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나라 처럼 特色 있는 산줄기를 가진 나라도 없을 것이라고..... 대한민국 땅을 東西로 가르고 또 우리의 등줄기에 해당하는 大幹을 비롯하여 正脈, 枝脈, 岐脈 등
山自分水嶺에 의한 산줄기가 이미 많은 사람들한테 사랑을 받고 있고 이제는 몇 개 산을 연결하여 종주나 환종주라는 코스가 여러 산행인들에 의해서 만들어지고
또 實體를 알고자 그 길을 걷는 사람들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고......
山은 우리의 日常 生活에서 뗄 내야 뗄 수 없는 관계라고....... 우리 民族의 정기가 흐르는가 하면 산을 가까이 하면서 진취적인 기상을 키웠고 또 아름다운 生이 끝난 후에는 自然(山)으로 되돌아간다는 것은 잘 아는 事實이고 그리고 아주 오랜 전부터 산을 중심으로 民間信仰인 山神이 깊이 뿌리내리고 崇拜하기도 하였고 또 일부는 佛敎에서 민간신앙을 흡수하기도 했다고 그런 관계인지 몰라도 유명산에는 유명사찰이 있기 마련이다. 산세가 좋기 때문에 터를 잡고 절 집을 짓기 시작했고 또 풍수지리적으로 주변에는 좋은 지형이 있다고도 보는데....... 뭐 어찌되었든 간에.........
절하면 그저 고즈넉하고 조용하고 또 때론 몇 일 머물고 싶은 생각도 들고 그래서 佛家와 因緣이 없는 나도 절을 찾을 때가 있는데 대한불교조계종에는 직할교구를 비롯하여 25교구로 나눠져 있고 그 밑에는 말사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宗派를 떠나서 유명사찰 주변으로는 名山이 있기 마련이고 요즘 사찰탐방을 겸한 산행코스도 많은 각광을 받고 있는데....... 우연히 지도를 들여다 보던중 산행인들의 관심의 대상일지 아니면 관심 밖의 대상일지는 모르겠으나 대한불교조계종 25교구 본사를 감싸는 산줄기를 만들어보았는데....... 가급적이면 본사를 중심으로 이어지는 산행코스를 만들어봤으며 산행 들머리와 날머리가 같도록 만들려고 했으나 전체적으로 고리처럼 이어지는 코스는 없었으며
가급적 들머리와 날머리를 최단거리로 만들었다. 그러다 보니까 어느 코스는 다소 거리가 먼 코스도 있으며 우리가 자주 접하는 대간, 정맥, 지맥,
또 누군가 만들어 놓은 산줄기와 같이하는 길도 있다고..... 다만 본인이 일부는 다녀봤고 또 안 다녀본 코스도 있기 때문에 마루금이나 거리, 지명 등이 다소 틀릴 수가 있다. 하지만 국토지리정보원 발행 1:25000 지형도를 기준으로 만들었기에 어느 정도 정확하다고는
볼 수가 있다고.......... 관심이 있는 분들이나 또 답사를 하실 분들은 틀린 부분이 있으면 수정과 보완을 해서
사용을 했으면 한다. 어떤 분들한테는 아무런 의미 없는 산줄기가 될 수도 있습니다. 이점 너그럽게 봐주시고 부족하지만 관심 있는 분들한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됐으면 한다고..... 또 좋은 제안과 충고가 있으면 기꺼이 받아들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25교구 본사를 감싸는 주요코스의 지명은 국토지리정보원 발행 1:25000 및 1:50000
지형도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산행지도의 지명은 랜덤하우스발행 1:50000 지형도를
기준으로 한 것임.
그리고 산행지도가 선명하지 못한 점 이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대한불교조계종 25교구 본사 분포도
■ 대한불교조계종 25교구 본사 ※ 본사에 대한 내력은 본사 홈페이지나 인터넷 등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직할교구 - 조계사 2교구 본사 - 용주사(경기도 화성시 태안읍) 3교구 본사 - 신흥사(강원도 속초시 설악동) 4교구 본사 - 월정사(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5교구 본사 - 법주사(충북 보은군 내속리면) 6교구 본사 - 마곡사(충남 공주군 사곡면) 7교구 본사 - 수덕사(충남 예산군 덕산면) 8교구 본사 - 직지사(경북 김천시 대항면) 9교구 본사 - 동화사(대구광역시 동구 도학동) 10교구 본사 - 은해사(경북 영천시 청통면) 11교구 본사 - 불국사(경북 경주시 진현동) 12교구 본사 - 해인사(경남 합천군 가야면) 13교구 본사 - 쌍계사(경남 하동군 화개면) 14교구 본사 - 범어사(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15교구 본사 - 통도사(경남 양산시 하북면) 16교구 본사 - 고은사(경북 의성군 단촌면) 17교구 본사 - 금산사(전북 김제시 금산면) 18교구 본사 - 백양사(전남 장성군 북하면) 19교구 본사 - 화엄사(전남 구례군 마산면) 20교구 본사 - 선암사(전남 순천시 승주읍) 21교구 본사 - 송광사(전남 순천시 송광면) 22교구 본사 - 대흥사(전남 해남군 삼산면) 23교구 본사 - 관음사(제주시 아라동) 24교구 본사 - 선운사(전북 고창군 아산면) 25교구 본사 - 봉선사(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산 찾아 절 찾아 용주사 코스 ▲ 용주사 주요코스 - 용주사 코스는 한강의 지류인 황구지천의 물줄기로 인하여 이어가는 산줄기를 만들 수가 없었다.
