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여름 복지관 사회사업팀 모집 - 모집 마감합니다. 5.11
복지관은 당사자와 지역사회가 복지를 이루게 돕고,
나아가 더불어 살게 돕는 지원기관입니다.
복지관은 어떤 사업이든 그 사업으로
이웃이 있고 인정이 흐르는 지역사회를 만드는 기관입니다.
이런 복지관의 정체성이 복지관 사회사업 내용과 방식을 좌우합니다.
2013년 여름, 서울시립대학교 종합사회복지관과 함께 6주간 복지관 사회사업 활동을 합니다.
(서울시립대학교 종합사회복지관 http://www.uoscc.or.kr)
서울시립대학교 종합사회복지관의 비상시적인 몇몇 사업을
'복지관 사회사업 활동팀'이 맡아 진행합니다.
계획부터 평가까지 복지관 사회사업 개념, 이상, 철학에 맞게 진행합니다.
복지관 사회사업 실무활동 동안
복지관의 정체성을 공부하고, 그 개념에 맞게 실천합니다.
당사자의 자주성과 지역사회 공생성을 중심에 두고
(당사자, 지역사회와 함께) 사업을 계획하고 진행하고 평가합니다.
복지관 사회사업 활동은 실습이나 자원봉사가 아닌 실제 사회사업 활동입니다.

12차 복지순례, 대구대학교 준영
활동기간
2013년 6월 24일~7월 31일
6월 24일~28일 : 사회복지정보원 합동연수에 참가
7월 1일~26일 : 복지관 사회사업 활동
7월 27일~31일 : 추억 여행 (제주 올레와 한라산 예정)
활동인원
사회복지 전공 남녀 대학생 8~10명
5월 25일까지 자기소개서를 작성합니다. (자기소개서와 격려의 글 양식)
작성한 글을 게시판에 올립니다.
6월 1일, 서울에서 지원자 단체 면접합니다.
* 실습생은 받지 않습니다. 복지관 사회사업 활동에 집중하려고 합니다.
활동내용
어떤 사업을 맡을지 서울시립대학교 종합사회복지관과 논의 중입니다.
5월 중에 복지관 전체 직원에게 '복지관 사회사업 활동'을 설명할 계획입니다.
복지관 상황을 살펴 추천받기도 하고, 관심 있는 선생님의 신청도 받을 생각입니다.
제 역량과 관심도 생각하여 선정하겠습니다.
활동하는 학생 수를 생각하여 두세 가지 사업을 맡습니다.
한 가지 사업에 두세 명이 팀을 이뤄 진행합니다.
모두가 함께 진행하는 사업도 있을 수 있습니다.
어떤 사업을 맡든 그 사업을,
당사자와 지역사회에 묻고, 의논하고, 부탁하여 이룹니다.
또한, 전 과정을 잘 기록합니다.
활동을 마치고 '복지관 사회사업 활동' 자료집을 만듭니다.
* 12차 복지순례 기록을 출판한 '복지순례'

학습
활동기간 내내, 밤낮 혹은 새벽, 걷다가, 쉬다가, 놀다가,
수시로 공부합니다.
주교재 : '복지요결'과 '복지야성', '사회복지사 김세진의 독서노트', '사례관리 실천 이야기'
생활
화랑대역 인근에서 4주간 합숙합니다.
하루 3끼, 함께 밥을 지어 먹습니다.
주말은 자유롭게 보냅니다.
'복지관 사회사업 활동' 생활수칙
경청하기 :
진지하고 부드러운 표정으로 시선을 집중하여 경청해야 합니다.
강사나 동료가 말할 때 졸지 말아야 합니다. 서서 듣거나, 세수하고 들어야 합니다. 주변에서 무슨 소리나 움직임이 있더라도 돌아보지 말고, 말씀하시는 분에게만 집중해야 합니다.
사회사업 현장에서 당사자의 말을 잘 들어야 합니다. 특히 약자의 이야기를 들을 때에는 더욱 잘 경청해야 합니다. 당사자를 존중한다는 구체적 표현이 경청이기도 합니다. 누구와 이야기하든, 좋은 실무자가 되기 위해 경청을 훈련한다고 생각합시다.
소리에 민감하기 :
① 의자를 내고 넣을 때 두 손으로 잡고 들어서 옮기십시오.
② 문을 닫을 때, 완전히 닫힐 때까지 손잡이를 놓지 마십시오.
③ 신발 소리가 나지 않게 하십시오. 슬리퍼나 샌들의 경우, 발에 살짝 힘을 주면 소리가 나지 않습니다.
④ 취침 시각 이후, 기상 시각 이전, 이때는 특별히 더 조심합시다.
활동기간(일요일 및 자유시간 포함)에 참기:
① 음주, 흡연, 농담, 수다, 험담
② 신발 구겨 신는 행위 발견 시 경고, 두 번째 발견 시 귀가 조처
③ 어두운 표정, 찡그린 얼굴, 게으른 태도. 그럴만한 사정이 있으면 저와 동료에게 설명하여 양해를 구하십시오. 그렇지 않으면 피곤해도 절도와 생기와 미소를 잃지 말아야 합니다.
④ 활동팀 내에서의 연애
⑤ SNS와 인터넷은 꼭 필요할 때만. 검색 대신 사색.
아침과 저녁 포옹인사
비용
20만 원
자신을 잘 알고, 이 활동을 응원하고 지지해주는 분들에게
자기소개서를 보여 드리고 격려의 글과 함께 활동비를 후원받습니다.
* 여행을 포함하여 전체 일정 동안 되도록 소박하게 생활합니다.
되도록 적게 씁니다. 소비를 줄여 생활하는 일도 복지관 사회사업 활동 과정 중 하나입니다.
수퍼바이저
사회복지사 사무소 '구슬' 소장, 사회사업가 김세진
2012년, 12차 복지순례 수퍼바이저
종합사회복지관 근무 7년 (2001.12~2008.12)
복지관 사회사업 운동 5년 (2009.1~ )

#
참가 신청자 (마감)
1. 김승철 (남), 충남대학교 사회복지학과 4학년
2. 진혜지 (여), 부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4학년
3. 정유진 (여), 경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4학년
4. 윤규택 (남), 신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4학년
5. 김지훈 (남), 신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4학년
6. 조수진 (여),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2학년
7. 조영란 (여), 대구한의대학교 노인복지학과 4학년
8. 유현진 (여),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2학년
9. 김승호 (남), 강남대학교 사회사업학전공 4학년
10. 신선옥 (여), 강남대학교 사회사업학전공 4학년
11. 서화평 (남), 전북대학교 원예학과, 사회복지학 복수전공 3학년
12. 한령경 (여), 한남대학교 사회복지학과 3학년
총 12명 (여자 7명, 남자 5명)
신선옥 / 강남대학교 / 사회사업학전공 4학년 / 010-8941-5232
2013년 복지관 사회사업팀에 지원합니다.
안녕하세요. 예전부터 박은혜학생과 곽수진언니에게서 시골사회사업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하고싶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학교 생사고락 책모임을 통하여 김세진선생님을 뵈었고, 복지관사회사업에 대한 소개를 듣고 참여를 결심하게 되었습니다. 어느덧 졸업을 앞두고 현장에 나갈 준비를 하니 막막한 느낌이 있었는데, 이번 기회를 통하여 사회복지사로서 현장에 대한 준비를 하고 배우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 같아 기대됩니다. 고맙습니다.