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 차례상 진설도
예 1

예 2
기제사(젯상) 진설도


젯상 진설원칙
조율시이(棗栗枾梨) 홍동백서(紅東白西) 좌포우혜(左胞右醯)
조동율서(棗東栗西) 어동육서(魚東肉西) 두동미서(頭東尾西)
반좌갱우(飯左羹右) 생동숙서(生東熟西)
*차례상은 방향에 관계없이 지내기 편한 곳에 차리면 되는데 이 경우 지방(신위)을 모신
곳이 북쪽, 제주(祭主)가 상을 봤을 때 오른쪽이 동쪽이 되며, 신위쪽에서 봤을 때는
왼쪽이 동쪽이다.
*과일이나 조과를 놓는 차례
1.조율시이(棗栗枾梨):왼편으로 부터 조(대추)율(밤)시(곶감)이(배)순서로 진설한다음
호두또는 망과류(넝쿨과일)을 쓰며 끝으로 조과류(다식,산자,약과)및 양과류를 진설한다.
2.홍동백서(紅東白西):붉은색 과일을 동쪽,흰색과일을 서쪽레 진설하고 그 가운데 조과류
및 양과류를 진설한다.
*반찬 놓는 순서
좌포우혜(左胞右醯):포(문어,오징어,명태)를 왼편에 식혜를 오른편에 진설한다.
생동숙서(生東熟西):짐채(백김치,동치미)는 동쪽에, 숙채(삶거나 익힌나물)은 서쪽에,
청장(간장)은 가운데 놓는다.
*적과 전을 놓는 방법
적:불에 굽거나 찐것을 말하며, 이것을 꼬지에 뀐것을 산적이라 한다.
전:기름에 튀기거나 부침을 말함.
1.어동육서:어류를 동쪽에 육류를 서쪽에 진설하며 그 가운데 채소나 적, 전종류를
진설한다.
2.두동미서라 하여 어류의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으로 향하게 한다.
*반(메)과 갱(국)을 놓는차례
반좌갱우:반(밥)은 왼쪽에 갱(국)은 오른쪽 면(국수)는 왼쪽에 편(떡)은 오른쪽에
진설한다.
명절 차례상 차림은 조상을 대하는 우리 마음과 정성을 담는 일이다. 차례상 차리는
법은 지역이나 집안마다 조금씩 차이가 난다고 해서 `가가례(家家禮)`라고 한다.
그러나 기본적인 사항은 공통된다.
우선 차례상은 북쪽에 둔다. 상차림은 다섯 열이다. 설날 차례상에는 밥 대신 떡국을
올리고 신위를 북쪽에 두는 것이 특징이다.
첫째 열에는 시접, 잔반(술잔, 받침대)을 놓고 떡국을 올린다.
북쪽을 바라봤을 때 신위를 기준으로 떡국은 좌측, 술잔은 우측에 차린다.
시접(수저와 대접)은 신위 앞에 올린다.
둘째 열에는 적과 전을 놓는다.
`어동육서(魚東肉西)` 원칙에 따라 동쪽부터 육적(육류), 어적(어패류),
소적(두부ㆍ채소류)순으로 올린다. 이때 생선은 `동두서미(東頭西尾)` 원칙에 따라
생선 머리는 동쪽으로, 꼬리는 서쪽으로 향하게 놓는다.
셋째 열에는 탕류를 놓는다.
왼쪽부터 육탕(고기), 소탕(두부ㆍ채소류), 어탕(어류) 순으로 올린다.
넷째 열에는 `좌포우혜(左脯右醯)` 원칙에 따라 반찬을 놓는다.
상 왼쪽 끝에는 포(북어 대구 오징어포)를 놓고 나물 간장 김치 순으로 올린다. 오른쪽
끝에는 식혜(수정과)를 둔다. 이 중 김치는 희게 담근 나박김치만을 올린다.
마지막으로 다섯째 열에는 과일을 놓는다.
과일은 반드시 홀수로 올린다.
`홍동백서(紅東白西)` 원칙에 따라 붉은 과일은 동쪽에 두고, 흰 과일은 서쪽에 놓는다.
또 `조율이시(棗栗梨枾)`에 맞춰 왼쪽부터 대추 밤 배 감 순으로 올린다.
상을 차릴 때는 시접과 잔반을 먼저 올리고, 향로와 향은 제상 앞에 마련한 작은 상에
올려 놓는다. 상 아래에는 퇴줏그릇과 모사잔을 놓는다.
특히 주의 할 점
삼치 갈치 꽁치 등 끝에 `치`자가 붙는 생선은 쓰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잉어처럼 비늘이 있는 생선도 안 쓴다. 과일 중에서는 복숭아를 제상에 올리지 않는다.
고춧가루와 마늘 양념도 하지 않으며 국물 있는 음식은 건더기만 쓰고, 붉은 팥 대신
흰고물을 쓴다.
조율이시(棗栗梨枾)의미
제사상에 빠지지 않고 오르는
대추, 밤, 배, 감에는 아래와 같은 심오한 뜻이 있다.
젯상은 음식이 풍성 할수록 좋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정성 이다.
그래서 간소 하나마 정성스런 젯상을 차려야 하는 데
젯상에 빠질수 없는 것이
바로 대추, 밤, 감(곳감도 무방)은 빼놓을 수 없다.
왜냐하면 제물이란 제사 지내는 자손들이 먹을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제사상에 올려놓았던 음식을 음복해야 하기 때문이다.