산 찾아 절 찾아 신흥사 코스 ▲ 신흥사 주요코스 : 도상 약39.7km(1:25000지형도, 속초, 설악, 신선) 강원 속초시 상복리-상복이리-×433-×864-×1217-화채봉(×1328)-×1255-설악산 대청봉(▲1707.9)
산 찾아 절 찾아 선암사, 송광사 코스 ▲ 선암사, 송광사 주요코스 : 도상 약 18km(1:25000지형도, 주암, 남내) 전남 순천시 주암면 문길리 신다리재(27번 국도)-▲345.0-가갓재-등계산(×648)-오두재(×421)-▲786.6
-조계산(▲887.1)굴목재-▲458.6-순천시 낙안면 석흥리 율치(857번 지방도)
▲ 송광사, 선암사 산행지도 및 맵소스
산 찾아 절 찾아 대흥사 코스 ▲ 대흥사 주요코스 : 도상 약 19km(1:25000지형도, 해남, 일평, 신월) 전남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매정마을-등심재-×306-오도치-×611-대둔산(×673.2)-두륜봉(×627)-두륜산(×700)-노성봉(×636)-▲385.5-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용전마을
▲ 대흥사 산행지도 및 맵소스
산 찾아 절 찾아 관음사 코스 ▲ 관음사 주요코스 : 도상 약 68.3km(1:25000지형도, ) ※ 대한불교조계종 제23교구 본사가 있는 관음사는 한라산 아래에 자리잡고 있지만 지형적으로
이어가기 산줄기가 어려운 관계로 제주의 올레 길 잇기처럼 한라산을 중심으로 도로를 따라 걷는
것도 괜찮을 것 같다고......
제주시 영평동 삼의약교-신비의도로-관음사(1117번 지방도)-제주과학고교 입구-제주농업시험장 입구
-99번 국도 합류지점-한밝저수지-한라산 어리목대피소 입구(99번 국도)-1100고지 휴게소(99번 국도)
우리 나라 처럼 特色 있는 산줄기를 가진 나라도 없을 것이라고..... 대한민국 땅을 東西로 가르고 또 우리의 등줄기에 해당하는 大幹을 비롯하여 正脈, 枝脈, 岐脈 등
山自分水嶺에 의한 산줄기가 이미 많은 사람들한테 사랑을 받고 있고 이제는 몇 개 산을 연결하여 종주나 환종주라는 코스가 여러 산행인들에 의해서 만들어지고
또 實體를 알고자 그 길을 걷는 사람들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고......
山은 우리의 日常 生活에서 뗄 내야 뗄 수 없는 관계라고....... 우리 民族의 정기가 흐르는가 하면 산을 가까이 하면서 진취적인 기상을 키웠고 또 아름다운 生이 끝난 후에는 自然(山)으로 되돌아간다는 것은 잘 아는 事實이고 그리고 아주 오랜 전부터 산을 중심으로 民間信仰인 山神이 깊이 뿌리내리고 崇拜하기도 하였고 또 일부는 佛敎에서 민간신앙을 흡수하기도 했다고 그런 관계인지 몰라도 유명산에는 유명사찰이 있기 마련이다. 산세가 좋기 때문에 터를 잡고 절 집을 짓기 시작했고 또 풍수지리적으로 주변에는 좋은 지형이 있다고도 보는데....... 뭐 어찌되었든 간에.........
