태전으로 팔려 가던 양태를 매점, 직접 판매함으로써 서울 양태전에 큰 타격을 주었다.
이들은 이러한 도고상업(都賈商業:매점 또는 독점상업)으로 상업자본을 축적하였다.
18세기에 이르러 개성상인은 중국 사신(使臣) 일행 속에 잠입하여 청상(淸商)과 은 ·인삼 등을 직접 교역하는 밀무역도 하였다.
또한 독특한 도고방법으로 피혁 ·지물 등도 매점하여 중국에 직접 수출하고, 중국에서는 바늘 ·모자 ·말총 ·채련피(采蓮皮:당나귀 가죽) ·백삼승(白三升:흰 무명) ·궤자(가마테) ·잡품(雜品) 등을 수입하였다.
개성상인은 삼포(蔘圃)에서 인삼을 재배하기 이전부터 선매(先買)하여 이를 일본에 수출하고, 일본으로부터는 은을 들여와서 다시 중국에 수출하여 큰 이익을 얻었다.
개성상인은 이렇게 해서 축적한 자본으로 인삼의 재배와 가공, 광산 개발 등에 투자하였다. 개성상인이 자본축적도를 높일 수 있었던 것은 무엇보다도 홍삼의 밀조와 밀수출이었다. 정부의 단속이 심하였으나 선박으로 밀수출하였으며, 이를 위한 홍삼제조장은 다른 지방에도 두었다.
개성상인의 자본은 개항 전 국내 최대의 토착 민간자본으로 성장하여, 개항 후 외국자본의 침입에 대항하는 가장 강한 민간자본으로 대두하였다.
이렇게 되자 개성상인의 자본은 외국자본에 의하여 철저히 봉쇄당하게 되었다.
특히 인삼의 수출권을 일본인에게 빼앗겨 그 붕괴 속도가 더욱 빨랐다.
근면과 상술, 철저한 상혼(商魂), 전국적 규모의 도고상업, 송방(松房) 등은 개성상인의 대명사라고 할 수 있다.
첫댓글 말로만 듣던 개성상인이 이런 면이 있었군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