즉 젯상에 올려 놓았던 음식은 모두 조상님 것이고
후손이 그것을 먹는 다는것은
조상이 물려주는 복(德談과 敎訓)을 받는 것 이기 때문에
옛 조상님들은 대추, 밤, 감, 배를 통해서 우리에게 교훈을 주셨다.
대추, 밤, 감을 제사상에 올리는 이유는
가가례(家家禮)라는 말이 있듯이
제수를 제사상에 진열하는 방식은
지역마다, 문중마다, 집집마다 조금씩 다르다.
하지만 과채탕적(果菜湯炙)을 마련하고,
조율이시(棗栗梨枾) 즉 대추, 밤, 배, 감
또는 조율시이(棗栗枾梨) 즉 대추, 밤, 감, 배 순서로
진설하는데는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과일은 5色 또는 3色을 쓰는데,
우리나라 사람들이 중요하게 여기는 덕목 중의 하나는
아무리 간소한 제사라 할지라도 3색 과일은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어떤 경우에라도
대추와 밤과 감(감이 없는 계절에는 곶감)은 반드시 쓰게 되어 있다.
만약 이것이 없이 제사를 지냈다면
그 제사는 무효라며 다시 지내야 한다는 말이 나올 만큼
이 세 가지는 절대 빼놓지 않는다.
그렇다면 우리 조상들은 왜?
대추와 밤과 감을 그렇게 중요시했을까?...
대추(棗)
대추나무는 암수가 한 몸이고,
한 나무에 열매가 엄청나게 많이 열리는데
꽃 하나에 반드시 열매가 맺히고 나서 꽃이 떨어진다.
헛꽃은 절대로 없다.
즉,
사람으로 태어났으면
반드시 자식을 낳고 죽어야 한다는 뜻이다.
대추는 통씨여서 절개를 뜻하고
순수한 혈통과 자손[후손]의 번창을 기원하는 의미이다.
대추는 붉은 색으로 임금님의 용포를 상징하고
씨가 하나이고 열매에 비해
그 씨가 큰 것이 특징이므로 왕을 뜻한다.
왕이나 성현이 될 후손이 나오기를 기대하는 의미와
죽은 혼백을 왕처럼 귀히 모신다는
자손들의 정성을 담고 있다.
밤(栗)
밤나무는 땅 속에 밤톨이
씨밤[생밤]인 채로 달려 있다가
밤의 열매가 열리고 난 후에 씨밤이 썩는다.
그래서 밤은 자신의 근본을 잊지 말라는 것과
자기와 조상의 영원한 연결을 상징한다.
이런 이유로 밤나무로 된 위패를 모신다.
유아가 성장할수록 부모는 밤의 가시처럼 차츰 억세었다가
"이제는 품안에서 나가 살아라" 하며
밤송이처럼 쩍 벌려주어 독립된 생활을 시킨다는 것이다.
밤은 한 송이에 씨알이 세 톨이니
3정승(영의정, 좌의정, 우의정)을 의미한다.
배(梨)
배는 껍질이 누렇기 때문에 황인종을 뜻하고,
오행에서 황색은 우주의 중심을 나타낸다.
흙의 성분(土)인 것이다.
이것은 바로 민족의 긍지를 나타낸다.
배의 속살이 하얀 것으로 우리의 백의민족에 빗대어
순수함과 밝음을 나타내 제물로 쓰인다.
배는 씨가 6개여서
육조(이조 호조 예조 병조 형조 공조)의 판서를 의미한다.
감(枾)
콩 심은데 콩 나고 팥 심은데 팥이 나는 것이 천지의 이치인데
감만은 그렇지 않다.
감의 씨앗을 심으면 감나무가 나지 않고
대신 고욤나무가 나는 것이다.
그래서 3~5년쯤 지났을 때 기존의 감나무를 잘라서
이 고욤나무에 접을 붙여야 그 다음 해부터 감이 열린다.
감나무가 상징하는 것은
사람으로 태어났다고 해서 다 사람이 아니라
가르치고 배워야 비로소 사람이 된다는 뜻이다.
가르침을 받고 배우는 데는
생가지를 칼로 째서 접붙일 때처럼 아픔이 따른다.
그 아픔을 겪으며 선인의 예지를 받을 때
비로소 하나의 인격체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감나무는 아무리 커도
열매가 한번도 열리지 않은 나무를 꺾어 보면
속에 검은 신이 없고,
감이 열린 나무는 검은 신이 있다.
이것을 두고 부모가 자식을 낳고 키우는데
그 만큼 속이 상하였다하여 부모를 생각하여 놓는다고 한다.
감은 씨가 8개여서 8방백[8도 관찰사, 8도 감사]를 뜻한다.
8도 관찰사가 후손에 나오라는 의미이다.
# 이상과 같이 제사상의 주된 과일로
대추, 밤, 배, 감이 오르는 것은
이들이 상서로움, 희망, 위엄, 벼슬을 나타내는
전통적 과일이기 때문이다.
제사나 차례상을 진설할 때 이정도 지식을 갖추고 진행한다면
집사나 제관의 면모나 위엄을 제데로 갖추는 것입니다.
조상의 공덕을 기리고 추모하는 것은 자손된 당연한 도리로서
대대손손 우리가 지켜나가야 할 전통입니다.
자녀들에게도 좋은 교육자료가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