절하면 그저 고즈넉하고 조용하고 또 때론 몇 일 머물고 싶은 생각도 들고 그래서 佛家와 因緣이 없는 나도 절을 찾을 때가 있는데 대한불교조계종에는 직할교구를 비롯하여 25교구로 나눠져 있고 그 밑에는 말사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宗派를 떠나서 유명사찰 주변으로는 名山이 있기 마련이고 요즘 사찰탐방을 겸한 산행코스도 많은 각광을 받고 있는데....... 우연히 지도를 들여다 보던중 산행인들의 관심의 대상일지 아니면 관심 밖의 대상일지는 모르겠으나 대한불교조계종 25교구 본사를 감싸는 산줄기를 만들어보았는데....... 가급적이면 본사를 중심으로 이어지는 산행코스를 만들어봤으며 산행 들머리와 날머리가 같도록 만들려고 했으나 전체적으로 고리처럼 이어지는 코스는 없었으며
가급적 들머리와 날머리를 최단거리로 만들었다. 그러다 보니까 어느 코스는 다소 거리가 먼 코스도 있으며 우리가 자주 접하는 대간, 정맥, 지맥,
또 누군가 만들어 놓은 산줄기와 같이하는 길도 있다고..... 다만 본인이 일부는 다녀봤고 또 안 다녀본 코스도 있기 때문에 마루금이나 거리, 지명 등이 다소 틀릴 수가 있다. 하지만 국토지리정보원 발행 1:25000 지형도를 기준으로 만들었기에 어느 정도 정확하다고는
볼 수가 있다고.......... 관심이 있는 분들이나 또 답사를 하실 분들은 틀린 부분이 있으면 수정과 보완을 해서
사용을 했으면 한다. 어떤 분들한테는 아무런 의미 없는 산줄기가 될 수도 있습니다. 이점 너그럽게 봐주시고 부족하지만 관심 있는 분들한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됐으면 한다고..... 또 좋은 제안과 충고가 있으면 기꺼이 받아들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25교구 본사를 감싸는 주요코스의 지명은 국토지리정보원 발행 1:25000 및 1:50000
지형도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산행지도의 지명은 랜덤하우스발행 1:50000 지형도를
기준으로 한 것임.
그리고 산행지도가 선명하지 못한 점 이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대한불교조계종 25교구 본사 분포도
■ 대한불교조계종 25교구 본사 ※ 본사에 대한 내력은 본사 홈페이지나 인터넷 등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직할교구 - 조계사 2교구 본사 - 용주사(경기도 화성시 태안읍) 3교구 본사 - 신흥사(강원도 속초시 설악동) 4교구 본사 - 월정사(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5교구 본사 - 법주사(충북 보은군 내속리면) 6교구 본사 - 마곡사(충남 공주군 사곡면) 7교구 본사 - 수덕사(충남 예산군 덕산면) 8교구 본사 - 직지사(경북 김천시 대항면) 9교구 본사 - 동화사(대구광역시 동구 도학동) 10교구 본사 - 은해사(경북 영천시 청통면) 11교구 본사 - 불국사(경북 경주시 진현동) 12교구 본사 - 해인사(경남 합천군 가야면) 13교구 본사 - 쌍계사(경남 하동군 화개면) 14교구 본사 - 범어사(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15교구 본사 - 통도사(경남 양산시 하북면) 16교구 본사 - 고은사(경북 의성군 단촌면) 17교구 본사 - 금산사(전북 김제시 금산면) 18교구 본사 - 백양사(전남 장성군 북하면) 19교구 본사 - 화엄사(전남 구례군 마산면) 20교구 본사 - 선암사(전남 순천시 승주읍) 21교구 본사 - 송광사(전남 순천시 송광면) 22교구 본사 - 대흥사(전남 해남군 삼산면) 23교구 본사 - 관음사(제주시 아라동) 24교구 본사 - 선운사(전북 고창군 아산면) 25교구 본사 - 봉선사(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산 찾아 절 찾아 용주사 코스 ▲ 용주사 주요코스 - 용주사 코스는 한강의 지류인 황구지천의 물줄기로 인하여 이어가는 산줄기를 만들 수가 없었다.
산 찾아 절 찾아 신흥사 코스 ▲ 신흥사 주요코스 : 도상 약39.7km(1:25000지형도, 속초, 설악, 신선) 강원 속초시 상복리-상복이리-×433-×864-×1217-화채봉(×1328)-×1255-설악산 대청봉(▲1707.9)
산 찾아 절 찾아 선암사, 송광사 코스 ▲ 선암사, 송광사 주요코스 : 도상 약 18km(1:25000지형도, 주암, 남내) 전남 순천시 주암면 문길리 신다리재(27번 국도)-▲345.0-가갓재-등계산(×648)-오두재(×421)-▲786.6
-조계산(▲887.1)굴목재-▲458.6-순천시 낙안면 석흥리 율치(857번 지방도)
▲ 송광사, 선암사 산행지도 및 맵소스
산 찾아 절 찾아 대흥사 코스 ▲ 대흥사 주요코스 : 도상 약 19km(1:25000지형도, 해남, 일평, 신월) 전남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매정마을-등심재-×306-오도치-×611-대둔산(×673.2)-두륜봉(×627)-두륜산(×700)-노성봉(×636)-▲385.5-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용전마을
▲ 대흥사 산행지도 및 맵소스
산 찾아 절 찾아 관음사 코스 ▲ 관음사 주요코스 : 도상 약 68.3km(1:25000지형도, ) ※ 대한불교조계종 제23교구 본사가 있는 관음사는 한라산 아래에 자리잡고 있지만 지형적으로
이어가기 산줄기가 어려운 관계로 제주의 올레 길 잇기처럼 한라산을 중심으로 도로를 따라 걷는
것도 괜찮을 것 같다고......
제주시 영평동 삼의약교-신비의도로-관음사(1117번 지방도)-제주과학고교 입구-제주농업시험장 입구
-99번 국도 합류지점-한밝저수지-한라산 어리목대피소 입구(99번 국도)-1100고지 휴게소(99번 국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